메뉴 건너뛰기

창조사색

오늘:
199
어제:
265
전체:
1,933,0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나는 기적을 행한다

(I Act the Miracle)

 

 

 

John Piper 설교(2011224), 이종헌 역

출처: https://www.desiringgod.org/messages/i-act-the-miracle

 

 

Bethlehem College & Seminary Chapel | Minneapolis

Resource by John Piper, Scripture: Philippians 2:12-13, Topic: Sanctification & Growth

(본문: 빌립보서 2:12-13)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나 있을 때뿐 아니라 더욱 지금 나 없을 때에도 항상 복종하여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

 

 

The reason for this message is to give you a glimpse of how the gospel of Christ relates to the front-burner warfare with sin in my own life. These are some things that I have been thinking about and praying over and doing on the leave of absence and since.

이 메시지의 이유는 내 삶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이 최대 관심사인 죄와의 전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엿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것들은 제가 휴가 때와 그 이후로 생각하고 기도하고 행했던 것들입니다.

 

So let me give you a summary diagnosis of some of John Piper’s most besetting sins. I have fought them, and I think my wife would say that I am winning more battles in the last year than in a long time. How that battle is being fought is what I want to talk about. But first, the diagnosis. Everyone should do this for their own soul. Those of you preparing to be pastors especially will know your people’s souls best by knowing your own. So be ruthlessly honest with yourself.

그래서 존 파이퍼의 가장 끔찍한 죄에 대한 요약 진단을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그들과 싸웠고, 아내는 내가 오랜 시간보다 작년에 더 많은 전투에서 이기고 있다고 말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전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먼저 진단입니다. 누구나 자신의 영혼을 위해 이것을 해야 합니다. 특히 목회자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영혼을 앎으로써 사람들의 영혼을 가장 잘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자기 자신에게 무자비하게 정직하십시오.

 

 

Diagnosing My Own Soul(내 자신의 영혼을 진단하기)

 

My characteristic sins are selfishness, anger, self-pity, quickness to blame, and sullenness. Let me describe them in their ugliness one at a time. And hear me not as coolly analytical here, but sorrowful and remorseful and thankful for the cross of Christ and for grace.

나의 특징적인 죄는 이기심, 분노, 자기 연민, 비난의 신속성, 음침함입니다. 한 번에 하나씩 그들의 추악함을 설명하겠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냉정하게 분석적인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은혜에 대해 슬프고 후회하며 감사하는 것을 들어보십시오.

 

Selfishness is virtually the same as pride and is the deep, broad corruption that is at the bottom of it all. I would give it six traits:

이기심은 교만과 거의 동일하며 그 밑바닥에 있는 깊고 광범위한 부패입니다. 나는 거기에 6가지 특성을 부여합니다:

 

* My selfishness is a reflex to expect to be served.

* My selfishness is a reflex to feel that I am owed.

* My selfishness is a reflex to want praise.

* My selfishness is a reflex to expect that things will go my way.

* My selfishness is a reflex to feel that I have the right to react negatively to being crossed.

* 나의 이기심은 섬김 받기를 기대하는 반사작용입니다.

* 나의 이기심은 내가 빚을 받을 게 있다고 느끼는 반사작용입니다.

* 나의 이기심은 칭찬을 원하는 반사작용입니다.

* 나의 이기심은 일들이 내 방식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반사작용입니다.

* 나의 이기심은 내가 반대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 할 권리가 있다고 느끼는 반사작용입니다.

 

And the reason I use the word “reflex” to describe the traits of selfishness is that there is zero premeditation. When these responses happen, they are coming from nature, not reflection. They are the marks of original sin.

그리고 내가 이기심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반사작용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전 생각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반응이 일어날 때, 그것들은 성찰이 아니라 본성에서 나옵니다. 그것들은 원죄의 표시입니다.

 

Now, what happens when this selfishness is crossed?

, 이 이기심이 교차하면 어떻게 될까요?

 

Anger: the strong emotional opposition to the obstacle in my way. I tighten up and want to strike out verbally or physically.

분노: 내 방식의 장애물에 대한 강한 정서적 반대. 나는 바짝 긴장하고 말로나 육체적으로 치려고 덤벼들기를 원한다.

 

Self-pity: a desire that others feel my woundedness and admire me for my being mistreated and move to show me some sympathy.

자기 연민: 다른 사람들이 내가 상처받았음을 느끼고 내가 학대받는 것을 알아주고 나에게 동정심을 보여주기를 바라는 욕망.

 

Quickness to blame: A reflex to attribute to others the cause of the frustrating situation I am in. Others can feel it in a tone of voice, a look on the face, a sideways query, or an outright accusation.

비난의 신속성: 내가 처한 좌절 상황의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려는 반사작용. 다른 사람들은 목소리 톤, 얼굴 표정, 삐딱한 질문 또는 노골적인 비난으로 그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Sullenness: the sinking discouragement, moodiness, hopelessness, unresponsiveness, withdrawn deadness of emotion.

음침함: 가라앉은 낙심, 변덕, 절망, 무반응, 감정의 죽음.

 

And, of course, the effect on marriage is that my wife feels blamed, and disapproved of, rather than cherished and cared for. Tender emotions start to die. Hope is depleted. Strength to carry on in the hardships of ministry wanes.

그리고 물론, 결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아내가 소중히 여겨지고 돌봄을 받는다고 느끼는 것이 아니라 비난 받고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부드러운 감정이 사라지기 시작합니다. 희망이 고갈됩니다. 사역의 고난을 견뎌 낼 힘이 약해집니다.

 

 

How the Gospel Conquers(복음이 어떻게 이기는가)

 

Now the question we are asking in these messages in Bethlehem College & Seminary chapel is: How does the gospel conquer such sins? Paul said there is a way of life that is “in step with the truth of the gospel” (Galatians 2:14). There is a gospel walk. He said there is a “manner of life worthy of the gospel” (Philippians 1:27).

이제 Bethlehem College & Seminary chapel의 이 메시지에서 우리가 묻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음이 어떻게 그러한 죄들을 이기는가? 바울은 복음의 진리를 따르는”(갈라디아서 2:14) 삶의 방식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복음의 걸음이 있습니다. 그는 복음에 합당한 삶의 방식”(빌립보서 1:27)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The reason there is a way of life that fits the gospel is that what happened on the cross of Christ not only cancels the sin and completes the perfection that grounds our justification but, in doing that, also unleashes the power of our sanctification. And what I am most interested in today is how that power over my sins is experienced. And I want to illustrate that eventually from Philippians 2:12-13. But, first, some wider context to make sure we grasp the way the cross is the key to sanctification as well as justification.

복음에 적합한 삶의 방식이 있는 이유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일어난 일이 죄를 지우고 우리의 칭의의 근거가 되는 완전성을 완성할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함으로써 성결의 힘을 발휘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오늘 제가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내 죄에 대한 그 권세가 어떻게 경험되는가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결국 그것을 빌립보서 2:12-13로써 설명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우선은, 십자가가 성화 뿐 아니라 칭의의 열쇠가 되는 길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더 넓은 맥락을 다루겠습니다.

 

 

The Cross: Key to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십자가: 칭의와 성화에 대한 열쇠)

 

When Charles Wesley taught us to sing, “He breaks the power of canceled sin” (in the hymn “O for a Thousand Tongues to Sing”), he was teaching the fundamental truth about how the cross and our battle with sin are related. The cross cancels sins for all who believe on Jesus. Then on the basis of that cancellation of our sins, the power of our actual sinning is broken. It’s not the other way around. There would be no gospel and no music if we tried to sing, “He cancels the guilt of conquered sins.” No! First the cancellation. Then the conquering.

찰스 웨슬리가 우리에게 내 죄의 권세 깨뜨려 그 결박 푸시고”(찬송가 만 입이 내게 있으면에서)라고 노래하라고 가르쳤을 때, 그는 십자가와 우리의 죄와의 싸움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진리를 가르치고 있었습니다. 십자가는 예수님을 믿는 모든 사람의 죄를 없애줍니다. 그러면 우리의 죄의 말소에 기초하여 우리의 실제 죄를 짓는 힘이 깨집니다. 그 반대는 아닙니다. 우리가 그분은 정복한 죄의 죄책감을 없애 주신다라고 노래한다면 복음도 음악도 없을 것입니다. 그것이 아닙니다! 먼저 말소. 그리고 나서 정복입니다.

 

There are many ways that the New Testament shows how this works. I’ll mention three: (1) In the death of Christ, we died. (2) In the death of Christ, we were bought. (3) In the death of Christ, we were forgiven.

신약 성경이 이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세 가지를 언급하겠습니다: (1)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우리는 죽었습니다. (2)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우리는 사신 바 되었습니다. (3)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우리는 용서 받았습니다.

 

And in each of these cases, a power is unleashed from the cross that expresses itself through my volitional attack on sin. In other words, in each of these three cases, the way the cross becomes effective in my conquering canceled sin is by empowering my will to oppose sin in my life.

그리고 이 각각의 경우에, 죄에 대한 나의 의지적 공격을 통해 그것을 표현하는 힘이 십자가로부터 나옵니다. 다시 말해, 이 세 가지 경우 각각에서 십자가가 내 말소된 죄를 정복하는 데 효과적이 되는 방법은 내 삶에서 죄를 반대하는 나의 의지를 강화하는 것입니다.

 

1. In the death of Christ, we died.

1.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우리는 죽었습니다.

 

“We have been united with him in a death like his” (Romans 6:5; see also Romans 7:4; Galatians 2:20; Colossians 3:3).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같은 모양으로 연합한 자가 되었습니다”(로마서 6:5; 또한 로마서 7:4; 갈라디아서 2:20; 골로새서 3:3 참조).

 

Therefore:

그러므로:

 

* “You also must consider yourselves dead to sin” (Romans 6:11).

* “Let not sin therefore reign in your mortal body” (Romans 6:12).

* “여러분도 여러분 자신을 죄에 대하여 죽은 자로 여겨야 합니다”(로마서 6:11).

* “그러므로 죄가 여러분의 죽을 몸을 지배하지 못하게 하십시오”(로마서 6:12).

 

2. In the death of Christ, we were bought.

2.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우리는 사신 바 되었습니다.

 

“You are not your own, for you were bought with a price” (1 Corinthians 6:1920).

너희는 너희 자신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고린도전서 6:1920).

 

Therefore: “Glorify God in your body” (1 Corinthians 6:20).

그러므로: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고린도전서 6:20).

 

3. In the death of Christ, we were forgiven.

3.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우리는 용서 받았습니다.

 

“God in Christ forgave you” (Ephesians 4:32).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에베소서 4:32)

 

Therefore: “Be kind to one another, tenderhearted, forgiving one another” (Ephesians 4:32).

그러므로: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라”(에베소서 4:32).

 

So in every case, the decisive impulse for my holiness and my sin-killing is the death of Christ. This means that the decisive power for our conquering sin is Christ’s canceling sin. That is, the only sin that we can defeat is forgiven sin.

그러므로 모든 경우에 있어서 나의 거룩함과 나의 죄를 죽이는 결정적인 동기는 그리스도의 죽음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죄를 이기는 결정적인 능력은 그리스도의 죄를 소멸하시는 것임을 의미합니다. , 우리가 이길 수 있는 유일한 죄는 용서받은 죄입니다.

 

If we try to defeat an unforgiven sin that is, if we try to conquer our sin before it is canceled we become our own saviors; we nullify the justification of the ungodly (Romans 4:45), and we head straight for despair and suicide.

우리가 용서받지 못한 죄를 물리치려고 하면, 즉 우리가 우리의 죄가 말소되기 전에 정복하려고 하면 우리가 우리 자신의 구원자가 됩니다: 우리는 경건하지 아니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것을 무효화하고 (로마서 4:4-5) 곧장 절망과 자살로 향합니다.

 

 

The Link: My Empowered Will(연결고리: 나의 강화된 의지)

 

But don’t miss this. In each of these three cases (in the death of Christ I died, I was bought, and I was forgiven), the link between the cross and my conquered sin is my empowered will. My will, engaged to fight sin with blood-bought power. I say that because in each of these three cases the statement of my death, my purchase, and my forgiveness was made the cause of a command addressed to my will. “Let not sin reign in your body.” “Glorify God in your body.” And “Be kind to one another, tenderhearted, forgiving one another.” Those commands are addressed to me. They engage my will.

그러나 이것을 놓치지 마세요. 이 세 가지 경우(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내가 죽었고, 내가 사신 바 되었고, 내가 용서 받았습니다) 각각에서, 십자가와 내가 이긴 죄 사이의 연결 고리는 나의 강화된 의지입니다. 피로 사신 능력으로 죄와 싸우는 데 관여된 나의 의지를 말하는 이유는, 이들 세 가지 경우 각각에 있어서 나의 죽음, 나의 사심 및 나의 용서라는 선언은 나의 의지에 대한 명령 때문에 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죄가 너의 몸을 다스리지 않게 하라.” “너의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그리고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라.” 그러한 명령들이 나에게 전달됩니다. 그것들이 내 의지에 관여합니다.

 

And the power that engages and enlivens and carries my will, so that it will be clear that my willing is a cross-exalting willing, is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is given to me precisely because of the death of Christ for me. The Holy Spirit is a blood-bought, new covenant gift of God (Romans 8:35; 7:4; Galatians 2:20).

그러므로 나의 의지가 십자가를 드높이는 의지라는 것이 분명할 것이므로, 나의 의지를 사로잡고 활기차게 하고 수행하는 능력은 바로 틀림없이 나를 위한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인해 나에게 주어진 성령의 능력입니다. 성령은 피로 사신 하나님의 새 언약의 선물입니다(로마서 8:3~5; 7:4; 갈라디아서 2:20).

 

This means that the link between the cross and my conquered sin is a Holy-Spirit empowered will. Listen to these texts that describe this reality:

이것은 십자가와 내가 정복한 죄 사이의 연결고리가 성령이 능력을 부여한 의지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현실을 설명하는 다음 본문들을 들어 보십시오:

 

* Romans 7:6: “We died to that which held us captive, so that we serve in the new way of the Spirit and not in the old way of the written code.” I serve in the newness of the Spirit.

* 로마서 7:6: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영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율법 조문의 묵은 것으로 아니할지니라.” 나는 성령의 새로운 것으로 섬깁니다.

 

* Romans 8:13: “By the Spirit you put to death the deeds of the body.” I put sin to death, by the Spirit.

* 로마서 8:13: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니.” 나는 성령으로써 죄를 죽게 합니다.

 

* Galatians 2:20: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It is no longer I who live, but Christ who lives in me. And the life I now live in the flesh I live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The life I now live . . . Christ lives in me.

* 갈라디아서 2:20: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내가 지금 사는 삶은 ... 내 안에 그리스도가 사십니다.

 

* 1 Peter 4:11: “Whoever serves, let him do it as one who serves by the strength that God supplies in order that in everything God may be glorified through Jesus Christ.” I serve, but in the strength that God supplies. And it is a blood-bought supply.

* 베드로전서 4:11: “누가 봉사하려면 하나님이 공급하시는 힘으로 하는 것 같이 하라 이는 범사에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게 하려 함이니.” 나는 봉사하지만 하나님이 공급하시는 힘으로 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피로 사신 공급입니다.

 

* 1 Corinthians 15:10: “By the grace of God I am what I am, and his grace toward me was not in vain. On the contrary, I worked harder than any of them, though it was not I, but the grace of God that is with me.” I worked. But it was the grace of God that was working in my working.

* 고린도전서 15:10: “그러나 내가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내게 주신 그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 내가 수고하였으나, 그것은 내가 수고하는 것 속에서 수고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In every single case, I am working. I am willing. I am serving. I am putting sin to death. My will is engaged. But in every case, my will is empowered by another will, the will of the Spirit, the will of Christ, the will of God, the will of grace.

각각의 모든 경우에 나는 일하고 있습니다. 나는 기꺼이 합니다. 나는 봉사하고 있습니다. 나는 죄를 죽이고 있습니다. 내 의지가 관여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나의 의지는 다른 의지, 즉 성령의 의지, 그리스도의 의지, 하나님의 의지, 은혜의 의지에 의해 강화됩니다.

 

 

Conscious, Willed Opposition to Specific Sins(특정 죄에 대한 의식적이고 의지적인 반대)

 

So I say it again, the link between the cross and the conquered sin in my life is my Holy-Spirit-empowered will. And that empowering by the Spirit is blood-bought. “God’s love has been poured into our hearts through the Holy Spirit who has been given to us. For while we were still weak, at the right time Christ died for the ungodly” (Romans 5:56).

그래서 다시 말씀 드리지만, 내 삶에서 십자가와 정복된 죄 사이의 연결고리는 성령으로 힘을 얻은 나의 의지입니다. 그리고 성령에 의한 능력은 피를 사신 것입니다.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 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에 기약대로 그리스도께서 경건하지 않은 자를 위하여 죽으셨도다.”(로마서 5:5-6).

 

“Our will is empowered by another will the will of the Spirit, of Christ, and of God.”

우리의 의지는 다른 의지, 즉 성령과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의지에 의해 힘을 얻습니다.”

 

In other words, God intends that part of our experience of sanctification be the conscious, willed, opposition to specific sins in our lives. I only say “part” of our experience of sanctification because this is not the whole work of sanctification. In some areas of sin, God simply takes away the desire and the temptation is gone, and we don’t have to fight that fight anymore.

다시 말해서, 하나님은 성화 경험의 일부로 우리의 삶에서 특정한 죄에 대해 의식적이고 의지적인 반대를 의도하십니다. 내가 우리 성화 경험의 일부라고만 말한 것은 이것이 성화의 전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죄의 어떤 영역에서는, 하나님이 단순히 욕망을 없애주셔서 유혹이 사라지고 우리는 더 이상 그 싸움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But none of these commands I have referred to (for example, to serve and to put sin to death) would be in the Bible if God did not intend that some sins be defeated by conscious opposition from our wills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그러나 내가 언급 한 이 명령들(예를 들어, 봉사하고 죄를 죽이라는) 중 어느 것도 하나님께서 어떤 죄들은 성령의 능력으로 우리의 의지로부터 의식적인 반대에 의해 패배하도록 의도하지 않았다면 성경에 들어있지 않을 것입니다.

 

 

Fighting Other Sin Like I Fight Lust(내가 정욕과 싸우는 것처럼 다른 죄와 싸우기)

 

Now here is what God showed me on this leave of absence: I have applied this truth valiantly to sexual temptation and hardly at all to the sins of anger, self-pity, blaming, and sullenness. I have engaged my will head on with sexual lust.

이제 하나님께서 이 휴가를 통해 나에게 보여 주신 것은 이렇습니다: 나는 이 진리를 성적 유혹에 용감하게 적용했으며 분노, 자기 연민, 비난 및 음침함의 죄에는 거의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성적인 욕망에 나의 의지가 향하도록 적용했습니다.

 

I have heard Jesus say, “If your right eye causes you to sin, tear it out and throw it away. For it is better that you lose one of your members than that your whole body be thrown into hell” (Matthew 5:29). Nobody spontaneously tears out his eye. That is an act of will overcoming all kinds of natural disinclination. That’s what I do when any illicit sexual thought tries to gain the ascendancy in my mind.

나는 예수님께서 만일 네 오른 눈이 너로 실족하게 하거든 빼어 내버리라 네 백체 중 하나가 없어지고 온 몸이 지옥에 던져지지 않는 것이 유익하며”(마태복음 5:29). 아무도 자발적으로 자기 눈을 빼버리지는 않습니다. 그것은 모든 종류의 자연적인 타락을 극복하는 의지의 행위입니다. 그것은 어떤 부정한 성적인 생각이 내 마음에 우위를 점하려고 할 때 내가 하는 일입니다.

 

 

Fight with A.N.T.H.E.M.(A.N.T.H.E.M.(복음성가)으로 싸우기)

 

* A Avoid.

* N Say No! within five seconds.

* T Turn to something magnificent, like Christ crucified.

* H Hold the pure thing in the mind until the dirty thing is gone.

* E Enjoy the greater pleasure of the blood-bought promises of God.

* M Move on to meaningful Christ-exalting activity.

* A 피하십시오.

* N 아니오라고 말하세요! 5초 이내에.

* T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와 같은 웅장한 것으로 생각을 돌리세요

* H 더러운 것이 사라질 때까지 순수한 것을 마음에 간직하십시오.

* E 피로 사신 하나님의 약속의 더 큰 기쁨을 누리십시오.

* M 그리스도를 높이는 의미 있는 활동으로 이동하십시오.

 

There is nothing passive in my will when the lion of lust comes out of the bushes. I don’t lie down and wait for a miracle. I act the miracle. I will explain that phrase in just a moment.

정욕의 사자가 덤불에서 나올 때 내 의지에는 수동적인 것이 없습니다. 나는 누워서 기적을 기다리지 않습니다. 나는 기적을 행합니다. 잠시 후에 그 문구를 설명하겠습니다.

 

What I realized was that I was not applying any of this same gospel vigilance what Peter O’Brien calls “continuous, sustained, strenuous effort” against my most besetting sins. I was strangely passive, victim-like. I had the unarticulated sense (mistakenly) that these sins (unlike sexual lust) should be defeated more spontaneously. It should all happen naturally from the inside out. “Out of the abundance of the heart the mouth speaks” (Matthew 12:34). And if I tried to attack them with my will the way I did sexual lust, it would produce external conformity, not internal change. But I never let that thought stop me from attacking lust.

내가 깨달은 것은 나를 가장 에워 쌓던 죄에 대해 Peter O’Brien계속적이고 지속적이며 격렬한 노력이라고 부르는 이 동일한 복음 경계를 적용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나는 이상하게 수동적이고 희생자 같았습니다. 나는 이러한 죄(성적인 욕망과는 달리)를 더 자발적으로 패배시켜야 한다는 분명치 않은(잘못된) 감각을 가졌었습니다. 그것은 모두 내부에서 밖으로 자연스럽게 발생해야합니다.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합니다”(마태복음 12:34). 그리고 내가 성적 욕망에 대해 했던 방식으로 내 의지로 그것들을 공격하려고 했다면, 그것은 내적인 변화가 아니라 외적인 순응을 낳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 생각이 내가 정욕을 공격하는 것을 막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Work Out Your Salvation(너희 구원을 이루라)

 

The text that broke through was Philippians 2:12-13:

헤집고 나온 본문은 빌립보서 2:12-13입니다:

 

Therefore, my beloved, as you have always obeyed, so now, not only as in my presence but much more in my absence, work out your own salvation with fear and trembling, for it is God who works in you, both to will and to work for his good pleasure.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나 있을 때뿐 아니라 더욱 지금 나 없을 때에도 항상 복종하여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

 

I saw three things in a fresh light:

나는 새로운 빛으로 세 가지를 보았습니다:

 

1. I saw afresh that the verb, “work out your salvation” (Greek katergazesthe) means produce, or bring about, or effect. And Peter O’Brien in his Philippians commentary sums it up with the phrase “continuous, sustained, strenuous effort.” As dangerous as this language is, it is biblical. “Bring about your salvation.” “Produce your salvation.” “Effect your salvation by continuous, sustained, strenuous, effort.”

1. “너희 구원을 이루라”(그리스어 katergazesthe)라는 동사가 생산하다, 가져오다, 혹은 실행하다를 의미한다는 것을 새롭게 보았습니다. 그리고 Peter O’Brien은 그의 빌립보서 주석에서 그것을 연속적이고, 지속적이며, 격렬한 노력이라는 문구로 요약합니다. 이 언어는 위험하지만 성경적입니다. “당신의 구원을 가져 오십시오.” “당신의 구원을 생산하십시오.” “당신의 구원을 연속적이고, 지속적이고, 격렬한 노력으로 실행하십시오.”

 

I knew that was one key strategy that had given me victory in the area of sexual temptation. So why not in the other sins of my life?

나는 그것이 성적 유혹 분야에서 나에게 승리를 안겨준 하나의 핵심 전략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내 인생의 다른 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2. I saw afresh that the salvation I was to work out was not only the large reality of total deliverance, but also the concrete reality of salvation from anger, and salvation from self-pity, and salvation from blaming, and salvation from sullenness.

2. 내가 이루어야 할 구원은 완전한 구원의 큰 실체뿐만 아니라 분노로부터의 구원, 자기 연민으로부터의 구원, 비난으로부터의 구원, 음침함으로부터의 구원이라는 구체적인 실체도 포함된다는 것을 새롭게 보았습니다.

 

So I resolved that I would work out my salvation from these sins. I would bring about deliverance from anger and self-pity and blaming and sullenness.

그래서 나는 이 죄들로부터 나의 구원을 이루기로 결심했습니다. 나는 분노와 자기 연민과 비난과 음침함에서 해방 될 것입니다.

 

3. And third, I saw afresh the connection between fear and trembling on the one hand and God working in me on the other. “Work out your own salvation with fear and trembling, for it is God who works in you, both to will and to work for his good pleasure.”

3. 그리고 셋째, 나는 한편으로 두려움과 떨림 및 다른 한편으로 내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 사이의 연결 관계를 새롭게 보았습니다.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

 

 

Fear and Trembling(두려움과 떨림)

 

Why should there be fear and trembling as I attack my sin and bring about salvation from self-pity? The reason given in the text is not a threat. It’s a gift. Work and will to kill your sin, and do it with fear and trembling, because God Almighty, maker of heaven and earth, redeemer, justifier, sustainer, Father, lover is so close to you that your working and willing are his working and willing.

내 죄를 공격하고 자기 연민으로부터 구원을 가져올 때 왜 두려움과 떨림이 있어야 합니까? 본문에 제시된 이유는 위협이 아닙니다. 그것은 선물입니다. 당신의 죄를 죽이기 위해 일하고 의지를 갖으며 두려움과 떨림으로 그것을 행하십시오. 왜냐하면 전능하신 하나님, 하늘과 땅을 만드신, 구속자, 의롭게 하시는 분, 섭리하시는 사랑의 아버지께서 당신과 매우 가까이 계셔서 당신의 일과 의지가 바로 그분의 일과 의지가 되기 때문입니다.

 

Tremble at this breathtaking thought. God Almighty is in you. God is the one in you willing. God is the one in you working. My “continuous, sustained, strenuous” effort is not only being carried out in the very presence of all-holy God, but is the very continuous, sustained, strenuous effort of God himself. I am not waiting for a miracle. I am acting a miracle. My action is God’s action in fighting my sin. My willing is God’s willing.

이 깜짝 놀랄 생각에 떠십시오. 전능하신 하나님이 당신 안에 있습니다. 하나님은 당신 안에서 의지를 가지시는 분입니다. 하나님은 당신 안에서 일하시는 분입니다. 나의 연속적이고, 지속적이며, 격렬한노력은 모든 거룩하신 하나님의 바로 존전에서 수행될 뿐만 아니라 하나님 자신의 바로 그 연속적이고, 지속적이며, 격렬한 노력입니다. 나는 기적을 기다리지 않습니다. 나는 기적을 행하고 있습니다. 나의 행동은 나의 죄와 싸우는 하나님의 행동입니다. 나의 뜻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Now let me close with an illustration.

이제 다음의 예로 마무리를 하겠습니다.

 

 

Super Nanny and Sin-Fighting(슈퍼 내니 프로그램과 죄와의 싸움)

 

Last Sunday evening, it was cozy and snowy and Noël and Talitha and I were home alone. I was looking forward to something we would all do together. Talitha came in from the dining room and said, “Mommy and I are going to watch Super Nanny on the computer.” They set it up on the stool across the room in front of the love seat and started watching without me.

지난 일요일 저녁에는 포근하고 눈이 내렸으며 NoëlTalitha와 함께 내가 혼자 집에 있었습니다. 나는 우리 모두가 함께 할 무언가를 찾고 있었습니다. Talitha가 식당에서 들어 와서 엄마와 저는 컴퓨터로 Super Nanny를 볼 거예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러브 시트 앞에 있는 방 건너편의 의자에 그것을 설치하고 나 빼고 시청을 시작했습니다.

 

Now at that moment the temptation for anger, self-pity, blaming, and sullenness was as dangerous to my soul as a sexual temptation. So I immediately said No! to the rising temptations and quietly went upstairs without any flair of woundedness.

그러자 그 순간 분노, 자기 연민, 비난, 음침함에 대한 유혹은 성적 유혹만큼이나 내 영혼에 위험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떠오르는 유혹에 대해 즉시 아니오! 라고 말하고서는 상처를 입지 않고 조용히 위층으로 올라갔습니다.

 

 

Waging War Through the Gospel(복음을 통해 전쟁을 수행하기)

 

In my study, I waged war. I turned my mind and heart toward the promises of God, and the surety of the cross, and love of the Father, and wealth of my inheritance, and the blessings of that Lord’s day, and the patience of Christ. And I held them there. I beat down the anger and self-pity and blaming and sullenness. And I kept beating until they were effectively gone.

내 서재에서 나는 전쟁을 수행했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약속, 십자가의 보증,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 내 기업의 재산, 그 주일날의 축복, 그리스도의 인내로 나의 마음과 생각을 돌렸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것들을 거기에 두었습니다. 나는 분노와 자기 연민과 비난과 음침함을 물리쳤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것들이 효과적으로 사라질 때까지 계속 두드렸습니다.

 

Later that night I mentioned to Noël in a non-condemning tone, that I was surprised that we didn’t do anything together. We worked it out. It had been largely a miscommunication. And compared to the way things used to go, it was a great victory.

그날 밤 나는 Noël에게 비난하지 않는 어조로, 우리가 모든 것을 함께 하지 않은 것에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해결했습니다. 그것은 대체로 잘못된 의사소통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전의 방식과 비교할 때 그것은 큰 승리였습니다.

 

 

Breaking the Power of Canceled Sin(말소된 죄의 능력을 깨부수기)

 

Yes, it would be far better if there did not have to be any war at all. That will come. But until then, I thank God that he cancels sin at the cross and that he breaks the power of canceled sin and he does it sometimes through my Spirit-empowered will that fights with all its might, trembling because it is God himself willing in my willing.

그렇습니다. 전쟁이 전혀 필요하지 않았다면 훨씬 더 나을 것입니다. 그런 날이 올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날이 올 때까지, 내가 하나님께 감사하는 것은 그분이 십자가에서 죄를 도말하시고 말소된 죄의 능력을 깨뜨리시며, 내 안에 기꺼이 행하시는 분은 하나님 자신이시기 때문에 때때로 그분은 그것을 모든 힘과 떨림으로 싸우는 나의 성령의 의지를 통해 그것을 행하신다는 것입니다.(20201015번역)

  • ?
    honey 2021.01.29 17:04
    그냥 읽으면 '또 하나의 좋은 글이구나' 라고 생각하고 넘어갈 일이지만, 진정으로 회개하고 죄에서 멀리 떠나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가슴 속 깊이 다가오는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 컴퓨터의 부활 honey 2024.08.08 15
118 삼대가 함께 한 (필리핀) 단기선교 file honey 2023.01.26 90
117 천연덕스럽게 honey 2022.07.05 74
116 그리움의 유효기간 한달 honey 2022.06.09 73
115 은퇴를 안했습니다! honey 2021.06.29 83
114 육체의 상처 vs. 마음의 상처 honey 2021.03.21 109
» 나는 기적을 행한다 - John Piper 설교(2011년 2월 24일), 이종헌 역 1 honey 2021.01.29 359
112 선과 악(善과 惡) honey 2021.01.13 82
111 세 사람의 죽음 honey 2021.01.12 77
110 31년 다니던 직장을 떠나며 honey 2021.01.12 96
109 하나님이 내가 하기를 원하시는 일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Kurt E. De Haa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6.10 287
108 은퇴를 다시 생각하기: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하여 삶을 마치기 - John Piper 글, 이종헌 역 honey 2020.05.02 146
107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리스도 - John Piper 글, 이종헌 역 honey 2020.04.30 143
106 그런데 바이러스에 걸렸습니다 honey 2020.04.06 86
105 이번 삶의 흔적 honey 2019.01.10 134
104 돌멩이와 다이아몬드 honey 2016.06.12 274
103 옆반 아이가 그러던데? honey 2016.06.03 231
102 내게 고난이 찾아왔을 때 - 앤드류 머레이 honey 2016.03.05 384
101 고장과 수리 honey 2015.10.15 486
100 인생의 바이러스 honey 2015.09.12 5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