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사색

오늘:
69
어제:
189
전체:
1,933,308
조회 수 1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리스도

(CORONAVIRUS AND CHRIST)

 

 

John Piper , 이종헌 역

출처: https://www.desiringgod.org/books/coronavirus-and-christ

 

 

 

 

CONTENTS

(목차)

 

 

The Occasion: Coronavirus(사례: 코로나 바이러스) ----------------------------------------- 2

 

PART 1: THE GOD WHO REIGNS OVER THE CORONAVIRUS

1 Come to the Rock(바위로 나아오라) ----------------------------------------------------- 4

2 A Solid Foundation(견고한 기초) ------------------------------------------------------- 13

3 The Rock Is Righteous(그 바위는 의롭다) ---------------------------------------------- 20

4 Sovereign over All(모든 것의 주권자) --------------------------------------------------- 27

5 The Sweetness of His Reign(그분의 통치의 달콤함) ------------------------------------- 34

 

PART 2: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Preliminary Thoughts: Seeing and Pointing(예비 생각: 보고 지적하기) ---------------------- 40

6 Picturing Moral Horror(도적적 참사를 묘사하기) ---------------------------------------- 45

7 Sending Specific Divine Judgments(특별한 거룩한 심판을 보내신다) ----------------------- 51

8 Awakening Us for the Second Coming(우리에게 재림을 일깨우기) ------------------------ 73

9 Realigning Us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무한한 가치의 그리스도로 우리를 재정하기) 58

10 Creating Good Works in Danger(위험 속에서 선한 일 만들기) -------------------------- 68

11 Loosening Roots to Reach the Nations(열방에 이르기 위해 뿌리를 풀기) ----------------- 76

A Closing Prayer(마침 기도) ------------------------------------------------------------- 79

Notes(주석) ---------------------------------------------------------------------------- 81

 

THE OCCASION: CORONAVIRUS(사례: 코로나 바이러스)

 

 

I am writing this little book in the last days of March 2020, on the front end of the global pandemic known as the coronavirus, or technically, “coronavirus disease 2019” (abbreviated COVID-19). The virus affects the lungs, and in the worst cases kills by suffocation.

나는 이 작은 책을 20203월 마지막 날에,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전문용어로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 2019”(COVID-19로 약칭)로 알려진 전 세계적 대유행병(pandemic)의 최전선에서 쓰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폐에 영향을 미치며 최악의 경우 질식으로 사망합니다.

 

The first death by the virus was reported in China on January 11, 2020. Today as I write, there are hundreds of thousands of cases of infection worldwide, with tens of thousands of deaths. There is no known cureyet.

이 바이러스에 의한 첫 번째 사망은 2020111일 중국에서 보고되었습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오늘 전 세계적으로 수십만 명이 감염되었고 수만명이 사망했습니다. 아직 알려진 치료법은 없습니다.

 

By the time you read this, you will know far better than I how things will develop. So I need not detail the measures being taken to slow the spread of the virus or the economic toll being exacted. Social mingling, travel, conferences, church gatherings, theaters, restaurants, sporting events, and businesses are nearing a standstill.

당신이 이 글을 읽을 때는, 상황이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 당신이 나보다 훨씬 더 잘 알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바이러스 확산이나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취한 조치를 자세히 설명 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교 모임, 여행, 회의, 교회 모임, 극장, 식당, 스포츠 행사 및 비즈니스가 거의 중단되고 있습니다.

 

This is not unprecedentedeither globally or in America. In the global influenza epidemic of 1918 (to use the estimates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fifty m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died.(1) Over five hundred thousand of those were in the United States. People felt symptoms in the morning and were dead by nightfall. Bodies were picked up from front porches to be carted away to graves dug by bulldozers. A man was shot for not wearing a mask. Schools were closed. Ministers spoke of Armageddon.

세계적으로나 미국에서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1918년 세계적 인플루엔자 전염병에서(질병통제센터의 추정치를 이용하면) 전 세계에서 5천만 명이 사망했습니다.(1) 그 중에서 5십만 명 이상이 미국 사람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아침에 증상을 느끼고 해질 무렵에 사망했습니다. 시체는 현관에서 수거하여 불도저로 파낸 무덤으로 옮겨졌습니다.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은 총에 맞았습니다. 학교는 문을 닫았습니다. 목사들은 아마겟돈에 대해 말했습니다.

 

Of course precedents prove nothing. The past is warning, not fate. Nevertheless, this is a time when the fragile form of this world is felt. The seemingly solid foundations are shaking. The question we should be asking is, Do we have a Rock under our feet? A Rock that cannot be shakenever?

물론 선례는 아무것도 증명하지 못합니다. 과거는 운명이 아니라 경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이 세상의 연약한 형태가 느껴질 때입니다. 겉보기에는 견고한 기초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스스로 물어야 할 질문은, 우리의 발아래에 바위가 있습니까? 결코 흔들릴 수 없는 바위입니까?

 

 

 

Part 1

THE GOD WHO REIGNS OVER THE CORONAVIRUS

(코로나 바이러스를 지배하사는 하나님)

 

 

 

Chapter 1

COME TO THE ROCK

(바위로 나아오라)

 

 

 

I am moved to write because playing the odds is a fragile place to put your hope. Odds like 3 percent versus 10 percent, youth versus old age, compromised health versus no history of disease, rural versus urban, self-isolated versus home meeting with friends. Playing the odds provides little hope. It is not a firm place to stand.

가능성 놀이를 하는 것은 당신의 희망을 올려놓기에는 깨지기 쉬운 장소이므로 이 글을 쓰고자 마음먹었습니다. , 3% 10%, 젊은이 대 노인, 위태로운 건강 대 질병 병력 없음, 농촌 대 도시, 자기 격리 대 친구와의 가정 모임 등의 가능성. 가능성 놀이를 하는 것은 희망이 거의 없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올라설 굳건한 장소가 아닙니다.

 

There is a better way. There is a better place to stand: a Rock of certainty rather than the sand of probabilities.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올라설 더 좋은 장소가 있습니다: 그것은 확률의 모래가 아니라 확실한 바위입니다.

 

 

WHEN CANCER CAME(암이 찾아왔을 때)

 

I recall being told on December 21, 2005, that I had prostate cancer. For the next several weeks, all the talk was about odds. Odds with waiting to see. Odds with medications. Odds with homeopathic procedures. Odds with radical surgery. My wife, Noel, and I took these numbers seriously. But in the evening, we would smile at each other and think, Our hope is not in the odds. Our hope is in God.

나는 20051221일에 전립선암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다음 몇 주 동안의 모든 대화는 가능성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두고 보는 가능성. 약물 치료의 가능성. 유사요법 절차의 가능성. 근본적인 수술의 가능성. 내 아내 노엘과 나는 이 숫자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저녁에, 우리는 서로 웃으며 생각합니다. 우리의 희망은 가능성에 있지 않습니다. 우리의 희망은 하나님께 있습니다.

 

We did not mean, “It is 100 percent certain God will heal me, while doctors can only give me odds.” The Rock we are talking about is better than that. Yes, better than healing.

우리는 의사들은 나에게 가능성만을 줄 수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나를 고치실 것이라고 100% 확신합니다라고 의도하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바위는 그것보다 더 좋은 것입니다. , 치료보다 더 좋은 것입니다.

 

Even before the phone call from the doctor telling me I had cancer, God had already reminded me in a remarkable way about the Rock under my feet. After my usual annual exam, the urologist had looked at me and said, “I’d like to do a biopsy.”

의사가 전화를 걸어서 내가 암에 걸렸다고 말하기 전에도 하나님께서는 이미 내 발아래 있는 바위에 대해 놀라운 방법으로 상기시켜 주셨습니다. 평소 연례 검사를 마친 후 비뇨기과 전문의는 나를 보고 생체조직 검사를 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Really? I thought. “When?”

“Right now, if you have the time.”

“I’ll make time.”

정말로? 나는 생각했습니다. “언제요?”

시간이 있다면 지금 당장에요.”

시간을 내겠습니다.”

 

While he was going to get the machine, and while I was changing into the typical unflattering blue gown, there was time for me to ponder what was happening. So he thinks I may have cancer. As my future in this world began to change before my eyes, God brought to my mind something I had read recently in the Bible.

의사가 기계를 가지러 간 동안, 그리고 내가 전형적인 별로 좋아 보이지 않는 푸른 색 가운으로 바꿔 입는 동안, 나로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숙고할 시간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내가 암에 걸렸다고 생각한다는 말이지. 이 세상에서의 나의 미래가 내 눈앞에서 변하기 시작할 때, 하나님께서는 최근에 성경에서 읽은 무언가를 내 마음에 가져다 주셨습니다.

 

 

GOD SPOKE(하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Now, let’s be clear. I don’t hear voices. At least I never have. My confidence that God speaks is rooted in the fact that the Bible is his word. (More on that in the next chapter.) He has spoken, once for all, and he still speaks in his word. The Bible, rightly understood, is the voice of God.

자 명확하게 하겠습니다. 내가 목소리를 들은 것이 아닙니다. 적어도 나는 결코 목소리를 들은 적이 없습니다. 하나님이 말씀하신다는 확신은 성경이 그분의 말씀이라는 사실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그분은 한 번만 말했지만, 그분의 말씀 안에서 지금도 말하십니다.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하면 그것이 하나님의 음성입니다.

 

Here is what he said to me in that urologist’s office as I waited for the biopsy that would confirm that I had cancer. “John Piper, this is not wrath.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me.” That’s my paraphrase. Here’s what he actually said:

비뇨기과 의사의 사무실에서 내가 암에 걸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생체검사를 기다리고 있을 때 그분이 나에게 말한 내용입니다. “존 파이퍼야, 이것은 노하심이 아니다.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 그것이 내 역설입니다. 그분이 실제로 말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od has not destined us for wrath, but to obtain salvation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who died for us so that whether we are awake or asleep we might live with him. (1 Thess. 5:910)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살전 5:9-10)

 

Awake or asleepthat is, live or dieI  will be alive with God. How can that be? I am a sinner. I have never lived a day of my lifenot onewithout falling short of God’s standards of love and holiness. So how can this be? How can God say, “You, John Piper, will be with melive or die”?

깨어 있든지 자든지 즉 살든지 죽든지 나는 하나님과 함께 살아있을 것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될 수 있냐고요? 나는 죄인입니다. 나는 하나님의 사랑과 성결의 표준에 미치지 못하고 살지 않은 날이 내 생에 단 하루도 없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이것이 가능하냐고요? 하나님이 어떻게 존 파이퍼야, 너는 살든지 죽든지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실 수 있을까요?

 

God didn’t even wait for the question before he answered. It’s because of Jesus. Jesus alone. Because of his death, there will be no wrath toward me. Not because of my perfection. My sins, my guilt, and my punishment fell on my Savior, Jesus Christ. He “died for us.” That’s what his word says. Therefore, I am free from guilt. Free from punishment. Secure in God’s merciful favor. “Live or die,” God said, “you will be with me.”

하나님은 대답하기 전에 질문을 기다리지도 않으셨습니다. 그것은 예수님 때문입니다. 오직 예수님. 그분의 죽으심때문에 나를 향한 노하심이 없을 것입니다. 나의 완벽함 때문이 아닙니다. 나의 죄와 나의 허물과 나의 형벌은 나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떨어졌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위해 죽으셨다.” 이것이 그분의 말씀이 말하는 바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죄로부터 자유롭습니다. 형벌로부터 자유롭습니다. 하나님의 자비로운 호의를 얻으십시오. 하나님은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That is very different from playing the odds with canceror with the coronavirus. This is a firm Rock under my feet. It is not fragile. It is not sand. I would like it to be a Rock under your feet. That is why I am writing.

그것은 암이나 코로나 바이러스와의 가능성을 가지고 노는 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이것은 내 발 아래의 단단한 바위입니다. 그것은 깨지기 쉽지 않습니다. 모래가 아닙니다. 나는 그것이 당신 발아래의 바위가 되길 바랍니다. 그래서 내가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IS THE ROCK SOLID ONLY IN THE BY-AND-BY?(그 바위는 오직 잠시후에만 견고한가?)

 

But that’s not all. Someone might read that and say, “Religious people like you can find hope only in the by-and-by. If they are safe beyond the grave, they have what they want. But this ‘voice of God’ they talk about offers little involvement right now. God got everything started in creation, I suppose, and makes happily-ever-after endings. But what about in between? Where is he nowright now, during this coronavirus outbreak?”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닙니다. 어떤 사람은 그 말을 읽고 이렇게 말합니다. “여러분과 같은 종교적인 사람들은 오직 잠시후에서만 희망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들이 무덤 너머에서 안전하다면, 그들은 원하는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하나님의 음성은 바로 지금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창조에서 시작된 모든 것을 가지고 계시는데, 나는 행복하게 끝을 맺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사이는 어떻습니까? 지금 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바로 지금 그분은 어디에 있습니까?”

 

Well, I guess I do put a really high value on joy in the presence of God after death for unending billions of years. As opposed to, say, endless suffering. That seems reasonable to me. But the Rock under my feet (the one I would like you to share) really is under my feet now. Now!

글쎄, 나는 죽음 이후 하나님의 존전에서 수십억 년 동안의 끊임없는 기쁨에 정말로 큰 가치를 두는 것 같습니다. 말하자면 끊임없는 고통과는 반대로. 그것은 나에게는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내 발아래의 바위(내가 당신과 나누고 싶은 바위)는 실제로 지금 내 발아래 있습니다. 지금!

 

The coronavirus pandemic is where I live. Where we all live. And if it weren’t the coronavirus, it would be the cancer just waiting to recur. Or the unprovoked pulmonary embolism from 2014 just waiting to break off and go to my brain and turn me into a mindless man who will never write another sentence. Or a hundred other unforeseen calamities that could take meand youdown at any moment.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병이 내가 사는 곳에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사는 곳.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니라면 재발을 기다리는 암이 있을 것입니다. 또는 2014년부터 시작된 없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원인모를 폐색전증이 뇌로 가서 바로 다음 문장을 쓸 수 없을 정도로 나를 정신없는 사람으로 바꿔 놓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언제라도 저와 당신을 데려 갈 수 있는 100 가지의 다른 예기치 못한 재난이 있습니다.

 

The Rock I am talking about is under my feet now. I could say that the Rock is under my feet now just because hope beyond the grave is present hope. The object of hope is future. The experience of hope is present. And that present experience is powerful.

내가 말하고 있는 바위는 지금 내 발아래 있습니다. 나는 무덤 너머의 희망이 바로 현재의 희망이기 때문에 바위가 지금 내 발 아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희망의 목표는 미래입니다. 그런데 희망을 경험하는 것은 현재입니다. 그리고 그 현재의 경험은 강력합니다.

 

Hope is power. Present power. Hope keeps people from killing themselvesnow. It helps people get out of bed and go to worknow. It gives meaning to daily life, even locked-down, quarantined, stay-at-home lifenow. It liberates from the selfishness of fear and greednow. It

empowers love and risk taking and sacrificenow.

희망은 힘입니다. 현재의 힘입니다. 희망은 사람들이 자신을 죽이는 것을 지금 막아줍니다. 사람들이 잠에서 깨어나 직장에 가는 것을 지금 도와줍니다. 그것은 일상생활, 심지어 이동제한, 자가 격리, 집에 머무는 생활 등에 지금 의미를 부여합니다. 그것은 두려움과 탐욕의 이기심에서 지금 자유롭게 합니다. 그것은 사랑과 위험 감수, 희생에 지금 힘을 실어줍니다.

 

So be careful before you belittle the by-and-by. It just may be that when your by-and-by is beautiful and sure, your here and now will be sweet and fruitful.

그러므로 잠시후(by-and-by)를 얕잡아 보기 전에 주의하십시오. 당신의 잠시후가 아름답고 확실 할 때, 당신의 지금 여기는 달콤하고 풍성할 것입니다.

 

 

HIS FINGERS IN VIRUSES(바이러스 안에 있는 그분의 손길)

 

That’s what I could say in defense of God’s sweet word to me in the urologist’s office: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me.” Such hope (through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makes me want to pour out my life for the good of others nowespecially their eternal good. It makes me passionate not to waste my life. It takes away dithering. It fills me with a zeal to make the greatness of Jesus Christ known. It makes me want to spend and be spent (2 Cor. 12:15) to bring as many people with me as I can into everlasting joy.

이것이 비뇨기과 의사의 사무실에서 하나님이 나에게 주셨던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는 달콤한 말씀을 변호하여 내가 할 수 있는 말입니다. 그러한 희망(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은 나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의 지금의 유익을 위해, 특히 그들의 영원한 유익을 위해 나의 삶을 부어주고 싶어 하게 합니다. 그것은 내 인생을 낭비하지 않도록 나를 열정적으로 만듭니다. 망설이지 않게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위대함을 알리려는 열심이 나에게 가득 차게 합니다. 내가 할 수 있는 한 많은 사람들을 영원한 기쁨으로 데려 오기 위해 나를 사용하고 또 내가 사용되기를(고후 12:15) 원하게 합니다.

 

But even though that’s what I could say, when someone objects that Piper’s God specializes in the by-and-by, not the here and now, it’s not the only thing that needs to be said.

그러나 그것이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더라도, 누군가가 파이퍼의 하나님은 지금 여기서가 아니라 장래에 특정화하신다고 반박할 때, 그것은 들을 필요가 있는 유일한 것은 아닙니다.

 

In fact, what I’m about to say will probably make someone object, “Whoa! That’s way too much involvement for God in the here and now. Now you’ve gone from a God who only fixes the future to a God with his fingers in viruses.”

사실,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것을 아마도 누군가가 이렇게 반박할 것입니다. “에이! 그것은 하나님을 지금 여기와 너무 많이 연관시켰어요. 지금 당신은 단지 미래를 확실히 하시는 하나님에서 시작해서 손가락을 바이러스에 넣고 계시는 하나님으로까지 멀리 가고 있어요.”

 

 

NOT “I’M FINE,” BUT “I FEEL FINE”(“나는 좋아요가 아니라 나는 좋은 것 같습니다”)

 

Let’s put it this way. People would often ask me before my cancer diagnosis, “How’s your health?” And I would answer, “Fine.” I don’t answer that way anymore. I say, “I feel fine.” There’s a difference. The day before I went for that annual prostate exam, I felt fine. The day after, I was told I had cancer. In other words, I was not fine. So even as I write these words, I do not know if I am fine. I feel fine. Way better than I deserve. For all I know, I have cancer right now. Or perhaps a blood clot. Or the coronavirus.

이렇게 표현 하겠습니다. 사람들은 내가 암 진단을 받기 전에 건강은 어떻습니까?”라고 묻곤 했습니다. 그러면 나는 좋아요라고 대답합니다. 나는 더 이상 그런 식으로 대답하지 않습니다. “좋은 것 같습니다.” 그 둘은 차이가 있습니다. 정기 전립선 검사를 받으러 가기 전날, 기분이 좋은 것 같았습니다. 그 다음날 나는 암에 걸렸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다시 말해, 나는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 말을 쓰고 있는 지금도 내가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좋은 것 같습니다. 내가 처해있는 것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내가 아는 한, 바로 지금은 암이 있습니다. 또는 혈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렸을지도 모릅니다.

 

What’s the point? The point is this: the ultimate reason we ought not to say, “I am fine,” is that God alone knows and decides if you are finenow. To say, “I am fine,” when you don’t know if you are fine, and you don’t control if you are fine, is like saying, “Tomorrow, I will go to Chicago and do business there,” when you have no idea if you will even be alive tomorrow, let alone doing business in Chicago.

요점이 무엇입니까? 요점은 이것입니다: 우리가 나는 지금 좋아요라고 말하지 말아야 할 궁극적 인 이유는 오직 하나님만이 당신이 지금 좋은지를 아시고 결정하시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좋은지 알지 못하고 또 당신이 좋은지를 당신이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면 나는 좋아요라고 말하는 것은 시카고에서 사업을 하기는 커녕 심지어 당신이 내일 살아있을지도 모르는데 내일 시카고에 가서 거기서 사업을 할 거예요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Here’s what the Bible says about a sentence like that:

그와 같은 판단에 대해 성경이 말씀하는 바가 여기 있습니다:

 

Come now, you who say, “Today or tomorrow we will go into such and such a town and spend a year there and trade and make a profit”yet you do not know what tomorrow will bring. What is your life? For you are a mist that appears for a little time and then vanishes. Instead you ought to say, “If the Lord wills, we will live and do this or that.” (James 4:1315)

들으라 너희 중에 말하기를 오늘이나 내일이나 우리가 어떤 도시에 가서 거기서 일 년을 머물며 장사하여 이익을 보리라 하는 자들아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냐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4:13-15)

 

So the God who is involved only in the by-and-by just evaporated. That’s the effect of the bright sunlight of biblical truth on the ephemeral mists of our opinions.

그래서 잠시후에만 관여하시는 하나님은 방금 사라졌습니다. 그것은 성경적 진리의 밝은 햇빛이 우리의 의견이라는 덧없는 안개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IF HE DECIDES, WE DO THIS OR THAT(그분이 결정하시면 우리는 이것 또는 저것을 합니다)

 

The Rock I stand on (and want you to stand on) is the Rock of God’s action in the world now, and forever. “If the Lord wills,” the Bible says, “we will live.” That’s about as involved now as you can get. Not just, “Whether you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God,” but also, “God will decide if you live or dienow.”

내가 서있는 바위는(그리고 당신도 거기 서 있기를 원합니다) 지금 그리고 영원히 세상에 있는 하나님의 활동이라는 바위입니다.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님이 뜻하시면 우리가 살 것이다.” 그것은 당신이 지금 관여하여 얻을 수 있는 것에 관한 일입니다. “당신이 살든지 죽든지 당신은 하나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당신이 사는지 죽는지를 지금 결정하실 것입니다.”

 

And not just live or die. He’s even more involved than that. “If the Lord wills, we will . .  . do this or that.” Nothing is excluded from “this or that.” He is totally involved. Totally. This health, or that sickness. This economic collapse, or that recovery. This breath, or not.

그리고 살거나 죽는 것만이 아닙니다. 그분은 그보다 훨씬 더 많이 관여하십니다. “주님이 뜻하시면 우리는 이것 또는 저것을 할 것입니다.” “이것 또는 저것에서 제외되는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분은 전적으로 관여하십니다. 전적으로. 건강 또는 . 경제 붕괴 또는 회복. 호흡 또는 숨을 쉬지 않는 것.

 

Which means that while I waited in the doctor’s office for the biopsy machine to arrive, God could have said (which he did later), “Fear not. Whether you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me. And in the meantime, while you live, nothing will happen to younothing!that I do not appoint. If I decide, you will live. If I decide, you will die. And until you die at my decision, I will decide if you do this or that. Get to work.”

, 의사의 진료실에서 생체검사 기계가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하나님이 말씀하셨을 것은(그분이 나중에 말씀하셨습니다) 이렇습니다. “두려워하지 마라. 네가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동안, 네가 사는 동안, 내가 명하지 않은 일은 너에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내가 결정하면 너는 살 것이고, 내가 결정하면 너는 죽을 것이다. 그리고 내 결정에 따라 네가 죽을 때까지, 나는 네가 이것을 할 것인지 또는 저것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일하러 가라.”

 

This is my Rockfor today, tomorrow, and eternity.

이것이 오늘, 내일, 그리고 영원을 위한 나의 바위입니다.

 

 

COME TO THE ROCK(바위로 나아오라)

 

This book is my invitation for you to join me on the solid Rock, Jesus Christ. What that means will, I hope, become clear. My aim is to show why God in Christ is the Rock at this moment in historyin  this pandemic of the coronavirusand what it is like to stand on his mighty love.

이 책은 당신이 나와 합류하여 견고한 바위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하자는 나의 초대입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분명해지기를 바랍니다. 나의 목표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유행병인 역사의 이 순간에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이 왜 바위인지, 그리고 그분의 강력한 사랑 위에 서 있는 것이 무엇과 같은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Chapter 2

A SOLID FOUNDATION

(견고한 기초)

 

 

 

It matters little what I think about the coronavirusor about anything else, for that matter. But it matters forever what God thinks. He is not silent about what he thinks. Scarcely a page in the Bible is irrelevant for this crisis.

내가 코로나 바이러스나 그 문제를 위한 다른 어떤 것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은 거의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무엇을 생각 하시는가는 영원히 중요합니다. 그분은 그분이 무엇을 생각하시는지에 대해 침묵하지 않으십니다. 성경의 어느 한 페이지도 이 위기와 관련 없지 않습니다.

 

 

SOLID AND SWEET(견고하고 달콤한)

 

My voice is grass. God’s voice is granite. “The grass withers, and the flower falls, but the word of the Lord remains forever” (1  Pet. 1:2425). Jesus said that God’s words in Scripture “cannot be broken” (John 10:35). What God says is “true, and righteous altogether” (Ps. 19:9). His word is, therefore, a firm foundation for life. “You have founded [your testimonies] forever” (Ps. 119:152). Listening to God, and believing him, is like building your house on a rock, not on sand (Matt. 7:24).

내 목소리는 풀이고, 하나님의 음성은 화강암입니다.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 오직 주의 말씀은 세세토록 있도다”(벧전 1:24~25). 예수님은 성경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깨질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요한복음 10:35).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진실하여 다 의로운 것입니다(19:9). 그러므로 그분의 말씀은 생명의 확고한 기초입니다. “주의 증거들을 ,,, 영원히 세우신 것입니다(119:152).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분을 믿는 것은 모래가 아니라 바위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7:24).

 

His word is the kind of counsel you want to heed. “He is wonderful in counsel and excellent in wisdom” (Isa. 28:29). “His understanding is beyond measure” (Ps. 147:5). When he gives counsel about the coronavirus, it is firm, unshakable, lasting. “The counsel of the Lord stands forever” (Ps. 33:11). “His way is perfect” (2 Sam. 22:31).

그분의 말씀은 당신이 마음에 두기를 원하는 일종의 조언입니다. “그분의 조언은 기묘하며 지혜는 뛰어나십니다”(28:29). “그분의 지혜는 무궁하십니다”(147:5). 그분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관하여 조언 할 때, 그것은 확고하고 흔들리지 않으며 지속적인 것입니다. “여호와의 조언은 영원히 서 있습니다”(33:11). “그분의 길은 완전합니다”(삼하 22:31).

 

Therefore, his words are sweet and precious. “More to be desired are they than gold: . .  . sweeter also than honey and drippings of the honeycomb” (Ps. 19:10). Indeed, they are the sweetness of everlasting life: “Lord, to whom shall we go? You have the words of eternal life” (John 6:68).

그러므로 그분의 말씀은 달콤하고 소중합니다. “금보다 더 사모할 것이며 꿀과 송이꿀보다 더 달도다”(19:10). 참으로 말씀들은 영원한 생명의 달콤함입니다: “주여 영생의 말씀이 주께 있사오니 우리가 누구에게로 가오리이까”(요한복음 6:68).

 

Therefore, in the best and worst of times, God’s words bring unshakable peace and joy. Surely it must be so. My prayer is that all who read this book would share the experience of the prophet Jeremiah: “Your words became to me a joy and the delight of my heart” (Jer. 15:16).

그러므로 최고와 최악의 시간에 하나님의 말씀은 흔들리지 않는 평화와 기쁨을 가져옵니다. 반드시 그래야합니다. 나의 기도는 이 책을 읽는 모든 사람이 선지자 예레미야의 경험을 나누는 것입니다: “주의 말씀은 내게 기쁨과 내 마음의 즐거움입니다(15:16).

 

And mark this: the sweetness of God’s word is not lost in this historic moment of bitter providencenot if we have learned the secret of “sorrowful, yet always rejoicing” (2  Cor. 6:10). We will see more fully later what this secret is. But here it is now in a single sentence. The secret of “sorrowful, yet always rejoicing” is this: knowing that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Indeed, more than sustainssweetens. Sweetens with hope that God’s purposes are kind, even in deathfor those who trust him.

그리고 이것에 표를 해 두십시오: 우리가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는”(고후 6:10) 비밀을 배우지 않았다면 쓰라린 섭리일 수 있는 이 역사적 순간에 하나님의 말씀의 달콤함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 비밀이 무엇인지 나중에 더 자세히 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여기서는 다음 한 문장에 들어 있습니다.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는비결은 이것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사실상, 지탱하는 것 이상의 달콤함입니다. 그분을 신뢰하는 사람들에게는 심지어 죽음에 있어서도 하나님의 목적은 친절하다는 소망을 갖는 달콤함입니다.

 

 

HOW DO YOU KNOW?(어떻게 압니까?)

 

All the more urgent, therefore, is the question, How do you know that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My short answer is that there is a divine glory that shines through it, which fits perfectly with the God-shaped template in your heartlike sprocket and gear, hand and glove, fish and water, wings and air, the final piece of a jigsaw puzzle.

그러므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임을 어떻게 아는가 입니다. 나의 짧은 대답은 그것을 통해 빛나는 거룩한 영광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톱니바퀴와 기어, 손과 장갑, 물고기와 물, 날개와 공기, 낱말 맞추기 퍼즐의 마지막 조각과 같이 당신 마음속에 있는 하나님을 닮은 모양판과 완벽하게 들어맞습니다.

 

To which I can imagine someone saying, “That sounds sort of mystical and subjective. Why do you answer like that?”

그에 대해 누군가가 이렇게 말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신비적이고 주관적인 것 같습니다. 왜 그렇게 대답하십니까?”

 

Because fifty years ago, when I was struggling to know what I should build my life on, I realized that the scholarly, historical arguments for the Bible would not work for most of the world. Why? Because, while true and helpful to a point, they cannot be followed by an eight-year-old child, a newly encountered preliterate villager in a remote South Pacific jungle, or an ordinary person in the West with little formal education. And yet it seemed obvious to me that God intended for such people to hear the word of God and believewithout leaping into the dark.

왜냐하면 50년 전, 내가 나의 삶을 어디 위에 건설해야 할지 알아내기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을 때, 나는 성경에 대한 학문적, 역사적 주장이 대부분의 세계에서 먹히지 않을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 어떤 점에 진실되고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그런 주장들은 8살짜리 어린이, 멀리 떨어진 남태평양 정글에서 새로 만난 문맹자,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한 서쪽에 사는 일반인 등이 따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에게 분명한 것은 하나님께서 그러한 사람들이 어둠 속으로 뛰어 들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믿도록 의도하신 것 같다는 것입니다.

 

 

BIBLICAL FAITH IS NOT A LEAP IN THE DARK(성경적 믿음은 어둠 속에서 뛰는 것이 아니다)

 

The biblical view of faith is not a leap in the dark. It is warranted and well-grounded. It’s called faith not because it has no foundation. It’s called faith because it involves trust. Jesus didn’t call the believers blind; he called the unbelievers blind (Matt. 15:14). “Seeing they do not see” (Matt. 13:13). Saving faith in God’s word is based on “seeing.” Real seeing.

믿음에 대한 성경적 견해는 어둠 속에서 뛰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보증되고 근거가 충분합니다. 그것은 기초가 없기 때문에 믿음이라고 불리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신뢰를 포함하기 때문에 믿음이라고 불립니다. 예수께서는 믿는 자들을 장님이라고 부르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신자들을 장님이라고 불렀습니다(15:14). “보아도 보지 못하며”(13:13). 하나님의 말씀에서 구원하는 믿음은 보는 것에 근거합니다. 정말로 보는 것.

 

Seeing what? The Bible answers like this: Satan does all he can to blind “the minds of the unbelievers, to keep them from seeing the light of the gospel of the glory of Christ, who is the image of God” (2 Cor. 4:4).

무엇을 보는 것? 성경은 이렇게 대답합니다: 사탄은 믿지 않는 자들의 마음을 혼미하게 하여 하나님의 형상인 그리스도의 영광의 복음의 빛을 보지 못하도록”(고후 4:4)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합니다.

 

In other words, there is a kind of spiritual light that shines through the gospelthe biblical story of salvation. What kind of light? It’s the light “of the glory of Christ, who is the image of God.” This is not magical. It’s not mystical in the sense of something appearing that is really not there. Jesus Christ is the kind of divine-human person whose moral and spiritual and supernatural gloryhis beauty and worth and greatnessshines through God’s word. It authenticates Scripture as true.

다른 말로 하면, 복음을 통해 비치는 일종의 영적 빛, 즉 성경의 구원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빛일까요? 그것은 하나님의 형상인 그리스도의 영광의빛입니다. 이것은 마법이 아닙니다. 그것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무언가가 나타나는 것 같은 신기한 것이 아닙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그분의 도덕적, 영적, 초자연적인 영광, 즉 그분의 아름다움과 가치와 위대함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빛을 발하는 하나님인 동시에 사람이십니다. 그것이 성경을 참이라고 인증합니다.

 

 

GOD-SHAPED TEMPLATE IN YOUR SOUL(당신의 영혼에 들어있는 하나님 형상의 모양판)

 

This is why I say there is a divine glory that shines through the Scriptures that fits perfectly with the God-shaped template in your heart. In that way, it authenticates the truth and value of the Bible.

그렇기 때문에 나는 당신의 마음속에 하나님 형상의 모양판과 완벽하게 들어맞는 성경을 통해 빛을 발하는 거룩한 영광이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성경의 진리와 가치를 인증합니다.

 

Yes, I do believe that there is a God-shaped templatea kind of indirect knowledge of Godin every human soul. The Bible puts it like this. Speaking of all humanity, it says, “What can be known about God is plain to them. ... Although they knew God, they did not honor him as God” (Rom. 1:19, 21).

그렇습니다. 나는 모든 인간의 영혼에 하나님에 대한 일종의 간접적인 지식인 하나님 형상의 모양판이 있다고 믿습니다.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모든 인류에 대해 말하면서, “하나님을 알 만한 것이 그들 속에 보임이라 ... 하나님을 알되 하나님을 영화롭게도 아니하며”(로마서 1:19,21)라고 말합니다.

 

The Bible teaches that this knowing in every soul makes us all responsible to see the glory of God in nature. In the same way, we are also responsible to see the glory of God in Jesus through his word.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Ps. 19:1). We are obliged to see it and give thanks. So also the Son of God displays the glory of God. And we are responsible to see it and worship. The apostle John says, “We have seen his glory, glory as of the only Son from the Father” (John 1:14).

성경은 모든 영혼이 아는 이것이 우리 모두가 자연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볼 책임이 있다고 가르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또한 그분의 말씀을 통하여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볼 책임이 있습니다.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합니다”(19:1). 우리는 그것을 보고 감사해야 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아들도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보고 예배 할 책임이 있습니다. 사도 요한은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1:14)라고 말합니다.

 

This is the self-authenticating glory that shines from God’s word and gives us a warranted, well-grounded foundation for believing that the Christian Scriptures are from God.

이것이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빛이 나는 영광을 스스로 인증하는 것이고, 그리스도인의 성경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임을 믿는 데 대한 보증이요 근거가 분명한 토대를 우리에게 제공해 줍니다.

 

 

TECHNOLOGY VERSUS TASTE(기술 대 맛)

 

The way we come to know the glory of God in Scripture is similar to the way we know that honey is honey. Science and technology may say that this jar contains honey because of chemical experimentsjust like biblical scholars can argue compellingly that the Bible is historically reliable. But most people are not scientists or scholars. We know that this is honey because we taste it.

우리가 성경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알게 되는 방식은 꿀이 달다는 것을 아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과학과 기술에 따르면 화학 실험의 결과로 이 항아리 속에 꿀이 들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성경학자들이 성경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만하다고 강력하게 주장 할 수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학자나 학자가 아닙니다. 우리가 그것을 맛보기 때문에 이것이 꿀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Similarly, there is a divine sweetness in the glory of God in the message of the Bible. It touches a part of us that we know was put there by God. “How sweet are your words to my taste, sweeter than honey to my mouth!” (Ps. 119:103). “Oh,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Ps. 34:8). This is a real seeing and tasting. It is not make believe. It sees and tastes what is really there.

그와 마찬가지로, 성경의 메시지에는 하나님의 영광에 거룩한 달콤함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하나님에 의해 거기에 놓인 것이라고 우리의 일부에 와 닿습니다.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119:103).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34:8). 이것은 실제 보는 것이고 맛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믿음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보고 맛보는 것입니다.

 

 

YES TO THE ROCK OF OUR COMFORT(우리 위로의 바위에게 예라고 하기)

 

So when Jesus says, “Scripture cannot be broken” (John 10:35), and when the apostle Paul says, “All Scripture is breathed out by God” (2 Tim. 3:16), and when the apostle Peter says, the authors of Scripture “were carried along by the Holy Spirit” (2  Pet. 1:21), our heart says yes. We have tasted and seen. We know. And the knowing is well founded. We are not leaping in the dark.

따라서 예수님이 성경은 폐하지 못하나니”(요한복음 10:35)라고 말씀하실 때, 그리고 사도 바울이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딤후 3:16)라고 말할 때, 그리고 사도 베드로가 성경의 저자들은 성령의 감동하심을받았다(벧후 1:21)고 말할 때, 우리 마음은 예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맛보았고 보았습니다. 우리는 압니다. 그리고 그 아는 것은 기초가 잘 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어둠 속에서 뛰고 있지 않습니다.

 

Our whole soul resonates with the biblical shout “The sum of your word is truth” (Ps. 119:160). “Forever, O Lord, your word is firmly fixed in the heavens” (Ps. 119:89). “Every word of God proves true” (Prov. 30:5).

우리의 온 영혼은 주의 모든 말씀은 진리입니다”(119:160)라는 성경의 외침과 함께 울립니다. “여호와여 주의 말씀은 영원히 하늘에 굳게 섰습니다”(119:89). “하나님의 말씀은 다 순전합니다”(잠언 30:5).

 

When this happens, the whole truth of God washes over us, even in the face of the coronavirus. It comes with incomparable comfort: “When the cares of my heart are many, your consolations cheer my soul” (Ps. 94:19). “The Lord is near to the brokenhearted and saves the crushed in spirit. Many are the afflictions of the righteous, but the Lord delivers him out of them all” (Ps. 34:1819).

이런 일이 발생하면 심지어 코로나 바이러스에 직면하더라도 하나님의 모든 진리가 우리를 씻겨줍니다. 그것은 비교할 수 없는 위로와 함께 옵니다: “내 속에 근심이 많을 때에 주의 위안이 내 영혼을 즐겁게 하시나이다”(94:19). “여호와는 마음이 상한 자를 가까이 하시고 충심으로 통회하는 자를 구원하시는도다 의인은 고난이 많으나 여호와께서 그의 모든 고난에서 건지시는도다”(34:18~19).

 

No man can comfort our souls in this pandemic the way God can. His comfort is unshakable. It is the comfort of a great, high Rock in the stormy sea. It comes from his word, the Bible.

아무도 이 대유행병 속에서 하나님이 하실 수 있는 방식으로 우리의 영혼을 위로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분의 위로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그것은 폭풍우 치는 바다에서 크고 높은 바위의 위로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말씀인 성경에서 나옵니다.

 

 

 

Chapter 3

THE ROCK IS RIGHTEOUS

(그 바위는 의롭다)

 

 

 

If God is going to be our Rock, he must be righteous. An unrighteous Rock is a mirage. The very thing that a global pandemic shakes is our confidence that God is righteous, holy, good. If God is not righteous in the midst of it, we have no Rock.

하나님이 우리의 바위가 되시려면 그분은 반드시 의로우셔야 합니다. 불의한 바위는 신기루입니다. 전 세계적인 대유행병이 흔드는 것은 바로 하나님이 의롭고 거룩하며 선하신다는 우리의 확신입니다. 하나님이 그 가운데서 의롭지 않다면, 우리에게는 바위가 없는 것입니다.

 

So we need to ask, What is the holiness and righteousness and goodness of God? Because if we don’t know what they are, how will we know if this coronavirus outbreak has made them crumble? Or how will we know if, instead, they are the eternal foundations of the Rock that saves us?

그러므로 우리는 질문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은 무엇입니까? 그것들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으로 인해 그것들이 무너진 것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아니면 그 대신에 그것들이 우리를 구원하는 영원한 바위 기초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What we will see is that the Bible portrays the holiness, righteousness, and goodness of God not as identical, but as interlocking. We start with God’s holiness. What is it?

우리가 보게 될 것은 성경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을 동일한 것이 아니라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묘사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거룩하심부터 시작합니다. 그것이 무엇입니까?

 

 

TRANSCENDENT, INFINITE WORTH(초월적이고 무한한 가치)

 

The root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word for holiness is the idea of being separatedifferent and separated from the ordinary. And when applied to God, this separateness implies that he is in a class by himself. He is like a one-of-a-kind diamond, supremely valuable. We can use the word transcendent for this kind of divine separateness. He is so uniquely separate that he transcends all other reality. He is above it and more valuable than all of it.

거룩함에 대한 구약 단어의 근본 의미는 평범으로부터 분리되고 다르다는, 분리된다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하나님께 적용할 때, 이 분리됨은 그분이 자신만의 부류에 계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분은 최고로 값이 나가는 독특한 다이아몬드와 흡사합니다. 우리는 이런 종류의 거룩한 분리됨에 초월적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분은 독특하게 분리되어있어서 다른 모든 현실을 초월합니다. 그분은 그 위에 계시며 그 모든 것보다 더 가치가 있습니다.

 

When Moses struck the rock instead of speaking to it the way God said, God rebuked him: “You did not believe in me, to uphold me as holy in the eyes of the people of Israel” (Num. 20:12). In other words, Moses treated God not as exceptional and supremely trustworthy, but as just another human authority along with others that could be ignored.

모세가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방식대로 말로 하지 않고 바위를 쳤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를 책망하셨습니다: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목전에서 내 거룩함을 나타내지 아니한 고로”(20:12). 다시 말해서, 모세는 하나님을 예외적이고 최고로 믿을 수 있는 분으로 여기지 않고, 무시할 수 있는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사람과 똑 같이 취급했다는 것입니다.

 

Or in Isaiah 8:1213, God said to Isaiah, “Do not fear what [this people] fears, nor be in dread. But the Lord of hosts, him you shall honor as holy. Let him be your fear, and let him be your dread.” In other words, don’t lump God into the same group as all of your ordinary fears and dreads. Treat him as an utterly separate and uniquea  transcendentfear and dread.

또는 이사야 8:12~13에서 하나님은 이사야에게 그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고 만군의 여호와 그를 너희가 거룩하다 하고 그를 너희가 두려워하며 무서워할 자로 삼으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을 평범한 당신의 모든 두려움과 무서움과 같은 그룹으로 묶지 마십시오. 그분을 완전히 분리되고 독특하고 초월적인 두려움과 무서움으로 여기십시오.

 

Therefore, God’s holiness is his infinite transcendence and worth above all else. He is in a class by himself. Which means he doesn’t depend on anything else for his existence. He is self-existent. So he needs nothing and depends on nothing. He is complete. Perfect. Therefore, he possesses the greatest value as the source of all reality and all value.

그러므로,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그분의 무한한 초월이시며 다른 모든 것보다도 가치가 있습니다. 그분은 혼자만의 부류에 계십니다. 그것은 그분의 존재를 위해 다른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분은 스스로 존재하십니다. 그래서 그는 아무것도 필요 없고 아무것에도 의존하지 않습니다. 그분은 완전하십니다. 완벽하십니다. 그러므로 그분은 모든 실재와 모든 가치의 원천으로서 가장 큰 가치를 지니고 계십니다.

 

 

ABOVE ALL BUT NOT SOLITARY(모든 것 위에 계시지만 외롭지는 않으시다)

 

God’s infinite height above all other reality does not mean that he is a loveless, solitary mind. The historic doctrine of the Trinity is biblical through and through. God exists as three divine persons. But these three are oneone divine essence. There is one God. Not three. But this one God exists in a mysterious and true unity of Father, Son, and Holy Spiriteach of them eternal and without beginning. Each of them truly God.

다른 모든 실재보다 위에 계시는 하나님의 무한하신 높음은 그분이 사랑이 없고 고독한 마음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삼위일체의 역사적 교리는 속속들이 성경적입니다. 하나님은 거룩한 세 인격으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셋은 하나의 거룩한 본질입니다. 한분 하나님이 계십니다. 세분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 한분 하나님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신비하고도 진정한 연합 안에 존재하며, 각각은 영원하고 시작이 없습니다. 그들 각각은 진정으로 하나님이십니다.

 

So the holinessthe transcendent worth and greatness of Goddoes not mean he is solitary and loveless in his infinite height. God the Father knows and loves the Son perfectly, completely, infinitely (Mark 1:11; 9:7; Col. 1:13). God the Son knows and loves the Father perfectly, completely, infinitely (John 14:31). The Holy Spirit is the perfect, complete, infinite expression of the Father’s and the Son’s knowledge and love of each other.

그러므로 거룩하심, 즉 하나님의 초월적 가치와 위대하심은 그분의 무한한 높음에서 고독하시고 사랑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아버지 하나님은 아들을 완벽하고 완전하게 무한히 알고 사랑하십니다(1:11; 9:7; 1:13). 아들 하나님은 아버지를 완벽하고 완전하게 무한히 알고 사랑하십니다(14:31).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의 서로에 대한 지식과 사랑에 대한 완벽하고 완전하며 무한한 표현입니다.

 

Why does this matter? Because this perfect Trinitarian fellowship is essential to the fullness and perfection and completeness of God. It is essential to his transcendent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that is, it is essential to his holiness.

이것이 왜 중요합니까? 이 완벽한 삼위일체의 교제는 하나님의 충만하심과 완벽하심과 완전하심에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초월적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에 필수적입니다. , 그분의 거룩하심에 필수적입니다.

 

 

HOLINESS IS INTERLOCKING WITH RIGHTEOUSNESS(거룩하심은 의로우심과 맞물려 있다)

 

There is a missing dimension in that description of God’s holiness. The Bible speaks of God’s holiness not only in terms of transcendence, but also in terms of morality. To be holy is not only to be separate and transcendent, but also to be righteous.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대한 묘사에 한 가지 차원이 빠져 있습니다. 성경이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관하여 말할 때 초월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도덕성의 면에서도 언급합니다. 거룩하다는 것은 분리되고 초월적일뿐만 아니라 또한 의로워야 합니다.

 

This forces a question that will have great implications for how we view the coronavirus in relation to God: Since righteousness implies doing what is right, and doing what is right implies compliance with some standard of rightness, what standard does God’s righteousness comply with?

이것은 우리가 하나님과 관련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를 어떻게 보아야 하느냐에 대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는 하나의 질문을 하게 합니다: 의로우심은 옳은 일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옳은 일을 행하는 것은 어떤 의로움의 표준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하나님의 의로우심은 어떤 표준을 따르는 것입니까?

 

Before creation, there were no standards outside of God. There was nothing outside of him for him to comply with. Before creation, God was the only reality. So when there is only God, how do you define what is right for God to do? That is, how can God’s holiness encompass not only his transcendence but also his righteousness?

창조 이전에는 하나님 외에는 표준이 없었습니다. 그분이 따를 만한 것은 그분 외에는 없었습니다. 창조 이전에는 하나님만이 유일한 실재였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만 존재하셨을 때는 하나님이 하셔야 할 의를 어떻게 정의하겠습니까? , 하나님의 거룩하심이 어떻게 그분의 초월성뿐만 아니라 그분의 의로우심을 포함할 수 있습니까?

 

The answer is that the standard of God’s righteousness is God. The foundational biblical principle is this: “He cannot deny himself ” (2 Tim. 2:13). He cannot act in a way that would deny his own infinite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This is the standard of what is right for God.

그 답은 하나님의 의로우심의 표준이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성경적 원칙은 그분은 자신을 부인하실 수 없다”(딤후 2:13)입니다. 그분은 자신의 무한한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행동하실 수 없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에게 올바른 표준입니다.

 

This means that the moral dimension of God’s holinesshis righteousnessis his unwavering commitment to act in accord with his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Every affection, every thought, every word, and every act of God will always be consistent with the infinite worth and beauty of his transcendent fullness. If God were to deny this worth or beauty or greatness, it would not be right. The ultimate standard would be broken. He would be unrighteous.

이것은 하나님의 거룩하심, 즉 그분의 의로우심의 도덕적 차원은 그분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에 따라 행동하신다는 확고한 약속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모든 애정과 생각과 말씀과 행동은 언제나 그분의 초월적인 충만의 무한한 가치와 아름다움과 일치할 것입니다. 하나님이 이 가치나 아름다움 또는 위대하심을 부정해야 한다면 그것은 옳지 않을 것입니다. 궁극적인 표준이 깨질 것입니다. 그분은 불의할 것입니다.

 

 

RIGHTEOUSNESS IS INTERLOCKING WITH GOODNESS(의로우심은 선하심과 맞물려 있다)

 

The goodness of God is not identical with his holiness or his righteousness. But it is interlocking in that his holiness overflows in goodness, and his righteousness guides its bestowal. They never contradict each other.

하나님의 선하심은 그분의 거룩하심 또는 의로우심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분의 거룩하심이 선하심으로 흘러넘치며, 그분의 의로우심이 그것의 수여를 인도한다는 것 안에서 서로 맞물려 있습니다. 그것들은 결코 서로 모순되지 않습니다.

 

God’s goodness is his disposition to be generousto do what blesses human beings. The transcendent fullness and perfection of Godhis holinessis  like a fountain that overflows. This is why he is disposed to be generous. God is not needy. Therefore, he never exploits others to make up for some deficiency in himself. Instead, the impulse of his nature is to give, not get. “He is not served by human hands, as though he needed anything, since he himself gives to all mankind life and breath and everything” (Acts 17:25).

하나님의 선하심은 인간에게 복을 주시는 일을 하기 위해 관대한 그분의 성향입니다. 하나님의 초월적인 충만하심과 완벽하심, 즉 그분의 거룩하심은 마치 흘러넘치는 샘과 같습니다. 이것이 그분이 관대한 성향을 가지신 이유입니다. 하나님은 궁핍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그분은 자신의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착취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그의 본성의 충동은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입니다. “또 무엇이 부족한 것처럼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니 이는 만민에게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 친히 주시는 이심이라”(사도행전 17:25).

 

But his goodness is not disconnected from his righteousness. It is not bestowed in a way that would deny his infinite value and beauty and greatness. This is why God’s righteousness involves final punishment as well as goodness. When God punishes the unrepentant in hell, he is not bestowing his goodness on them. But he does not cease to be good. His holiness and righteousness govern the bestowal of his goodness.

그러나 그분의 선하심은 그분의 의로우심과 단절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그분의 무한한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수여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의로우심에는 선하심 뿐 아니라 최종적인 처벌이 포함됩니다. 하나님께서 회개하지 않은 사람을 지옥에서 벌하실 때, 그분은 그들에게 선을 베풀지 않으십니다. 그러나 그분은 선을 멈추지 않습니다. 그분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은 그분의 선의 수여를 지배합니다.

 

This is why his goodness flows especially toward those who fear him and take refuge in him. “Oh, how abundant is your goodness, which you have stored up for those who fear you and worked for those who take refuge in you” (Ps. 31:19).

그렇기 때문에 그분의 선하심은 특히 그분을 두려워하고 그분께로 피하는 사람들에게 흘러가는 것입니다. “주를 두려워하는 자를 위하여 쌓아 두신 은혜 곧 주께 피하는 자를 위하여 인생 앞에 베푸신 은혜가 어찌 그리 큰지요”(31:19)

 

This reverence and faith do not earn God’s goodness. Finite, totally dependent sinners can’t earn anything from God. God’s goodness to sinners is always free and undeserved. Why, then, is God prone to show his abundant goodness to those who fear him and take refuge in him? It’s because such reverence and faith display God’s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Rom. 4:20). And, therefore, God’s righteousness inclines him to affirm such God-honoring attitudes.

이 존경과 믿음은 하나님의 선하심을 얻지 못합니다. 유한하며 전적으로 의존적인 죄인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아무것도 얻을 수 없습니다. 죄인들에 대한 하나님의 선하심은 항상 거저이며 자격이 없는 사람들에게 주어집니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그분을 두려워하고 그분께 피하는 사람들에게 풍성한 선하심을 쉽게 나타내실까요? 그러한 존경과 믿음이 하나님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4:20). 그러므로 하나님의 의로우심은 그분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존중하는 태도를 확언하게끔 합니다.

 

 

WHAT, THEN, OF THE CORONAVIRUS?(그렇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We turn, in the next chapter, to God’s all-knowing, allgoverning sovereignty over all things. But what we have seen here will keep us from jumping to the conclusion that God’s fingers in the coronavirus discredit his holiness or righteousness or goodness. We will not be so naive as to equate human suffering with divine unrighteousness. Or to conclude that God has ceased to be holy or good when he governs his world.

우리는 다음 장에서 모든 것을 아시고, 모든 것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우리가 여기에서 본 것은 코로나 바이러스 안에 있는 하나님의 손가락이 그분의 거룩하심이나, 의로우심이나 또는 선하심을 불신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게 할 것입니다. 우리는 인간의 고통을 하나님의 불의하심과 동일시할 만큼 순진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또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세상을 다스릴 때 거룩하거나 선하심을 멈추셨다고 결론 내리지 않을 것입니다.

 

All of us are sinners. No exceptions. We all have exchanged the glory of God’s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for things we enjoy more (Rom. 1:23; 3:23). This is a shameful dishonor to God, whether we feel it or not. We therefore are deserving of punishment. Our dishonoring of God’s glory makes us worthy objects of holy wrath. The Bible says we are “by nature children of wrath” (Eph. 2:3). Which means that God would be holy and righteous to withhold his goodness from us.

우리 모두는 죄인입니다. 아무도 예외가 없습니다.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의 영광을 우리가 더 즐기는 것들과 바꾸어버렸습니다(1:23; 3:23). 우리가 느끼든 느끼지 못하든, 이것은 하나님께 대한 수치스러운 불명예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벌을 받아 마땅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을 모욕한 것은 우리로 하여금 거룩한 분노의 합당한 대상이 되게 합니다. 성경은 우리가 본질상 진노의 자녀라고 말합니다(2:3). 그것은 하나님이 우리에게서 그분의 선하심을 거두는 것이 거룩하고 의로운 것임을 의미합니다.

 

The coronavirus, therefore, does not point to unholiness or unrighteousness or lack of goodness in God. Our Rock, in these troubled days, is not unrighteous. He is not unholy. “There is none holy like the Lord .  .  .  ; there is no rock like our God” (1  Sam. 2:2). Our Rock is not a mirage.

그러므로 코로나 바이러스는 하나님의 거룩하지 않으심, 불의하심 또는 선하심의 부족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이 곤경에 처한 날들 가운데, 우리의 바위는 불의하지 않습니다. 그분은 거룩하지 않지 않습니다. “여호와와 같이 거룩하신 이가 없으시니 ... 우리 하나님 같은 반석도 없으심이니이다”(삼상 2:2). 우리의 바위는 신기루가 아닙니다.

 

 

 

Chapter 4

SOVEREIGN OVER ALL

(모든 것의 주권자)

 

 

 

In chapter 2 I used the phrase “bitter providence.” That’s what the coronavirus is. To describe some of God’s works as bitter is not blasphemy. Naomi, Ruth’s mother-in-law, who lost her husband, her two sons, and one daughter-in-law through famine and exile, said:

2 장에서 나는 쓰라린 섭리/bitter providence”라는 문구를 사용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사역의 일부를 쓰라리다고 묘사하는 것은 신성 모독이 아닙니다. 룻의 시어머니 나오미는 기근을 겪으며 그녀의 남편과 두 아들, 한 며느리를 잃고 망명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 Almighty has dealt very bitterly with me. I went away full, and the Lord has brought me back empty. . .  . The Almighty has brought calamity upon me. (Ruth 1:2021)

이는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bitterly) 하셨음이니라 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돌아오게 하셨느니라 ...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거늘(룻기 1:20-21).

 

She was not lying, overstating, or accusing. It was a simple, and terrible, fact. “Bitter providence” is not a disparagement of God’s ways. It’s a description.

그녀는 거짓말을 하거나 과장하거나 비난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단순하고 끔찍한 사실이었습니다. “쓰라린 섭리는 하나님의 방식을 헐뜯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묘사하는 것입니다.

 

I also said in chapter  2 that the sweetness of God’s word is not diminished in the midst of this bitter providencenot if we have learned the secret of “sorrowful, yet always rejoicing” (2 Cor. 6:10). I said we would come back to this secret. Then I summed it up in a sentence: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Knowing this makes all the difference. So is it true?

나는 또한 2 장에서 우리가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는”(고후 6:10) 비밀을 배웠다면, 하나님의 말씀의 달콤함이 이 쓰라린 섭리 가운데서 줄어들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나는 우리가 이 비밀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것을 다음의 한 문장으로 정리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이것을 아는 것은 모든 차이를 만듭니다. 그렇다면 그것이 사실일까요?

 

 

WHAT GOD WILLS, HE DOES(하나님은 뜻하시는 바를 행하신다)

 

My aim in this chapter and the next is to show that God is all-governing and all-wise. He is sovereign over the coronavirus. I want to show that this is good newsindeed, it is the secret of experiencing the sweetness of God in his bitter providences.

이 장과 다음 장에서의 나의 목표는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지배하시고 전적으로 지혜로우신 분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분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다스리십니다. 나는 이것이 좋은 소식임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실제로 그것이 그분의 쓰라린 섭리 안에서 하나님의 달콤함을 경험하는 비결입니다.

 

Saying that God is all-governing means he is sovereign. His sovereignty means that he can do, and in fact does do, all that he decisively wills to do. I say decisively because God, in a sense, wills things he does not carry through. He can express desires that he himself chooses not to act on. In that sense, they are not decisive. He himself does not let such willing or desiring rise to the level of performance.

하나님이 모든 것을 지배하신다는 것은 그분이 주권자이심을 의미합니다. 그분의 주권은 그분이 결정적으로 하시고자 하는 모든 것을 하실 수 있고, 실제로 행하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는 어떤 의미에서 하나님은 자신이 수행하지 않는 일들을 하시고자 하기 때문에 결정적으로 그렇게 말합니다. 그분은 자신이 행동하지 않기로 스스로 선택한 욕망을 표현하실 수 있습니다. 그분 자신은 그러한 의지나 욕망이 실행되는 수준까지 일어나지 않도록 하십니다.

 

For example, consider Lamentations 3:3233:

예로써 예레미야 애가 3:3233을 생각해 보십시오:

 

Though he cause grief, he will have compassion according to the abundance of his steadfast love; for he does not afflict from his heart or grieve the children of men.

그가 비록 근심하게 하시나 그의 풍부한 인자하심에 따라 긍휼히 여기실 것임이라 주께서 인생으로 고생하게 하시며 근심하게 하심은 본심이 아니시로다

 

He does grieve us, but not from his heart. I take that to mean that while there are aspects of his character (his heart) that incline away from grieving us, nevertheless other aspects of his character dictate the holiness and righteousness of grieving us.

그분은 우리를 마음 아프게 하시지만, 그것이 그분의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은 아닙니다. 나는 그것이, 그분의 성품(그분의 마음)이 우리를 마음 아프게 하지 않으려는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분의 성품이 우리를 마음 아프게 하는 거룩하심과 의로우심을 지시하는 측면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받아들입니다.

 

He is not double-minded. There is a perfect beauty and coherence in how all his attributes cooperate. But neither is he without complexity. His character is more like a symphony than a solo performance.

그분은 두 마음을 품지 않습니다. 그분의 모든 속성이 협력하는 방식에는 완벽한 아름다움과 일관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복잡하지도 않습니다. 그분의 성격은 솔로 연주보다 교향곡에 가깝습니다.

 

So when I say that God’s sovereignty means that he can do, and in fact does do, all that he decisively wills to do, I mean there is no force outside himself that can thwart or frustrate his will. When he decides for a thing to happen, it happens. Or to put it another way, everything happens because God wills it to happen.

그러므로 하나님의 주권이 의미하는 바는 그분이 결정적으로 하시고자하는 모든 것을 그분이 할 수 있고, 사실상 하신다고 말할 때, 내가 의미하는 것은 그분의 의지를 방해하거나 좌절시킬 수 있는 힘이 그분 자신 외에는 없다는 것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을 그분이 결정하실 때, 그것은 일어납니다. 또는 달리 말하면, 모든 일은 하나님이 그 일이 일어나기를 원하시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ALL-PERVASIVE SOVEREIGNTY(편재하는 주권)

 

Isaiah teaches that this is part of the very essence of what it means to be God:

이사야는 이것이 하나님이라는 의미의 본질의 일부라고 가르칩니다.

 

I am God, and there is no other; I am God, and there is none like me, declaring the end from the beginning and from ancient times things not yet done, saying, “My counsel shall stand, and I will accomplish all my purpose.” (Isa. 46:910)

나는 하나님이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느니라 나는 하나님이라 나 같은 이가 없느니라 내가 시초부터 종말을 알리며 아직 이루지 아니한 일을 옛적부터 보이고 이르기를 나의 뜻이 설 것이니 내가 나의 모든 기뻐하는 것을 이루리라(46:9-10).

 

To be God is to cause his own counsel to standalways. God does not just declare which future events will happen; he makes them happen. He speaks his word, and then he adds, “I am watching over my word to perform  it” (Jer. 1:12).

하나님 되심은 항상 자신의 계획이 바로 서도록 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미래의 어떤 사건이 일어날 지 선언하지만은 않으십니다. 그분은 그것들이 일어나게 하십니다. 그분은 자신의 말을 하시고서 내가 내 말을 지켜 그대로 이루려 함이라”(1:12)고 덧붙이십니다.

 

Which means, as Job learned from hard experience, “I know that you can do all things, and that no purpose of yours can be thwarted” (Job 42:2). Or as Nebuchadnezzar learned from his merciful humiliation:

그것의 의미는, 욥이 어려운 경험을 통해 배운 바와 같이, “주께서는 못 하실 일이 없사오며 무슨 계획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압니다”(42:2)입니다. 또는 느부갓네살이 자비로운 굴욕에서 배웠을 때처럼:

 

All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are accounted as nothing, and he does according to his will among the host of heaven and among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and none can stay his hand or say to him, “What have you done?” (Dan. 4:35)

땅의 모든 사람들을 없는 것 같이 여기시며 하늘의 군대에게든지 땅의 사람에게든지 그는 자기 뜻대로 행하시나니 그의 손을 금하든지 혹시 이르기를 네가 무엇을 하느냐고 할 자가 아무도 없도다(4:35)

 

Or as the psalmist says:

혹은 시편 기자가 말하는 것과 같이:

 

Whatever the Lord pleases, he does, in heaven and on earth, in the seas and all deeps. (Ps. 135:6)

여호와께서 그가 기뻐하시는 모든 일을 천지와 바다와 모든 깊은 데서 다 행하셨도다(135:6)

 

Or as the apostle Paul sums up:

혹은 사도 바울이 요약하듯이:

 

[He] works all things according to the counsel of his will. (Eph. 1:11)

[그분은] 모든 일을 그의 뜻의 결정대로 일하십니다(1:11)

 

“All things.” Not some things. And “according to his will,” not according to wills or forces outside himself.

몇 가지가 아니라 모든 일입니다. 그리고 그분 이외의 뜻이나 힘에 따라가 아니라 그분의 뜻에 따라입니다.

 

In other words, the sovereignty of God is all-encompassing and all-pervasive. He holds absolute sway over this world. He governs wind (Luke 8:25), lightning (Job 36:32), snow (Ps. 147:16), frogs (Ex. 8:115), gnats (Ex. 8:1619), flies (Ex. 8:2032), locusts (Ex. 10:120), quail (Ex. 16:68), worms (Jonah 4:7), fish (Jonah 2:10), sparrows (Matt. 10:29), grass (Ps. 147:8), plants (Jonah 4:6), famine (Ps. 105:16), the sun (Josh. 10:1213), prison doors (Acts 5:19), blindness (Ex. 4:11; Luke 18:42), deafness (Ex. 4:11; Mark 7:37), paralysis (Luke 5:2425), fever (Matt. 8:15), every disease (Matt. 4:23), travel plans (James 4:1315), the hearts of kings (Prov. 21:1; Dan. 2:21), nations (Ps. 33:10), murderers (Acts 4:2728), and spiritual deadness (Eph. 2:45)and all of them do his sovereign will.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주권은 모든 것을 포괄하고 만연합니다. 그분은 이 세상을 완전히 지배하고 계십니다. 그분은 바람(8:25), 번개(36:32), (147:16), 개구리(8:1-15), (8:16-19), 파리(8:20~32), 메뚜기(10:1~20), 메추라기(16:6~8), 벌레(요나 4:7), 물고기(요나 2:10), 참새(10:29), (147:8), 식물(요나 4:6), 기근(105:16), 태양(10:12~13), 감옥 문(5:19), 맹인(4:11; 누가복음 18:42), 귀머거리(4:11; 7:37), 중풍(5:24~25), 열병(8:15), 모든 질병(4:23), 여행 계획(4:13~15), 왕들의 마음(21:1; 2:21), 나라들(33:10), 살인자(4:27~28), 영적 사망(2:4~5) 등을 다스리십니다. 그리고 그것들 모두는 그분의 주권적인 의지를 행합니다.

 

 

NOT A SEASON FOR SENTIMENTAL VIEWS OF GOD(하나님의 감정적인 견해를 따질 시기가 아니다)

 

The coronavirus was sent, therefore, by God. This is not a season for sentimental views of God. It is a bitter season. And God ordained it. God governs it. He will end it. No part of it is outside his sway. Life and death are in his hand. Job did not sin with his lips (Job 1:22) when he said:

그래서 하나님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보내셨습니다. 지금은 하나님의 감상적인 관점을 따질 시기가 아닙니다. 쓰라린 시기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그것을 명하셨습니다. 하나님이 그것을 지배하십니다. 그분이 그것을 끝낼 것입니다. 그것의 어떤 부분도 그분의 지배 밖에 있지 않습니다. 삶과 죽음이 그분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욥은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입술로 죄를 짓지 않았습니다(1:22).

 

Naked I came from my mother’s womb, and naked shall I return.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blessed be the name of the Lord. (Job 1:21)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사온즉 또한 알몸이 그리로 돌아가올지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1:21)

 

The Lord gave. And the Lord took. The Lord took Job’s ten children.

하나님이 주셨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취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욥의 열 자녀를 취하셨습니다.

 

In the presence of God, no one has a right to life. Every breath we take is a gift of grace. Every heartbeat, undeserved. Life and death are finally in the hands of God:

하나님의 존전에는 아무도 생명에 대한 권리가 없습니다. 우리가 취하는 모든 호흡은 은혜의 선물입니다. 모든 심장 박동이 과분합니다. 삶과 죽음은 결국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See now that I, even I, am he, and there is no god beside me; I kill and I make alive; I wound and I heal; and there is none that can deliver out of my hand. (Deut. 32:39)

이제는 나 곧 내가 그인 줄 알라 나 외에는 신이 없도다 나는 죽이기도 하며 살리기도 하며 상하게도 하며 낫게도 하나니 내 손에서 능히 빼앗을 자가 없도다(32:39).

 

Therefore, as we ponder our future with the coronavirusor  any other life-threatening situationJames tells us how to think and speak:

따라서 코로나 바이러스(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다른 상황)를 가지고 미래를 생각할 때 야고보는 생각하고 말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알려줍니다:

 

You ought to say, “If the Lord wills, we will live and do this or that.” (James 4:15)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4:15).

 

If he wills, we will live. If not, we won’t.

그분이 뜻하시면 우리가 살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죽을 것입니다.

 

For all I know, I will not live to see this book published. I have at least one relative infected with the coronavirus. I am seventy-four years old, and my lungs are compromised with a blood clot and seasonal bronchitis. But these factors do not ultimately decide. God decides. Is that good news? Yes. I’ll try to show why in the next chapter.

내가 아는 한, 나는 살아서 이 책이 출판되는 것을 보지 못할 것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친척이 적어도 한 명 있습니다. 나는 일흔 네 살이고, 나의 폐는 혈액 응고와 계절성 기관지염으로 손상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가 궁극적으로 결정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결정하십니다. 그것이 좋은 소식인가요? . 다음 장에서 그 이유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Chapter 5

THE SWEETNESS OF HIS REIGN

(그분의 통치의 달콤함)

 

 

 

Why should I receive the news of God’s sovereignty over the coronavirus, and over my life, as a sweet teaching? The secret, I said, is knowing that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In other words, if we try to rescue God from his sovereignty over suffering, we sacrifice his sovereignty to turn all things for good.

코로나 바이러스와 내 삶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소식을 내가 왜 달콤한 가르침으로 받는 것입니까? 내가 전에 말했듯이 그 비밀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다시 말해서, 고통에 대한 그분의 주권으로부터 하나님을 구출해 내려고 한다면, 모든 것을 선하게 돌리시는 그분의 주권을 우리가 희생시키는 것입니다.

 

 

GOD’S DETHRONEMENT IS NOT GOOD NEWS(하나님의 폐위는 좋은 소식이 아니다)

 

The very sovereignty that rules in sickness is the sovereignty that sustains in loss. The very sovereignty that takes life is the sovereignty that conquered death and brings believers home to heaven and Christ. It is not sweet to think that Satan, sickness, sabotage, fate, or chance has the last say in my life. That is not good news.

질병 안에서 다스리시는 바로 그 주권이 상실 가운데서 떠받치시는 주권입니다. 생명을 취하시는 바로 그 주권이 죽음을 정복하고 신자들을 천국과 그리스도의 집으로 데려가시는 주권입니다. 사탄, 질병, 파괴 행위, 운명 또는 기회가 내 인생에서 마지막 언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달콤하지 않습니다. 좋은 소식이 아닙니다.

 

That God reigns is good news. Why? Because God is holy and righteous and good. And he is infinitely wise. “With God are wisdom and might; he has counsel and understanding” (Job 12:13). “His understanding is beyond measure” (Ps. 147:5). “Oh, the depth of the riches and wisdom and knowledge of God!” (Rom. 11:33). His great aim is that “the manifold wisdom of God might now be made known to the rulers and authorities in the heavenly places” (Eph. 3:10).

하나님이 다스린다는 것이 좋은 소식입니다. ? 하나님은 거룩하고 의롭고 선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분은 무한히 지혜로우십니다. “지혜와 권능이 하나님께 있고 계략과 명철도 그에게 속하였나니”(12:13). “우리 주는 위대하시며 능력이 많으시며 그의 지혜가 무궁하시도다 ”(147:5).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11:33). 그분의 위대하신 목적은 하늘에 있는 통치자들과 권세들에게 하나님의 각종 지혜를 알게 하려 하심”(3:10)입니다.

 

Nothing surprises him, confuses him, or baffles him. His infinite power rests in the hands of infinite holiness and righteousness and goodnessand wisdom. And all of that stands in the service of those who trust his Son, Jesus Christ. What God did in sending Jesus to die for sinners has everything to do with the coronavirus.

그분을 놀라게 하거나 혼동시키거나 당황하게 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그분의 무한한 능력은 무한한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과 지혜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은 그분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신뢰하는 사람들의 섬김 가운데 있습니다. 죄인들을 위해 죽으시도록 예수님을 보내신 가운데 하나님이 하신 일 속에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모든 것이 들어 있습니다.

 

 

HOW GOD SECURED “ALL THINGS” FOR SINNERS(하나님은 죄인들을 위해 모든 것을 어떻게 보장해 주셨는가?)

 

Here’s the connection. It’s Romans 8:32: “He who did not spare his own Son but gave him up for us all, how will he not also with him graciously give us all things?” This means that God’s willingness to send his Son to be crucified in our place is his declaration and validation that he will use all his sovereignty to “give us all things.” “How will he not also with him graciously give us all things?” Meaning: he most certainly will. It is guaranteed by the blood of his son.

연결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것은 로마서 8:32입니다: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시지 아니하겠느냐?” 이것은 우리를 대신하여 그분의 아들을 십자가에 못 박히도록 기꺼이 보내신 것은 그분이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시기위해 그분의 모든 주권을 사용할 것이라는 그분의 선언과 확증을 의미합니다.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시지 아니하겠느냐?” 의미: 그분은 가장 확실하게 그렇게 하실 것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아들의 피로 보장합니다.

 

And what are these “all things”? They are the things we need to do his will, glorify his name, and make it safely into his joyful presence.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무엇입니까? 그것들은 우리가 그분의 뜻을 행하고, 그분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며, 그분의 즐거운 존전으로 무사히 나아가는 데 필요한 것들입니다.

 

Three verses later, Paul explains how it works in real lifein the coronavirus. What does it look like when God’s infinite, blood-certified commitment to give us “all things” meets the coronavirus? Here’s what he says:

세 절 뒤에, 바울은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실제 생활에서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합니다.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무한하시고 피로 보증하신 약속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만나면 그것이 어떻게 보입니까? 그가 말한 것은 이렇습니다:

 

Who shall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Christ? Shall tribulation, or distress, or persecution, or famine, or nakedness, or danger, or sword [or the coronavirus]? As it is written, “For your sake we are being killed all the day long; we are regarded as sheep to be slaughtered.” No, in all these things we are more than conquerors through him who loved us. (Rom. 8:3537)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혹은 코로나 바이러스랴]? 기록된 바 우리가 종일 주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게 되며 도살당할 양 같이 여김을 받았나이다함과 같으니라.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8:35-37)

 

Don’t miss these painful and amazing words: “We are being killed all the day long.” That means that the “all things” God will give to us, because he did not spare his Son, includes bringing us safely through death. Or as he says in Romans 8:3839, “I am sure that neither death nor life . . . will be able to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in Christ Jesus our Lord.”

다음과 같은 고통스럽고 놀라운 말을 놓치지 마십시오. “우리가 종일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그분의 아들을 아끼지 않으셨기 때문에 그분이 우리에게 주실 모든 것에는 죽음을 통하여 우리를 안전하게 데려오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는 로마서 8:38~39에서 그가 말한 것처럼 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WHAT SATAN MEANS FOR EVIL(악에 대하여 사탄이 의미하는 것)

 

Even if Satan, on his divine leash, has a hand in our suffering and death, he is not ultimate. He cannot hurt us without God’s permission and limitation (Job 1:12; Luke 22:31; 2  Cor. 12:7). And in the end, it is right for us to say to Satan what Joseph said to his brothers who had sold him into slavery: “As for you, you meant evil against me, but God meant it for good” (Gen. 50:20).

사탄이 하나님의 통제 가운데 우리의 고통과 죽음에 손을 대더라도, 그는 최종적이지 않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허락과 제한 없이는 우리를 해칠 수 없습니다(1:12; 22:31; 고후 12:7). 그리고 결국, 우리에게는 요셉이 자신을 노예로 팔았던 그의 형제들에게 한 말을 사탄에게 말할 권리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셨다”(50:20).

 

Be careful not to water this down. It does not say, “God used it for good” or “God turned it for good.” It says, “God meant it for good.” They had an evil purpose. God had a good purpose. God didn’t start cleaning up halfway through this sinful affair. He had a purpose, a meaning, from the beginning. From the start, he meant it for good.

이것의 효력을 약화시키지 마십시오. 그것은 하나님께서 그것을 선을 위해 사용하셨다든지 또는하나님이 선을 위해 그것을 돌이키셨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그것을 선으로 바꾸셨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사악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선하신 목적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죄의 사건을 반쯤 청소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처음부터 목적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처음부터 그분은 선을 의미하셨습니다.

 

This is the key to comfort when the evil of men and the evil of Satan compound our suffering. In Christ, we have every right to say to Satan (or to evil men), “You meant it for evil. But God meant it for good.” Neither Satan nor sickness nor sinful man is sovereign. Only God is. And he is goodand wise and sovereign.

이것은 사람의 악과 사탄의 악이 우리의 고통을 혼합할 때 위로하는 열쇠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사탄에게 (또는 악한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는 모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셨다.” 사탄이나 질병이나 죄인 모두 주권자가 아닙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그렇습니다. 그리고 그분은 선하시며 지혜로우신 주권자입니다.

 

 

NOT A SPARROW, EVERY HAIR(참새가 아니라 모든 머리털)

 

Jesus expresses the sweetness of God’s sovereignty for his disciples as beautifully as anyone:

예수님은 제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의 달콤함을 어느 누구보다도 아름답게 표현합니다:

 

Are not two sparrows sold for a penny? And not one of them will fall to the ground apart from your Father. But even the hairs of your head are all numbered. Fear not, therefore; you are of more value than many sparrows. (Matt. 10:2931)

참새 두 마리가 한 앗사리온에 팔리지 않느냐? 그러나 너희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너희에게는 머리털까지 다 세신 바 되었나니, 두려워하지 말라 너희는 많은 참새보다 귀하니라(10:29-31).

 

Not one sparrow falls but by God’s plan. Not one virus moves but by God’s plan. This is meticulous sovereignty. And what does Jesus say next? Three things: You are of more value than many sparrows. The hairs of your head are all numbered. Fear not.

참새 한 마리도 하나님의 계획이 아니고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하나의 바이러스도 하나님의 계획이 아니면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것은 세심한 주권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그 다음에 무엇이라고 말합니까? 세 가지: 당신은 많은 참새보다 더 가치가 있다. 너의 머리털 모두를 센다. 두려워하지 말라.

 

Why not? Because God’s meticulous sovereigntywhether we live or dieserves his holiness and righteousness and goodness and wisdom. In Christ we are not his dispensable pawns. We are his valued children. “You are of more value than many sparrows.”

왜 두려워하지 말라고 하십니까? 우리가 살든지 죽든지 하나님의 세심한 주권은 그분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과 지혜로우심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없어도 좋은 저당물이 아닙니다. 우리는 그분의 소중한 자녀입니다. “당신은 많은 참새보다 더 가치가 있습니다.”

 

This is the secret mentioned earlier: knowing that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And not only sustains, but sees to it that everything, bitter and sweet, works together for our goodthe good of those who love God and are called in Christ (Rom. 8:2830).

이것이 앞에서 언급한 비밀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그리고 지탱하는 것 뿐 아니라, 쓰거나 달콤한 모든 것이 우리의 유익, 즉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 함께 작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8:28~30).

 

 

IMMORTAL TILL MY WORK IS DONE(내 일이 끝날 때까지 멸하지 않는다)

 

That kind of rock-solid confidence in the face of death has emboldened Christ’s people for two thousand years. The truth of God’s wise and good sovereignty has been the stabilizing power for thousands of Christians in the sacrifices of love.

죽음에 직면하여 그런 종류의 확고한 확신은 이천년 동안 그리스도의 백성을 담대하게 했습니다. 하나님의 지혜롭고 선한 주권의 진실은 수천 명의 그리스도인들이 사랑의 희생을 하게 하는 견고한 힘이었습니다.

 

For example, Henry Martyn, missionary to India and Persia, who died of the plague (like the coronavirus) when he was thirty-one (October 16, 1812), wrote in his journal in January 1812:

예를 들어, 30(18121016)에 전염병(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으로 사망한 인도와 페르시아의 선교사 헨리 마틴은 18121월 자신의 일기에 이렇게 썼습니다:

 

To all appearance, the present year will be more perilous than any I have seen; but if I live to complete the Persian New Testament, my life after that will be of less importance. But whether life or death be mine, may Christ be magnified in me! If he has work for me to do, I cannot die.(2)

어느 모로 보나, 올해는 내가 보아왔던 어떤 해보다도 더 위험할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페르시아어 신약을 완성하기 위해 살아간다면 그 이후의 삶은 덜 중요할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살든지 죽든지 내 안에서 그리스도가 드러나기를! 그분이 나를 통해 하실 일이 있다면 나는 죽을 수 없습니다.(2)

 

This has often been paraphrased as “I am immortal till Christ’s work for me to do is done.” This is profoundly true. And it rests squarely on the reality that life and death are in the hands of our sovereign God. Indeed, the entire cause of Christ is in his hand. Seven years earlier, Martyn, at age twenty-four, had written:

나는 이것을 종종 그리스도께서 나를 위해 하실 일이 마칠 때까지 나는 죽을 수 없다라고 의역해 왔습니다. 이것은 진정으로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곧바로 삶과 죽음이 우리 주권자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는 현실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그리스도의 모든 사명은 그분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7년 전, 마틴은 24세 때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Were God not the sovereign of the universe, how miserable I should be! But the Lord reigneth, let the earth be glad. And Christ’s cause shall prevail. O my soul, be happy in the prospect.(3)

하나님이 우주의 주권자가 아니시라면 나는 얼마나 비참할까! 그러나 주님께서 다스리시니 땅이여 기뻐하라. 그리고 그리스도의 사명이 번창하리라. 오 나의 영혼아, 기대 가운데 행복하라.(3)

Part 2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하나님은 무엇을 하고 계시는가?)

 

 

 

PRELIMINARY THOUGHTS: SEEING AND POINTING

(예비 생각: 보고 지적하기)

 

 

 

If God has not been dethroned, if, indeed, he governs “all things according to the counsel of his will” (Eph. 1:11), and if this coronavirus outbreak, with all its devastation, is in his holy, righteous, good, and wise hands, then what is he doing? What are his purposes?

만일 하나님이 폐위되지 않으셨다면, 그리고 실제로 그분이 모든 일을 그의 뜻의 결정대로”(1:11) 다스리시며, 이 모든 황폐와 함께 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이 그분의 거룩하시고 의로우시고 선하시고 지혜로우신 손 안에 있다면 그분은 지금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그분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STOP REGARDING MAN(사람을 의지하지 말라)

 

The first thing to say, before trying to answer this question, is that, compared to the wisdom of God, my opinion counts for nothing. So does yours. What we think, out of our own heads, is of little significance. The Bible says that “whoever trusts in his own mind is a fool” (Prov. 28:26). Instead, we are told, “Trust in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and do not lean on your own understanding” (Prov. 3:5).

가장 먼저 말할 것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하나님의 지혜와 비교할 때 나의 의견은 아무 것도 중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당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자신의 머리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은 거의 중요하지 않습니다. 성경은 자기의 마음을 믿는 자는 미련한 자요”(28:26)라고 말합니다. 대신에 우리는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신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3:5)라고 들었습니다.

 

We humans are finite, sinful, culturally conditioned, and shaped (and misshaped) by our genes and personal history. Out of our hearts and minds and mouths come every manner of self-justifying rationalization for our own preferences. So we would be wise to pay attention to the prophet Isaiah when he says, “Stop regarding man in whose nostrils is breath, for of what account is he?” (Isa. 2:22).

우리 인간은 유한하고 죄가 많으며 문화의 영향을 받고, 우리의 유전자와 개인 역사에 의해 빚어지고 그리고 왜곡됩니다. 우리의 마음과 생각과 입에서 우리 자신의 취향에 대한 모든 방식의 자기 정당화 합리화가 나옵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인생을 의지하지 말라 그의 호흡은 코에 있나니 셈할 가치가 어디 있느냐?”(이사야 2:22)라는 선지자 이사야의 말에 현명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Is it, then, not presumption for me to write this book, let alone a section titled,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그러면 그것은 하나님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무엇을 하십니까?”라는 제목의 섹션을 제외하고 내가 이 책을 쓰는 것에 대한 추정이 아닙니까?

 

No. It is not presumptuous. Not if God has spoken in the Christian Scriptures. Not if God has stooped to speak in human words so that we might truly (though partially) know him and his ways. Not if Paul’s words are true: “[God] lavished [his grace] upon us, in all wisdom and insight, making known to us the mystery of his will” (Eph. 1:89). Not if, as Paul says, “by reading you can perceive my insight into the mystery of Christ” (Eph. 3:4, my translation).

아닙니다. 그것은 주제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기독교인의 성경에서 말씀하셨기 때문에 아닙니다. 하나님이 자신을 낮추셔서 인간의 말로 말씀을 하셔서 우리가 진정으로(비록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그분과 그분의 길을 알 수 있게 하셨기 때문에 아닙니다. 바울이 말한: “[하나님]가 모든 지혜와 총명으로 [그분의 은혜]를 우리에게 넘치게 하사 그 뜻의 비밀을 우리에게 알리신 것이요”(1:8-9)가 사실이기 때문에 아닙니다. 바울이 말한 것처럼 그것을 읽으면 너희는 그리스도의 신비에 대한 나의 통찰력을 인식 할 수 있기 때문에”(3:4, 나의 번역) 주제넘지 않습니다.

 

God is not silent about what he is doing in this world. He has given us the Scriptures. In chapter 2, I pointed to some of the reasons we may trust the Bible as God’s word. So my aim is not to dream up ideas about what God might be doing. My aim is to listen to his word in Scripture and commend to you what I hear.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 그분이 하시고 있는 일에 대해 침묵하지 않습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성경을 주셨습니다. 2장에서 나는 우리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을 수 있는 몇 가지 이유를 지적했습니다. 그래서 나의 목표는 하나님께서 하실 일에 대한 아이디어를 꿈꾸지 않는 것입니다. 나의 목표는 성경에서 그분의 말씀을 듣고 내가 듣는 것을 당신에게 추천하는 것입니다.

 

 

HOW INSCRUTABLE HIS WAYS(그의 길을 찾지 못할 것이며)

 

Another thing I should say before I try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God doing? is that he is always doing a billion things we do not know:

하나님은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내가 말해야 할 또 다른 것은, 그분은 우리가 모르는 10억 가지 일을 항상 하고 계시다는 것입니다:

 

You have multiplied, O Lord my God, your wondrous deeds and your thoughts toward us; none can compare with you! I will proclaim and tell of them, yet they are more than can be told. (Ps. 40:5)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주께서 행하신 기적이 많고 우리를 향하신 주의 생각도 많아 누구도 주와 견줄 수가 없나이다! 내가 널리 알려 말하고자 하나 너무 많아 그 수를 셀 수도 없나이다(40:5).

 

Not only are his designs in the coronavirus beyond counting; they are, in many ways, inscrutable. “Oh, the depth of the riches and wisdom and knowledge of God! How unsearchable are his judgments and how inscrutable his ways!” (Rom. 11:33). But when Paul wrote that, he was not saying, “So close your Bible and make up your own reality.”

코로나 바이러스에 있어서의 그분의 계획은 셀 수 없을 뿐 아니라; 그것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조사가 불가능하다.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 그의 판단은 헤아리지 못할 것이며 그의 길은 찾지 못할 것이로다”(11:33). 그러나 바울이 그것을 기록했을 때, 그는 그러므로 당신은 성경을 가까이 하여 당신 자신의 현실을 만드시오라고 말하지 않았다.

 

On the contrary, those words about God’s inscrutable ways were written as a climax to eleven chapters of the greatest news in the world, all of which are written to be understood. For example, when Paul touches on the inevitability of suffering, he says:

반대로, 하나님의 찾지 못할 길에 관한 그 말씀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소식의 11개 장에 대한 절정으로 기록되었으며, 그 내용은 모두 이해하도록 쓰여졌습니다. 예를 들어, 바울은 환난의 필연성을 다룰 때 이렇게 말합니다:

 

We rejoice in our sufferings, knowing that suffering produces endurance, and endurance produces character, and character produces hope, and hope does not put us to shame, because God’s love has been poured into our hearts through the Holy Spirit. (Rom. 5:35)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5:3-5).

 

“Knowing”! The Scriptures are written that we might know the things God has revealed. Especially about sufferingincluding this coronavirus outbreak. So inscrutable means that God is always doing more than we can seeand even what we can see, we would not have seen if he had not revealed it.

앎이로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드러내신 것들을 우리가 알 수 있도록 쓰여졌습니다. 특히 이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을 포함한 환난에 대하여. 따라서 찾지 못한다는 말의 의미는 하나님께서는 항상 우리가 보는 것, 심지어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하고 계시다는 것이며, 그분이 그것을 드러내지 않으시면 우리가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POINTING TO REALITY(현실을 가리키다)

 

So my job here is not to imagine, as in John Lennon’s famous song.(4) He tells us to imagine that there’s no heaven, no hell, but only sky. And then he says that such imagining is easy. Just try. Right. It is easy. Way too easy. The coronavirus demands hard reality, not easy imaginings. God and his word are the reality we needthe Rock under our feet. So my aim here is to point to reality, not create reality. My aim is to hear what God has said, and affirm rather than imagine.

그래서 존 레논의 유명한 노래에서와 같이 여기서 나의 일은 상상하는 것이 아닙니다.(4) (존 레논)는 우리에게 천국이 없고 지옥도 없으며 단지 하늘만 있다고 상상하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는 그런 상상을 하는 것이 쉽다고 말합니다. 한번 상상의 시도를 해 보세요. 옳습니다. 상상은 쉽습니다. 너무 쉽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는 쉬운 상상이 아닌 어려운 현실을 요구합니다.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은 우리가 필요로 하는 현실, 즉 우리의 발아래 있는 바위입니다. 그래서 여기서의 나의 목표는 현실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나의 목표는 하나님이 말씀하신 것을 듣고, 상상하기보다는 확증하는 것입니다.

 

I will point to what the Bible teaches and then make the connections with the coronavirus. Yours is to judge what is right.

나는 성경이 가르치는 것을 가리킨 다음 코로나 바이러스와 연관을 맺을 것입니다. 당신이 할 일은 옳은 것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I say that because it’s what Jesus said about “interpreting the present time.” He was indignant that people could use their reason to make sense out of weather patterns but not the divine working of God in history:

내가 그것을 말하는 이유는 예수님이 이 시대를 분간하는 것에 대해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사람들이 자기들의 이성을 사용하여 날씨 패턴을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역사에서 하나님의 거룩한 일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에 분개했습니다.

 

You hypocrites! You know how to interpret the appearance of earth and sky, but why do you not know how to interpret the present time? And why do you not judge for yourselves what is right? (Luke 12:5657)

외식하는 자여! 너희가 천지의 기상은 분간할 줄 알면서 어찌 이 시대는 분간하지 못하느냐? 또 어찌하여 옳은 것을 스스로 판단하지 아니하느냐?(12:56-57).

 

So my hope is that you will ask for God’s help, look to God’s word, and judge for yourselves what is right. I hope you will test what I say by the Scriptures (1 John 4:1), and hold fast to what is good (1 Thess. 5:21).

그래서 내가 바라는 것은 여러분이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들여다보고, 스스로 옳은 것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나는 여러분이 내가 말한 것을 성경으로 시험하고(요한14:1)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기를(살전 5:21) 바랍니다.

 

SIX PATHS TO FOLLOW(따라야 할 여섯 가지 길)

 

Many pages could be written about each of the six answers I am going to give to the question,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But with the urgency of the hour, I won’t take time for that. I will only point to paths of biblical truth that I hope you will pursue after you close this book. I wish we could walk far down those paths together. But I must leave that with you. May God guide you.

하나님께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내가 주려고 하는 6 가지 답변 각각에 대해 많은 페이지를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절박함에 따라 거기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겠습니다. 이 책을 닫은 후에 당신이 추구하기를 바라는 성경적 진리의 길만을 가리킬 것입니다. 우리가 그 길을 함께 걸어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당신에게 남겨놓아야만 합니다. 하나님이 당신을 인도하길 바랍니다.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하나님께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Chapter 6

PICTURING MORAL HORROR

(도덕적 참사를 묘사하기)

 

 

ANSWER  1.

(해답 1)

God is giving the world in the coronavirus outbreak, as in all other calamities, a physical picture of the moral horror and spiritual ugliness of God-belittling sin.

하나님은 다른 모든 재난에서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한 세상에 도덕적 참사와 하나님을 하찮게 보는 죄의 영적 추악함에 대한 육체적 그림을 주고 계십니다.

 

 

Sin, in fact, is why all physical misery exists. The third chapter of the Bible describes the entrance of sin into the world. It shows sin to be the origin of global devastation and misery (Gen. 3:119). Paul summed it up in Romans 5:12: “Sin came into the world through one man, and death through sin, and so death spread to all men because all sinned.”

사실상 죄는 모든 육체적 불행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성경의 세 번째 장은 세상에 죄가 들어오는 것을 묘사합니다. 그것은 죄가 세계적인 황폐와 불행의 근원임을 보여줍니다(3:1~19). 바울은 이것을 로마서 5:12에서 이렇게 요약했습니다.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The world has been broken ever since. All its beauty is interwoven with evil and disasters and diseases and frustrations. God had created it perfect. “God saw everything that he had made, and behold, it was very good” (Gen. 1:31). But from humanity’s fall into sin to this very day, history, for all its wonders, is a conveyor belt of corpses.

그 이후로 세상은 망가졌습니다.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은 악과 재난, 질병 및 좌절과 얽혀 있습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완벽하게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1:31). 그러나 인류가 죄에 빠진 이후 오늘날까지의 역사는 그 모든 놀라운 일에 대해 시체의 컨베이어 벨트입니다.

 

 

THE FALL IS JUDGMENT(타락은 심판이다)

 

The Bible does not see this brokenness as merely natural, but as the judgment of God on a world permeated with sin. Here’s how Paul described the effects of God’s judgment on the world because of sin:

성경은 이 망가짐을 단지 자연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죄가 가득찬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봅니다. 다음은 바울이 죄로 인한 세상에 미치는 하나님의 심판의 영향을 묘사한 것입니다:

 

The creation was subjected to futility, not willingly, but because of him who subjected it, in hope that the creation itself will be set free from its bondage to corruption and obtain the freedom of the glory of the children of God. For we know that the whole creation has been groaning together in the pains of childbirth until now. (Rom. 8:2022)

피조물이 허무한 데 굴복하는 것은 자기 뜻이 아니요 오직 굴복하게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 그 바라는 것은 피조물도 썩어짐의 종 노릇 한 데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니라.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8:20-22).

 

Futility. Bondage to corruption. Groaning. These are images of global devastation and misery since sin entered the world. And Paul says this devastation is owing to the judgment of God: “The creation was subjected to futility .  .  . because of him who subjected it in hope” (8:20). Satan did not subject it in hope. Adam did not subject it in hope. God did. As Paul said in Romans 5:16, “The judgment following one trespass brought condemnation.”

허무함. 썩어짐의 종 노릇. 탄식. 이것들은 죄가 세상에 들어온 이래로 세계적인 황폐와 불행의 이미지입니다. 그리고 바울은 이 황폐가 하나님의 심판에 의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피조물이 허무한 데 굴복하는 것은 ... 오직 굴복하게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8:20). 사탄이 원해서 된 것이 아닙니다. 아담은 그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 하셨습니다. 로마서 5:16에서 바울이 말한 것처럼,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정죄에 이르렀습니다.”

 

 

EVEN HIS CHILDREN UNDER JUDGMENT(심지어 그분의 자녀들도 심판 아래에 있다)

 

To be sure, this passage is full of hope“the freedom of the glory of the children of God” (Rom. 8:21). God has a stunning plan for a new creation, where “he will wipe away every tear from their eyes” (Rev. 21:4). But for now, we are all under his judgment. He has subjected the world to death, disaster, and misery.

확실히, 이 구절에는 희망,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8:21)가 가득합니다. 하나님은 새로운 창조에 대한 근사한 계획을 가지고 계십니다. 거기서 그분이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닦아 주실 것”(21:4)입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우리 모두 그분의 심판 아래에 있습니다. 그분은 세상을 죽음, 재난 및 불행에 처하게 했습니다.

 

Yes, even his own childrenthose whom he “predestined .  .  . for adoption” (Eph. 1:5), redeemed by the blood of his Son (Eph. 1:7), and appointed for eternal life (Eph. 1:18)even we suffer and die because of God’s judgment in the fall. “We ourselves, who have the firstfruits of the Spirit, groan inwardly as we wait eagerly for adoption as sons,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Rom. 8:23). Christians get swept away in tsunamis. Christians are killed in terrorist attacks. Christians get the coronavirus.

그렇습니다. 심지어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고”(1:5), 자기 아들의 피로 구속하시고(1:7), 영생을 약속하신(1:18) 자신의 자녀인 우리조차도 타락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때문에 고통받고 죽습니다.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8:23). 기독교인들도 쓰나미에 휩쓸려 갔습니다. 기독교인들도 테러 공격으로 사망했습니다. 기독교인들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립니다.

 

 

PURIFICATION, NOT PUNISHMENT(처벌이 아닌 정화)

 

The difference for Christiansthose who embrace Christ as their supreme treasureis  that our experience of this corruption is not condemnation. “There is therefore now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Christ” (Rom. 8:1). The pain for us is purifying, not punitive.

그리스도를 최고의 보물로 받아들이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차이점은 이 부패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정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8:1). 우리의 고통은 징벌이 아니라 정화입니다.

 

“God has not destined us for wrath” (1  Thess. 5:9). We die of disease and disaster like all humans. But for those who are in Christ, the “sting” of death has been removed (1  Cor. 15:55). “To die is gain” (Phil. 1:21). To depart is to “be with Christ” (Phil. 1:23).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닙니다”(살전 5:9). 우리는 모든 인간처럼 질병과 재앙으로 죽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사망의 쏘는 것이 제거되었습니다(고전 15:55). “죽는 것이 유익입니다”(1:21). 세상을 떠나는 것은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입니다”(1:23).

 

 

SATAN IS REALAND RESTRICTED(사탄은 실재하며 제한적이다)

 

When I trace the miseries of this world back to God’s judgment, I am not shutting my eyes to the fact that Satan is very involved in our global misery. The Bible calls him “the god of this world” (2  Cor. 4:4), and “the ruler of this world” (John 12:31), and “the prince of the power of the air” (Eph. 2:2). He has been “a murderer from the beginning” (John 8:44). He binds and oppresses with many diseases (Luke 13:16; Acts 10:38).

내가 이 세상의 불행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되돌려 놓을 때, 나는 사탄이 우리의 세계적인 불행에 매우 연루되어 있다는 사실에 눈을 감고 있지 않습니다. 성경은 그를 이 세상의 신”(고후 4:4)이 세상의 임금”(12:31)공중의 권세잡은 자”(2:2)라고 부릅니다. 그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였습니다(8:44). 그는 많은 질병을 묶고 압제합니다(13:16; 10:38).

 

But Satan is on a leash. The leash is in God’s hands. He does not act without God’s leave. He acts only with permission and limitation (Job 1:12; 2:6; Luke 22:31; 2 Cor. 12:7). God decides finally the extent of Satan’s damage. He is not separate from God’s judgment. He serves itunwittingly.

그러나 사탄은 목줄에 매여 있습니다. 그 목줄은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허락 없이는 행동하지 않습니다. 그는 오직 허락과 제한으로만 행동합니다(1:12; 2:6; 22:31; 고후 12:7). 하나님께서 결국 사탄의 피해 정도를 결정하십니다. 그는 하나님의 심판과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는 부지불식간에 하나님의 심판을 제공합니다.

 

 

KEY QUESTION(핵심 질문)

 

Now here is the question that brings the meaning of the coronavirus into sharper focus. Why did God bring a physical judgment on the world for a moral evil? Adam and Eve defied God. Their hearts turned against God. They preferred their own wisdom to his. They chose independence over trust. This defying and preferring and choosing was a spiritual and moral evil. It was sin in the soul first, not in the body. It was first Godward, not manward.

이제 코로나 바이러스의 의미를 보다 선명하게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왜 세상의 도덕적 악에 대해 육체적 심판을 내리셨습니까?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께 도전했습니다. 그들의 마음은 하나님으로부터 돌아섰습니다. 그들은 그분의 지혜보다 자신들의 지혜를 선호했습니다. 그들은 신뢰보다 독립을 선택했습니다. 도전하고 선호하고 선택하는 것은 영적이고 도덕적인 악이었습니다. 그것은 육체가 아니라 먼저 영혼의 죄였습니다. 그것은 사람을 향한 것이 아니라 먼저 하나님을 향한 것이었습니다.

 

But in response to moral and spiritual rebellion, God subjected the physical world to disaster and misery. Why? Why not leave the physical world in good order and bring misery on the human soul, since that’s where it all started?

그러나 도덕적이고 영적인 반역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님께서는 육체적인 세계를 재난과 불행에 처하게 하셨습니다. 왜 그럴까요? 모든 것의 시작이 영혼으로부터이므로 왜 인간의 영혼에 불행이 오도록 하고 육체의 세계는 질서 있게 내버려두지 않으시는 것일까요?

 

AN ANSWER(해답)

 

Here’s my suggestion: God put the physical world under a curse so that the physical horrors we see around us in diseases and calamities would become a vivid picture of how horrible sin is. In other words, physical evil is a parable, a drama, a signpost pointing to the moral outrage of rebellion against God.

내 제안은 이렇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우리 주변에서 보는 질병과 재난 같은 육체적 공포가 죄가 얼마나 끔찍한 것인지에 대한 생생한 그림이되도록 육체의 세계를 저주 아래 두셨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육체적 악은 하나님을 거역하는 반항의 도덕적 능욕을 가리키는 비유이자 드라마이자 푯말입니다.

 

Why might that be fitting? Because in our present condition, after the fall, blinded by sin, we cannot see or feel how repugnant sin against God is. Hardly anyone in the world feels the horror of preferring other things over God. Who loses any sleep over our daily belittling of God by neglect and defiance?

이것이 왜 적합할까요? 우리의 현재 상태에서, 즉 타락 이후, 죄에 의해 눈이 먼 상태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거역하는 것이 얼마나 거스르는 것인지 볼 수도 없고 느낄 수도 없습니다. 세상의 어느 누구도 하나님 외에 다른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공포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무시하고 반항함으로써 우리가 매일 하나님을 하찮게 본다는 것 때문에 잠을 못이루는 사람이 누가 있습니까?

 

But, oh, how we feel our physical pain! How indignant we can become if God touches our bodies! We may not grieve over the way we demean God every day in our hearts. But let the coronavirus come and threaten our bodies, and he has our attention. Or does he? Physical pain is God’s trumpet blast to tell us that something is dreadfully wrong in the world. Disease and deformity are God’s pictures in the physical realm of what sin is like in the spiritual realm.

,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육체적 고통을 어떻게 느끼고 있습니까! 하나님이 우리의 몸을 만지시면 얼마나 분개 할 수 있습니까! 우리는 매일 마음속으로 하나님을 모욕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슬퍼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와서 우리 몸을 위협하게 하면, 그분은 우리의 관심을 끕니다. 그런 게 아니면 그분이 우리의 관심을 끌었을까요? 육체적 고통은 세상에 무언가가 끔찍하게 잘못되었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리시는 하나님의 나팔 소리입니다. 영적인 영역에서 죄가 그러하듯이 질병과 결함은 육체적 영역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그림입니다.

 

And that is true, even though some of the most godly people in the world bear those diseases and deformities. Calamities are God’s previews of what sin deserves and will one day receive in judgment a thousand times worse. They are warnings. They are wake-up calls to see the moral horror and spiritual ugliness of sin against God.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경건한 사람들 중 일부가 그러한 질병과 결함을 앓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사실입니다. 재난은 죄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에 대한 하나님의 미리보기이며 언젠가는 천 배나 더 나쁜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그것은 경고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거스르는 죄에 대한 도덕적 공포와 영적인 추악함을 보여주기 위한 깨우침입니다.

 

Would that we could all see and feel how repugnant, how offensive, how abominable it is to treat our Maker with contempt, to ignore him and distrust him and demean him and give him less attention in our hearts than we give the style of our hair.

우리 모두가 모욕적인 태도로 우리의 창조주를 멸시하고, 그분을 무시하고 불신하고 그분을 모욕하며, 우리가 우리의 헤어스타일에 관심을 두는 것보다도 우리 마음에 그분에 대한 관심을 덜 두는 것이 얼마나 모욕적이고, 얼마나 불쾌하고, 얼마나 가증스러운지를 우리가 모두 보고 느낄 수 있었겠습니까?

 

We need to see this, and feel this, or we will not turn to Christ for salvation from the ugliness of sin. We may cry out to escape the penalty of sin. But will we see and hate the God-demeaning, moral ugliness of sin? If we don’t, it will not be because God has not provided vivid portrayals of it in physical miserylike the coronavirus. Therefore, God is mercifully shouting to us in these days: Wake up! Sin against God is like this! It is horrible and ugly. And far more dangerous than the coronavirus.

우리는 이것을 보고 이것을 느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죄의 추악함에서 구원을 얻기 위해 그리스도께로 향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죄의 형벌을 피하기 위해 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을 멸시하는 도덕적으로 추악한 죄를 보고 미워하려 했을까요? 그렇지 않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처럼 하나님이 육체적인 불행으로 생생한 묘사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이 시대에 자비롭게 우리에게 소리치십니다: 깨어나라! 하나님을 거역하는 죄는 이렇다! 그것은 끔찍하고 추악합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위험합니다.

Chapter 7

SENDING SPECIFIC DIVINE JUDGMENTS

(특별한 거룩한 심판을 보내신다)

 

 

ANSWER  2.

(해답 2)

Some people will be infected with the coronavirus as a specific judgment from God because of their sinful attitudes and actions.

어떤 사람들은 죄 많은 태도와 행동 때문에 하나님의 특정한 심판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 될 것입니다.

 

 

The fact that all misery is a result of the falla  result of the entrance of God-diminishing sin into the worlddoes not mean that all individual suffering is a specific judgment for personal sins. For example, Job’s suffering was not owing to his particular sins. The very first sentence of that book makes this clear: “Job . .  . was blameless and upright, one who feared God and turned away from evil” (Job 1:1).

모든 불행이 타락의 결과라는 사실, 즉 하나님의 명성을 떨어뜨리는 죄가 세상에 들어온 결과라는 사실이, 모든 개인의 고통은 개인적인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욥의 고통은 자신의 특정한 죄로 인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책의 첫 문장이 이것을 명확하게 합니다. “... 은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더라”(1:1).

 

And as we saw earlier, God’s own people experience many of the physical effects of his judgment. The apostle Peter put it like this:

그리고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하나님의 백성은 그분의 심판의 많은 물리적 영향을 경험합니다. 사도 베드로는 이것을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It is time for judgment to begin at the household of God; and if it begins with us, what will be the outcome for those who do not obey the gospel of God? And “If the righteous is scarcely saved, what will become of the ungodly and the sinner?” (1 Pet. 4:1718)

하나님의 집에서 심판을 시작할 때가 되었나니 만일 우리에게 먼저 하면 하나님의 복음을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의 그 마지막은 어떠하며, 의인이 겨우 구원을 받으면 경건하지 아니한 자와 죄인은 어디에 서리요?”(벧전 4:17-18).

 

For “the household of God,” this judgment from God is purifying, not punitivenot punishment. So not all suffering is owing to the specific judgments of God on specific sins. Nevertheless, God

sometimes uses disease to bring particular judgments upon those who reject him and give themselves over to sin.

하나님의 집에 대한 하나님의 이런 심판은 징벌, 즉 형벌이 아니라 정화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고통이 특정한 죄에 대한 하나님의 특정한 심판으로 인한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때때로 질병을 사용하여 그분을 거절하고 자기 자신들을 죄에 넘겨준 사람들에게 특정한 심판을 내리십니다.

 

 

EXAMPLES OF SPECIFIC JUDGMENTS ON SPECIFIC SINS(특정한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의 예)

 

I’ll give two examples of specific judgments on specific sins.

특정한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의 두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In Acts 12, Herod the king exalted himself by allowing himself to be called a god. “Immediately an angel of the Lord struck him down, because he did not give God the glory, and he was eaten by worms and breathed his last” (Acts 12:23). God can do that with all who exalt themselves. Which means we should be amazed that more of our rulers do not drop dead every day because of their arrogance before God and man. God’s restraint is a great mercy.

사도행전 12장에서 헤롯 왕은 자신을 신이라고 부르도록 함으로써 스스로를 높였습니다. “헤롯이 영광을 하나님께로 돌리지 아니하므로 주의 사자가 곧 치니 벌레에게 먹혀 죽으니라 ”(12:23). 하나님은 스스로를 높이는 모든 사람에게 그렇게 하실 수 있습니다. 그것은, 더 많은 통치자들이 하나님과 사람 앞에 오만한 것으로 인하여 매일 죽지 않는다는 것에 우리가 놀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구속은 아주 큰 자비입니다.

 

Another example is the sin of homosexual intercourse. In Romans 1:27, the apostle Paul says, “Men likewise gave up natural relations with women and were consumed with passion for one another, men committing shameless acts with men and receiving in themselves the due penalty for their error.” That “due penalty” is the painful effect “in themselves” of their sin.

또 다른 예는 동성애 성관계의 죄입니다. 로마서 1:27에서 사도 바울은 이렇게 말합니다: “남자들도 순리대로 여자 쓰기를 버리고 서로 향하여 음욕이 불 일듯 하매 남자가 남자와 더불어 부끄러운 일을 행하여 그들의 그릇됨에 상당한 보응을 그들 자신이 받았느니라.” 상당한 보응이란 그들 자신 안에 있는고통스런 결과입니다.

 

This “due penalty” is just one example of the judgment of God that we see in Romans 1:18, where it says, “The wrath of God is revealed from heaven against all ungodliness and unrighteousness of men, who by their unrighteousness suppress the truth.” Therefore, while not all suffering is a specific judgment for specific sins, some is.

상당한 보응은 로마서 1:18에서 보는 하나님의 심판의 한 예일 뿐입니다. 거기서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하지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부터 나타나나니.” 그러므로 모든 고통이 특정한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은 아니지만, 일부는 그렇습니다.

 

 

LET EVERY SOUL BE SEARCHED(각자의 영혼을 살펴봅시다)

 

The coronavirus is, therefore, never a clear and simple punishment on any person. The most loving, Spirit-filled Christian, whose sins are forgiven through Christ, may die of the coronavirus disease. But it is fitting that every one of us search our own heart to discern if our suffering is God’s judgment on the way we live.

따라서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떤 사람에게도 명확하고 간단한 처벌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를 통해 죄를 용서받은 가장 사랑이 많고 성령 충만한 그리스도인도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으로 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자신의 고통이 우리가 사는 방식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인지 분별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을 살펴보는 것이 적합합니다.

 

If we come to Christ, we can know that our suffering is not the punitive judgment of God. We can know this because Jesus said, “Whoever hears my word and believes him who sent me has eternal life. He does not come into judgment, but has passed from death to life” (John 5:24). There is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Christ Jesus (Rom. 8:1). It is discipline, not destruction. “For the Lord disciplines the one he loves, and chastises every son whom he receives” (Heb. 12:6).

우리가 그리스도께 나아오면 우리의 고통이 하나님의 징벌적인 심판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 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5: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정죄가 없습니다(8:1). 그것은 멸망이 아니라 징계입니다. “주께서 그 사랑하시는 자를 징계하시고 그가 받아들이시는 아들마다 채찍질하심이라”(12:6).

Chapter 8

AWAKENING US FOR THE SECOND COMING

(우리에게 재림을 일깨우기)

 

 

ANSWER  3.

(해답 3)

The coronavirus is a God-given wake-up call to be ready for the second coming of Christ.

코로나 바이러스는 그리스도의 재림을 준비하라고 하나님이 주신 깨우침입니다.

 

 

Even though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s littered with failed predictions of the end of the world, it remains true that Jesus Christ is coming back. “Men of Galilee,” the angel said at Jesus’s departure, “why do you stand looking into heaven? This Jesus, who was taken up from you into heaven, will come in the same way as you saw him go into heaven” (Acts 1:11).

비록 기독교 교회의 역사가 세상의 종말에 대한 예언이 실패한 것으로 인하여 어수선해졌지만 예수 그리스도가 다시 오시는 것은 사실로 남아 있습니다. 예수님이 떠나셨을 때 천사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아, 어찌하여 서서 하늘을 쳐다보느냐 너희 가운데서 하늘로 올려지신 이 예수는 하늘로 가심을 본 그대로 오시리라”(1:11).

 

At his coming, he will judge the world:

그분이 오시면, 그분은 세상을 심판하실 것입니다:

 

When the Son of Man comes in his glory, and all the angels with him, then he will sit on his glorious throne. Before him will be gathered all the nations, and he will separate people one from another as a shepherd separates the sheep from the goats. (Matt. 25:3132)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 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구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구분하는 것 같이 하여(25:31-32).

 

For those who are not ready to meet Christ, that day will come suddenly like a trap:

그리스도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 날이 갑자기 뜻밖에 덫과 같이 올 것입니다:

 

Watch yourselves lest your hearts be weighed down with dissipation and drunkenness and cares of this life, and that day come upon you suddenly like a trap. (Luke 21:34)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라 그렇지 않으면 방탕함과 술취함과 생활의 염려로 마음이 둔하여지고 뜻밖에 그 날이 덫과 같이 너희에게 임하리라(21:34).

 

 

BIRTH PAINS(산고/재난의 시작)

 

Jesus said there would be pointers to his cominglike wars, famines, and earthquakes (Matt. 24:7). He called these signs “birth pains” (Matt. 24:8). The image is of the earth as a woman in labor, trying to give birth to the new world, which Jesus would bring into being at his coming.

예수님은 그분의 재림에 대하여 전쟁, 기근, 지진과 같은 징조가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24:7). 그분은 이 징후를 재난의 시작이라고 했습니다(24:8). 그 이미지는 예수님이 재림하실 때 가져올 새로운 세상을 낳으려고 노력하는, 산고를 치르는 여성과 같은 땅의 모습입니다.

 

Paul picked up this imagery in Romans 8:22 and referred the birth pains to all the groanings of this ageall the miseries of disaster and disease (like the coronavirus). He pictured us in our diseases as part of the labor pains of the world. We groan as we wait for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at the coming of Jesus, when he will raise the dead and gives us new, glorious bodies (Phil. 3:21):

바울은 로마서 8:22에서 이 이미지를 집어 들고 이 시대의 모든 신음 소리,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모든 재난과 질병의 불행에 대해 출산의 고통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우리의 질병을 세상이 겪는 출산의 고통의 일부로 묘사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오셔서 우리 몸을 구속해 주실 것을 기다릴 때 신음합니다. 그때 그분은 죽은 자를 일으키시고 새롭고 영광스러운 몸을 주실 것입니다(3:21).

 

The creation itself will be set free from its bondage to corruption and obtain the freedom of the glory of the children of God. For we know that the whole creation has been groaning together in the pains of childbirth until now. And not only the creation, but we ourselves, who have the firstfruits of the Spirit, groan inwardly as we wait eagerly for adoption as sons,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Rom. 8:2123)

그 바라는 것은 피조물도 썩어짐의 종 노릇 한 데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니라.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출산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8:21-23).

 

 

STAY AWAKE!(깨어 있으라!)

 

My point is this: Jesus wants us to see the birth pains (including the coronavirus) as reminders and alerts that he is coming and that we need to be ready. “You .  .  . must be ready, for the Son of Man is coming at an hour you do not expect” (Matt. 24:44).

요점은 이렇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산고(코로나 바이러스를 포함하여)를 그분이 오시고 있으니 준비하고 있으라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경고로 보기를 원하십니다. “너희도 준비하고 있으라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24:44).

 

You don’t have to be a date setter in order take seriously what Jesus says. And what he says is unmistakable: “Be on guard, keep awake. For you do not know when the time will come. . . . Stay awakefor you do not know when the master of the house will come. . .  . And what I say to you, I say to all: Stay awake” (Mark 13:3337).

예수님이 하신 말씀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위해 날짜를 정해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그분이 하신 말씀은 틀림없습니다: “주의하라 깨어 있으라 그 때가 언제인지 알지 못함이라 ... 깨어 있으라 집 주인이 언제 올는지 ... 너희가 알지 못함이라 ... 깨어 있으라 내가 너희에게 하는 이 말은 모든 사람에게 하는 말이니라”(13:33~37).

 

The message is clear. Stay awake. Stay awake. Stay awake. And the birth pains of the natural world are meant for this message. But, oh, how many people are not awake! For all their frenzied activity, they are sound asleep in regard to the coming of Jesus Christ. The peril is great. And the coronavirus is a merciful wake-up call to be ready.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깨어 있으십시오. 깨어 있으십시오. 깨어 있으십시오. 그리고 자연계의 산고는 이 메시지를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깨어 있지 않습니다! 열광적인 활동을 하고 있지만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과 관련해서는 깊이 잠들어 있습니다. 위험이 큽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는 준비를 위한 자비로운 깨우침입니다.

 

The way to be ready is to come to Jesus Christ, receive forgiveness for sins, and walk in his light. Then you will be among those who

준비하는 길은 예수 그리스도께 와서 죄에 대한 용서를 받고 그분의 빛 가운데 걷는 것입니다. 그러면 당신은 다음 사람들 가운데 있게 될 것입니다.

 

are not in darkness for that day to surprise you like a thief. For you are all children of light. . .  . So then . .  . let us keep awake. . .  . For God has not destined us for wrath, but to obtain salvation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who died for us so that whether we are awake or asleep we might live with him. (1 Thess. 5:410)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 그러므로 ...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 ...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살전 5:4-10).

 

 

 

Chapter 9

REALIGNING US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

(무한한 가치의 그리스도로 우리를 재정립하기)

 

 

ANSWER  4.

(해답 4)

The coronavirus is God’s thunderclap call for all of us to repent and realign our lives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 모두가 회개하고 무한한 가치의 그리스도와 함께 우리의 삶을 재정립하도록 요구하시는 하나님의 천둥소리입니다.

 

 

The coronavirus is not unique as a call to repentance. In fact, all natural disasterswhether floods, famines, locusts, tsunamis, or diseasesare God’s painful and merciful summons to repent.

코로나 바이러스는 회개로의 부르심으로써 유일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홍수, 기근, 메뚜기, 쓰나미, 질병 등의 모든 자연 재해는 회개에 대한 하나님의 고통스럽고 자비로운 호출입니다.

 

We see this from the way Jesus responds to disaster in Luke 13:15:

우리는 누가복음 13:1~5에서 예수님이 재난에 대해 반응하신 방식에서 이것을 봅니다:

 

There were some present at that very time who told him about the Galileans whose blood Pilate had mingled with their sacrifices. And he answered them, “Do you think that these Galileans were worse sinners than all the other Galileans, because they suffered in this way? No, I tell you; but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Or those eighteen on whom the tower in Siloam fell and killed them: do you think that they were worse offenders than all the others who lived in Jerusalem? No, I tell you; but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그 때 마침 두어 사람이 와서 빌라도가 어떤 갈릴리 사람들의 피를 그들의 제물에 섞은 일로 예수께 아뢰니,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이 갈릴리 사람들이 이같이 해 받으므로 다른 모든 갈릴리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줄 아느냐?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니라 너희도 만일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또 실로암에서 망대가 무너져 치어 죽은 열여덟 사람이 예루살렘에 거한 다른 모든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줄 아느냐?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니라 너희도 만일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Pilate had slaughtered worshipers in the temple. The tower in Siloam had collapsed and killed eighteen bystanders. One disaster was the fruit of human wickedness. The other was apparently an accident.

빌라도는 성전에서 예배자들을 학살했습니다. 실로암의 망대가 무너져 18명의 구경꾼이 죽었습니다. 한 가지 재난은 인간의 악의 열매였습니다. 다른 하나는 분명히 사고였습니다.

 

 

THE MEANING OF CALAMITYFOR YOU(당신을 위한 재난의 의미)

 

The crowds want to know from Jesus, “What’s the meaning of this? Was it an act of God’s specific judgment on specific sins?” Jesus’s answer is amazing. He draws a meaning from these disasters that relates to everyone, not just the ones who died. In both cases, he says, “No, those who were murdered by Pilate and those who were crushed under the tower were not worse sinners thanyou.”

군중들은 예수님으로부터 이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것은 특정한 죄에 대한 하나님의 특정한 심판의 행위인가?”를 알기 원했습니다. 예수님의 대답은 놀랍습니다. 그분은 이 재난으로부터 죽은 사람들 뿐 아니라 모든 사람과 관련된 의미를 이끌어냅니다. 그분은 두 경우 모두 아니다, 빌라도에 의해 살해된 사람들과 망대 아래에서 압사한 사람들은 너희보다 더 나쁜 죄인이 아니었다라고 말합니다.

 

You? Why does he bring up their sin? They weren’t asking for his opinion about their own sin. They were curious about the others. They wanted to know what the disasters meant for the victims, not for the rest of us.

당신은 어떻습니까?? 그분은 왜 그들의 죄를 제기합니까? 그들은 그들 자신의 죄에 대한 그분의 의견을 묻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 대해 궁금했습니다. 그들은 우리들의 나머지에 대해서가 아니라 피해자들에 대해 재난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That’s what makes Jesus’s answer amazing. In essence, he said that the meaning of these disasters is for everyone. And the message is “Repent, or perish.” He says it twice: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Luke 13:3).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13:5).

그것이 예수님의 대답에 놀라게 되는 이유입니다. 본질적으로 그분은 이러한 재난의 의미는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 메시지는 회개하지 아니하면 망하리라입니다. 그분은 그것을 두 번 말씀하셨습니다: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13:3).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13:5).

 

 

MERCIFUL CALL WHILE THERE’S TIME(아직 시간이 있을 때의 자비로운 부르심)

 

What was Jesus doing? He was redirecting the people’s astonishment. The astonishment that prompted these folks to query Jesus is misplaced. They were astonished that people were murdered so cruelly and crushed so meaninglessly. But Jesus says, “What you ought to be astonished at is that you were not the ones murdered and crushed. In fact, if you don’t repent, you yourselves will meet a judgment like that someday.”

예수님은 무엇을 하셨습니까? 그는 사람들이 놀라는 것의 방향을 바꾸고 있었습니다. 이 사람들이 예수님께 질문하도록 했던 놀람은 방향이 잘못되었습니다. 그들은 사람들이 너무나 잔인하게 살해되고 무의미하게 압사되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가 놀라야 할 것은 너희가 살해당하거나 압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실 회개하지 않으면 너희도 언젠가 그와 같은 심판을 받을 것이다.”

 

From this, I infer that God has a merciful message in all such disasters. The message is that we are all sinners, bound for destruction, and disasters are a gracious summons from God to repent and be saved while there is still time. Jesus turned from the dead to the living and essentially said, “Let’s not talk about the dead; let’s talk about you. This is more urgent. What happened to them is about you. Your biggest issue is not their sin but your sin.” I think that’s God’s message for the world in this coronavirus outbreak. He is calling the world to repentance while there’s still time.

이것으로부터, 나는 하나님이 그러한 모든 재난에 자비로운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고 추론합니다. 그 메시지는 우리 모두가 죄인이며, 멸망에 묶여 있으며, 재난은 아직 시간이 있는 동안 회개하고 구원을 받으라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소환입니다. 예수님은 죽은 자로부터 살아있는 자에게로 돌아서서 본질적으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죽은 자에 대해서 이야기 하지 말고, 너희에 대해 이야기하자. 이것이 더 시급하다. 그들에게 일어난 일은 너희에 관한 것이다. 너희의 가장 큰 문제는 그들의 죄가 아니라 너희의 죄이다.” 이것이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에서 세상에 전하는 하나님의 메시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분은 아직 시간이 있는 동안 세상을 회개하도록 부르고 있습니다.

 

 

WHAT DOES REPENTANCE MEAN?(회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Let’s be more specific. What does repentance mean? The word in the New Testament means a change of heart and mind. Not a superficial change of opinion, but a deep transformation so that we perceive and prize God and Jesus for who they really are. Jesus described the change like this:

좀 더 구체적으로 합시다. 회개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신약 성경에서 그 단어는 마음과 생각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견해의 피상적인 변화가 아니라, 깊은 탈바꿈을 하여 우리가 하나님과 예수님이 실제로 누구인지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그 변화를 이렇게 변화를 묘사했습니다:

 

You shall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Matt. 22:37)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22:37).

 

Whoever loves father or mother more than me is not worthy of me, and whoever loves son or daughter more than me is not worthy of me. (Matt. 10:37)

아버지나 어머니를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는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고 아들이나 딸을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며(10:37).

 

In other words, the most fundamental change of heart and mind that repentance calls for is to treasure God with all that you are and to treasure Jesus more than all other relations.

다시 말해, 회개가 요구하는 가장 근본적인 마음과 생각의 변화는 당신의 모든 모습으로 하나님을 소중히 여기고 다른 모든 관계보다 예수님을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WHY WOULD JESUS THREATEN US WITH PERISHING?(예수님은 왜 우리를 멸망이라는 것으로 겁 주시는가?)

 

The reason Jesus said that we all likewise would perish if we don’t repent is that we all have exchanged the treasure that God is for lesser things we love more (Rom. 1:2223), and we all have treated Jesus as less desirable than money and entertainment and friends and family. The reason all of us deserve to perish is not a list of rules we have broken, but an infinite value we have scornedthe infinite value of all that God is for us in Jesus Christ.

우리가 회개하지 않으면 우리도 마찬가지로 멸망할 것이라고 예수님이 말한 이유는 우리 모두가 하나님을 더 소중히 여기는 것을 우리가 더 사랑하는 것보다 덜 한 것으로(1:22~23) 바꿔버렸으며, 예수님을 돈과 유흥과 친구보다도 덜 소중한 것으로 바꿔버렸기 때문입니다. 우리 모두가 멸망 받아야 마땅한 이유는 우리가 깨뜨린 규칙의 목록이 아니라, 우리가 멸시한 무한한 가치, 즉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모든 것의 무한한 가치를 무시했기 때문입니다.

 

 

WAKING UP TO OUR SUICIDAL PREFERENCES(우리의 자멸적인 편애에서 깨어나기)

 

Repentance means waking up from the suicidal preference of tin over gold, foundations of sand over solid rock, games in the gutter over a holiday at the sea. As C. S. Lewis writes:

회개는 금보다 주석을 더 사랑하는 것, 견고한 바위의 기초보다 모래 기초를 더 사랑하는 것, 해변에서 휴가를 즐기는 것보다 빈민굴에서 게임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자멸적인 편애에서 깨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C.S. Lewis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We are half-hearted creatures, fooling about with drink and sex and ambition when infinite joy is offered us, like an ignorant child who wants to go on making mud pies in a slum because he cannot imagine what is meant by the offer of a holiday at the sea. We are far too easily pleased.(5)

우리는 반신반의하는 존재이며, 우리에게 무한한 기쁨이 제공되어 있는데도, 마치 해변에서의 휴일이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라서 빈민가에서 진흙으로 파이나 만들기를 원하는 무지한 아이처럼 술과 섹스와 야망 주위에 어슬렁거립니다. 우리는 너무 쉽게 기뻐합니다.(5)

 

The “infinite joy” Lewis mentions is the experience of seeing and savoring and sharing the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of Christ.

루이스가 언급한 무한한 기쁨은 그리스도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보고 맛보고 나누는 경험을 말합니다.

 

 

ROUSED TO RELY ON CHRIST(깨어 일어나 예수님께 의지하기)

 

What God is doing in the coronavirus is showing usgraphically, painfullythat nothing in this world gives the security and satisfaction that we find in the infinite greatness and worth of Jesus. This global pandemic takes away our freedom of movement, our business activity, and our face-to-face relations. It takes away our security and our comfort. And, in the end, it may take away our lives.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하나님이 하시고 있는 일은 이 세상의 어떤 것도 예수님의 무한하신 위대함과 가치에서 찾을 수 있는 안전과 만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그림으로, 고통스럽게 보여주시는 것입니다. 이 세계적인 대유행병은 우리의 자유로운 이동, 비즈니스 활동 및 대면 관계를 빼앗아갑니다. 그것은 우리의 안전과 안락함을 빼앗아갑니다. 그리고 결국 그것은 우리의 생활을 빼앗아 갈 것입니다.

 

The reason God exposes us to such losses is to rouse us to rely on Christ. Or to put it another way, the reason he makes calamity the occasion for offering Christ to the world is that the supreme, all-satisfying greatness of Christ shines more brightly when Christ sustains joy in suffering.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러한 상실에 노출시키는 이유는 우리가 그리스도를 의지하도록 일깨우기 위해서입니다. 달리 말하면, 그분이 재난을 세상에 그리스도를 전할 기회로 만드신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고통 가운데 기쁨을 지탱하실 때 최고로 만족시키는 그리스도의 위대하심이 더 밝게 빛나기 때문입니다.

 

 

GIFT OF DESPERATION(절망의 선물)

 

Consider, for example, why God brought Paul to the point where he despaired of life:

예를 들어, 하나님께서 바울의 삶을 절망 가운데 빠뜨리신 점을 생각해보십시오:

 

We do not want you to be unaware, brothers, of the affliction we experienced in Asia. For we were so utterly burdened beyond our strength that we despaired of life itself. Indeed, we felt that we had received the sentence of death. But that was to make us rely not on ourselves but on God who raises the dead. (2 Cor. 1:89)

형제들아 우리가 아시아에서 당한 환난을 너희가 모르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니 힘에 겹도록 심한 고난을 당하여 살 소망까지 끊어지고, 우리는 우리 자신이 사형 선고를 받은 줄 알았으니 이는 우리로 자기를 의지하지 말고 오직 죽은 자를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만 의지하게 하심이라(고후 1:8-9).

 

Paul does not view this experience of desperation as satanic or random. It is purposeful. And God is the one whose purpose is mentioned: this life-threatening experience “was to make us rely not on ourselves but on God who raises the dead” (1:9).

바울은 이 절망의 경험을 사탄적이거나 무작위적인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것은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목적이 언급된 대상은 하나님이십니다: 이 생명을 위협하는 경험은 우리로 자기를 의지하지 말고 오직 죽은 자를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만 의지하게 하신 것입니다”(1:9).

 

This is the message of the coronavirus: Stop relying on yourselves and turn to God. You cannot even stop death. God can raise the dead. And of course “relying on God” does not mean that Christians become do-nothings. Christians have never been do-nothings. It means that the ground, the pattern, and the goal of all our doings is God. As Paul said, “I worked harder than any of them, though it was not I, but the grace of God that is with me” (1 Cor. 15:10).

이것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메시지입니다: 자기 자신을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께로 돌아서십시오. 당신은 죽음을 막을 수도 없습니다. 하나님은 죽은 자를 일으키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하나님을 의지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모든 행동의 근거, 패턴 및 목표가 하나님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울이 말했듯이,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고전 15:10).

 

The coronavirus calls us to make God the all-important, pervasive reality in our lives. Our lives depend on him more than they depend on breath. And sometimes God takes our breath in order to throw us onto himself.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이 가장 중요하고 어디에나 계시는 실재로 만들기 위해 우리를 부릅니다. 우리의 삶은 그 삶이 호흡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많이 그분께 의존합니다. 그리고 때때로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께로 던지기 위해 우리의 호흡을 취하십니다.

 

 

THE MEANING OF THORNS(가시의 의미)

 

Or consider God’s purpose in Paul’s painful thorn in the flesh:

또는 바울의 육체의 고통스런 가시에 들어있는 하나님의 목적을 생각해 봅시다:

 

To keep me from becoming conceited because of the surpassing greatness of the revelations, a thorn was given me in the flesh, a messenger of Satan to harass me, to keep me from becoming conceited. Three times I pleaded with the Lord about this, that it should leave me. But he said to me,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Therefore I will boast all the more gladly of my weaknesses, so that the power of Christ may rest upon me. (2 Cor. 12:79)

여러 계시를 받은 것이 지극히 크므로 너무 자만하지 않게 하시려고 내 육체에 가시 곧 사탄의 사자를 주셨으니 이는 나를 쳐서 너무 자만하지 않게 하려 하심이라. 이것이 내게서 떠나가게 하기 위하여 내가 세 번 주께 간구하였더니, 나에게 이르시기를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하신지라 그러므로 도리어 크게 기뻐함으로 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 이는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게 머물게 하려 함이라(고후 12:7-9).

 

Paul was blessed with great revelations. God saw the danger of pride. Satan saw the danger of truth and joy. God governs Satan’s strategy so that what Satan thinks will ruin Paul’s witness actually serves Paul’s humility and gladness. Paul gets a thorn in the flesha  “messenger of Satan.” And a messenger of God! We don’t know what the thorn is. But we know that thorns are painful. And we know that Paul asked three times that Christ would take it away.

바울은 큰 계시를 받는 복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은 교만의 위험을 보셨습니다. 사탄은 진리와 기쁨의 위험을 보았습니다. 하나님은 사탄의 전략을 다스리셔서 사탄이 바울의 간증을 망가뜨렸다고 생각하는 그 일이 실제로는 바울의 겸손과 기쁨에 도움이 되도록 하셨습니다. 바울은 육체에 가시, 사탄의 사자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사자! 우리는 그 가시가 무엇인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가시가 아프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바울이 그리스도가 그것을 제거해 달라고 세 번 간구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But Christ will not. He has a purpose for this pain. Namely,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12:9). His purpose is that through Paul’s unwavering faith and joy, Christ would shine as more valuable than health. Paul’s response to this purpose? “I will boast all the more gladly of my weaknesses” (12:9).

그러나 그리스도는 그렇게 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분은 이 고통에 대한 목적이 있습니다. ,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 ”(12:9). 그분의 목적은 바울의 흔들리지 않는 믿음과 기쁨을 통해 건강보다 그리스도가 더 가치 있게 빛나는 것입니다. 이 목적에 대한 바울의 반응은? “도리어 크게 기뻐함으로 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12:9).

 

Gladly! How can this be? Why is Paul willing to embrace his thorn with gladness? Because his greatest goal in life is that Christ be magnified in his body whether by life or by death (Phil. 1:20). To see the beauty of Christ, to cherish Christ as his supreme treasure, to show Christ to the world as better than health and lifethat was Paul’s joy. A beautiful poem called “The Thorn,” by Martha Snell Nicholson (18981953), ends like this:

기뻐함으로!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요? 바울은 왜 기뻐함으로 그의 가시를 기꺼이 받아들일까요? 인생에서 그의 가장 큰 목표는 살든지 죽든지 그의 몸 안에서 그리스도가 존귀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1:20)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보고, 그리스도를 그의 최고의 보물로 소중히 여기며, 건강과 삶보다 그리스도가 더 좋다는 것을 세상에 보여 주는 것, 그것이 바울의 기쁨이었습니다. Martha Snell Nicholson(18981953)가시/The Thorn”라는 아름다운 시는 다음과 같이 끝납니다:

 

I learned He never gives a thorn without this added grace, He takes the thorn to pin aside the veil which hides His face.

나는 그분이 이 은혜를 더하지 않고서는 가시를 주지 않으신다는 것을 배웠고, 그분은 가시를 취하셔서 그분의 얼굴을 가리고 있는 베일을 치우신다네.

 

 

IN LOSS, GAIN(상실 가운데 얻는 것)

 

Paul embraced loss, in part, because in the loss, Christ was more fully gain:

바울은 부분적으로 상실을 받아 들였습니다. 그것은 상실 가운데 그리스도를 보다 충분히 얻기 때문입니다:

 

Indeed, I count everything as loss because of the surpassing worth of knowing Christ Jesus my Lord. For his sake I have suffered the loss of all things and count them as rubbish, in order that I may gain Christ. (Phil.  3:8)

또한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하기 때문이라. 내가 그를 위하여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배설물로 여김은 그리스도를 얻고(3:8)

 

This is what it means to repent: to experience a change of heart and mind that treasures God in Christ more than life. “Because your steadfast love is better than life, my lips will praise you” (Ps. 63:3). This was Paul’s faith. It was true in life and death. In life, because Christ is the sweetness of every pleasure, and better than them all. And in death, because “in [God’s] presence there is fullness of joy; at [his] right hand are pleasures forevermore” (Ps. 16:11).

회개한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와 같습니다: 생명보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과 생각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 “주의 인자하심이 생명보다 나으므로 내 입술이 주를 찬양할 것이라”(63:3). 이것이 바울의 믿음이었습니다. 살든지 죽든지 그것이 사실이었습니다. 삶에 있어서는, 그리스도가 모든 기쁨의 달콤함이며 모든 것보다 낫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죽음에 있어서는 주의 앞에는 충만한 기쁨이 있고 주의 오른쪽에는 영원한 즐거움이 있나이다”(16:11).

 

The coronavirus pandemic is the experience of lossfrom the smallest loss of convenience to the greatest loss of life. And if we know the secret of Paul’s joy, we may experience the loss as gain. That is what God is saying to the world. Repent and realign your life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병은 편의라는 가장 작은 손실에서 생명이라는 가장 큰 손실에 이르는 손실의 경험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바울의 기쁨의 비밀을 알고 있다면, 우리는 그 손실을 이득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이 세상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회개하고 당신의 삶을 그리스도의 무한한 가치에 맞게 조정하십시오.

 

 

 

Chapter 10

CREATING GOOD WORKS IN DANGER

(위험 속에서 선한 일 만들기)

 

ANSWER  5.

(해답 5)

The coronavirus is God’s call to his people to overcome self-pity and fear, and with courageous joy, to do the good works of love that glorify God.

코로나 바이러스는 그분의 백성으로 하여금 자기 연민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용기있는 기쁨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선한 사랑의 일을 하게 하는 하나님의 부르심입니다.

 

 

Jesus taught his followers to “let your light shine before others, so that they may see your good works and give glory to your Father who is in heaven” (Matt. 5:16). What is often not noticed is that being the salt of the earth and the light of the world in this way was the more salty and the more bright because the good deeds were to be done even in the midst of suffering.

예수님은 그분의 제자들에게 너희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5:16)고 가르쳤습니다. 착한 행실은 고통 가운데서도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세상의 소금과 세상의 빛이 되는 것이 더 짜고 더 밝다는 것은 종종 주목을 받지 못합니다.

 

 

BRIGHTNESS IN THE DARKNESS OF DANGER(위험의 어둠 가운데서 밝게 빛남)

 

Jesus has just said, “Blessed are you when others revile you and persecute you and utter all kinds of evil against you falsely on my account. Rejoice and be glad, for your reward is great in heaven” (Matt. 5:1112). Then, without a break, he says, “You are the salt of the earth. .  .  . You are the light of the world” (Matt. 5:1316).

방금 전에 예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나로 말미암아 너희를 욕하고 박해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슬러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5:11~12). 그리고는 쉬지 않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5:13~16).

 

It is not mere good deeds that give Christianity its tang and luster. It is good deeds in spite of danger. Many nonChristians do good deeds. But seldom do people give glory to God because of them.

기독교에 풍미와 광채를 주는 것은 단순한 착한 행실이 아닙니다. 그것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행하는 착한 행실입니다. 많은 비기독교인들은 착한 행동을 합니다. 그러나 그것들 때문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Yes, the danger in Matthew 5 was persecution, not disease. But the principle holds. Deeds of love in the context of danger, whether disease or persecution, point more clearly to the fact that these deeds are sustained by hope in God. For example, Jesus says:

그렇습니다. 마태복음 5장의 위험은 질병이 아니라 박해였습니다. 그러나 원칙은 계속 유지됩니다. 질병이든 박해든 관계없이 위험의 맥락에서 사랑의 행위는, 이러한 행위가 하나님 안에 있는 희망으로 지지된다는 사실을 더 분명하게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When you give a feast, invite the poor, the crippled, the lame, the blind, and you will be blessed, because they cannot repay you. For you will be repaid at the resurrection of the just. (Luke 14:1314)

잔치를 베풀거든 차라리 가난한 자들과 몸 불편한 자들과 저는 자들과 맹인들을 청하라. 그리하면 그들이 갚을 것이 없으므로 네게 복이 되리니 이는 의인들의 부활시에 네가 갚음을 받겠음이라(14:13-14).

 

Hope in God beyond death (“you will be repaid at the resurrection”) sustains and empowers good deeds that hold no prospect for reward in this life. The same would hold true for good deeds that put us in danger, especially the danger of death.

죽음을 초월한 하나님에 대한 소망(“부활에서 보상을 받을 것입니다”)은 이생에서 보상을 기대하지 않는 착한 행실을 지탱하고 힘을 실어줍니다. 우리를 특별히 죽음의 위험과 같은 위험에 처하게 하는 선한 행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진리가 성립합니다.

 

 

HOW PETER APPLIED JESUS’S TEACHING(베드로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어떻게 적용했나)

 

The apostle Peter, more than any other New Testament writer, picks up the explicit teaching of Jesus about good deeds:

신약의 다른 어떤 저자보다 사도 베드로는 착한 행실에 대한 예수님의 명백한 가르침을 선택합니다.

 

Keep your conduct among the Gentiles honorable, so that when they speak against you as evildoers, they may see your good deeds and glorify God on the day of visitation. (1 Pet. 2:12)

너희가 이방인 중에서 행실을 선하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벧전 2:12).

 

And Peter makes the same point about good deeds in the face of danger. He says, “Let those who suffer according to God’s will entrust their souls to a faithful Creator while doing good” (1  Pet. 4:19). In other words, don’t let the possibility, or the reality, of suffering stop you from doing good deeds.

그리고 베드로는 위험에 직면해서의 착한 행실에 대해서도 동일한 지적을 합니다. 그는 하나님의 뜻대로 고난을 받는 자들은 또한 선을 행하는 가운데에 그 영혼을 미쁘신 창조주께 의탁할지어다라고 말합니다(벧전 4:19). 다시 말해서, 고통의 가능성이나 실재가 착한 행실을 행하는 당신을 멈추지 못하게 하라는 것입니다.

 

 

CHRIST DIED TO CREATE GOOD DEEDS IN DANGER(위험 속에서 착한 행실을 창조하시기 위해 그리스도가 죽으셨다)

 

Peter links this new kind of life with the death of Jesus for our sins: “[Christ] himself bore our sins in his body on the tree, that we might die to sin and live to righteousness” (1  Pet. 2:24). Because of Christ, Christians put sin to death and pour themselves into the good deeds of righteousness.

베드로는 이 새로운 종류의 삶을 우리 죄를 위한 예수님의 죽음과 연관 짓습니다: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벧전 2:24). 그리스도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죄를 죽게 하고 그들 자신을 의의 착한 행실에 부어넣습니다.

 

Paul makes the same connection between the death of Jesus and the zeal of Christians for good works: “[Christ] gave himself for us to redeem us from all lawlessness and to purify for himself a people for his own possession who are zealous for good works” (Titus 2:14).

바울은 예수님의 죽음과 착한 행실에 대한 기독교인의 열심 사이에 동일한 관계를 맺습니다: “[그리스도]가 우리를 대신하여 자신을 주심은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속량하시고 우리를 깨끗하게 하사 선한 일을 열심히 하는 자기 백성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2:14).

 

Paul also makes it plain that these good works are aimed at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s we have opportunity, let us do good to everyone, and especially to those who are of the household of faith” (Gal. 6:10). “See that no one repays anyone evil for evil, but always seek to do good to one another and to everyone” (1 Thess. 5:15).

바울은 또한 이 선한 일들이 기독교인과 비 기독교인 둘 다를 겨냥한 것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회 있는 대로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더욱 믿음의 가정들에게 할지니라”(6:10). “삼가 누가 누구에게든지 악으로 악을 갚지 말게 하고 서로 대하든지 모든 사람을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라 ”(살전 5:15).

 

 

CHRIST MAGNIFIED IN RISKY KINDNESS(위험한 친절 가운데서 그리스도가 확대되다)

 

The ultimate aim of God for his people is that we glorify his greatness and magnify the worth of his Son, Jesus Christ. “Whether you eat or drink, or whatever you do, do all to the glory of God” (1 Cor. 10:31). “It is my eager expectation and hope that . .  . Christ will be magnified in my body, whether by life or by death” (Phil. 1:20, my translation). God glorified in everything. Christ magnified in life and death. This is the great, God-given goal of human life.

자기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가 그분의 위대하심을 영화롭게 하고 그분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가치가 확대되게 하는 것입니다.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고전 10:31). “그것은 나의 간절한 기대이며 희망입니다. ... 살든지 죽든지 내 몸 안에서 그리스도가 확대될 것입니다.”(1:20, 나의 번역). 하나님은 모든 것에서 영화롭게 하셨습니다. 그리스도는 삶과 죽음에서 확대되었습니다. 이것이 인간 삶의 하나님이 주신 위대한 목표입니다.

 

Therefore, one of God’s purposes in the corona virus is that his people put to death self-pity and fear, and give themselves to good deeds in the presence of danger. Christians lean toward need, not comfort. Toward love, not safety. That’s what our Savior is like. That is what he died for.

그러므로 코로나 바이러스 속에서 하나님의 목적 중 하나는 그분의 백성이 자기연민과 두려움을 없애버리고 위험이 있는 중에도 그들 자신을 착한 행실에 내어주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위로가 아니라 필요를 향해 몸을 기울입니다. 안전이 아니라 사랑으로 향합니다. 그것이 우리 구주를 닮는 것입니다. 그것이 그분이 죽으신 목적입니다.

 

 

EXAMPLE OF THE EARLY CHURCH(초대 교회의 예)

 

Rodney Stark, in his book The Triumph of Christianity, points out that in the first centuries of the Christian church the “truly revolutionary principle was that Christian love and charity must extend beyond the boundaries of family and even those of faith, to all in need.”(6)

로드니 스타크(Rodney Stark)는 자신의 저서 기독교의 승리(The Triumph of Christianity)에서, 1세기의 기독교 교회에서 진정한 혁명적인 원칙은 그리스도인의 사랑과 자비가 가족의 경계를 넘어서, 심지어 믿음의 경계를 넘어서 필요한 모든 이들에게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음을 지적합니다.(6)

 

Two great plagues struck the Roman Empire in AD 165 and 251. Outside of the Christian church, there was no cultural or religious foundation for mercy and sacrifice. “There was no belief that the gods cared about human affairs.”(7) And “mercy was regarded as a character defect and pity as a pathological emotion: because mercy involves providing unearned help or relief, it is contrary to justice.”(8)

AD 165년과 251년에 두 개의 커다란 재앙이 로마 제국을 강타했습니다. 기독교 교회 밖에서는 자비와 희생을 위한 문화적 또는 종교적 기초가 없었습니다. “신들이 인간의 문제를 돌보았다는 믿음은 없었습니다.”(7) 그리고 자비는 품성의 결함으로, 동정심은 병적인 감정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자비는 노력하지 않은 도움이나 구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정의에 반하기 때문입니다.”(8)

 

Therefore, while a third of the empire was perishing from disease, physicians fled to their country estates. Those with symptoms were cast out of homes. Priests forsook the temples. But Stark observes, “Christians claimed to have answers and, most of all, they took appropriate actions.”(9)

그러므로 제국의 3분의 1이 질병으로 멸망하는 동안 의사들은 그들의 조국으로 도망쳤습니다.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집에서 쫓겨났습니다. 사제들은 성전을 버렸습니다. 그러나 스타크는 이렇게 주시했습니다. “기독교인들은 해답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무엇보다도 그들은 적절한 조치를 취했습니다.”(9)

 

The answers included the forgiveness of sins through Christ and the hope of eternal life beyond death. This was a precious message in a season of medical helplessness and utter hopelessness.

해답에는 그리스도를 통한 죄의 용서와 죽음을 넘어서는 영생에 대한 소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의학적인 무력감과 전적인 절망의 시기에 귀중한 메시지였습니다.

 

As for the actions, large numbers of Christians cared for the sick and the dying.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plague, Bishop Dionysius of Alexandria wrote a letter, extolling the members of his church:

행동에 관해서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병자와 죽어가는 자를 돌보았습니다. 두 번째 역병이 끝날 무렵,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 주교는 그의 교회 회원들을 칭찬하는 편지를 썼습니다:

 

Most of our brothers showed unbounded love and loyalty, never sparing themselves and thinking only of one another. Heedless of danger, they took charge of the sick, attending to their every need and ministering to them in Christ, and with them departed this life serenely happy.(10)

대부분의 우리 형제들은 무한한 사랑과 충성을 나타내며 결코 자기들 자신을 아끼지 않고 오직 서로만을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병든 자들을 돌보며 그들의 모든 필요에 참여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을 섬겼으며, 이 삶을 그들과 함께 평온히 행복하게 떠났습니다.(10)

 

 

PUTTING TO SILENCE THE IGNORANCE OF EMPERORS(황제의 무지를 침묵시키기)

 

Over time, this countercultural, Christ-sustained care for the sick and the poor had the effect of winning many people away from the surrounding paganism. Two centuries later, when the Roman emperor Julian (AD 332363) wanted to breathe new life back into the ancient Roman religion and saw Christianity as a growing threat, he wrote, in frustration, to the Roman high priest of Galatia: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이 반문화적이고 그리스도를 지지하는 돌봄은 많은 사람들을 주변 이교도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져 왔습니다. 2세기 후 로마 황제 줄리안(AD 332363)이 고대 로마 종교에 다시 새 생명을 불어 넣기 원하는데, 기독교를 위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그는 좌절하여 갈라디아 로마 대제사장에게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Atheism [i.e., Christian faith] has been specially advanced through the loving service rendered to strangers, and through their care for the burial of the dead. It is a scandal that there is not a single Jew who is a beggar, and that the godless Galileans [i.e., Christians] care not only for their own poor but for ours as well; while those who belong to us look in vain for the help that we should render them.(11)

무신론[, 기독교 신앙]은 낯선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사랑의 봉사와 죽은 자들의 매장에 대한 그들의 돌봄을 통해 특별하게 발전해왔다. 거지인 유대인이 한 명도 없고 신이 없는 갈릴리 사람들[, 그리스도인]이 자기 민족의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난한 사람도 돌보는 것이 물의이다. 반면에 우리에게 속한 사람들은 우리가 보답해야 할 도움을 찾아볼 수 없다.(11)

 

 

RELIEVING GOD-SENT SUFFERING(하나님이 보내신 고통을 덜어내기)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seeing the coronavirus as God’s act and calling Christians to take risks to alleviate the suffering that it causes. Ever since God subjected the world to sin and misery at the fall, he has ordained that his people seek to rescue the perishing, even though he is the one who has appointed the judgment of perishing. God himself came into the world in Jesus Christ to rescue people from his own just judgment (Rom. 5:9). That is what the cross of Christ means.

코로나 바이러스를 하나님의 행위로 보는 것과 그것이 일으킨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도록 그리스도인을 부르신 것 사이에는 모순이 없습니다. 타락한 세상을 하나님이 죄와 불행에 처하도록 하신 이래로, 비록 그분이 멸망의 심판을 지정하신 분이라 할지라도, 그분은 그분의 백성들로 하여금 멸망에서의 구출을 추구하도록 정하셨습니다. 하나님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에 오셔서 사람들을 그분 자신의 정당한 심판으로부터 구해주셨습니다(5:9). 그것이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의미하는 바입니다.

 

Therefore, the good deeds of God’s people will include prayers for the healing of the sick and for God to stay his hand and turn back the pandemic, and that he would provide a cure. We pray about the coronavirus, and we work to alleviate its suffering the way Abraham Lincoln prayed for the end of the Civil War, and worked to end it, even though he saw it as a judgment from God:

그러므로 하나님의 백성의 착한 행실에는 병든 사람이 나음을 받는 것과 하나님이 손을 떼지 않고 대유행병을 되돌리시고 치료해 주실 것을 위한 기도가 포함될 것입니다. 아브라함 링컨이 남북 전쟁의 종식을 위해 기도했고, 비록 그는 전쟁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보았지만 그 전쟁을 끝내기 위해 일했던 방식으로,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놓고 기도하고, 그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합니다:

 

Fondly do we hopefervently do we praythat this mighty scourge of war may speedily pass away. Yet, if God wills that it continue, until all the wealth piled by the bond-man’s two hundred and fifty years of unrequited toil shall be sunk, and until every drop of blood drawn with the lash, shall be paid by another drawn with the sword, as was said three thousand years ago, so still it must be said “the judgments of the Lord are true and righteous altogether.”

우리는 이 강력한 전쟁의 재앙이 신속하게 사라지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일 하나님께서, 노예가 250년 동안 일한 임금을 주지 않고 쌓아놓은 모든 재산이 가라앉을 때까지, 그리고 채찍에 맞아 흘린 모든 핏방울이 다른 사람이 칼로 인해 흘린 피로 보상을 받을 때까지 코로나 바이러스가 계속되기를 원한다면, 3천년 전에 사람들이 말했던 것처럼 주님의 심판은 참되고 모든 것이 의로우시도다라고 말해야 합니다.

 

God has his work to domuch of it secret. We have ours. If we trust him and obey his word, he will cause his sovereignty and our service to accomplish his wise and good purposes.

하나님은 하실 일이 많이 있으며 그들 중 많은 것들을 비밀리에 하십니다. 우리에게도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우리가 그분을 신뢰하고 그분의 말씀에 순종한다면, 그분은 그분의 주권과 우리의 섬김을 통하여 그분의 지혜롭고 선한 목적을 달성하게 할 것입니다.

 

 

 

Chapter 11

LOOSENING ROOTS TO REACH THE NATIONS

(열방에 이르기 위해 뿌리를 풀기)

 

ANSWER  6.

(해답 6)

In the coronavirus God is loosening the roots of settled Christians, all over the world, to make them free for something new and radical and to send them with the gospel of Christ to the unreached peoples of the world.

코로나 바이러스에 있어서 하나님은 전 세계에 정착된 그리스도인들의 뿌리를 풀어 자유롭게 하셔서 무언가 새롭고 급진적인 일을 하게 하시고, 그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들려 전 세계의 미전도 종족에게 보내십니다.

 

 

Connecting the coronavirus with missions may seem like a strange idea, because in the short run, the coronavirus is shutting down travel and migration and missionary advance. But I am not thinking short term. God has used the suffering and upheaval of history to move his church to places it needs to go. I am suggesting that he will do that again as part of the long-term impact of the coronavirus.

코로나 바이러스를 선교와 연결시키는 것은 이상한 생각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여행과 이동 및 선교적 전진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는 단기적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역사의 고통과 격변을 사용하여 그분의 교회를 가야 할 필요가 있는 곳으로 옮기셨습니다. 나는 그분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장기적인 영향의 일부로 다시 그렇게 하실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ERSECUTION AS MISSIONARY STRATEGY(선교전략으로서의 박해)

 

Consider, for example, how God moved his people out of Jerusalem, on mission, into Judea and Samaria. Jesus had instructed his disciples to take the gospel to all the world, including “Jerusalem and . .  . all Judea and Samaria, and to the end of the earth” (Acts 1:8). But by the time of Acts 8, it seems the mission was stalled in Jerusalem.

예를 들어, 하나님이 어떻게 자신의 백성을 예루살렘에서 선교사명을 띠고 유대와 사마리아로 옮기셨는지 생각해보십시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복음을 들고 예루살렘과 ...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1:8) 전 세계를 향하여 가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러나 사도행전 8장까지는 선교사명이 예루살렘에 멈춰있던 것 같습니다.

 

What would it take to move the church into mission? It took the death of Stephen and a consequent persecution. As soon as Stephen was martyred (Acts 7:60), a persecution broke out:

교회를 선교 사명으로 옮기는 데 무엇이 필요했을까요? 그것은 스데반의 죽음과 그에 따른 박해가 필요했습니다. 스데반이 순교하자(7:60) 박해가 일어났습니다.

 

There arose on that day a great persecution against the church in Jerusalem, and they were all scattered throughout the regions of Judea and Samaria, except the apostles. .  .  . Now those who were scattered went about preaching the word. (Acts 8:14)

그 날에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에 큰 박해가 있어 사도 외에는 다 유대와 사마리아 모든 땅으로 흩어지니라 ... 그 흩어진 사람들이 두루 다니며 복음의 말씀을 전할새(8:1-4).

 

That’s how God got his people movingwith martyrdom and persecution. At last, “Judea and Samaria” were hearing the gospel. God’s ways are not our ways. But his mission is sure. Jesus said so. And his word cannot fail. “I will build my church, and the gates of hell shall not prevail against it” (Matt. 16:18). “This gospel of the kingdom will be proclaimed throughout the whole world as a testimony to all nations” (Matt. 24:14). Not “may be proclaimed.” But “will be proclaimed.”

이것이 바로 하나님이 순교와 박해로 그분의 백성들을 움직이게 하는 방법입니다. 마침내 유다와 사마리아가 복음을 듣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방법은 우리의 방법과 다릅니다. 그러나 그분의 선교사명은 확실합니다. 예수님도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분의 말씀은 실패할 수 없습니다.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16:18).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24:14). “아마도/may 전파될 것이다가 아닙니다. “전파되리니/will입니다.

 

 

SETBACKS AS STRATEGIC ADVANCE(전략적 전진을 위한 후퇴)

 

We may think the coronavirus outbreak is a setback for world missions. I doubt it. God’s ways often include apparent setbacks that result in great advances.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이 세계 선교에 대한 후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님의 방법에는 종종 위대한 전진을 낳는 명목상 후퇴가 포함됩니다.

 

On January 9, 1985, Pastor Hristo Kulichev, a Congregational pastor in Bulgaria, was arrested and put in prison. His crime was that he preached in his church even though the state had appointed another man as pastor whom the congregation did not elect. His trial was a mockery of justice. And he was sentenced to eight months in prison. During his time in prison, he made Christ known in every way he could.

198519일 불가리아의 회중 목사인 Hristo Kulichev 목사가 체포되어 구금되었습니다. 그의 죄는 회중이 선출하지 않은 다른 사람을 목사로 국가가 지명했는데 그가 교회에서 설교를 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의 재판은 정의를 우롱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습니다. 그가 감옥에 있는 동안 그는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그리스도를 알렸습니다.

 

When he got out, he wrote, “Both prisoners and jailers asked many questions, and it turned out that we had a more fruitful ministry there than we could have expected in church. God was better served by our presence in prison than if we had been free.”(12)

그가 나왔을 때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수감자와 교도관 모두 많은 질문을 했으며, 교회 내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그곳에서 더 열매 맺는 사역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우리가 자유로웠을 때보다 우리가 감옥에 있었을 때 하나님을 더 잘 섬겼습니다.”(12)

 

This is often God’s way. The global scope and seriousness of the coronavirus is too great for God to waste. It will serve his invincible global purpose of world evangelization. Christ has not shed his blood in vain. And Revelation 5:9 says that by that blood he ransomed “people for God from every tribe and language and people and nation.” He will have the reward of his suffering. And even pandemics will serve to complete the Great Commission.

이것이 종종 하나님의 방법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 범위와 심각성은 하나님이 낭비하기에 너무 큰 것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세계 복음화라는 무적의 세계적 목적에 기여할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피를 헛되이 흘리지 않으셨습니다. 그리고 요한 계시록 5:9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에서 사람들을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렸다고 말합니다. 그분은 그분 고난의 보상을 받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심지어 대유행병조차도 대사명(Great Commission)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A CLOSING PRAYER

(마침 기도)

 

Father,

아버지,

 

At our best moments, by your grace, we are not sleeping in Gethsemane. We are awake and listening to your Son’s prayer. He knows, deep down, that he must suffer. But in his perfect humanity, he cries out, “If it is possible, let this cup pass.”

우리의 최고의 순간에, 주님의 은혜로, 우리는 겟세마네에서 자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깨어 있어서 주님 아들의 기도를 듣고 있습니다. 그분은 자신이 고통당해야 할 것을 깊이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완벽한 인간성 안에서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라고 외치셨습니다.

 

In the same way, we sense, deep down, that this pandemic is appointed, in your wisdom, for good and necessary purposes. We too must suffer. Your Son was innocent. We are not.

마찬가지로, 우리는 이 대유행병이 선과 필요한 목적을 위해 주님의 지혜 가운데 지명된 것임을 깊이 알게 됩니다. 우리도 반드시 고통을 당해야합니다. 주님의 아들은 결백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Yet with him in our less-than-perfect humanity, we too cry out, “If it is possible, let this cup pass.” Do quickly, O Lord, the painful, just, and merciful work you have resolved to do. Do not linger in judgment. Do not delay your compassion. Remember the poor, O Lord, according to your mercy. Do not forget the cry of the afflicted. Grant recovery. Grant a cure. Deliver usyour poor, helpless creaturesfrom these sorrows, we pray.

그러나 우리는 완벽하지 못한 인간성 안에서 그분과 함께 역시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라고 외칩니다. 오 주님, 주님이 하시고자 결심하신 고통스럽고 공의로우며 자비로우신 일을 빨리 시행하소서. 심판을 오래 하지 마시고 동정을 늦추지 마소서. 오 주님, 주님의 자비하심을 따라 가난한 자들을 기억하소서. 고통 받는 자들의 외침을 잊지 마소서. 회복시켜 주시고, 치료하여 주소서. 주님의 가난하고 무력한 피조물인 우리를 구하소서. 우리가 기도합니다.

 

But do not waste our misery and grief, O Lord. Purify your people from powerless preoccupation with barren materialism and Christless entertainment. Put our mouths out of taste with the bait of Satan. Cut from us the roots and remnant of pride and hate and unjust ways. Grant us capacities of outrage at our own belittling of your glory. Open the eyes of our hearts to see and savor the beauty of Christ. Incline our hearts to your word, your Son, and your way. Fill us with compassionate courage. And make a name for yourself in the way your people serve.

그러나 주님, 우리의 불행과 슬픔을 헛되이 하지 마소서. 주님의 백성들이 쓸데없이 무익한 물질주의와 그리스도가 없는 오락에 몰입하지 않도록 정화시켜 주소서. 우리의 입이 사탄의 미끼를 맛보지 않게 하소서. 우리에게서 자만심과 증오와 불의한 방법의 뿌리와 남은 것을 잘라주소서. 우리가 주님의 영광을 가릴 때 스스로에게 분노하는 능력을 주소서. 우리 마음의 눈을 열어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맛보게 하소서. 우리의 마음이 주님의 말씀과, 주님의 아들과, 주님의 길로 기울게 하소서. 자비로운 용기로 우리를 채우소서. 그리고 주님의 백성들의 섬김을 통해 주님의 이름이 높임을 받으소서.

 

Stretch forth your hand in great awakening for the sake of this perishing world. Let the terrible words of Revelation not be spoken over this generation: “Yet still they did not repent.” As you have stricken bodies, strike now the slumbering souls. Forbid that they would remain asleep in the darkness of pride and unbelief. In your great mercy, say to these bones, “Live!” And bring the hearts and lives of millions into alignment with the infinite worth of Jesus.

이 멸망하는 세상을 위해 크게 깨어 주님의 손을 뻗치소서. “그러나 여전히 그들은 회개하지 않더라는 요한계시록의 끔찍한 말씀을 이 세대가 듣지 않게 하소서. 주님이 육체를 치셨듯이 이제 졸고 있는 영혼을 치소서. 그들이 자만심과 불신의 어둠 속에서 잠들어 있지 않게 하소서. 주님의 크신 자비로 이 뼈들에게 살아나라!”라고 말씀하소서. 그리고 수백만의 마음과 삶을 예수님의 무한한 가치에 맞추어 정렬하게 하소서.

 

In Jesus’s name, amen.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NOTES(주석)

 

1. “1918 Pandemic (H1N1 Virus),” updated March 20, 201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flu/pandemic-resources/1918-pandemic-h1n1.html.

2. Henry Martyn, Journals and Letters of Henry Martyn (New York: Protestant Episcopal Society, 1861), 460.

3. Martyn, Journals and Letters,  210.

4. John Lennon, “Imagine,” produced by John Lennon, Yoko Ono, and Phil Spector, Abbey Road, London, 1971.

5. C.  S. Lewis, “The Weight of Glory,” in The Weight of Glory and Other Addresses (1949; repr., New York: Harper, 2009), 26.

6. Rodney Stark, The Triumph of Chris tian ity: How the Jesus Movement Became the World’s Largest Religion (New York: Harper, 2011), 113.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리스도

(CORONAVIRUS AND CHRIST)

 

 

John Piper , 이종헌 역

출처: https://www.desiringgod.org/books/coronavirus-and-christ

 

 

 

 

CONTENTS

(목차)

 

 

The Occasion: Coronavirus(사례: 코로나 바이러스) ----------------------------------------- 2

 

PART 1: THE GOD WHO REIGNS OVER THE CORONAVIRUS

1 Come to the Rock(바위로 나아오라) ----------------------------------------------------- 4

2 A Solid Foundation(견고한 기초) ------------------------------------------------------- 13

3 The Rock Is Righteous(그 바위는 의롭다) ---------------------------------------------- 20

4 Sovereign over All(모든 것의 주권자) --------------------------------------------------- 27

5 The Sweetness of His Reign(그분의 통치의 달콤함) ------------------------------------- 34

 

PART 2: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Preliminary Thoughts: Seeing and Pointing(예비 생각: 보고 지적하기) ---------------------- 40

6 Picturing Moral Horror(도적적 참사를 묘사하기) ---------------------------------------- 45

7 Sending Specific Divine Judgments(특별한 거룩한 심판을 보내신다) ----------------------- 51

8 Awakening Us for the Second Coming(우리에게 재림을 일깨우기) ------------------------ 73

9 Realigning Us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무한한 가치의 그리스도로 우리를 재정하기) 58

10 Creating Good Works in Danger(위험 속에서 선한 일 만들기) -------------------------- 68

11 Loosening Roots to Reach the Nations(열방에 이르기 위해 뿌리를 풀기) ----------------- 76

A Closing Prayer(마침 기도) ------------------------------------------------------------- 79

Notes(주석) ---------------------------------------------------------------------------- 81

 

THE OCCASION: CORONAVIRUS(사례: 코로나 바이러스)

 

 

I am writing this little book in the last days of March 2020, on the front end of the global pandemic known as the coronavirus, or technically, “coronavirus disease 2019” (abbreviated COVID-19). The virus affects the lungs, and in the worst cases kills by suffocation.

나는 이 작은 책을 20203월 마지막 날에,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전문용어로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 2019”(COVID-19로 약칭)로 알려진 전 세계적 대유행병(pandemic)의 최전선에서 쓰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폐에 영향을 미치며 최악의 경우 질식으로 사망합니다.

 

The first death by the virus was reported in China on January 11, 2020. Today as I write, there are hundreds of thousands of cases of infection worldwide, with tens of thousands of deaths. There is no known cureyet.

이 바이러스에 의한 첫 번째 사망은 2020111일 중국에서 보고되었습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오늘 전 세계적으로 수십만 명이 감염되었고 수만명이 사망했습니다. 아직 알려진 치료법은 없습니다.

 

By the time you read this, you will know far better than I how things will develop. So I need not detail the measures being taken to slow the spread of the virus or the economic toll being exacted. Social mingling, travel, conferences, church gatherings, theaters, restaurants, sporting events, and businesses are nearing a standstill.

당신이 이 글을 읽을 때는, 상황이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 당신이 나보다 훨씬 더 잘 알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바이러스 확산이나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취한 조치를 자세히 설명 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교 모임, 여행, 회의, 교회 모임, 극장, 식당, 스포츠 행사 및 비즈니스가 거의 중단되고 있습니다.

 

This is not unprecedentedeither globally or in America. In the global influenza epidemic of 1918 (to use the estimates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fifty m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died.(1) Over five hundred thousand of those were in the United States. People felt symptoms in the morning and were dead by nightfall. Bodies were picked up from front porches to be carted away to graves dug by bulldozers. A man was shot for not wearing a mask. Schools were closed. Ministers spoke of Armageddon.

세계적으로나 미국에서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1918년 세계적 인플루엔자 전염병에서(질병통제센터의 추정치를 이용하면) 전 세계에서 5천만 명이 사망했습니다.(1) 그 중에서 5십만 명 이상이 미국 사람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아침에 증상을 느끼고 해질 무렵에 사망했습니다. 시체는 현관에서 수거하여 불도저로 파낸 무덤으로 옮겨졌습니다.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은 총에 맞았습니다. 학교는 문을 닫았습니다. 목사들은 아마겟돈에 대해 말했습니다.

 

Of course precedents prove nothing. The past is warning, not fate. Nevertheless, this is a time when the fragile form of this world is felt. The seemingly solid foundations are shaking. The question we should be asking is, Do we have a Rock under our feet? A Rock that cannot be shakenever?

물론 선례는 아무것도 증명하지 못합니다. 과거는 운명이 아니라 경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이 세상의 연약한 형태가 느껴질 때입니다. 겉보기에는 견고한 기초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스스로 물어야 할 질문은, 우리의 발아래에 바위가 있습니까? 결코 흔들릴 수 없는 바위입니까?

 

 

 

Part 1

THE GOD WHO REIGNS OVER THE CORONAVIRUS

(코로나 바이러스를 지배하사는 하나님)

 

 

 

Chapter 1

COME TO THE ROCK

(바위로 나아오라)

 

 

 

I am moved to write because playing the odds is a fragile place to put your hope. Odds like 3 percent versus 10 percent, youth versus old age, compromised health versus no history of disease, rural versus urban, self-isolated versus home meeting with friends. Playing the odds provides little hope. It is not a firm place to stand.

가능성 놀이를 하는 것은 당신의 희망을 올려놓기에는 깨지기 쉬운 장소이므로 이 글을 쓰고자 마음먹었습니다. , 3% 10%, 젊은이 대 노인, 위태로운 건강 대 질병 병력 없음, 농촌 대 도시, 자기 격리 대 친구와의 가정 모임 등의 가능성. 가능성 놀이를 하는 것은 희망이 거의 없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올라설 굳건한 장소가 아닙니다.

 

There is a better way. There is a better place to stand: a Rock of certainty rather than the sand of probabilities.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올라설 더 좋은 장소가 있습니다: 그것은 확률의 모래가 아니라 확실한 바위입니다.

 

 

WHEN CANCER CAME(암이 찾아왔을 때)

 

I recall being told on December 21, 2005, that I had prostate cancer. For the next several weeks, all the talk was about odds. Odds with waiting to see. Odds with medications. Odds with homeopathic procedures. Odds with radical surgery. My wife, Noel, and I took these numbers seriously. But in the evening, we would smile at each other and think, Our hope is not in the odds. Our hope is in God.

나는 20051221일에 전립선암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다음 몇 주 동안의 모든 대화는 가능성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두고 보는 가능성. 약물 치료의 가능성. 유사요법 절차의 가능성. 근본적인 수술의 가능성. 내 아내 노엘과 나는 이 숫자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저녁에, 우리는 서로 웃으며 생각합니다. 우리의 희망은 가능성에 있지 않습니다. 우리의 희망은 하나님께 있습니다.

 

We did not mean, “It is 100 percent certain God will heal me, while doctors can only give me odds.” The Rock we are talking about is better than that. Yes, better than healing.

우리는 의사들은 나에게 가능성만을 줄 수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나를 고치실 것이라고 100% 확신합니다라고 의도하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바위는 그것보다 더 좋은 것입니다. , 치료보다 더 좋은 것입니다.

 

Even before the phone call from the doctor telling me I had cancer, God had already reminded me in a remarkable way about the Rock under my feet. After my usual annual exam, the urologist had looked at me and said, “I’d like to do a biopsy.”

의사가 전화를 걸어서 내가 암에 걸렸다고 말하기 전에도 하나님께서는 이미 내 발아래 있는 바위에 대해 놀라운 방법으로 상기시켜 주셨습니다. 평소 연례 검사를 마친 후 비뇨기과 전문의는 나를 보고 생체조직 검사를 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Really? I thought. “When?”

“Right now, if you have the time.”

“I’ll make time.”

정말로? 나는 생각했습니다. “언제요?”

시간이 있다면 지금 당장에요.”

시간을 내겠습니다.”

 

While he was going to get the machine, and while I was changing into the typical unflattering blue gown, there was time for me to ponder what was happening. So he thinks I may have cancer. As my future in this world began to change before my eyes, God brought to my mind something I had read recently in the Bible.

의사가 기계를 가지러 간 동안, 그리고 내가 전형적인 별로 좋아 보이지 않는 푸른 색 가운으로 바꿔 입는 동안, 나로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숙고할 시간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내가 암에 걸렸다고 생각한다는 말이지. 이 세상에서의 나의 미래가 내 눈앞에서 변하기 시작할 때, 하나님께서는 최근에 성경에서 읽은 무언가를 내 마음에 가져다 주셨습니다.

 

 

GOD SPOKE(하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Now, let’s be clear. I don’t hear voices. At least I never have. My confidence that God speaks is rooted in the fact that the Bible is his word. (More on that in the next chapter.) He has spoken, once for all, and he still speaks in his word. The Bible, rightly understood, is the voice of God.

자 명확하게 하겠습니다. 내가 목소리를 들은 것이 아닙니다. 적어도 나는 결코 목소리를 들은 적이 없습니다. 하나님이 말씀하신다는 확신은 성경이 그분의 말씀이라는 사실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그분은 한 번만 말했지만, 그분의 말씀 안에서 지금도 말하십니다.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하면 그것이 하나님의 음성입니다.

 

Here is what he said to me in that urologist’s office as I waited for the biopsy that would confirm that I had cancer. “John Piper, this is not wrath.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me.” That’s my paraphrase. Here’s what he actually said:

비뇨기과 의사의 사무실에서 내가 암에 걸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생체검사를 기다리고 있을 때 그분이 나에게 말한 내용입니다. “존 파이퍼야, 이것은 노하심이 아니다.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 그것이 내 역설입니다. 그분이 실제로 말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od has not destined us for wrath, but to obtain salvation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who died for us so that whether we are awake or asleep we might live with him. (1 Thess. 5:910)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살전 5:9-10)

 

Awake or asleepthat is, live or dieI  will be alive with God. How can that be? I am a sinner. I have never lived a day of my lifenot onewithout falling short of God’s standards of love and holiness. So how can this be? How can God say, “You, John Piper, will be with melive or die”?

깨어 있든지 자든지 즉 살든지 죽든지 나는 하나님과 함께 살아있을 것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될 수 있냐고요? 나는 죄인입니다. 나는 하나님의 사랑과 성결의 표준에 미치지 못하고 살지 않은 날이 내 생에 단 하루도 없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이것이 가능하냐고요? 하나님이 어떻게 존 파이퍼야, 너는 살든지 죽든지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실 수 있을까요?

 

God didn’t even wait for the question before he answered. It’s because of Jesus. Jesus alone. Because of his death, there will be no wrath toward me. Not because of my perfection. My sins, my guilt, and my punishment fell on my Savior, Jesus Christ. He “died for us.” That’s what his word says. Therefore, I am free from guilt. Free from punishment. Secure in God’s merciful favor. “Live or die,” God said, “you will be with me.”

하나님은 대답하기 전에 질문을 기다리지도 않으셨습니다. 그것은 예수님 때문입니다. 오직 예수님. 그분의 죽으심때문에 나를 향한 노하심이 없을 것입니다. 나의 완벽함 때문이 아닙니다. 나의 죄와 나의 허물과 나의 형벌은 나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떨어졌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위해 죽으셨다.” 이것이 그분의 말씀이 말하는 바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죄로부터 자유롭습니다. 형벌로부터 자유롭습니다. 하나님의 자비로운 호의를 얻으십시오. 하나님은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That is very different from playing the odds with canceror with the coronavirus. This is a firm Rock under my feet. It is not fragile. It is not sand. I would like it to be a Rock under your feet. That is why I am writing.

그것은 암이나 코로나 바이러스와의 가능성을 가지고 노는 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이것은 내 발 아래의 단단한 바위입니다. 그것은 깨지기 쉽지 않습니다. 모래가 아닙니다. 나는 그것이 당신 발아래의 바위가 되길 바랍니다. 그래서 내가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IS THE ROCK SOLID ONLY IN THE BY-AND-BY?(그 바위는 오직 잠시후에만 견고한가?)

 

But that’s not all. Someone might read that and say, “Religious people like you can find hope only in the by-and-by. If they are safe beyond the grave, they have what they want. But this ‘voice of God’ they talk about offers little involvement right now. God got everything started in creation, I suppose, and makes happily-ever-after endings. But what about in between? Where is he nowright now, during this coronavirus outbreak?”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닙니다. 어떤 사람은 그 말을 읽고 이렇게 말합니다. “여러분과 같은 종교적인 사람들은 오직 잠시후에서만 희망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들이 무덤 너머에서 안전하다면, 그들은 원하는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하나님의 음성은 바로 지금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창조에서 시작된 모든 것을 가지고 계시는데, 나는 행복하게 끝을 맺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사이는 어떻습니까? 지금 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바로 지금 그분은 어디에 있습니까?”

 

Well, I guess I do put a really high value on joy in the presence of God after death for unending billions of years. As opposed to, say, endless suffering. That seems reasonable to me. But the Rock under my feet (the one I would like you to share) really is under my feet now. Now!

글쎄, 나는 죽음 이후 하나님의 존전에서 수십억 년 동안의 끊임없는 기쁨에 정말로 큰 가치를 두는 것 같습니다. 말하자면 끊임없는 고통과는 반대로. 그것은 나에게는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내 발아래의 바위(내가 당신과 나누고 싶은 바위)는 실제로 지금 내 발아래 있습니다. 지금!

 

The coronavirus pandemic is where I live. Where we all live. And if it weren’t the coronavirus, it would be the cancer just waiting to recur. Or the unprovoked pulmonary embolism from 2014 just waiting to break off and go to my brain and turn me into a mindless man who will never write another sentence. Or a hundred other unforeseen calamities that could take meand youdown at any moment.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병이 내가 사는 곳에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사는 곳.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니라면 재발을 기다리는 암이 있을 것입니다. 또는 2014년부터 시작된 없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원인모를 폐색전증이 뇌로 가서 바로 다음 문장을 쓸 수 없을 정도로 나를 정신없는 사람으로 바꿔 놓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언제라도 저와 당신을 데려 갈 수 있는 100 가지의 다른 예기치 못한 재난이 있습니다.

 

The Rock I am talking about is under my feet now. I could say that the Rock is under my feet now just because hope beyond the grave is present hope. The object of hope is future. The experience of hope is present. And that present experience is powerful.

내가 말하고 있는 바위는 지금 내 발아래 있습니다. 나는 무덤 너머의 희망이 바로 현재의 희망이기 때문에 바위가 지금 내 발 아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희망의 목표는 미래입니다. 그런데 희망을 경험하는 것은 현재입니다. 그리고 그 현재의 경험은 강력합니다.

 

Hope is power. Present power. Hope keeps people from killing themselvesnow. It helps people get out of bed and go to worknow. It gives meaning to daily life, even locked-down, quarantined, stay-at-home lifenow. It liberates from the selfishness of fear and greednow. It

empowers love and risk taking and sacrificenow.

희망은 힘입니다. 현재의 힘입니다. 희망은 사람들이 자신을 죽이는 것을 지금 막아줍니다. 사람들이 잠에서 깨어나 직장에 가는 것을 지금 도와줍니다. 그것은 일상생활, 심지어 이동제한, 자가 격리, 집에 머무는 생활 등에 지금 의미를 부여합니다. 그것은 두려움과 탐욕의 이기심에서 지금 자유롭게 합니다. 그것은 사랑과 위험 감수, 희생에 지금 힘을 실어줍니다.

 

So be careful before you belittle the by-and-by. It just may be that when your by-and-by is beautiful and sure, your here and now will be sweet and fruitful.

그러므로 잠시후(by-and-by)를 얕잡아 보기 전에 주의하십시오. 당신의 잠시후가 아름답고 확실 할 때, 당신의 지금 여기는 달콤하고 풍성할 것입니다.

 

 

HIS FINGERS IN VIRUSES(바이러스 안에 있는 그분의 손길)

 

That’s what I could say in defense of God’s sweet word to me in the urologist’s office: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me.” Such hope (through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makes me want to pour out my life for the good of others nowespecially their eternal good. It makes me passionate not to waste my life. It takes away dithering. It fills me with a zeal to make the greatness of Jesus Christ known. It makes me want to spend and be spent (2 Cor. 12:15) to bring as many people with me as I can into everlasting joy.

이것이 비뇨기과 의사의 사무실에서 하나님이 나에게 주셨던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는 달콤한 말씀을 변호하여 내가 할 수 있는 말입니다. 그러한 희망(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은 나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의 지금의 유익을 위해, 특히 그들의 영원한 유익을 위해 나의 삶을 부어주고 싶어 하게 합니다. 그것은 내 인생을 낭비하지 않도록 나를 열정적으로 만듭니다. 망설이지 않게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위대함을 알리려는 열심이 나에게 가득 차게 합니다. 내가 할 수 있는 한 많은 사람들을 영원한 기쁨으로 데려 오기 위해 나를 사용하고 또 내가 사용되기를(고후 12:15) 원하게 합니다.

 

But even though that’s what I could say, when someone objects that Piper’s God specializes in the by-and-by, not the here and now, it’s not the only thing that needs to be said.

그러나 그것이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더라도, 누군가가 파이퍼의 하나님은 지금 여기서가 아니라 장래에 특정화하신다고 반박할 때, 그것은 들을 필요가 있는 유일한 것은 아닙니다.

 

In fact, what I’m about to say will probably make someone object, “Whoa! That’s way too much involvement for God in the here and now. Now you’ve gone from a God who only fixes the future to a God with his fingers in viruses.”

사실,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것을 아마도 누군가가 이렇게 반박할 것입니다. “에이! 그것은 하나님을 지금 여기와 너무 많이 연관시켰어요. 지금 당신은 단지 미래를 확실히 하시는 하나님에서 시작해서 손가락을 바이러스에 넣고 계시는 하나님으로까지 멀리 가고 있어요.”

 

 

NOT “I’M FINE,” BUT “I FEEL FINE”(“나는 좋아요가 아니라 나는 좋은 것 같습니다”)

 

Let’s put it this way. People would often ask me before my cancer diagnosis, “How’s your health?” And I would answer, “Fine.” I don’t answer that way anymore. I say, “I feel fine.” There’s a difference. The day before I went for that annual prostate exam, I felt fine. The day after, I was told I had cancer. In other words, I was not fine. So even as I write these words, I do not know if I am fine. I feel fine. Way better than I deserve. For all I know, I have cancer right now. Or perhaps a blood clot. Or the coronavirus.

이렇게 표현 하겠습니다. 사람들은 내가 암 진단을 받기 전에 건강은 어떻습니까?”라고 묻곤 했습니다. 그러면 나는 좋아요라고 대답합니다. 나는 더 이상 그런 식으로 대답하지 않습니다. “좋은 것 같습니다.” 그 둘은 차이가 있습니다. 정기 전립선 검사를 받으러 가기 전날, 기분이 좋은 것 같았습니다. 그 다음날 나는 암에 걸렸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다시 말해, 나는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 말을 쓰고 있는 지금도 내가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좋은 것 같습니다. 내가 처해있는 것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내가 아는 한, 바로 지금은 암이 있습니다. 또는 혈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렸을지도 모릅니다.

 

What’s the point? The point is this: the ultimate reason we ought not to say, “I am fine,” is that God alone knows and decides if you are finenow. To say, “I am fine,” when you don’t know if you are fine, and you don’t control if you are fine, is like saying, “Tomorrow, I will go to Chicago and do business there,” when you have no idea if you will even be alive tomorrow, let alone doing business in Chicago.

요점이 무엇입니까? 요점은 이것입니다: 우리가 나는 지금 좋아요라고 말하지 말아야 할 궁극적 인 이유는 오직 하나님만이 당신이 지금 좋은지를 아시고 결정하시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좋은지 알지 못하고 또 당신이 좋은지를 당신이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면 나는 좋아요라고 말하는 것은 시카고에서 사업을 하기는 커녕 심지어 당신이 내일 살아있을지도 모르는데 내일 시카고에 가서 거기서 사업을 할 거예요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Here’s what the Bible says about a sentence like that:

그와 같은 판단에 대해 성경이 말씀하는 바가 여기 있습니다:

 

Come now, you who say, “Today or tomorrow we will go into such and such a town and spend a year there and trade and make a profit”yet you do not know what tomorrow will bring. What is your life? For you are a mist that appears for a little time and then vanishes. Instead you ought to say, “If the Lord wills, we will live and do this or that.” (James 4:1315)

들으라 너희 중에 말하기를 오늘이나 내일이나 우리가 어떤 도시에 가서 거기서 일 년을 머물며 장사하여 이익을 보리라 하는 자들아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냐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4:13-15)

 

So the God who is involved only in the by-and-by just evaporated. That’s the effect of the bright sunlight of biblical truth on the ephemeral mists of our opinions.

그래서 잠시후에만 관여하시는 하나님은 방금 사라졌습니다. 그것은 성경적 진리의 밝은 햇빛이 우리의 의견이라는 덧없는 안개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IF HE DECIDES, WE DO THIS OR THAT(그분이 결정하시면 우리는 이것 또는 저것을 합니다)

 

The Rock I stand on (and want you to stand on) is the Rock of God’s action in the world now, and forever. “If the Lord wills,” the Bible says, “we will live.” That’s about as involved now as you can get. Not just, “Whether you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God,” but also, “God will decide if you live or dienow.”

내가 서있는 바위는(그리고 당신도 거기 서 있기를 원합니다) 지금 그리고 영원히 세상에 있는 하나님의 활동이라는 바위입니다.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님이 뜻하시면 우리가 살 것이다.” 그것은 당신이 지금 관여하여 얻을 수 있는 것에 관한 일입니다. “당신이 살든지 죽든지 당신은 하나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당신이 사는지 죽는지를 지금 결정하실 것입니다.”

 

And not just live or die. He’s even more involved than that. “If the Lord wills, we will . .  . do this or that.” Nothing is excluded from “this or that.” He is totally involved. Totally. This health, or that sickness. This economic collapse, or that recovery. This breath, or not.

그리고 살거나 죽는 것만이 아닙니다. 그분은 그보다 훨씬 더 많이 관여하십니다. “주님이 뜻하시면 우리는 이것 또는 저것을 할 것입니다.” “이것 또는 저것에서 제외되는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분은 전적으로 관여하십니다. 전적으로. 건강 또는 . 경제 붕괴 또는 회복. 호흡 또는 숨을 쉬지 않는 것.

 

Which means that while I waited in the doctor’s office for the biopsy machine to arrive, God could have said (which he did later), “Fear not. Whether you live or die, you will be with me. And in the meantime, while you live, nothing will happen to younothing!that I do not appoint. If I decide, you will live. If I decide, you will die. And until you die at my decision, I will decide if you do this or that. Get to work.”

, 의사의 진료실에서 생체검사 기계가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하나님이 말씀하셨을 것은(그분이 나중에 말씀하셨습니다) 이렇습니다. “두려워하지 마라. 네가 살든지 죽든지 너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동안, 네가 사는 동안, 내가 명하지 않은 일은 너에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내가 결정하면 너는 살 것이고, 내가 결정하면 너는 죽을 것이다. 그리고 내 결정에 따라 네가 죽을 때까지, 나는 네가 이것을 할 것인지 또는 저것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일하러 가라.”

 

This is my Rockfor today, tomorrow, and eternity.

이것이 오늘, 내일, 그리고 영원을 위한 나의 바위입니다.

 

 

COME TO THE ROCK(바위로 나아오라)

 

This book is my invitation for you to join me on the solid Rock, Jesus Christ. What that means will, I hope, become clear. My aim is to show why God in Christ is the Rock at this moment in historyin  this pandemic of the coronavirusand what it is like to stand on his mighty love.

이 책은 당신이 나와 합류하여 견고한 바위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하자는 나의 초대입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분명해지기를 바랍니다. 나의 목표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유행병인 역사의 이 순간에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이 왜 바위인지, 그리고 그분의 강력한 사랑 위에 서 있는 것이 무엇과 같은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Chapter 2

A SOLID FOUNDATION

(견고한 기초)

 

 

 

It matters little what I think about the coronavirusor about anything else, for that matter. But it matters forever what God thinks. He is not silent about what he thinks. Scarcely a page in the Bible is irrelevant for this crisis.

내가 코로나 바이러스나 그 문제를 위한 다른 어떤 것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은 거의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무엇을 생각 하시는가는 영원히 중요합니다. 그분은 그분이 무엇을 생각하시는지에 대해 침묵하지 않으십니다. 성경의 어느 한 페이지도 이 위기와 관련 없지 않습니다.

 

 

SOLID AND SWEET(견고하고 달콤한)

 

My voice is grass. God’s voice is granite. “The grass withers, and the flower falls, but the word of the Lord remains forever” (1  Pet. 1:2425). Jesus said that God’s words in Scripture “cannot be broken” (John 10:35). What God says is “true, and righteous altogether” (Ps. 19:9). His word is, therefore, a firm foundation for life. “You have founded [your testimonies] forever” (Ps. 119:152). Listening to God, and believing him, is like building your house on a rock, not on sand (Matt. 7:24).

내 목소리는 풀이고, 하나님의 음성은 화강암입니다.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 오직 주의 말씀은 세세토록 있도다”(벧전 1:24~25). 예수님은 성경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깨질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요한복음 10:35).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진실하여 다 의로운 것입니다(19:9). 그러므로 그분의 말씀은 생명의 확고한 기초입니다. “주의 증거들을 ,,, 영원히 세우신 것입니다(119:152).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분을 믿는 것은 모래가 아니라 바위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7:24).

 

His word is the kind of counsel you want to heed. “He is wonderful in counsel and excellent in wisdom” (Isa. 28:29). “His understanding is beyond measure” (Ps. 147:5). When he gives counsel about the coronavirus, it is firm, unshakable, lasting. “The counsel of the Lord stands forever” (Ps. 33:11). “His way is perfect” (2 Sam. 22:31).

그분의 말씀은 당신이 마음에 두기를 원하는 일종의 조언입니다. “그분의 조언은 기묘하며 지혜는 뛰어나십니다”(28:29). “그분의 지혜는 무궁하십니다”(147:5). 그분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관하여 조언 할 때, 그것은 확고하고 흔들리지 않으며 지속적인 것입니다. “여호와의 조언은 영원히 서 있습니다”(33:11). “그분의 길은 완전합니다”(삼하 22:31).

 

Therefore, his words are sweet and precious. “More to be desired are they than gold: . .  . sweeter also than honey and drippings of the honeycomb” (Ps. 19:10). Indeed, they are the sweetness of everlasting life: “Lord, to whom shall we go? You have the words of eternal life” (John 6:68).

그러므로 그분의 말씀은 달콤하고 소중합니다. “금보다 더 사모할 것이며 꿀과 송이꿀보다 더 달도다”(19:10). 참으로 말씀들은 영원한 생명의 달콤함입니다: “주여 영생의 말씀이 주께 있사오니 우리가 누구에게로 가오리이까”(요한복음 6:68).

 

Therefore, in the best and worst of times, God’s words bring unshakable peace and joy. Surely it must be so. My prayer is that all who read this book would share the experience of the prophet Jeremiah: “Your words became to me a joy and the delight of my heart” (Jer. 15:16).

그러므로 최고와 최악의 시간에 하나님의 말씀은 흔들리지 않는 평화와 기쁨을 가져옵니다. 반드시 그래야합니다. 나의 기도는 이 책을 읽는 모든 사람이 선지자 예레미야의 경험을 나누는 것입니다: “주의 말씀은 내게 기쁨과 내 마음의 즐거움입니다(15:16).

 

And mark this: the sweetness of God’s word is not lost in this historic moment of bitter providencenot if we have learned the secret of “sorrowful, yet always rejoicing” (2  Cor. 6:10). We will see more fully later what this secret is. But here it is now in a single sentence. The secret of “sorrowful, yet always rejoicing” is this: knowing that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Indeed, more than sustainssweetens. Sweetens with hope that God’s purposes are kind, even in deathfor those who trust him.

그리고 이것에 표를 해 두십시오: 우리가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는”(고후 6:10) 비밀을 배우지 않았다면 쓰라린 섭리일 수 있는 이 역사적 순간에 하나님의 말씀의 달콤함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 비밀이 무엇인지 나중에 더 자세히 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여기서는 다음 한 문장에 들어 있습니다.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는비결은 이것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사실상, 지탱하는 것 이상의 달콤함입니다. 그분을 신뢰하는 사람들에게는 심지어 죽음에 있어서도 하나님의 목적은 친절하다는 소망을 갖는 달콤함입니다.

 

 

HOW DO YOU KNOW?(어떻게 압니까?)

 

All the more urgent, therefore, is the question, How do you know that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My short answer is that there is a divine glory that shines through it, which fits perfectly with the God-shaped template in your heartlike sprocket and gear, hand and glove, fish and water, wings and air, the final piece of a jigsaw puzzle.

그러므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임을 어떻게 아는가 입니다. 나의 짧은 대답은 그것을 통해 빛나는 거룩한 영광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톱니바퀴와 기어, 손과 장갑, 물고기와 물, 날개와 공기, 낱말 맞추기 퍼즐의 마지막 조각과 같이 당신 마음속에 있는 하나님을 닮은 모양판과 완벽하게 들어맞습니다.

 

To which I can imagine someone saying, “That sounds sort of mystical and subjective. Why do you answer like that?”

그에 대해 누군가가 이렇게 말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신비적이고 주관적인 것 같습니다. 왜 그렇게 대답하십니까?”

 

Because fifty years ago, when I was struggling to know what I should build my life on, I realized that the scholarly, historical arguments for the Bible would not work for most of the world. Why? Because, while true and helpful to a point, they cannot be followed by an eight-year-old child, a newly encountered preliterate villager in a remote South Pacific jungle, or an ordinary person in the West with little formal education. And yet it seemed obvious to me that God intended for such people to hear the word of God and believewithout leaping into the dark.

왜냐하면 50년 전, 내가 나의 삶을 어디 위에 건설해야 할지 알아내기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을 때, 나는 성경에 대한 학문적, 역사적 주장이 대부분의 세계에서 먹히지 않을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 어떤 점에 진실되고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그런 주장들은 8살짜리 어린이, 멀리 떨어진 남태평양 정글에서 새로 만난 문맹자,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한 서쪽에 사는 일반인 등이 따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에게 분명한 것은 하나님께서 그러한 사람들이 어둠 속으로 뛰어 들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믿도록 의도하신 것 같다는 것입니다.

 

 

BIBLICAL FAITH IS NOT A LEAP IN THE DARK(성경적 믿음은 어둠 속에서 뛰는 것이 아니다)

 

The biblical view of faith is not a leap in the dark. It is warranted and well-grounded. It’s called faith not because it has no foundation. It’s called faith because it involves trust. Jesus didn’t call the believers blind; he called the unbelievers blind (Matt. 15:14). “Seeing they do not see” (Matt. 13:13). Saving faith in God’s word is based on “seeing.” Real seeing.

믿음에 대한 성경적 견해는 어둠 속에서 뛰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보증되고 근거가 충분합니다. 그것은 기초가 없기 때문에 믿음이라고 불리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신뢰를 포함하기 때문에 믿음이라고 불립니다. 예수께서는 믿는 자들을 장님이라고 부르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신자들을 장님이라고 불렀습니다(15:14). “보아도 보지 못하며”(13:13). 하나님의 말씀에서 구원하는 믿음은 보는 것에 근거합니다. 정말로 보는 것.

 

Seeing what? The Bible answers like this: Satan does all he can to blind “the minds of the unbelievers, to keep them from seeing the light of the gospel of the glory of Christ, who is the image of God” (2 Cor. 4:4).

무엇을 보는 것? 성경은 이렇게 대답합니다: 사탄은 믿지 않는 자들의 마음을 혼미하게 하여 하나님의 형상인 그리스도의 영광의 복음의 빛을 보지 못하도록”(고후 4:4)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합니다.

 

In other words, there is a kind of spiritual light that shines through the gospelthe biblical story of salvation. What kind of light? It’s the light “of the glory of Christ, who is the image of God.” This is not magical. It’s not mystical in the sense of something appearing that is really not there. Jesus Christ is the kind of divine-human person whose moral and spiritual and supernatural gloryhis beauty and worth and greatnessshines through God’s word. It authenticates Scripture as true.

다른 말로 하면, 복음을 통해 비치는 일종의 영적 빛, 즉 성경의 구원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빛일까요? 그것은 하나님의 형상인 그리스도의 영광의빛입니다. 이것은 마법이 아닙니다. 그것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무언가가 나타나는 것 같은 신기한 것이 아닙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그분의 도덕적, 영적, 초자연적인 영광, 즉 그분의 아름다움과 가치와 위대함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빛을 발하는 하나님인 동시에 사람이십니다. 그것이 성경을 참이라고 인증합니다.

 

 

GOD-SHAPED TEMPLATE IN YOUR SOUL(당신의 영혼에 들어있는 하나님 형상의 모양판)

 

This is why I say there is a divine glory that shines through the Scriptures that fits perfectly with the God-shaped template in your heart. In that way, it authenticates the truth and value of the Bible.

그렇기 때문에 나는 당신의 마음속에 하나님 형상의 모양판과 완벽하게 들어맞는 성경을 통해 빛을 발하는 거룩한 영광이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성경의 진리와 가치를 인증합니다.

 

Yes, I do believe that there is a God-shaped templatea kind of indirect knowledge of Godin every human soul. The Bible puts it like this. Speaking of all humanity, it says, “What can be known about God is plain to them. ... Although they knew God, they did not honor him as God” (Rom. 1:19, 21).

그렇습니다. 나는 모든 인간의 영혼에 하나님에 대한 일종의 간접적인 지식인 하나님 형상의 모양판이 있다고 믿습니다.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모든 인류에 대해 말하면서, “하나님을 알 만한 것이 그들 속에 보임이라 ... 하나님을 알되 하나님을 영화롭게도 아니하며”(로마서 1:19,21)라고 말합니다.

 

The Bible teaches that this knowing in every soul makes us all responsible to see the glory of God in nature. In the same way, we are also responsible to see the glory of God in Jesus through his word.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Ps. 19:1). We are obliged to see it and give thanks. So also the Son of God displays the glory of God. And we are responsible to see it and worship. The apostle John says, “We have seen his glory, glory as of the only Son from the Father” (John 1:14).

성경은 모든 영혼이 아는 이것이 우리 모두가 자연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볼 책임이 있다고 가르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또한 그분의 말씀을 통하여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볼 책임이 있습니다.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합니다”(19:1). 우리는 그것을 보고 감사해야 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아들도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보고 예배 할 책임이 있습니다. 사도 요한은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1:14)라고 말합니다.

 

This is the self-authenticating glory that shines from God’s word and gives us a warranted, well-grounded foundation for believing that the Christian Scriptures are from God.

이것이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빛이 나는 영광을 스스로 인증하는 것이고, 그리스도인의 성경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임을 믿는 데 대한 보증이요 근거가 분명한 토대를 우리에게 제공해 줍니다.

 

 

TECHNOLOGY VERSUS TASTE(기술 대 맛)

 

The way we come to know the glory of God in Scripture is similar to the way we know that honey is honey. Science and technology may say that this jar contains honey because of chemical experimentsjust like biblical scholars can argue compellingly that the Bible is historically reliable. But most people are not scientists or scholars. We know that this is honey because we taste it.

우리가 성경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알게 되는 방식은 꿀이 달다는 것을 아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과학과 기술에 따르면 화학 실험의 결과로 이 항아리 속에 꿀이 들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성경학자들이 성경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만하다고 강력하게 주장 할 수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학자나 학자가 아닙니다. 우리가 그것을 맛보기 때문에 이것이 꿀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Similarly, there is a divine sweetness in the glory of God in the message of the Bible. It touches a part of us that we know was put there by God. “How sweet are your words to my taste, sweeter than honey to my mouth!” (Ps. 119:103). “Oh,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Ps. 34:8). This is a real seeing and tasting. It is not make believe. It sees and tastes what is really there.

그와 마찬가지로, 성경의 메시지에는 하나님의 영광에 거룩한 달콤함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하나님에 의해 거기에 놓인 것이라고 우리의 일부에 와 닿습니다.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119:103).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34:8). 이것은 실제 보는 것이고 맛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믿음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보고 맛보는 것입니다.

 

 

YES TO THE ROCK OF OUR COMFORT(우리 위로의 바위에게 예라고 하기)

 

So when Jesus says, “Scripture cannot be broken” (John 10:35), and when the apostle Paul says, “All Scripture is breathed out by God” (2 Tim. 3:16), and when the apostle Peter says, the authors of Scripture “were carried along by the Holy Spirit” (2  Pet. 1:21), our heart says yes. We have tasted and seen. We know. And the knowing is well founded. We are not leaping in the dark.

따라서 예수님이 성경은 폐하지 못하나니”(요한복음 10:35)라고 말씀하실 때, 그리고 사도 바울이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딤후 3:16)라고 말할 때, 그리고 사도 베드로가 성경의 저자들은 성령의 감동하심을받았다(벧후 1:21)고 말할 때, 우리 마음은 예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맛보았고 보았습니다. 우리는 압니다. 그리고 그 아는 것은 기초가 잘 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어둠 속에서 뛰고 있지 않습니다.

 

Our whole soul resonates with the biblical shout “The sum of your word is truth” (Ps. 119:160). “Forever, O Lord, your word is firmly fixed in the heavens” (Ps. 119:89). “Every word of God proves true” (Prov. 30:5).

우리의 온 영혼은 주의 모든 말씀은 진리입니다”(119:160)라는 성경의 외침과 함께 울립니다. “여호와여 주의 말씀은 영원히 하늘에 굳게 섰습니다”(119:89). “하나님의 말씀은 다 순전합니다”(잠언 30:5).

 

When this happens, the whole truth of God washes over us, even in the face of the coronavirus. It comes with incomparable comfort: “When the cares of my heart are many, your consolations cheer my soul” (Ps. 94:19). “The Lord is near to the brokenhearted and saves the crushed in spirit. Many are the afflictions of the righteous, but the Lord delivers him out of them all” (Ps. 34:1819).

이런 일이 발생하면 심지어 코로나 바이러스에 직면하더라도 하나님의 모든 진리가 우리를 씻겨줍니다. 그것은 비교할 수 없는 위로와 함께 옵니다: “내 속에 근심이 많을 때에 주의 위안이 내 영혼을 즐겁게 하시나이다”(94:19). “여호와는 마음이 상한 자를 가까이 하시고 충심으로 통회하는 자를 구원하시는도다 의인은 고난이 많으나 여호와께서 그의 모든 고난에서 건지시는도다”(34:18~19).

 

No man can comfort our souls in this pandemic the way God can. His comfort is unshakable. It is the comfort of a great, high Rock in the stormy sea. It comes from his word, the Bible.

아무도 이 대유행병 속에서 하나님이 하실 수 있는 방식으로 우리의 영혼을 위로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분의 위로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그것은 폭풍우 치는 바다에서 크고 높은 바위의 위로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말씀인 성경에서 나옵니다.

 

 

 

Chapter 3

THE ROCK IS RIGHTEOUS

(그 바위는 의롭다)

 

 

 

If God is going to be our Rock, he must be righteous. An unrighteous Rock is a mirage. The very thing that a global pandemic shakes is our confidence that God is righteous, holy, good. If God is not righteous in the midst of it, we have no Rock.

하나님이 우리의 바위가 되시려면 그분은 반드시 의로우셔야 합니다. 불의한 바위는 신기루입니다. 전 세계적인 대유행병이 흔드는 것은 바로 하나님이 의롭고 거룩하며 선하신다는 우리의 확신입니다. 하나님이 그 가운데서 의롭지 않다면, 우리에게는 바위가 없는 것입니다.

 

So we need to ask, What is the holiness and righteousness and goodness of God? Because if we don’t know what they are, how will we know if this coronavirus outbreak has made them crumble? Or how will we know if, instead, they are the eternal foundations of the Rock that saves us?

그러므로 우리는 질문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은 무엇입니까? 그것들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으로 인해 그것들이 무너진 것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아니면 그 대신에 그것들이 우리를 구원하는 영원한 바위 기초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What we will see is that the Bible portrays the holiness, righteousness, and goodness of God not as identical, but as interlocking. We start with God’s holiness. What is it?

우리가 보게 될 것은 성경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을 동일한 것이 아니라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묘사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거룩하심부터 시작합니다. 그것이 무엇입니까?

 

 

TRANSCENDENT, INFINITE WORTH(초월적이고 무한한 가치)

 

The root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word for holiness is the idea of being separatedifferent and separated from the ordinary. And when applied to God, this separateness implies that he is in a class by himself. He is like a one-of-a-kind diamond, supremely valuable. We can use the word transcendent for this kind of divine separateness. He is so uniquely separate that he transcends all other reality. He is above it and more valuable than all of it.

거룩함에 대한 구약 단어의 근본 의미는 평범으로부터 분리되고 다르다는, 분리된다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하나님께 적용할 때, 이 분리됨은 그분이 자신만의 부류에 계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분은 최고로 값이 나가는 독특한 다이아몬드와 흡사합니다. 우리는 이런 종류의 거룩한 분리됨에 초월적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분은 독특하게 분리되어있어서 다른 모든 현실을 초월합니다. 그분은 그 위에 계시며 그 모든 것보다 더 가치가 있습니다.

 

When Moses struck the rock instead of speaking to it the way God said, God rebuked him: “You did not believe in me, to uphold me as holy in the eyes of the people of Israel” (Num. 20:12). In other words, Moses treated God not as exceptional and supremely trustworthy, but as just another human authority along with others that could be ignored.

모세가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방식대로 말로 하지 않고 바위를 쳤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를 책망하셨습니다: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목전에서 내 거룩함을 나타내지 아니한 고로”(20:12). 다시 말해서, 모세는 하나님을 예외적이고 최고로 믿을 수 있는 분으로 여기지 않고, 무시할 수 있는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사람과 똑 같이 취급했다는 것입니다.

 

Or in Isaiah 8:1213, God said to Isaiah, “Do not fear what [this people] fears, nor be in dread. But the Lord of hosts, him you shall honor as holy. Let him be your fear, and let him be your dread.” In other words, don’t lump God into the same group as all of your ordinary fears and dreads. Treat him as an utterly separate and uniquea  transcendentfear and dread.

또는 이사야 8:12~13에서 하나님은 이사야에게 그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고 만군의 여호와 그를 너희가 거룩하다 하고 그를 너희가 두려워하며 무서워할 자로 삼으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을 평범한 당신의 모든 두려움과 무서움과 같은 그룹으로 묶지 마십시오. 그분을 완전히 분리되고 독특하고 초월적인 두려움과 무서움으로 여기십시오.

 

Therefore, God’s holiness is his infinite transcendence and worth above all else. He is in a class by himself. Which means he doesn’t depend on anything else for his existence. He is self-existent. So he needs nothing and depends on nothing. He is complete. Perfect. Therefore, he possesses the greatest value as the source of all reality and all value.

그러므로,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그분의 무한한 초월이시며 다른 모든 것보다도 가치가 있습니다. 그분은 혼자만의 부류에 계십니다. 그것은 그분의 존재를 위해 다른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분은 스스로 존재하십니다. 그래서 그는 아무것도 필요 없고 아무것에도 의존하지 않습니다. 그분은 완전하십니다. 완벽하십니다. 그러므로 그분은 모든 실재와 모든 가치의 원천으로서 가장 큰 가치를 지니고 계십니다.

 

 

ABOVE ALL BUT NOT SOLITARY(모든 것 위에 계시지만 외롭지는 않으시다)

 

God’s infinite height above all other reality does not mean that he is a loveless, solitary mind. The historic doctrine of the Trinity is biblical through and through. God exists as three divine persons. But these three are oneone divine essence. There is one God. Not three. But this one God exists in a mysterious and true unity of Father, Son, and Holy Spiriteach of them eternal and without beginning. Each of them truly God.

다른 모든 실재보다 위에 계시는 하나님의 무한하신 높음은 그분이 사랑이 없고 고독한 마음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삼위일체의 역사적 교리는 속속들이 성경적입니다. 하나님은 거룩한 세 인격으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셋은 하나의 거룩한 본질입니다. 한분 하나님이 계십니다. 세분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 한분 하나님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신비하고도 진정한 연합 안에 존재하며, 각각은 영원하고 시작이 없습니다. 그들 각각은 진정으로 하나님이십니다.

 

So the holinessthe transcendent worth and greatness of Goddoes not mean he is solitary and loveless in his infinite height. God the Father knows and loves the Son perfectly, completely, infinitely (Mark 1:11; 9:7; Col. 1:13). God the Son knows and loves the Father perfectly, completely, infinitely (John 14:31). The Holy Spirit is the perfect, complete, infinite expression of the Father’s and the Son’s knowledge and love of each other.

그러므로 거룩하심, 즉 하나님의 초월적 가치와 위대하심은 그분의 무한한 높음에서 고독하시고 사랑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아버지 하나님은 아들을 완벽하고 완전하게 무한히 알고 사랑하십니다(1:11; 9:7; 1:13). 아들 하나님은 아버지를 완벽하고 완전하게 무한히 알고 사랑하십니다(14:31).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의 서로에 대한 지식과 사랑에 대한 완벽하고 완전하며 무한한 표현입니다.

 

Why does this matter? Because this perfect Trinitarian fellowship is essential to the fullness and perfection and completeness of God. It is essential to his transcendent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that is, it is essential to his holiness.

이것이 왜 중요합니까? 이 완벽한 삼위일체의 교제는 하나님의 충만하심과 완벽하심과 완전하심에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초월적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에 필수적입니다. , 그분의 거룩하심에 필수적입니다.

 

 

HOLINESS IS INTERLOCKING WITH RIGHTEOUSNESS(거룩하심은 의로우심과 맞물려 있다)

 

There is a missing dimension in that description of God’s holiness. The Bible speaks of God’s holiness not only in terms of transcendence, but also in terms of morality. To be holy is not only to be separate and transcendent, but also to be righteous.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대한 묘사에 한 가지 차원이 빠져 있습니다. 성경이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관하여 말할 때 초월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도덕성의 면에서도 언급합니다. 거룩하다는 것은 분리되고 초월적일뿐만 아니라 또한 의로워야 합니다.

 

This forces a question that will have great implications for how we view the coronavirus in relation to God: Since righteousness implies doing what is right, and doing what is right implies compliance with some standard of rightness, what standard does God’s righteousness comply with?

이것은 우리가 하나님과 관련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를 어떻게 보아야 하느냐에 대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는 하나의 질문을 하게 합니다: 의로우심은 옳은 일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옳은 일을 행하는 것은 어떤 의로움의 표준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하나님의 의로우심은 어떤 표준을 따르는 것입니까?

 

Before creation, there were no standards outside of God. There was nothing outside of him for him to comply with. Before creation, God was the only reality. So when there is only God, how do you define what is right for God to do? That is, how can God’s holiness encompass not only his transcendence but also his righteousness?

창조 이전에는 하나님 외에는 표준이 없었습니다. 그분이 따를 만한 것은 그분 외에는 없었습니다. 창조 이전에는 하나님만이 유일한 실재였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만 존재하셨을 때는 하나님이 하셔야 할 의를 어떻게 정의하겠습니까? , 하나님의 거룩하심이 어떻게 그분의 초월성뿐만 아니라 그분의 의로우심을 포함할 수 있습니까?

 

The answer is that the standard of God’s righteousness is God. The foundational biblical principle is this: “He cannot deny himself ” (2 Tim. 2:13). He cannot act in a way that would deny his own infinite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This is the standard of what is right for God.

그 답은 하나님의 의로우심의 표준이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성경적 원칙은 그분은 자신을 부인하실 수 없다”(딤후 2:13)입니다. 그분은 자신의 무한한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행동하실 수 없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에게 올바른 표준입니다.

 

This means that the moral dimension of God’s holinesshis righteousnessis his unwavering commitment to act in accord with his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Every affection, every thought, every word, and every act of God will always be consistent with the infinite worth and beauty of his transcendent fullness. If God were to deny this worth or beauty or greatness, it would not be right. The ultimate standard would be broken. He would be unrighteous.

이것은 하나님의 거룩하심, 즉 그분의 의로우심의 도덕적 차원은 그분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에 따라 행동하신다는 확고한 약속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모든 애정과 생각과 말씀과 행동은 언제나 그분의 초월적인 충만의 무한한 가치와 아름다움과 일치할 것입니다. 하나님이 이 가치나 아름다움 또는 위대하심을 부정해야 한다면 그것은 옳지 않을 것입니다. 궁극적인 표준이 깨질 것입니다. 그분은 불의할 것입니다.

 

 

RIGHTEOUSNESS IS INTERLOCKING WITH GOODNESS(의로우심은 선하심과 맞물려 있다)

 

The goodness of God is not identical with his holiness or his righteousness. But it is interlocking in that his holiness overflows in goodness, and his righteousness guides its bestowal. They never contradict each other.

하나님의 선하심은 그분의 거룩하심 또는 의로우심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분의 거룩하심이 선하심으로 흘러넘치며, 그분의 의로우심이 그것의 수여를 인도한다는 것 안에서 서로 맞물려 있습니다. 그것들은 결코 서로 모순되지 않습니다.

 

God’s goodness is his disposition to be generousto do what blesses human beings. The transcendent fullness and perfection of Godhis holinessis  like a fountain that overflows. This is why he is disposed to be generous. God is not needy. Therefore, he never exploits others to make up for some deficiency in himself. Instead, the impulse of his nature is to give, not get. “He is not served by human hands, as though he needed anything, since he himself gives to all mankind life and breath and everything” (Acts 17:25).

하나님의 선하심은 인간에게 복을 주시는 일을 하기 위해 관대한 그분의 성향입니다. 하나님의 초월적인 충만하심과 완벽하심, 즉 그분의 거룩하심은 마치 흘러넘치는 샘과 같습니다. 이것이 그분이 관대한 성향을 가지신 이유입니다. 하나님은 궁핍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그분은 자신의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착취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그의 본성의 충동은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입니다. “또 무엇이 부족한 것처럼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니 이는 만민에게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 친히 주시는 이심이라”(사도행전 17:25).

 

But his goodness is not disconnected from his righteousness. It is not bestowed in a way that would deny his infinite value and beauty and greatness. This is why God’s righteousness involves final punishment as well as goodness. When God punishes the unrepentant in hell, he is not bestowing his goodness on them. But he does not cease to be good. His holiness and righteousness govern the bestowal of his goodness.

그러나 그분의 선하심은 그분의 의로우심과 단절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그분의 무한한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수여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의로우심에는 선하심 뿐 아니라 최종적인 처벌이 포함됩니다. 하나님께서 회개하지 않은 사람을 지옥에서 벌하실 때, 그분은 그들에게 선을 베풀지 않으십니다. 그러나 그분은 선을 멈추지 않습니다. 그분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은 그분의 선의 수여를 지배합니다.

 

This is why his goodness flows especially toward those who fear him and take refuge in him. “Oh, how abundant is your goodness, which you have stored up for those who fear you and worked for those who take refuge in you” (Ps. 31:19).

그렇기 때문에 그분의 선하심은 특히 그분을 두려워하고 그분께로 피하는 사람들에게 흘러가는 것입니다. “주를 두려워하는 자를 위하여 쌓아 두신 은혜 곧 주께 피하는 자를 위하여 인생 앞에 베푸신 은혜가 어찌 그리 큰지요”(31:19)

 

This reverence and faith do not earn God’s goodness. Finite, totally dependent sinners can’t earn anything from God. God’s goodness to sinners is always free and undeserved. Why, then, is God prone to show his abundant goodness to those who fear him and take refuge in him? It’s because such reverence and faith display God’s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Rom. 4:20). And, therefore, God’s righteousness inclines him to affirm such God-honoring attitudes.

이 존경과 믿음은 하나님의 선하심을 얻지 못합니다. 유한하며 전적으로 의존적인 죄인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아무것도 얻을 수 없습니다. 죄인들에 대한 하나님의 선하심은 항상 거저이며 자격이 없는 사람들에게 주어집니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그분을 두려워하고 그분께 피하는 사람들에게 풍성한 선하심을 쉽게 나타내실까요? 그러한 존경과 믿음이 하나님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4:20). 그러므로 하나님의 의로우심은 그분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존중하는 태도를 확언하게끔 합니다.

 

 

WHAT, THEN, OF THE CORONAVIRUS?(그렇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We turn, in the next chapter, to God’s all-knowing, allgoverning sovereignty over all things. But what we have seen here will keep us from jumping to the conclusion that God’s fingers in the coronavirus discredit his holiness or righteousness or goodness. We will not be so naive as to equate human suffering with divine unrighteousness. Or to conclude that God has ceased to be holy or good when he governs his world.

우리는 다음 장에서 모든 것을 아시고, 모든 것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우리가 여기에서 본 것은 코로나 바이러스 안에 있는 하나님의 손가락이 그분의 거룩하심이나, 의로우심이나 또는 선하심을 불신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게 할 것입니다. 우리는 인간의 고통을 하나님의 불의하심과 동일시할 만큼 순진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또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세상을 다스릴 때 거룩하거나 선하심을 멈추셨다고 결론 내리지 않을 것입니다.

 

All of us are sinners. No exceptions. We all have exchanged the glory of God’s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for things we enjoy more (Rom. 1:23; 3:23). This is a shameful dishonor to God, whether we feel it or not. We therefore are deserving of punishment. Our dishonoring of God’s glory makes us worthy objects of holy wrath. The Bible says we are “by nature children of wrath” (Eph. 2:3). Which means that God would be holy and righteous to withhold his goodness from us.

우리 모두는 죄인입니다. 아무도 예외가 없습니다.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의 영광을 우리가 더 즐기는 것들과 바꾸어버렸습니다(1:23; 3:23). 우리가 느끼든 느끼지 못하든, 이것은 하나님께 대한 수치스러운 불명예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벌을 받아 마땅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을 모욕한 것은 우리로 하여금 거룩한 분노의 합당한 대상이 되게 합니다. 성경은 우리가 본질상 진노의 자녀라고 말합니다(2:3). 그것은 하나님이 우리에게서 그분의 선하심을 거두는 것이 거룩하고 의로운 것임을 의미합니다.

 

The coronavirus, therefore, does not point to unholiness or unrighteousness or lack of goodness in God. Our Rock, in these troubled days, is not unrighteous. He is not unholy. “There is none holy like the Lord .  .  .  ; there is no rock like our God” (1  Sam. 2:2). Our Rock is not a mirage.

그러므로 코로나 바이러스는 하나님의 거룩하지 않으심, 불의하심 또는 선하심의 부족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이 곤경에 처한 날들 가운데, 우리의 바위는 불의하지 않습니다. 그분은 거룩하지 않지 않습니다. “여호와와 같이 거룩하신 이가 없으시니 ... 우리 하나님 같은 반석도 없으심이니이다”(삼상 2:2). 우리의 바위는 신기루가 아닙니다.

 

 

 

Chapter 4

SOVEREIGN OVER ALL

(모든 것의 주권자)

 

 

 

In chapter 2 I used the phrase “bitter providence.” That’s what the coronavirus is. To describe some of God’s works as bitter is not blasphemy. Naomi, Ruth’s mother-in-law, who lost her husband, her two sons, and one daughter-in-law through famine and exile, said:

2 장에서 나는 쓰라린 섭리/bitter providence”라는 문구를 사용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사역의 일부를 쓰라리다고 묘사하는 것은 신성 모독이 아닙니다. 룻의 시어머니 나오미는 기근을 겪으며 그녀의 남편과 두 아들, 한 며느리를 잃고 망명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 Almighty has dealt very bitterly with me. I went away full, and the Lord has brought me back empty. . .  . The Almighty has brought calamity upon me. (Ruth 1:2021)

이는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bitterly) 하셨음이니라 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돌아오게 하셨느니라 ...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거늘(룻기 1:20-21).

 

She was not lying, overstating, or accusing. It was a simple, and terrible, fact. “Bitter providence” is not a disparagement of God’s ways. It’s a description.

그녀는 거짓말을 하거나 과장하거나 비난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단순하고 끔찍한 사실이었습니다. “쓰라린 섭리는 하나님의 방식을 헐뜯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묘사하는 것입니다.

 

I also said in chapter  2 that the sweetness of God’s word is not diminished in the midst of this bitter providencenot if we have learned the secret of “sorrowful, yet always rejoicing” (2 Cor. 6:10). I said we would come back to this secret. Then I summed it up in a sentence: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Knowing this makes all the difference. So is it true?

나는 또한 2 장에서 우리가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는”(고후 6:10) 비밀을 배웠다면, 하나님의 말씀의 달콤함이 이 쓰라린 섭리 가운데서 줄어들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나는 우리가 이 비밀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것을 다음의 한 문장으로 정리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이것을 아는 것은 모든 차이를 만듭니다. 그렇다면 그것이 사실일까요?

 

 

WHAT GOD WILLS, HE DOES(하나님은 뜻하시는 바를 행하신다)

 

My aim in this chapter and the next is to show that God is all-governing and all-wise. He is sovereign over the coronavirus. I want to show that this is good newsindeed, it is the secret of experiencing the sweetness of God in his bitter providences.

이 장과 다음 장에서의 나의 목표는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지배하시고 전적으로 지혜로우신 분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분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다스리십니다. 나는 이것이 좋은 소식임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실제로 그것이 그분의 쓰라린 섭리 안에서 하나님의 달콤함을 경험하는 비결입니다.

 

Saying that God is all-governing means he is sovereign. His sovereignty means that he can do, and in fact does do, all that he decisively wills to do. I say decisively because God, in a sense, wills things he does not carry through. He can express desires that he himself chooses not to act on. In that sense, they are not decisive. He himself does not let such willing or desiring rise to the level of performance.

하나님이 모든 것을 지배하신다는 것은 그분이 주권자이심을 의미합니다. 그분의 주권은 그분이 결정적으로 하시고자 하는 모든 것을 하실 수 있고, 실제로 행하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는 어떤 의미에서 하나님은 자신이 수행하지 않는 일들을 하시고자 하기 때문에 결정적으로 그렇게 말합니다. 그분은 자신이 행동하지 않기로 스스로 선택한 욕망을 표현하실 수 있습니다. 그분 자신은 그러한 의지나 욕망이 실행되는 수준까지 일어나지 않도록 하십니다.

 

For example, consider Lamentations 3:3233:

예로써 예레미야 애가 3:3233을 생각해 보십시오:

 

Though he cause grief, he will have compassion according to the abundance of his steadfast love; for he does not afflict from his heart or grieve the children of men.

그가 비록 근심하게 하시나 그의 풍부한 인자하심에 따라 긍휼히 여기실 것임이라 주께서 인생으로 고생하게 하시며 근심하게 하심은 본심이 아니시로다

 

He does grieve us, but not from his heart. I take that to mean that while there are aspects of his character (his heart) that incline away from grieving us, nevertheless other aspects of his character dictate the holiness and righteousness of grieving us.

그분은 우리를 마음 아프게 하시지만, 그것이 그분의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은 아닙니다. 나는 그것이, 그분의 성품(그분의 마음)이 우리를 마음 아프게 하지 않으려는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분의 성품이 우리를 마음 아프게 하는 거룩하심과 의로우심을 지시하는 측면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받아들입니다.

 

He is not double-minded. There is a perfect beauty and coherence in how all his attributes cooperate. But neither is he without complexity. His character is more like a symphony than a solo performance.

그분은 두 마음을 품지 않습니다. 그분의 모든 속성이 협력하는 방식에는 완벽한 아름다움과 일관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복잡하지도 않습니다. 그분의 성격은 솔로 연주보다 교향곡에 가깝습니다.

 

So when I say that God’s sovereignty means that he can do, and in fact does do, all that he decisively wills to do, I mean there is no force outside himself that can thwart or frustrate his will. When he decides for a thing to happen, it happens. Or to put it another way, everything happens because God wills it to happen.

그러므로 하나님의 주권이 의미하는 바는 그분이 결정적으로 하시고자하는 모든 것을 그분이 할 수 있고, 사실상 하신다고 말할 때, 내가 의미하는 것은 그분의 의지를 방해하거나 좌절시킬 수 있는 힘이 그분 자신 외에는 없다는 것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을 그분이 결정하실 때, 그것은 일어납니다. 또는 달리 말하면, 모든 일은 하나님이 그 일이 일어나기를 원하시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ALL-PERVASIVE SOVEREIGNTY(편재하는 주권)

 

Isaiah teaches that this is part of the very essence of what it means to be God:

이사야는 이것이 하나님이라는 의미의 본질의 일부라고 가르칩니다.

 

I am God, and there is no other; I am God, and there is none like me, declaring the end from the beginning and from ancient times things not yet done, saying, “My counsel shall stand, and I will accomplish all my purpose.” (Isa. 46:910)

나는 하나님이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느니라 나는 하나님이라 나 같은 이가 없느니라 내가 시초부터 종말을 알리며 아직 이루지 아니한 일을 옛적부터 보이고 이르기를 나의 뜻이 설 것이니 내가 나의 모든 기뻐하는 것을 이루리라(46:9-10).

 

To be God is to cause his own counsel to standalways. God does not just declare which future events will happen; he makes them happen. He speaks his word, and then he adds, “I am watching over my word to perform  it” (Jer. 1:12).

하나님 되심은 항상 자신의 계획이 바로 서도록 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미래의 어떤 사건이 일어날 지 선언하지만은 않으십니다. 그분은 그것들이 일어나게 하십니다. 그분은 자신의 말을 하시고서 내가 내 말을 지켜 그대로 이루려 함이라”(1:12)고 덧붙이십니다.

 

Which means, as Job learned from hard experience, “I know that you can do all things, and that no purpose of yours can be thwarted” (Job 42:2). Or as Nebuchadnezzar learned from his merciful humiliation:

그것의 의미는, 욥이 어려운 경험을 통해 배운 바와 같이, “주께서는 못 하실 일이 없사오며 무슨 계획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압니다”(42:2)입니다. 또는 느부갓네살이 자비로운 굴욕에서 배웠을 때처럼:

 

All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are accounted as nothing, and he does according to his will among the host of heaven and among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and none can stay his hand or say to him, “What have you done?” (Dan. 4:35)

땅의 모든 사람들을 없는 것 같이 여기시며 하늘의 군대에게든지 땅의 사람에게든지 그는 자기 뜻대로 행하시나니 그의 손을 금하든지 혹시 이르기를 네가 무엇을 하느냐고 할 자가 아무도 없도다(4:35)

 

Or as the psalmist says:

혹은 시편 기자가 말하는 것과 같이:

 

Whatever the Lord pleases, he does, in heaven and on earth, in the seas and all deeps. (Ps. 135:6)

여호와께서 그가 기뻐하시는 모든 일을 천지와 바다와 모든 깊은 데서 다 행하셨도다(135:6)

 

Or as the apostle Paul sums up:

혹은 사도 바울이 요약하듯이:

 

[He] works all things according to the counsel of his will. (Eph. 1:11)

[그분은] 모든 일을 그의 뜻의 결정대로 일하십니다(1:11)

 

“All things.” Not some things. And “according to his will,” not according to wills or forces outside himself.

몇 가지가 아니라 모든 일입니다. 그리고 그분 이외의 뜻이나 힘에 따라가 아니라 그분의 뜻에 따라입니다.

 

In other words, the sovereignty of God is all-encompassing and all-pervasive. He holds absolute sway over this world. He governs wind (Luke 8:25), lightning (Job 36:32), snow (Ps. 147:16), frogs (Ex. 8:115), gnats (Ex. 8:1619), flies (Ex. 8:2032), locusts (Ex. 10:120), quail (Ex. 16:68), worms (Jonah 4:7), fish (Jonah 2:10), sparrows (Matt. 10:29), grass (Ps. 147:8), plants (Jonah 4:6), famine (Ps. 105:16), the sun (Josh. 10:1213), prison doors (Acts 5:19), blindness (Ex. 4:11; Luke 18:42), deafness (Ex. 4:11; Mark 7:37), paralysis (Luke 5:2425), fever (Matt. 8:15), every disease (Matt. 4:23), travel plans (James 4:1315), the hearts of kings (Prov. 21:1; Dan. 2:21), nations (Ps. 33:10), murderers (Acts 4:2728), and spiritual deadness (Eph. 2:45)and all of them do his sovereign will.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주권은 모든 것을 포괄하고 만연합니다. 그분은 이 세상을 완전히 지배하고 계십니다. 그분은 바람(8:25), 번개(36:32), (147:16), 개구리(8:1-15), (8:16-19), 파리(8:20~32), 메뚜기(10:1~20), 메추라기(16:6~8), 벌레(요나 4:7), 물고기(요나 2:10), 참새(10:29), (147:8), 식물(요나 4:6), 기근(105:16), 태양(10:12~13), 감옥 문(5:19), 맹인(4:11; 누가복음 18:42), 귀머거리(4:11; 7:37), 중풍(5:24~25), 열병(8:15), 모든 질병(4:23), 여행 계획(4:13~15), 왕들의 마음(21:1; 2:21), 나라들(33:10), 살인자(4:27~28), 영적 사망(2:4~5) 등을 다스리십니다. 그리고 그것들 모두는 그분의 주권적인 의지를 행합니다.

 

 

NOT A SEASON FOR SENTIMENTAL VIEWS OF GOD(하나님의 감정적인 견해를 따질 시기가 아니다)

 

The coronavirus was sent, therefore, by God. This is not a season for sentimental views of God. It is a bitter season. And God ordained it. God governs it. He will end it. No part of it is outside his sway. Life and death are in his hand. Job did not sin with his lips (Job 1:22) when he said:

그래서 하나님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보내셨습니다. 지금은 하나님의 감상적인 관점을 따질 시기가 아닙니다. 쓰라린 시기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그것을 명하셨습니다. 하나님이 그것을 지배하십니다. 그분이 그것을 끝낼 것입니다. 그것의 어떤 부분도 그분의 지배 밖에 있지 않습니다. 삶과 죽음이 그분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욥은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입술로 죄를 짓지 않았습니다(1:22).

 

Naked I came from my mother’s womb, and naked shall I return.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blessed be the name of the Lord. (Job 1:21)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사온즉 또한 알몸이 그리로 돌아가올지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1:21)

 

The Lord gave. And the Lord took. The Lord took Job’s ten children.

하나님이 주셨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취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욥의 열 자녀를 취하셨습니다.

 

In the presence of God, no one has a right to life. Every breath we take is a gift of grace. Every heartbeat, undeserved. Life and death are finally in the hands of God:

하나님의 존전에는 아무도 생명에 대한 권리가 없습니다. 우리가 취하는 모든 호흡은 은혜의 선물입니다. 모든 심장 박동이 과분합니다. 삶과 죽음은 결국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See now that I, even I, am he, and there is no god beside me; I kill and I make alive; I wound and I heal; and there is none that can deliver out of my hand. (Deut. 32:39)

이제는 나 곧 내가 그인 줄 알라 나 외에는 신이 없도다 나는 죽이기도 하며 살리기도 하며 상하게도 하며 낫게도 하나니 내 손에서 능히 빼앗을 자가 없도다(32:39).

 

Therefore, as we ponder our future with the coronavirusor  any other life-threatening situationJames tells us how to think and speak:

따라서 코로나 바이러스(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다른 상황)를 가지고 미래를 생각할 때 야고보는 생각하고 말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알려줍니다:

 

You ought to say, “If the Lord wills, we will live and do this or that.” (James 4:15)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4:15).

 

If he wills, we will live. If not, we won’t.

그분이 뜻하시면 우리가 살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죽을 것입니다.

 

For all I know, I will not live to see this book published. I have at least one relative infected with the coronavirus. I am seventy-four years old, and my lungs are compromised with a blood clot and seasonal bronchitis. But these factors do not ultimately decide. God decides. Is that good news? Yes. I’ll try to show why in the next chapter.

내가 아는 한, 나는 살아서 이 책이 출판되는 것을 보지 못할 것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친척이 적어도 한 명 있습니다. 나는 일흔 네 살이고, 나의 폐는 혈액 응고와 계절성 기관지염으로 손상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가 궁극적으로 결정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결정하십니다. 그것이 좋은 소식인가요? . 다음 장에서 그 이유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Chapter 5

THE SWEETNESS OF HIS REIGN

(그분의 통치의 달콤함)

 

 

 

Why should I receive the news of God’s sovereignty over the coronavirus, and over my life, as a sweet teaching? The secret, I said, is knowing that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In other words, if we try to rescue God from his sovereignty over suffering, we sacrifice his sovereignty to turn all things for good.

코로나 바이러스와 내 삶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소식을 내가 왜 달콤한 가르침으로 받는 것입니까? 내가 전에 말했듯이 그 비밀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다시 말해서, 고통에 대한 그분의 주권으로부터 하나님을 구출해 내려고 한다면, 모든 것을 선하게 돌리시는 그분의 주권을 우리가 희생시키는 것입니다.

 

 

GOD’S DETHRONEMENT IS NOT GOOD NEWS(하나님의 폐위는 좋은 소식이 아니다)

 

The very sovereignty that rules in sickness is the sovereignty that sustains in loss. The very sovereignty that takes life is the sovereignty that conquered death and brings believers home to heaven and Christ. It is not sweet to think that Satan, sickness, sabotage, fate, or chance has the last say in my life. That is not good news.

질병 안에서 다스리시는 바로 그 주권이 상실 가운데서 떠받치시는 주권입니다. 생명을 취하시는 바로 그 주권이 죽음을 정복하고 신자들을 천국과 그리스도의 집으로 데려가시는 주권입니다. 사탄, 질병, 파괴 행위, 운명 또는 기회가 내 인생에서 마지막 언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달콤하지 않습니다. 좋은 소식이 아닙니다.

 

That God reigns is good news. Why? Because God is holy and righteous and good. And he is infinitely wise. “With God are wisdom and might; he has counsel and understanding” (Job 12:13). “His understanding is beyond measure” (Ps. 147:5). “Oh, the depth of the riches and wisdom and knowledge of God!” (Rom. 11:33). His great aim is that “the manifold wisdom of God might now be made known to the rulers and authorities in the heavenly places” (Eph. 3:10).

하나님이 다스린다는 것이 좋은 소식입니다. ? 하나님은 거룩하고 의롭고 선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분은 무한히 지혜로우십니다. “지혜와 권능이 하나님께 있고 계략과 명철도 그에게 속하였나니”(12:13). “우리 주는 위대하시며 능력이 많으시며 그의 지혜가 무궁하시도다 ”(147:5).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11:33). 그분의 위대하신 목적은 하늘에 있는 통치자들과 권세들에게 하나님의 각종 지혜를 알게 하려 하심”(3:10)입니다.

 

Nothing surprises him, confuses him, or baffles him. His infinite power rests in the hands of infinite holiness and righteousness and goodnessand wisdom. And all of that stands in the service of those who trust his Son, Jesus Christ. What God did in sending Jesus to die for sinners has everything to do with the coronavirus.

그분을 놀라게 하거나 혼동시키거나 당황하게 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그분의 무한한 능력은 무한한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과 지혜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은 그분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신뢰하는 사람들의 섬김 가운데 있습니다. 죄인들을 위해 죽으시도록 예수님을 보내신 가운데 하나님이 하신 일 속에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모든 것이 들어 있습니다.

 

 

HOW GOD SECURED “ALL THINGS” FOR SINNERS(하나님은 죄인들을 위해 모든 것을 어떻게 보장해 주셨는가?)

 

Here’s the connection. It’s Romans 8:32: “He who did not spare his own Son but gave him up for us all, how will he not also with him graciously give us all things?” This means that God’s willingness to send his Son to be crucified in our place is his declaration and validation that he will use all his sovereignty to “give us all things.” “How will he not also with him graciously give us all things?” Meaning: he most certainly will. It is guaranteed by the blood of his son.

연결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것은 로마서 8:32입니다: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시지 아니하겠느냐?” 이것은 우리를 대신하여 그분의 아들을 십자가에 못 박히도록 기꺼이 보내신 것은 그분이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시기위해 그분의 모든 주권을 사용할 것이라는 그분의 선언과 확증을 의미합니다.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시지 아니하겠느냐?” 의미: 그분은 가장 확실하게 그렇게 하실 것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아들의 피로 보장합니다.

 

And what are these “all things”? They are the things we need to do his will, glorify his name, and make it safely into his joyful presence.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무엇입니까? 그것들은 우리가 그분의 뜻을 행하고, 그분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며, 그분의 즐거운 존전으로 무사히 나아가는 데 필요한 것들입니다.

 

Three verses later, Paul explains how it works in real lifein the coronavirus. What does it look like when God’s infinite, blood-certified commitment to give us “all things” meets the coronavirus? Here’s what he says:

세 절 뒤에, 바울은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실제 생활에서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합니다.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무한하시고 피로 보증하신 약속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만나면 그것이 어떻게 보입니까? 그가 말한 것은 이렇습니다:

 

Who shall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Christ? Shall tribulation, or distress, or persecution, or famine, or nakedness, or danger, or sword [or the coronavirus]? As it is written, “For your sake we are being killed all the day long; we are regarded as sheep to be slaughtered.” No, in all these things we are more than conquerors through him who loved us. (Rom. 8:3537)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혹은 코로나 바이러스랴]? 기록된 바 우리가 종일 주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게 되며 도살당할 양 같이 여김을 받았나이다함과 같으니라.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8:35-37)

 

Don’t miss these painful and amazing words: “We are being killed all the day long.” That means that the “all things” God will give to us, because he did not spare his Son, includes bringing us safely through death. Or as he says in Romans 8:3839, “I am sure that neither death nor life . . . will be able to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in Christ Jesus our Lord.”

다음과 같은 고통스럽고 놀라운 말을 놓치지 마십시오. “우리가 종일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그분의 아들을 아끼지 않으셨기 때문에 그분이 우리에게 주실 모든 것에는 죽음을 통하여 우리를 안전하게 데려오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는 로마서 8:38~39에서 그가 말한 것처럼 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WHAT SATAN MEANS FOR EVIL(악에 대하여 사탄이 의미하는 것)

 

Even if Satan, on his divine leash, has a hand in our suffering and death, he is not ultimate. He cannot hurt us without God’s permission and limitation (Job 1:12; Luke 22:31; 2  Cor. 12:7). And in the end, it is right for us to say to Satan what Joseph said to his brothers who had sold him into slavery: “As for you, you meant evil against me, but God meant it for good” (Gen. 50:20).

사탄이 하나님의 통제 가운데 우리의 고통과 죽음에 손을 대더라도, 그는 최종적이지 않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허락과 제한 없이는 우리를 해칠 수 없습니다(1:12; 22:31; 고후 12:7). 그리고 결국, 우리에게는 요셉이 자신을 노예로 팔았던 그의 형제들에게 한 말을 사탄에게 말할 권리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셨다”(50:20).

 

Be careful not to water this down. It does not say, “God used it for good” or “God turned it for good.” It says, “God meant it for good.” They had an evil purpose. God had a good purpose. God didn’t start cleaning up halfway through this sinful affair. He had a purpose, a meaning, from the beginning. From the start, he meant it for good.

이것의 효력을 약화시키지 마십시오. 그것은 하나님께서 그것을 선을 위해 사용하셨다든지 또는하나님이 선을 위해 그것을 돌이키셨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그것을 선으로 바꾸셨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사악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선하신 목적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죄의 사건을 반쯤 청소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처음부터 목적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처음부터 그분은 선을 의미하셨습니다.

 

This is the key to comfort when the evil of men and the evil of Satan compound our suffering. In Christ, we have every right to say to Satan (or to evil men), “You meant it for evil. But God meant it for good.” Neither Satan nor sickness nor sinful man is sovereign. Only God is. And he is goodand wise and sovereign.

이것은 사람의 악과 사탄의 악이 우리의 고통을 혼합할 때 위로하는 열쇠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사탄에게 (또는 악한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는 모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셨다.” 사탄이나 질병이나 죄인 모두 주권자가 아닙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그렇습니다. 그리고 그분은 선하시며 지혜로우신 주권자입니다.

 

 

NOT A SPARROW, EVERY HAIR(참새가 아니라 모든 머리털)

 

Jesus expresses the sweetness of God’s sovereignty for his disciples as beautifully as anyone:

예수님은 제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의 달콤함을 어느 누구보다도 아름답게 표현합니다:

 

Are not two sparrows sold for a penny? And not one of them will fall to the ground apart from your Father. But even the hairs of your head are all numbered. Fear not, therefore; you are of more value than many sparrows. (Matt. 10:2931)

참새 두 마리가 한 앗사리온에 팔리지 않느냐? 그러나 너희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너희에게는 머리털까지 다 세신 바 되었나니, 두려워하지 말라 너희는 많은 참새보다 귀하니라(10:29-31).

 

Not one sparrow falls but by God’s plan. Not one virus moves but by God’s plan. This is meticulous sovereignty. And what does Jesus say next? Three things: You are of more value than many sparrows. The hairs of your head are all numbered. Fear not.

참새 한 마리도 하나님의 계획이 아니고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하나의 바이러스도 하나님의 계획이 아니면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것은 세심한 주권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그 다음에 무엇이라고 말합니까? 세 가지: 당신은 많은 참새보다 더 가치가 있다. 너의 머리털 모두를 센다. 두려워하지 말라.

 

Why not? Because God’s meticulous sovereigntywhether we live or dieserves his holiness and righteousness and goodness and wisdom. In Christ we are not his dispensable pawns. We are his valued children. “You are of more value than many sparrows.”

왜 두려워하지 말라고 하십니까? 우리가 살든지 죽든지 하나님의 세심한 주권은 그분의 거룩하심과 의로우심과 선하심과 지혜로우심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없어도 좋은 저당물이 아닙니다. 우리는 그분의 소중한 자녀입니다. “당신은 많은 참새보다 더 가치가 있습니다.”

 

This is the secret mentioned earlier: knowing that the same sovereignty that could stop the coronavirus, yet doesn’t, is the very sovereignty that sustains the soul in it. And not only sustains, but sees to it that everything, bitter and sweet, works together for our goodthe good of those who love God and are called in Christ (Rom. 8:2830).

이것이 앞에서 언급한 비밀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멈추게 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시는 것도 동일한 주권임을 아는 것이 그 안에 있는 영혼을 지탱하는 바로 그 주권입니다. 그리고 지탱하는 것 뿐 아니라, 쓰거나 달콤한 모든 것이 우리의 유익, 즉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 함께 작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8:28~30).

 

 

IMMORTAL TILL MY WORK IS DONE(내 일이 끝날 때까지 멸하지 않는다)

 

That kind of rock-solid confidence in the face of death has emboldened Christ’s people for two thousand years. The truth of God’s wise and good sovereignty has been the stabilizing power for thousands of Christians in the sacrifices of love.

죽음에 직면하여 그런 종류의 확고한 확신은 이천년 동안 그리스도의 백성을 담대하게 했습니다. 하나님의 지혜롭고 선한 주권의 진실은 수천 명의 그리스도인들이 사랑의 희생을 하게 하는 견고한 힘이었습니다.

 

For example, Henry Martyn, missionary to India and Persia, who died of the plague (like the coronavirus) when he was thirty-one (October 16, 1812), wrote in his journal in January 1812:

예를 들어, 30(18121016)에 전염병(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으로 사망한 인도와 페르시아의 선교사 헨리 마틴은 18121월 자신의 일기에 이렇게 썼습니다:

 

To all appearance, the present year will be more perilous than any I have seen; but if I live to complete the Persian New Testament, my life after that will be of less importance. But whether life or death be mine, may Christ be magnified in me! If he has work for me to do, I cannot die.(2)

어느 모로 보나, 올해는 내가 보아왔던 어떤 해보다도 더 위험할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페르시아어 신약을 완성하기 위해 살아간다면 그 이후의 삶은 덜 중요할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살든지 죽든지 내 안에서 그리스도가 드러나기를! 그분이 나를 통해 하실 일이 있다면 나는 죽을 수 없습니다.(2)

 

This has often been paraphrased as “I am immortal till Christ’s work for me to do is done.” This is profoundly true. And it rests squarely on the reality that life and death are in the hands of our sovereign God. Indeed, the entire cause of Christ is in his hand. Seven years earlier, Martyn, at age twenty-four, had written:

나는 이것을 종종 그리스도께서 나를 위해 하실 일이 마칠 때까지 나는 죽을 수 없다라고 의역해 왔습니다. 이것은 진정으로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곧바로 삶과 죽음이 우리 주권자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는 현실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그리스도의 모든 사명은 그분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7년 전, 마틴은 24세 때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Were God not the sovereign of the universe, how miserable I should be! But the Lord reigneth, let the earth be glad. And Christ’s cause shall prevail. O my soul, be happy in the prospect.(3)

하나님이 우주의 주권자가 아니시라면 나는 얼마나 비참할까! 그러나 주님께서 다스리시니 땅이여 기뻐하라. 그리고 그리스도의 사명이 번창하리라. 오 나의 영혼아, 기대 가운데 행복하라.(3)

Part 2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하나님은 무엇을 하고 계시는가?)

 

 

 

PRELIMINARY THOUGHTS: SEEING AND POINTING

(예비 생각: 보고 지적하기)

 

 

 

If God has not been dethroned, if, indeed, he governs “all things according to the counsel of his will” (Eph. 1:11), and if this coronavirus outbreak, with all its devastation, is in his holy, righteous, good, and wise hands, then what is he doing? What are his purposes?

만일 하나님이 폐위되지 않으셨다면, 그리고 실제로 그분이 모든 일을 그의 뜻의 결정대로”(1:11) 다스리시며, 이 모든 황폐와 함께 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이 그분의 거룩하시고 의로우시고 선하시고 지혜로우신 손 안에 있다면 그분은 지금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그분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STOP REGARDING MAN(사람을 의지하지 말라)

 

The first thing to say, before trying to answer this question, is that, compared to the wisdom of God, my opinion counts for nothing. So does yours. What we think, out of our own heads, is of little significance. The Bible says that “whoever trusts in his own mind is a fool” (Prov. 28:26). Instead, we are told, “Trust in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and do not lean on your own understanding” (Prov. 3:5).

가장 먼저 말할 것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하나님의 지혜와 비교할 때 나의 의견은 아무 것도 중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당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자신의 머리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은 거의 중요하지 않습니다. 성경은 자기의 마음을 믿는 자는 미련한 자요”(28:26)라고 말합니다. 대신에 우리는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신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3:5)라고 들었습니다.

 

We humans are finite, sinful, culturally conditioned, and shaped (and misshaped) by our genes and personal history. Out of our hearts and minds and mouths come every manner of self-justifying rationalization for our own preferences. So we would be wise to pay attention to the prophet Isaiah when he says, “Stop regarding man in whose nostrils is breath, for of what account is he?” (Isa. 2:22).

우리 인간은 유한하고 죄가 많으며 문화의 영향을 받고, 우리의 유전자와 개인 역사에 의해 빚어지고 그리고 왜곡됩니다. 우리의 마음과 생각과 입에서 우리 자신의 취향에 대한 모든 방식의 자기 정당화 합리화가 나옵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인생을 의지하지 말라 그의 호흡은 코에 있나니 셈할 가치가 어디 있느냐?”(이사야 2:22)라는 선지자 이사야의 말에 현명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Is it, then, not presumption for me to write this book, let alone a section titled,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그러면 그것은 하나님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무엇을 하십니까?”라는 제목의 섹션을 제외하고 내가 이 책을 쓰는 것에 대한 추정이 아닙니까?

 

No. It is not presumptuous. Not if God has spoken in the Christian Scriptures. Not if God has stooped to speak in human words so that we might truly (though partially) know him and his ways. Not if Paul’s words are true: “[God] lavished [his grace] upon us, in all wisdom and insight, making known to us the mystery of his will” (Eph. 1:89). Not if, as Paul says, “by reading you can perceive my insight into the mystery of Christ” (Eph. 3:4, my translation).

아닙니다. 그것은 주제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기독교인의 성경에서 말씀하셨기 때문에 아닙니다. 하나님이 자신을 낮추셔서 인간의 말로 말씀을 하셔서 우리가 진정으로(비록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그분과 그분의 길을 알 수 있게 하셨기 때문에 아닙니다. 바울이 말한: “[하나님]가 모든 지혜와 총명으로 [그분의 은혜]를 우리에게 넘치게 하사 그 뜻의 비밀을 우리에게 알리신 것이요”(1:8-9)가 사실이기 때문에 아닙니다. 바울이 말한 것처럼 그것을 읽으면 너희는 그리스도의 신비에 대한 나의 통찰력을 인식 할 수 있기 때문에”(3:4, 나의 번역) 주제넘지 않습니다.

 

God is not silent about what he is doing in this world. He has given us the Scriptures. In chapter 2, I pointed to some of the reasons we may trust the Bible as God’s word. So my aim is not to dream up ideas about what God might be doing. My aim is to listen to his word in Scripture and commend to you what I hear.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 그분이 하시고 있는 일에 대해 침묵하지 않습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성경을 주셨습니다. 2장에서 나는 우리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을 수 있는 몇 가지 이유를 지적했습니다. 그래서 나의 목표는 하나님께서 하실 일에 대한 아이디어를 꿈꾸지 않는 것입니다. 나의 목표는 성경에서 그분의 말씀을 듣고 내가 듣는 것을 당신에게 추천하는 것입니다.

 

 

HOW INSCRUTABLE HIS WAYS(그의 길을 찾지 못할 것이며)

 

Another thing I should say before I try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God doing? is that he is always doing a billion things we do not know:

하나님은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내가 말해야 할 또 다른 것은, 그분은 우리가 모르는 10억 가지 일을 항상 하고 계시다는 것입니다:

 

You have multiplied, O Lord my God, your wondrous deeds and your thoughts toward us; none can compare with you! I will proclaim and tell of them, yet they are more than can be told. (Ps. 40:5)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주께서 행하신 기적이 많고 우리를 향하신 주의 생각도 많아 누구도 주와 견줄 수가 없나이다! 내가 널리 알려 말하고자 하나 너무 많아 그 수를 셀 수도 없나이다(40:5).

 

Not only are his designs in the coronavirus beyond counting; they are, in many ways, inscrutable. “Oh, the depth of the riches and wisdom and knowledge of God! How unsearchable are his judgments and how inscrutable his ways!” (Rom. 11:33). But when Paul wrote that, he was not saying, “So close your Bible and make up your own reality.”

코로나 바이러스에 있어서의 그분의 계획은 셀 수 없을 뿐 아니라; 그것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조사가 불가능하다.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 그의 판단은 헤아리지 못할 것이며 그의 길은 찾지 못할 것이로다”(11:33). 그러나 바울이 그것을 기록했을 때, 그는 그러므로 당신은 성경을 가까이 하여 당신 자신의 현실을 만드시오라고 말하지 않았다.

 

On the contrary, those words about God’s inscrutable ways were written as a climax to eleven chapters of the greatest news in the world, all of which are written to be understood. For example, when Paul touches on the inevitability of suffering, he says:

반대로, 하나님의 찾지 못할 길에 관한 그 말씀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소식의 11개 장에 대한 절정으로 기록되었으며, 그 내용은 모두 이해하도록 쓰여졌습니다. 예를 들어, 바울은 환난의 필연성을 다룰 때 이렇게 말합니다:

 

We rejoice in our sufferings, knowing that suffering produces endurance, and endurance produces character, and character produces hope, and hope does not put us to shame, because God’s love has been poured into our hearts through the Holy Spirit. (Rom. 5:35)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5:3-5).

 

“Knowing”! The Scriptures are written that we might know the things God has revealed. Especially about sufferingincluding this coronavirus outbreak. So inscrutable means that God is always doing more than we can seeand even what we can see, we would not have seen if he had not revealed it.

앎이로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드러내신 것들을 우리가 알 수 있도록 쓰여졌습니다. 특히 이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을 포함한 환난에 대하여. 따라서 찾지 못한다는 말의 의미는 하나님께서는 항상 우리가 보는 것, 심지어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하고 계시다는 것이며, 그분이 그것을 드러내지 않으시면 우리가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POINTING TO REALITY(현실을 가리키다)

 

So my job here is not to imagine, as in John Lennon’s famous song.(4) He tells us to imagine that there’s no heaven, no hell, but only sky. And then he says that such imagining is easy. Just try. Right. It is easy. Way too easy. The coronavirus demands hard reality, not easy imaginings. God and his word are the reality we needthe Rock under our feet. So my aim here is to point to reality, not create reality. My aim is to hear what God has said, and affirm rather than imagine.

그래서 존 레논의 유명한 노래에서와 같이 여기서 나의 일은 상상하는 것이 아닙니다.(4) (존 레논)는 우리에게 천국이 없고 지옥도 없으며 단지 하늘만 있다고 상상하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는 그런 상상을 하는 것이 쉽다고 말합니다. 한번 상상의 시도를 해 보세요. 옳습니다. 상상은 쉽습니다. 너무 쉽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는 쉬운 상상이 아닌 어려운 현실을 요구합니다.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은 우리가 필요로 하는 현실, 즉 우리의 발아래 있는 바위입니다. 그래서 여기서의 나의 목표는 현실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나의 목표는 하나님이 말씀하신 것을 듣고, 상상하기보다는 확증하는 것입니다.

 

I will point to what the Bible teaches and then make the connections with the coronavirus. Yours is to judge what is right.

나는 성경이 가르치는 것을 가리킨 다음 코로나 바이러스와 연관을 맺을 것입니다. 당신이 할 일은 옳은 것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I say that because it’s what Jesus said about “interpreting the present time.” He was indignant that people could use their reason to make sense out of weather patterns but not the divine working of God in history:

내가 그것을 말하는 이유는 예수님이 이 시대를 분간하는 것에 대해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사람들이 자기들의 이성을 사용하여 날씨 패턴을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역사에서 하나님의 거룩한 일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에 분개했습니다.

 

You hypocrites! You know how to interpret the appearance of earth and sky, but why do you not know how to interpret the present time? And why do you not judge for yourselves what is right? (Luke 12:5657)

외식하는 자여! 너희가 천지의 기상은 분간할 줄 알면서 어찌 이 시대는 분간하지 못하느냐? 또 어찌하여 옳은 것을 스스로 판단하지 아니하느냐?(12:56-57).

 

So my hope is that you will ask for God’s help, look to God’s word, and judge for yourselves what is right. I hope you will test what I say by the Scriptures (1 John 4:1), and hold fast to what is good (1 Thess. 5:21).

그래서 내가 바라는 것은 여러분이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들여다보고, 스스로 옳은 것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나는 여러분이 내가 말한 것을 성경으로 시험하고(요한14:1)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기를(살전 5:21) 바랍니다.

 

SIX PATHS TO FOLLOW(따라야 할 여섯 가지 길)

 

Many pages could be written about each of the six answers I am going to give to the question,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But with the urgency of the hour, I won’t take time for that. I will only point to paths of biblical truth that I hope you will pursue after you close this book. I wish we could walk far down those paths together. But I must leave that with you. May God guide you.

하나님께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내가 주려고 하는 6 가지 답변 각각에 대해 많은 페이지를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절박함에 따라 거기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겠습니다. 이 책을 닫은 후에 당신이 추구하기를 바라는 성경적 진리의 길만을 가리킬 것입니다. 우리가 그 길을 함께 걸어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당신에게 남겨놓아야만 합니다. 하나님이 당신을 인도하길 바랍니다.

 

What is God doing through the coronavirus?

하나님께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Chapter 6

PICTURING MORAL HORROR

(도덕적 참사를 묘사하기)

 

 

ANSWER  1.

(해답 1)

God is giving the world in the coronavirus outbreak, as in all other calamities, a physical picture of the moral horror and spiritual ugliness of God-belittling sin.

하나님은 다른 모든 재난에서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한 세상에 도덕적 참사와 하나님을 하찮게 보는 죄의 영적 추악함에 대한 육체적 그림을 주고 계십니다.

 

 

Sin, in fact, is why all physical misery exists. The third chapter of the Bible describes the entrance of sin into the world. It shows sin to be the origin of global devastation and misery (Gen. 3:119). Paul summed it up in Romans 5:12: “Sin came into the world through one man, and death through sin, and so death spread to all men because all sinned.”

사실상 죄는 모든 육체적 불행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성경의 세 번째 장은 세상에 죄가 들어오는 것을 묘사합니다. 그것은 죄가 세계적인 황폐와 불행의 근원임을 보여줍니다(3:1~19). 바울은 이것을 로마서 5:12에서 이렇게 요약했습니다.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The world has been broken ever since. All its beauty is interwoven with evil and disasters and diseases and frustrations. God had created it perfect. “God saw everything that he had made, and behold, it was very good” (Gen. 1:31). But from humanity’s fall into sin to this very day, history, for all its wonders, is a conveyor belt of corpses.

그 이후로 세상은 망가졌습니다.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은 악과 재난, 질병 및 좌절과 얽혀 있습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완벽하게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1:31). 그러나 인류가 죄에 빠진 이후 오늘날까지의 역사는 그 모든 놀라운 일에 대해 시체의 컨베이어 벨트입니다.

 

 

THE FALL IS JUDGMENT(타락은 심판이다)

 

The Bible does not see this brokenness as merely natural, but as the judgment of God on a world permeated with sin. Here’s how Paul described the effects of God’s judgment on the world because of sin:

성경은 이 망가짐을 단지 자연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죄가 가득찬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봅니다. 다음은 바울이 죄로 인한 세상에 미치는 하나님의 심판의 영향을 묘사한 것입니다:

 

The creation was subjected to futility, not willingly, but because of him who subjected it, in hope that the creation itself will be set free from its bondage to corruption and obtain the freedom of the glory of the children of God. For we know that the whole creation has been groaning together in the pains of childbirth until now. (Rom. 8:2022)

피조물이 허무한 데 굴복하는 것은 자기 뜻이 아니요 오직 굴복하게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 그 바라는 것은 피조물도 썩어짐의 종 노릇 한 데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니라.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8:20-22).

 

Futility. Bondage to corruption. Groaning. These are images of global devastation and misery since sin entered the world. And Paul says this devastation is owing to the judgment of God: “The creation was subjected to futility .  .  . because of him who subjected it in hope” (8:20). Satan did not subject it in hope. Adam did not subject it in hope. God did. As Paul said in Romans 5:16, “The judgment following one trespass brought condemnation.”

허무함. 썩어짐의 종 노릇. 탄식. 이것들은 죄가 세상에 들어온 이래로 세계적인 황폐와 불행의 이미지입니다. 그리고 바울은 이 황폐가 하나님의 심판에 의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피조물이 허무한 데 굴복하는 것은 ... 오직 굴복하게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8:20). 사탄이 원해서 된 것이 아닙니다. 아담은 그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 하셨습니다. 로마서 5:16에서 바울이 말한 것처럼,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정죄에 이르렀습니다.”

 

 

EVEN HIS CHILDREN UNDER JUDGMENT(심지어 그분의 자녀들도 심판 아래에 있다)

 

To be sure, this passage is full of hope“the freedom of the glory of the children of God” (Rom. 8:21). God has a stunning plan for a new creation, where “he will wipe away every tear from their eyes” (Rev. 21:4). But for now, we are all under his judgment. He has subjected the world to death, disaster, and misery.

확실히, 이 구절에는 희망,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8:21)가 가득합니다. 하나님은 새로운 창조에 대한 근사한 계획을 가지고 계십니다. 거기서 그분이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닦아 주실 것”(21:4)입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우리 모두 그분의 심판 아래에 있습니다. 그분은 세상을 죽음, 재난 및 불행에 처하게 했습니다.

 

Yes, even his own childrenthose whom he “predestined .  .  . for adoption” (Eph. 1:5), redeemed by the blood of his Son (Eph. 1:7), and appointed for eternal life (Eph. 1:18)even we suffer and die because of God’s judgment in the fall. “We ourselves, who have the firstfruits of the Spirit, groan inwardly as we wait eagerly for adoption as sons,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Rom. 8:23). Christians get swept away in tsunamis. Christians are killed in terrorist attacks. Christians get the coronavirus.

그렇습니다. 심지어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고”(1:5), 자기 아들의 피로 구속하시고(1:7), 영생을 약속하신(1:18) 자신의 자녀인 우리조차도 타락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때문에 고통받고 죽습니다.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8:23). 기독교인들도 쓰나미에 휩쓸려 갔습니다. 기독교인들도 테러 공격으로 사망했습니다. 기독교인들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립니다.

 

 

PURIFICATION, NOT PUNISHMENT(처벌이 아닌 정화)

 

The difference for Christiansthose who embrace Christ as their supreme treasureis  that our experience of this corruption is not condemnation. “There is therefore now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Christ” (Rom. 8:1). The pain for us is purifying, not punitive.

그리스도를 최고의 보물로 받아들이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차이점은 이 부패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정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8:1). 우리의 고통은 징벌이 아니라 정화입니다.

 

“God has not destined us for wrath” (1  Thess. 5:9). We die of disease and disaster like all humans. But for those who are in Christ, the “sting” of death has been removed (1  Cor. 15:55). “To die is gain” (Phil. 1:21). To depart is to “be with Christ” (Phil. 1:23).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닙니다”(살전 5:9). 우리는 모든 인간처럼 질병과 재앙으로 죽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사망의 쏘는 것이 제거되었습니다(고전 15:55). “죽는 것이 유익입니다”(1:21). 세상을 떠나는 것은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입니다”(1:23).

 

 

SATAN IS REALAND RESTRICTED(사탄은 실재하며 제한적이다)

 

When I trace the miseries of this world back to God’s judgment, I am not shutting my eyes to the fact that Satan is very involved in our global misery. The Bible calls him “the god of this world” (2  Cor. 4:4), and “the ruler of this world” (John 12:31), and “the prince of the power of the air” (Eph. 2:2). He has been “a murderer from the beginning” (John 8:44). He binds and oppresses with many diseases (Luke 13:16; Acts 10:38).

내가 이 세상의 불행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되돌려 놓을 때, 나는 사탄이 우리의 세계적인 불행에 매우 연루되어 있다는 사실에 눈을 감고 있지 않습니다. 성경은 그를 이 세상의 신”(고후 4:4)이 세상의 임금”(12:31)공중의 권세잡은 자”(2:2)라고 부릅니다. 그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였습니다(8:44). 그는 많은 질병을 묶고 압제합니다(13:16; 10:38).

 

But Satan is on a leash. The leash is in God’s hands. He does not act without God’s leave. He acts only with permission and limitation (Job 1:12; 2:6; Luke 22:31; 2 Cor. 12:7). God decides finally the extent of Satan’s damage. He is not separate from God’s judgment. He serves itunwittingly.

그러나 사탄은 목줄에 매여 있습니다. 그 목줄은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허락 없이는 행동하지 않습니다. 그는 오직 허락과 제한으로만 행동합니다(1:12; 2:6; 22:31; 고후 12:7). 하나님께서 결국 사탄의 피해 정도를 결정하십니다. 그는 하나님의 심판과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는 부지불식간에 하나님의 심판을 제공합니다.

 

 

KEY QUESTION(핵심 질문)

 

Now here is the question that brings the meaning of the coronavirus into sharper focus. Why did God bring a physical judgment on the world for a moral evil? Adam and Eve defied God. Their hearts turned against God. They preferred their own wisdom to his. They chose independence over trust. This defying and preferring and choosing was a spiritual and moral evil. It was sin in the soul first, not in the body. It was first Godward, not manward.

이제 코로나 바이러스의 의미를 보다 선명하게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왜 세상의 도덕적 악에 대해 육체적 심판을 내리셨습니까?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께 도전했습니다. 그들의 마음은 하나님으로부터 돌아섰습니다. 그들은 그분의 지혜보다 자신들의 지혜를 선호했습니다. 그들은 신뢰보다 독립을 선택했습니다. 도전하고 선호하고 선택하는 것은 영적이고 도덕적인 악이었습니다. 그것은 육체가 아니라 먼저 영혼의 죄였습니다. 그것은 사람을 향한 것이 아니라 먼저 하나님을 향한 것이었습니다.

 

But in response to moral and spiritual rebellion, God subjected the physical world to disaster and misery. Why? Why not leave the physical world in good order and bring misery on the human soul, since that’s where it all started?

그러나 도덕적이고 영적인 반역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님께서는 육체적인 세계를 재난과 불행에 처하게 하셨습니다. 왜 그럴까요? 모든 것의 시작이 영혼으로부터이므로 왜 인간의 영혼에 불행이 오도록 하고 육체의 세계는 질서 있게 내버려두지 않으시는 것일까요?

 

AN ANSWER(해답)

 

Here’s my suggestion: God put the physical world under a curse so that the physical horrors we see around us in diseases and calamities would become a vivid picture of how horrible sin is. In other words, physical evil is a parable, a drama, a signpost pointing to the moral outrage of rebellion against God.

내 제안은 이렇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우리 주변에서 보는 질병과 재난 같은 육체적 공포가 죄가 얼마나 끔찍한 것인지에 대한 생생한 그림이되도록 육체의 세계를 저주 아래 두셨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육체적 악은 하나님을 거역하는 반항의 도덕적 능욕을 가리키는 비유이자 드라마이자 푯말입니다.

 

Why might that be fitting? Because in our present condition, after the fall, blinded by sin, we cannot see or feel how repugnant sin against God is. Hardly anyone in the world feels the horror of preferring other things over God. Who loses any sleep over our daily belittling of God by neglect and defiance?

이것이 왜 적합할까요? 우리의 현재 상태에서, 즉 타락 이후, 죄에 의해 눈이 먼 상태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거역하는 것이 얼마나 거스르는 것인지 볼 수도 없고 느낄 수도 없습니다. 세상의 어느 누구도 하나님 외에 다른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공포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무시하고 반항함으로써 우리가 매일 하나님을 하찮게 본다는 것 때문에 잠을 못이루는 사람이 누가 있습니까?

 

But, oh, how we feel our physical pain! How indignant we can become if God touches our bodies! We may not grieve over the way we demean God every day in our hearts. But let the coronavirus come and threaten our bodies, and he has our attention. Or does he? Physical pain is God’s trumpet blast to tell us that something is dreadfully wrong in the world. Disease and deformity are God’s pictures in the physical realm of what sin is like in the spiritual realm.

,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육체적 고통을 어떻게 느끼고 있습니까! 하나님이 우리의 몸을 만지시면 얼마나 분개 할 수 있습니까! 우리는 매일 마음속으로 하나님을 모욕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슬퍼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와서 우리 몸을 위협하게 하면, 그분은 우리의 관심을 끕니다. 그런 게 아니면 그분이 우리의 관심을 끌었을까요? 육체적 고통은 세상에 무언가가 끔찍하게 잘못되었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리시는 하나님의 나팔 소리입니다. 영적인 영역에서 죄가 그러하듯이 질병과 결함은 육체적 영역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그림입니다.

 

And that is true, even though some of the most godly people in the world bear those diseases and deformities. Calamities are God’s previews of what sin deserves and will one day receive in judgment a thousand times worse. They are warnings. They are wake-up calls to see the moral horror and spiritual ugliness of sin against God.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경건한 사람들 중 일부가 그러한 질병과 결함을 앓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사실입니다. 재난은 죄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에 대한 하나님의 미리보기이며 언젠가는 천 배나 더 나쁜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그것은 경고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거스르는 죄에 대한 도덕적 공포와 영적인 추악함을 보여주기 위한 깨우침입니다.

 

Would that we could all see and feel how repugnant, how offensive, how abominable it is to treat our Maker with contempt, to ignore him and distrust him and demean him and give him less attention in our hearts than we give the style of our hair.

우리 모두가 모욕적인 태도로 우리의 창조주를 멸시하고, 그분을 무시하고 불신하고 그분을 모욕하며, 우리가 우리의 헤어스타일에 관심을 두는 것보다도 우리 마음에 그분에 대한 관심을 덜 두는 것이 얼마나 모욕적이고, 얼마나 불쾌하고, 얼마나 가증스러운지를 우리가 모두 보고 느낄 수 있었겠습니까?

 

We need to see this, and feel this, or we will not turn to Christ for salvation from the ugliness of sin. We may cry out to escape the penalty of sin. But will we see and hate the God-demeaning, moral ugliness of sin? If we don’t, it will not be because God has not provided vivid portrayals of it in physical miserylike the coronavirus. Therefore, God is mercifully shouting to us in these days: Wake up! Sin against God is like this! It is horrible and ugly. And far more dangerous than the coronavirus.

우리는 이것을 보고 이것을 느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죄의 추악함에서 구원을 얻기 위해 그리스도께로 향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죄의 형벌을 피하기 위해 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을 멸시하는 도덕적으로 추악한 죄를 보고 미워하려 했을까요? 그렇지 않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처럼 하나님이 육체적인 불행으로 생생한 묘사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이 시대에 자비롭게 우리에게 소리치십니다: 깨어나라! 하나님을 거역하는 죄는 이렇다! 그것은 끔찍하고 추악합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위험합니다.

Chapter 7

SENDING SPECIFIC DIVINE JUDGMENTS

(특별한 거룩한 심판을 보내신다)

 

 

ANSWER  2.

(해답 2)

Some people will be infected with the coronavirus as a specific judgment from God because of their sinful attitudes and actions.

어떤 사람들은 죄 많은 태도와 행동 때문에 하나님의 특정한 심판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 될 것입니다.

 

 

The fact that all misery is a result of the falla  result of the entrance of God-diminishing sin into the worlddoes not mean that all individual suffering is a specific judgment for personal sins. For example, Job’s suffering was not owing to his particular sins. The very first sentence of that book makes this clear: “Job . .  . was blameless and upright, one who feared God and turned away from evil” (Job 1:1).

모든 불행이 타락의 결과라는 사실, 즉 하나님의 명성을 떨어뜨리는 죄가 세상에 들어온 결과라는 사실이, 모든 개인의 고통은 개인적인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욥의 고통은 자신의 특정한 죄로 인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책의 첫 문장이 이것을 명확하게 합니다. “... 은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더라”(1:1).

 

And as we saw earlier, God’s own people experience many of the physical effects of his judgment. The apostle Peter put it like this:

그리고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하나님의 백성은 그분의 심판의 많은 물리적 영향을 경험합니다. 사도 베드로는 이것을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It is time for judgment to begin at the household of God; and if it begins with us, what will be the outcome for those who do not obey the gospel of God? And “If the righteous is scarcely saved, what will become of the ungodly and the sinner?” (1 Pet. 4:1718)

하나님의 집에서 심판을 시작할 때가 되었나니 만일 우리에게 먼저 하면 하나님의 복음을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의 그 마지막은 어떠하며, 의인이 겨우 구원을 받으면 경건하지 아니한 자와 죄인은 어디에 서리요?”(벧전 4:17-18).

 

For “the household of God,” this judgment from God is purifying, not punitivenot punishment. So not all suffering is owing to the specific judgments of God on specific sins. Nevertheless, God

sometimes uses disease to bring particular judgments upon those who reject him and give themselves over to sin.

하나님의 집에 대한 하나님의 이런 심판은 징벌, 즉 형벌이 아니라 정화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고통이 특정한 죄에 대한 하나님의 특정한 심판으로 인한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때때로 질병을 사용하여 그분을 거절하고 자기 자신들을 죄에 넘겨준 사람들에게 특정한 심판을 내리십니다.

 

 

EXAMPLES OF SPECIFIC JUDGMENTS ON SPECIFIC SINS(특정한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의 예)

 

I’ll give two examples of specific judgments on specific sins.

특정한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의 두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In Acts 12, Herod the king exalted himself by allowing himself to be called a god. “Immediately an angel of the Lord struck him down, because he did not give God the glory, and he was eaten by worms and breathed his last” (Acts 12:23). God can do that with all who exalt themselves. Which means we should be amazed that more of our rulers do not drop dead every day because of their arrogance before God and man. God’s restraint is a great mercy.

사도행전 12장에서 헤롯 왕은 자신을 신이라고 부르도록 함으로써 스스로를 높였습니다. “헤롯이 영광을 하나님께로 돌리지 아니하므로 주의 사자가 곧 치니 벌레에게 먹혀 죽으니라 ”(12:23). 하나님은 스스로를 높이는 모든 사람에게 그렇게 하실 수 있습니다. 그것은, 더 많은 통치자들이 하나님과 사람 앞에 오만한 것으로 인하여 매일 죽지 않는다는 것에 우리가 놀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구속은 아주 큰 자비입니다.

 

Another example is the sin of homosexual intercourse. In Romans 1:27, the apostle Paul says, “Men likewise gave up natural relations with women and were consumed with passion for one another, men committing shameless acts with men and receiving in themselves the due penalty for their error.” That “due penalty” is the painful effect “in themselves” of their sin.

또 다른 예는 동성애 성관계의 죄입니다. 로마서 1:27에서 사도 바울은 이렇게 말합니다: “남자들도 순리대로 여자 쓰기를 버리고 서로 향하여 음욕이 불 일듯 하매 남자가 남자와 더불어 부끄러운 일을 행하여 그들의 그릇됨에 상당한 보응을 그들 자신이 받았느니라.” 상당한 보응이란 그들 자신 안에 있는고통스런 결과입니다.

 

This “due penalty” is just one example of the judgment of God that we see in Romans 1:18, where it says, “The wrath of God is revealed from heaven against all ungodliness and unrighteousness of men, who by their unrighteousness suppress the truth.” Therefore, while not all suffering is a specific judgment for specific sins, some is.

상당한 보응은 로마서 1:18에서 보는 하나님의 심판의 한 예일 뿐입니다. 거기서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하지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부터 나타나나니.” 그러므로 모든 고통이 특정한 죄에 대한 특정한 심판은 아니지만, 일부는 그렇습니다.

 

 

LET EVERY SOUL BE SEARCHED(각자의 영혼을 살펴봅시다)

 

The coronavirus is, therefore, never a clear and simple punishment on any person. The most loving, Spirit-filled Christian, whose sins are forgiven through Christ, may die of the coronavirus disease. But it is fitting that every one of us search our own heart to discern if our suffering is God’s judgment on the way we live.

따라서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떤 사람에게도 명확하고 간단한 처벌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를 통해 죄를 용서받은 가장 사랑이 많고 성령 충만한 그리스도인도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으로 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자신의 고통이 우리가 사는 방식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인지 분별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을 살펴보는 것이 적합합니다.

 

If we come to Christ, we can know that our suffering is not the punitive judgment of God. We can know this because Jesus said, “Whoever hears my word and believes him who sent me has eternal life. He does not come into judgment, but has passed from death to life” (John 5:24). There is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Christ Jesus (Rom. 8:1). It is discipline, not destruction. “For the Lord disciplines the one he loves, and chastises every son whom he receives” (Heb. 12:6).

우리가 그리스도께 나아오면 우리의 고통이 하나님의 징벌적인 심판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 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5: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정죄가 없습니다(8:1). 그것은 멸망이 아니라 징계입니다. “주께서 그 사랑하시는 자를 징계하시고 그가 받아들이시는 아들마다 채찍질하심이라”(12:6).

Chapter 8

AWAKENING US FOR THE SECOND COMING

(우리에게 재림을 일깨우기)

 

 

ANSWER  3.

(해답 3)

The coronavirus is a God-given wake-up call to be ready for the second coming of Christ.

코로나 바이러스는 그리스도의 재림을 준비하라고 하나님이 주신 깨우침입니다.

 

 

Even though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s littered with failed predictions of the end of the world, it remains true that Jesus Christ is coming back. “Men of Galilee,” the angel said at Jesus’s departure, “why do you stand looking into heaven? This Jesus, who was taken up from you into heaven, will come in the same way as you saw him go into heaven” (Acts 1:11).

비록 기독교 교회의 역사가 세상의 종말에 대한 예언이 실패한 것으로 인하여 어수선해졌지만 예수 그리스도가 다시 오시는 것은 사실로 남아 있습니다. 예수님이 떠나셨을 때 천사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아, 어찌하여 서서 하늘을 쳐다보느냐 너희 가운데서 하늘로 올려지신 이 예수는 하늘로 가심을 본 그대로 오시리라”(1:11).

 

At his coming, he will judge the world:

그분이 오시면, 그분은 세상을 심판하실 것입니다:

 

When the Son of Man comes in his glory, and all the angels with him, then he will sit on his glorious throne. Before him will be gathered all the nations, and he will separate people one from another as a shepherd separates the sheep from the goats. (Matt. 25:3132)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 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구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구분하는 것 같이 하여(25:31-32).

 

For those who are not ready to meet Christ, that day will come suddenly like a trap:

그리스도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 날이 갑자기 뜻밖에 덫과 같이 올 것입니다:

 

Watch yourselves lest your hearts be weighed down with dissipation and drunkenness and cares of this life, and that day come upon you suddenly like a trap. (Luke 21:34)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라 그렇지 않으면 방탕함과 술취함과 생활의 염려로 마음이 둔하여지고 뜻밖에 그 날이 덫과 같이 너희에게 임하리라(21:34).

 

 

BIRTH PAINS(산고/재난의 시작)

 

Jesus said there would be pointers to his cominglike wars, famines, and earthquakes (Matt. 24:7). He called these signs “birth pains” (Matt. 24:8). The image is of the earth as a woman in labor, trying to give birth to the new world, which Jesus would bring into being at his coming.

예수님은 그분의 재림에 대하여 전쟁, 기근, 지진과 같은 징조가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24:7). 그분은 이 징후를 재난의 시작이라고 했습니다(24:8). 그 이미지는 예수님이 재림하실 때 가져올 새로운 세상을 낳으려고 노력하는, 산고를 치르는 여성과 같은 땅의 모습입니다.

 

Paul picked up this imagery in Romans 8:22 and referred the birth pains to all the groanings of this ageall the miseries of disaster and disease (like the coronavirus). He pictured us in our diseases as part of the labor pains of the world. We groan as we wait for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at the coming of Jesus, when he will raise the dead and gives us new, glorious bodies (Phil. 3:21):

바울은 로마서 8:22에서 이 이미지를 집어 들고 이 시대의 모든 신음 소리,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모든 재난과 질병의 불행에 대해 출산의 고통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우리의 질병을 세상이 겪는 출산의 고통의 일부로 묘사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오셔서 우리 몸을 구속해 주실 것을 기다릴 때 신음합니다. 그때 그분은 죽은 자를 일으키시고 새롭고 영광스러운 몸을 주실 것입니다(3:21).

 

The creation itself will be set free from its bondage to corruption and obtain the freedom of the glory of the children of God. For we know that the whole creation has been groaning together in the pains of childbirth until now. And not only the creation, but we ourselves, who have the firstfruits of the Spirit, groan inwardly as we wait eagerly for adoption as sons,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Rom. 8:2123)

그 바라는 것은 피조물도 썩어짐의 종 노릇 한 데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니라.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출산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8:21-23).

 

 

STAY AWAKE!(깨어 있으라!)

 

My point is this: Jesus wants us to see the birth pains (including the coronavirus) as reminders and alerts that he is coming and that we need to be ready. “You .  .  . must be ready, for the Son of Man is coming at an hour you do not expect” (Matt. 24:44).

요점은 이렇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산고(코로나 바이러스를 포함하여)를 그분이 오시고 있으니 준비하고 있으라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경고로 보기를 원하십니다. “너희도 준비하고 있으라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24:44).

 

You don’t have to be a date setter in order take seriously what Jesus says. And what he says is unmistakable: “Be on guard, keep awake. For you do not know when the time will come. . . . Stay awakefor you do not know when the master of the house will come. . .  . And what I say to you, I say to all: Stay awake” (Mark 13:3337).

예수님이 하신 말씀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위해 날짜를 정해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그분이 하신 말씀은 틀림없습니다: “주의하라 깨어 있으라 그 때가 언제인지 알지 못함이라 ... 깨어 있으라 집 주인이 언제 올는지 ... 너희가 알지 못함이라 ... 깨어 있으라 내가 너희에게 하는 이 말은 모든 사람에게 하는 말이니라”(13:33~37).

 

The message is clear. Stay awake. Stay awake. Stay awake. And the birth pains of the natural world are meant for this message. But, oh, how many people are not awake! For all their frenzied activity, they are sound asleep in regard to the coming of Jesus Christ. The peril is great. And the coronavirus is a merciful wake-up call to be ready.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깨어 있으십시오. 깨어 있으십시오. 깨어 있으십시오. 그리고 자연계의 산고는 이 메시지를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깨어 있지 않습니다! 열광적인 활동을 하고 있지만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과 관련해서는 깊이 잠들어 있습니다. 위험이 큽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는 준비를 위한 자비로운 깨우침입니다.

 

The way to be ready is to come to Jesus Christ, receive forgiveness for sins, and walk in his light. Then you will be among those who

준비하는 길은 예수 그리스도께 와서 죄에 대한 용서를 받고 그분의 빛 가운데 걷는 것입니다. 그러면 당신은 다음 사람들 가운데 있게 될 것입니다.

 

are not in darkness for that day to surprise you like a thief. For you are all children of light. . .  . So then . .  . let us keep awake. . .  . For God has not destined us for wrath, but to obtain salvation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who died for us so that whether we are awake or asleep we might live with him. (1 Thess. 5:410)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 그러므로 ...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 ...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살전 5:4-10).

 

 

 

Chapter 9

REALIGNING US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

(무한한 가치의 그리스도로 우리를 재정립하기)

 

 

ANSWER  4.

(해답 4)

The coronavirus is God’s thunderclap call for all of us to repent and realign our lives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 모두가 회개하고 무한한 가치의 그리스도와 함께 우리의 삶을 재정립하도록 요구하시는 하나님의 천둥소리입니다.

 

 

The coronavirus is not unique as a call to repentance. In fact, all natural disasterswhether floods, famines, locusts, tsunamis, or diseasesare God’s painful and merciful summons to repent.

코로나 바이러스는 회개로의 부르심으로써 유일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홍수, 기근, 메뚜기, 쓰나미, 질병 등의 모든 자연 재해는 회개에 대한 하나님의 고통스럽고 자비로운 호출입니다.

 

We see this from the way Jesus responds to disaster in Luke 13:15:

우리는 누가복음 13:1~5에서 예수님이 재난에 대해 반응하신 방식에서 이것을 봅니다:

 

There were some present at that very time who told him about the Galileans whose blood Pilate had mingled with their sacrifices. And he answered them, “Do you think that these Galileans were worse sinners than all the other Galileans, because they suffered in this way? No, I tell you; but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Or those eighteen on whom the tower in Siloam fell and killed them: do you think that they were worse offenders than all the others who lived in Jerusalem? No, I tell you; but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그 때 마침 두어 사람이 와서 빌라도가 어떤 갈릴리 사람들의 피를 그들의 제물에 섞은 일로 예수께 아뢰니,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이 갈릴리 사람들이 이같이 해 받으므로 다른 모든 갈릴리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줄 아느냐?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니라 너희도 만일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또 실로암에서 망대가 무너져 치어 죽은 열여덟 사람이 예루살렘에 거한 다른 모든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줄 아느냐?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니라 너희도 만일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Pilate had slaughtered worshipers in the temple. The tower in Siloam had collapsed and killed eighteen bystanders. One disaster was the fruit of human wickedness. The other was apparently an accident.

빌라도는 성전에서 예배자들을 학살했습니다. 실로암의 망대가 무너져 18명의 구경꾼이 죽었습니다. 한 가지 재난은 인간의 악의 열매였습니다. 다른 하나는 분명히 사고였습니다.

 

 

THE MEANING OF CALAMITYFOR YOU(당신을 위한 재난의 의미)

 

The crowds want to know from Jesus, “What’s the meaning of this? Was it an act of God’s specific judgment on specific sins?” Jesus’s answer is amazing. He draws a meaning from these disasters that relates to everyone, not just the ones who died. In both cases, he says, “No, those who were murdered by Pilate and those who were crushed under the tower were not worse sinners thanyou.”

군중들은 예수님으로부터 이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것은 특정한 죄에 대한 하나님의 특정한 심판의 행위인가?”를 알기 원했습니다. 예수님의 대답은 놀랍습니다. 그분은 이 재난으로부터 죽은 사람들 뿐 아니라 모든 사람과 관련된 의미를 이끌어냅니다. 그분은 두 경우 모두 아니다, 빌라도에 의해 살해된 사람들과 망대 아래에서 압사한 사람들은 너희보다 더 나쁜 죄인이 아니었다라고 말합니다.

 

You? Why does he bring up their sin? They weren’t asking for his opinion about their own sin. They were curious about the others. They wanted to know what the disasters meant for the victims, not for the rest of us.

당신은 어떻습니까?? 그분은 왜 그들의 죄를 제기합니까? 그들은 그들 자신의 죄에 대한 그분의 의견을 묻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 대해 궁금했습니다. 그들은 우리들의 나머지에 대해서가 아니라 피해자들에 대해 재난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That’s what makes Jesus’s answer amazing. In essence, he said that the meaning of these disasters is for everyone. And the message is “Repent, or perish.” He says it twice: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Luke 13:3).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13:5).

그것이 예수님의 대답에 놀라게 되는 이유입니다. 본질적으로 그분은 이러한 재난의 의미는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 메시지는 회개하지 아니하면 망하리라입니다. 그분은 그것을 두 번 말씀하셨습니다: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13:3).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13:5).

 

 

MERCIFUL CALL WHILE THERE’S TIME(아직 시간이 있을 때의 자비로운 부르심)

 

What was Jesus doing? He was redirecting the people’s astonishment. The astonishment that prompted these folks to query Jesus is misplaced. They were astonished that people were murdered so cruelly and crushed so meaninglessly. But Jesus says, “What you ought to be astonished at is that you were not the ones murdered and crushed. In fact, if you don’t repent, you yourselves will meet a judgment like that someday.”

예수님은 무엇을 하셨습니까? 그는 사람들이 놀라는 것의 방향을 바꾸고 있었습니다. 이 사람들이 예수님께 질문하도록 했던 놀람은 방향이 잘못되었습니다. 그들은 사람들이 너무나 잔인하게 살해되고 무의미하게 압사되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가 놀라야 할 것은 너희가 살해당하거나 압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실 회개하지 않으면 너희도 언젠가 그와 같은 심판을 받을 것이다.”

 

From this, I infer that God has a merciful message in all such disasters. The message is that we are all sinners, bound for destruction, and disasters are a gracious summons from God to repent and be saved while there is still time. Jesus turned from the dead to the living and essentially said, “Let’s not talk about the dead; let’s talk about you. This is more urgent. What happened to them is about you. Your biggest issue is not their sin but your sin.” I think that’s God’s message for the world in this coronavirus outbreak. He is calling the world to repentance while there’s still time.

이것으로부터, 나는 하나님이 그러한 모든 재난에 자비로운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고 추론합니다. 그 메시지는 우리 모두가 죄인이며, 멸망에 묶여 있으며, 재난은 아직 시간이 있는 동안 회개하고 구원을 받으라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소환입니다. 예수님은 죽은 자로부터 살아있는 자에게로 돌아서서 본질적으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죽은 자에 대해서 이야기 하지 말고, 너희에 대해 이야기하자. 이것이 더 시급하다. 그들에게 일어난 일은 너희에 관한 것이다. 너희의 가장 큰 문제는 그들의 죄가 아니라 너희의 죄이다.” 이것이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에서 세상에 전하는 하나님의 메시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분은 아직 시간이 있는 동안 세상을 회개하도록 부르고 있습니다.

 

 

WHAT DOES REPENTANCE MEAN?(회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Let’s be more specific. What does repentance mean? The word in the New Testament means a change of heart and mind. Not a superficial change of opinion, but a deep transformation so that we perceive and prize God and Jesus for who they really are. Jesus described the change like this:

좀 더 구체적으로 합시다. 회개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신약 성경에서 그 단어는 마음과 생각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견해의 피상적인 변화가 아니라, 깊은 탈바꿈을 하여 우리가 하나님과 예수님이 실제로 누구인지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그 변화를 이렇게 변화를 묘사했습니다:

 

You shall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Matt. 22:37)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22:37).

 

Whoever loves father or mother more than me is not worthy of me, and whoever loves son or daughter more than me is not worthy of me. (Matt. 10:37)

아버지나 어머니를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는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고 아들이나 딸을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며(10:37).

 

In other words, the most fundamental change of heart and mind that repentance calls for is to treasure God with all that you are and to treasure Jesus more than all other relations.

다시 말해, 회개가 요구하는 가장 근본적인 마음과 생각의 변화는 당신의 모든 모습으로 하나님을 소중히 여기고 다른 모든 관계보다 예수님을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WHY WOULD JESUS THREATEN US WITH PERISHING?(예수님은 왜 우리를 멸망이라는 것으로 겁 주시는가?)

 

The reason Jesus said that we all likewise would perish if we don’t repent is that we all have exchanged the treasure that God is for lesser things we love more (Rom. 1:2223), and we all have treated Jesus as less desirable than money and entertainment and friends and family. The reason all of us deserve to perish is not a list of rules we have broken, but an infinite value we have scornedthe infinite value of all that God is for us in Jesus Christ.

우리가 회개하지 않으면 우리도 마찬가지로 멸망할 것이라고 예수님이 말한 이유는 우리 모두가 하나님을 더 소중히 여기는 것을 우리가 더 사랑하는 것보다 덜 한 것으로(1:22~23) 바꿔버렸으며, 예수님을 돈과 유흥과 친구보다도 덜 소중한 것으로 바꿔버렸기 때문입니다. 우리 모두가 멸망 받아야 마땅한 이유는 우리가 깨뜨린 규칙의 목록이 아니라, 우리가 멸시한 무한한 가치, 즉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모든 것의 무한한 가치를 무시했기 때문입니다.

 

 

WAKING UP TO OUR SUICIDAL PREFERENCES(우리의 자멸적인 편애에서 깨어나기)

 

Repentance means waking up from the suicidal preference of tin over gold, foundations of sand over solid rock, games in the gutter over a holiday at the sea. As C. S. Lewis writes:

회개는 금보다 주석을 더 사랑하는 것, 견고한 바위의 기초보다 모래 기초를 더 사랑하는 것, 해변에서 휴가를 즐기는 것보다 빈민굴에서 게임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자멸적인 편애에서 깨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C.S. Lewis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We are half-hearted creatures, fooling about with drink and sex and ambition when infinite joy is offered us, like an ignorant child who wants to go on making mud pies in a slum because he cannot imagine what is meant by the offer of a holiday at the sea. We are far too easily pleased.(5)

우리는 반신반의하는 존재이며, 우리에게 무한한 기쁨이 제공되어 있는데도, 마치 해변에서의 휴일이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라서 빈민가에서 진흙으로 파이나 만들기를 원하는 무지한 아이처럼 술과 섹스와 야망 주위에 어슬렁거립니다. 우리는 너무 쉽게 기뻐합니다.(5)

 

The “infinite joy” Lewis mentions is the experience of seeing and savoring and sharing the worth and beauty and greatness of Christ.

루이스가 언급한 무한한 기쁨은 그리스도의 가치와 아름다움과 위대하심을 보고 맛보고 나누는 경험을 말합니다.

 

 

ROUSED TO RELY ON CHRIST(깨어 일어나 예수님께 의지하기)

 

What God is doing in the coronavirus is showing usgraphically, painfullythat nothing in this world gives the security and satisfaction that we find in the infinite greatness and worth of Jesus. This global pandemic takes away our freedom of movement, our business activity, and our face-to-face relations. It takes away our security and our comfort. And, in the end, it may take away our lives.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하나님이 하시고 있는 일은 이 세상의 어떤 것도 예수님의 무한하신 위대함과 가치에서 찾을 수 있는 안전과 만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그림으로, 고통스럽게 보여주시는 것입니다. 이 세계적인 대유행병은 우리의 자유로운 이동, 비즈니스 활동 및 대면 관계를 빼앗아갑니다. 그것은 우리의 안전과 안락함을 빼앗아갑니다. 그리고 결국 그것은 우리의 생활을 빼앗아 갈 것입니다.

 

The reason God exposes us to such losses is to rouse us to rely on Christ. Or to put it another way, the reason he makes calamity the occasion for offering Christ to the world is that the supreme, all-satisfying greatness of Christ shines more brightly when Christ sustains joy in suffering.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러한 상실에 노출시키는 이유는 우리가 그리스도를 의지하도록 일깨우기 위해서입니다. 달리 말하면, 그분이 재난을 세상에 그리스도를 전할 기회로 만드신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고통 가운데 기쁨을 지탱하실 때 최고로 만족시키는 그리스도의 위대하심이 더 밝게 빛나기 때문입니다.

 

 

GIFT OF DESPERATION(절망의 선물)

 

Consider, for example, why God brought Paul to the point where he despaired of life:

예를 들어, 하나님께서 바울의 삶을 절망 가운데 빠뜨리신 점을 생각해보십시오:

 

We do not want you to be unaware, brothers, of the affliction we experienced in Asia. For we were so utterly burdened beyond our strength that we despaired of life itself. Indeed, we felt that we had received the sentence of death. But that was to make us rely not on ourselves but on God who raises the dead. (2 Cor. 1:89)

형제들아 우리가 아시아에서 당한 환난을 너희가 모르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니 힘에 겹도록 심한 고난을 당하여 살 소망까지 끊어지고, 우리는 우리 자신이 사형 선고를 받은 줄 알았으니 이는 우리로 자기를 의지하지 말고 오직 죽은 자를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만 의지하게 하심이라(고후 1:8-9).

 

Paul does not view this experience of desperation as satanic or random. It is purposeful. And God is the one whose purpose is mentioned: this life-threatening experience “was to make us rely not on ourselves but on God who raises the dead” (1:9).

바울은 이 절망의 경험을 사탄적이거나 무작위적인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것은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목적이 언급된 대상은 하나님이십니다: 이 생명을 위협하는 경험은 우리로 자기를 의지하지 말고 오직 죽은 자를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만 의지하게 하신 것입니다”(1:9).

 

This is the message of the coronavirus: Stop relying on yourselves and turn to God. You cannot even stop death. God can raise the dead. And of course “relying on God” does not mean that Christians become do-nothings. Christians have never been do-nothings. It means that the ground, the pattern, and the goal of all our doings is God. As Paul said, “I worked harder than any of them, though it was not I, but the grace of God that is with me” (1 Cor. 15:10).

이것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메시지입니다: 자기 자신을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께로 돌아서십시오. 당신은 죽음을 막을 수도 없습니다. 하나님은 죽은 자를 일으키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하나님을 의지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모든 행동의 근거, 패턴 및 목표가 하나님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울이 말했듯이,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고전 15:10).

 

The coronavirus calls us to make God the all-important, pervasive reality in our lives. Our lives depend on him more than they depend on breath. And sometimes God takes our breath in order to throw us onto himself.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이 가장 중요하고 어디에나 계시는 실재로 만들기 위해 우리를 부릅니다. 우리의 삶은 그 삶이 호흡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많이 그분께 의존합니다. 그리고 때때로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께로 던지기 위해 우리의 호흡을 취하십니다.

 

 

THE MEANING OF THORNS(가시의 의미)

 

Or consider God’s purpose in Paul’s painful thorn in the flesh:

또는 바울의 육체의 고통스런 가시에 들어있는 하나님의 목적을 생각해 봅시다:

 

To keep me from becoming conceited because of the surpassing greatness of the revelations, a thorn was given me in the flesh, a messenger of Satan to harass me, to keep me from becoming conceited. Three times I pleaded with the Lord about this, that it should leave me. But he said to me,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Therefore I will boast all the more gladly of my weaknesses, so that the power of Christ may rest upon me. (2 Cor. 12:79)

여러 계시를 받은 것이 지극히 크므로 너무 자만하지 않게 하시려고 내 육체에 가시 곧 사탄의 사자를 주셨으니 이는 나를 쳐서 너무 자만하지 않게 하려 하심이라. 이것이 내게서 떠나가게 하기 위하여 내가 세 번 주께 간구하였더니, 나에게 이르시기를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하신지라 그러므로 도리어 크게 기뻐함으로 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 이는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게 머물게 하려 함이라(고후 12:7-9).

 

Paul was blessed with great revelations. God saw the danger of pride. Satan saw the danger of truth and joy. God governs Satan’s strategy so that what Satan thinks will ruin Paul’s witness actually serves Paul’s humility and gladness. Paul gets a thorn in the flesha  “messenger of Satan.” And a messenger of God! We don’t know what the thorn is. But we know that thorns are painful. And we know that Paul asked three times that Christ would take it away.

바울은 큰 계시를 받는 복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은 교만의 위험을 보셨습니다. 사탄은 진리와 기쁨의 위험을 보았습니다. 하나님은 사탄의 전략을 다스리셔서 사탄이 바울의 간증을 망가뜨렸다고 생각하는 그 일이 실제로는 바울의 겸손과 기쁨에 도움이 되도록 하셨습니다. 바울은 육체에 가시, 사탄의 사자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사자! 우리는 그 가시가 무엇인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가시가 아프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바울이 그리스도가 그것을 제거해 달라고 세 번 간구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But Christ will not. He has a purpose for this pain. Namely,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12:9). His purpose is that through Paul’s unwavering faith and joy, Christ would shine as more valuable than health. Paul’s response to this purpose? “I will boast all the more gladly of my weaknesses” (12:9).

그러나 그리스도는 그렇게 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분은 이 고통에 대한 목적이 있습니다. ,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 ”(12:9). 그분의 목적은 바울의 흔들리지 않는 믿음과 기쁨을 통해 건강보다 그리스도가 더 가치 있게 빛나는 것입니다. 이 목적에 대한 바울의 반응은? “도리어 크게 기뻐함으로 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12:9).

 

Gladly! How can this be? Why is Paul willing to embrace his thorn with gladness? Because his greatest goal in life is that Christ be magnified in his body whether by life or by death (Phil. 1:20). To see the beauty of Christ, to cherish Christ as his supreme treasure, to show Christ to the world as better than health and lifethat was Paul’s joy. A beautiful poem called “The Thorn,” by Martha Snell Nicholson (18981953), ends like this:

기뻐함으로!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요? 바울은 왜 기뻐함으로 그의 가시를 기꺼이 받아들일까요? 인생에서 그의 가장 큰 목표는 살든지 죽든지 그의 몸 안에서 그리스도가 존귀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1:20)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보고, 그리스도를 그의 최고의 보물로 소중히 여기며, 건강과 삶보다 그리스도가 더 좋다는 것을 세상에 보여 주는 것, 그것이 바울의 기쁨이었습니다. Martha Snell Nicholson(18981953)가시/The Thorn”라는 아름다운 시는 다음과 같이 끝납니다:

 

I learned He never gives a thorn without this added grace, He takes the thorn to pin aside the veil which hides His face.

나는 그분이 이 은혜를 더하지 않고서는 가시를 주지 않으신다는 것을 배웠고, 그분은 가시를 취하셔서 그분의 얼굴을 가리고 있는 베일을 치우신다네.

 

 

IN LOSS, GAIN(상실 가운데 얻는 것)

 

Paul embraced loss, in part, because in the loss, Christ was more fully gain:

바울은 부분적으로 상실을 받아 들였습니다. 그것은 상실 가운데 그리스도를 보다 충분히 얻기 때문입니다:

 

Indeed, I count everything as loss because of the surpassing worth of knowing Christ Jesus my Lord. For his sake I have suffered the loss of all things and count them as rubbish, in order that I may gain Christ. (Phil.  3:8)

또한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하기 때문이라. 내가 그를 위하여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배설물로 여김은 그리스도를 얻고(3:8)

 

This is what it means to repent: to experience a change of heart and mind that treasures God in Christ more than life. “Because your steadfast love is better than life, my lips will praise you” (Ps. 63:3). This was Paul’s faith. It was true in life and death. In life, because Christ is the sweetness of every pleasure, and better than them all. And in death, because “in [God’s] presence there is fullness of joy; at [his] right hand are pleasures forevermore” (Ps. 16:11).

회개한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와 같습니다: 생명보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과 생각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 “주의 인자하심이 생명보다 나으므로 내 입술이 주를 찬양할 것이라”(63:3). 이것이 바울의 믿음이었습니다. 살든지 죽든지 그것이 사실이었습니다. 삶에 있어서는, 그리스도가 모든 기쁨의 달콤함이며 모든 것보다 낫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죽음에 있어서는 주의 앞에는 충만한 기쁨이 있고 주의 오른쪽에는 영원한 즐거움이 있나이다”(16:11).

 

The coronavirus pandemic is the experience of lossfrom the smallest loss of convenience to the greatest loss of life. And if we know the secret of Paul’s joy, we may experience the loss as gain. That is what God is saying to the world. Repent and realign your life with the infinite worth of Christ.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병은 편의라는 가장 작은 손실에서 생명이라는 가장 큰 손실에 이르는 손실의 경험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바울의 기쁨의 비밀을 알고 있다면, 우리는 그 손실을 이득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이 세상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회개하고 당신의 삶을 그리스도의 무한한 가치에 맞게 조정하십시오.

 

 

 

Chapter 10

CREATING GOOD WORKS IN DANGER

(위험 속에서 선한 일 만들기)

 

ANSWER  5.

(해답 5)

The coronavirus is God’s call to his people to overcome self-pity and fear, and with courageous joy, to do the good works of love that glorify God.

코로나 바이러스는 그분의 백성으로 하여금 자기 연민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용기있는 기쁨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선한 사랑의 일을 하게 하는 하나님의 부르심입니다.

 

 

Jesus taught his followers to “let your light shine before others, so that they may see your good works and give glory to your Father who is in heaven” (Matt. 5:16). What is often not noticed is that being the salt of the earth and the light of the world in this way was the more salty and the more bright because the good deeds were to be done even in the midst of suffering.

예수님은 그분의 제자들에게 너희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5:16)고 가르쳤습니다. 착한 행실은 고통 가운데서도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세상의 소금과 세상의 빛이 되는 것이 더 짜고 더 밝다는 것은 종종 주목을 받지 못합니다.

 

 

BRIGHTNESS IN THE DARKNESS OF DANGER(위험의 어둠 가운데서 밝게 빛남)

 

Jesus has just said, “Blessed are you when others revile you and persecute you and utter all kinds of evil against you falsely on my account. Rejoice and be glad, for your reward is great in heaven” (Matt. 5:1112). Then, without a break, he says, “You are the salt of the earth. .  .  . You are the light of the world” (Matt. 5:1316).

방금 전에 예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나로 말미암아 너희를 욕하고 박해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슬러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5:11~12). 그리고는 쉬지 않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5:13~16).

 

It is not mere good deeds that give Christianity its tang and luster. It is good deeds in spite of danger. Many nonChristians do good deeds. But seldom do people give glory to God because of them.

기독교에 풍미와 광채를 주는 것은 단순한 착한 행실이 아닙니다. 그것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행하는 착한 행실입니다. 많은 비기독교인들은 착한 행동을 합니다. 그러나 그것들 때문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Yes, the danger in Matthew 5 was persecution, not disease. But the principle holds. Deeds of love in the context of danger, whether disease or persecution, point more clearly to the fact that these deeds are sustained by hope in God. For example, Jesus says:

그렇습니다. 마태복음 5장의 위험은 질병이 아니라 박해였습니다. 그러나 원칙은 계속 유지됩니다. 질병이든 박해든 관계없이 위험의 맥락에서 사랑의 행위는, 이러한 행위가 하나님 안에 있는 희망으로 지지된다는 사실을 더 분명하게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When you give a feast, invite the poor, the crippled, the lame, the blind, and you will be blessed, because they cannot repay you. For you will be repaid at the resurrection of the just. (Luke 14:1314)

잔치를 베풀거든 차라리 가난한 자들과 몸 불편한 자들과 저는 자들과 맹인들을 청하라. 그리하면 그들이 갚을 것이 없으므로 네게 복이 되리니 이는 의인들의 부활시에 네가 갚음을 받겠음이라(14:13-14).

 

Hope in God beyond death (“you will be repaid at the resurrection”) sustains and empowers good deeds that hold no prospect for reward in this life. The same would hold true for good deeds that put us in danger, especially the danger of death.

죽음을 초월한 하나님에 대한 소망(“부활에서 보상을 받을 것입니다”)은 이생에서 보상을 기대하지 않는 착한 행실을 지탱하고 힘을 실어줍니다. 우리를 특별히 죽음의 위험과 같은 위험에 처하게 하는 선한 행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진리가 성립합니다.

 

 

HOW PETER APPLIED JESUS’S TEACHING(베드로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어떻게 적용했나)

 

The apostle Peter, more than any other New Testament writer, picks up the explicit teaching of Jesus about good deeds:

신약의 다른 어떤 저자보다 사도 베드로는 착한 행실에 대한 예수님의 명백한 가르침을 선택합니다.

 

Keep your conduct among the Gentiles honorable, so that when they speak against you as evildoers, they may see your good deeds and glorify God on the day of visitation. (1 Pet. 2:12)

너희가 이방인 중에서 행실을 선하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벧전 2:12).

 

And Peter makes the same point about good deeds in the face of danger. He says, “Let those who suffer according to God’s will entrust their souls to a faithful Creator while doing good” (1  Pet. 4:19). In other words, don’t let the possibility, or the reality, of suffering stop you from doing good deeds.

그리고 베드로는 위험에 직면해서의 착한 행실에 대해서도 동일한 지적을 합니다. 그는 하나님의 뜻대로 고난을 받는 자들은 또한 선을 행하는 가운데에 그 영혼을 미쁘신 창조주께 의탁할지어다라고 말합니다(벧전 4:19). 다시 말해서, 고통의 가능성이나 실재가 착한 행실을 행하는 당신을 멈추지 못하게 하라는 것입니다.

 

 

CHRIST DIED TO CREATE GOOD DEEDS IN DANGER(위험 속에서 착한 행실을 창조하시기 위해 그리스도가 죽으셨다)

 

Peter links this new kind of life with the death of Jesus for our sins: “[Christ] himself bore our sins in his body on the tree, that we might die to sin and live to righteousness” (1  Pet. 2:24). Because of Christ, Christians put sin to death and pour themselves into the good deeds of righteousness.

베드로는 이 새로운 종류의 삶을 우리 죄를 위한 예수님의 죽음과 연관 짓습니다: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벧전 2:24). 그리스도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죄를 죽게 하고 그들 자신을 의의 착한 행실에 부어넣습니다.

 

Paul makes the same connection between the death of Jesus and the zeal of Christians for good works: “[Christ] gave himself for us to redeem us from all lawlessness and to purify for himself a people for his own possession who are zealous for good works” (Titus 2:14).

바울은 예수님의 죽음과 착한 행실에 대한 기독교인의 열심 사이에 동일한 관계를 맺습니다: “[그리스도]가 우리를 대신하여 자신을 주심은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속량하시고 우리를 깨끗하게 하사 선한 일을 열심히 하는 자기 백성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2:14).

 

Paul also makes it plain that these good works are aimed at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s we have opportunity, let us do good to everyone, and especially to those who are of the household of faith” (Gal. 6:10). “See that no one repays anyone evil for evil, but always seek to do good to one another and to everyone” (1 Thess. 5:15).

바울은 또한 이 선한 일들이 기독교인과 비 기독교인 둘 다를 겨냥한 것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회 있는 대로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더욱 믿음의 가정들에게 할지니라”(6:10). “삼가 누가 누구에게든지 악으로 악을 갚지 말게 하고 서로 대하든지 모든 사람을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라 ”(살전 5:15).

 

 

CHRIST MAGNIFIED IN RISKY KINDNESS(위험한 친절 가운데서 그리스도가 확대되다)

 

The ultimate aim of God for his people is that we glorify his greatness and magnify the worth of his Son, Jesus Christ. “Whether you eat or drink, or whatever you do, do all to the glory of God” (1 Cor. 10:31). “It is my eager expectation and hope that . .  . Christ will be magnified in my body, whether by life or by death” (Phil. 1:20, my translation). God glorified in everything. Christ magnified in life and death. This is the great, God-given goal of human life.

자기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가 그분의 위대하심을 영화롭게 하고 그분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가치가 확대되게 하는 것입니다.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고전 10:31). “그것은 나의 간절한 기대이며 희망입니다. ... 살든지 죽든지 내 몸 안에서 그리스도가 확대될 것입니다.”(1:20, 나의 번역). 하나님은 모든 것에서 영화롭게 하셨습니다. 그리스도는 삶과 죽음에서 확대되었습니다. 이것이 인간 삶의 하나님이 주신 위대한 목표입니다.

 

Therefore, one of God’s purposes in the corona virus is that his people put to death self-pity and fear, and give themselves to good deeds in the presence of danger. Christians lean toward need, not comfort. Toward love, not safety. That’s what our Savior is like. That is what he died for.

그러므로 코로나 바이러스 속에서 하나님의 목적 중 하나는 그분의 백성이 자기연민과 두려움을 없애버리고 위험이 있는 중에도 그들 자신을 착한 행실에 내어주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위로가 아니라 필요를 향해 몸을 기울입니다. 안전이 아니라 사랑으로 향합니다. 그것이 우리 구주를 닮는 것입니다. 그것이 그분이 죽으신 목적입니다.

 

 

EXAMPLE OF THE EARLY CHURCH(초대 교회의 예)

 

Rodney Stark, in his book The Triumph of Christianity, points out that in the first centuries of the Christian church the “truly revolutionary principle was that Christian love and charity must extend beyond the boundaries of family and even those of faith, to all in need.”(6)

로드니 스타크(Rodney Stark)는 자신의 저서 기독교의 승리(The Triumph of Christianity)에서, 1세기의 기독교 교회에서 진정한 혁명적인 원칙은 그리스도인의 사랑과 자비가 가족의 경계를 넘어서, 심지어 믿음의 경계를 넘어서 필요한 모든 이들에게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음을 지적합니다.(6)

 

Two great plagues struck the Roman Empire in AD 165 and 251. Outside of the Christian church, there was no cultural or religious foundation for mercy and sacrifice. “There was no belief that the gods cared about human affairs.”(7) And “mercy was regarded as a character defect and pity as a pathological emotion: because mercy involves providing unearned help or relief, it is contrary to justice.”(8)

AD 165년과 251년에 두 개의 커다란 재앙이 로마 제국을 강타했습니다. 기독교 교회 밖에서는 자비와 희생을 위한 문화적 또는 종교적 기초가 없었습니다. “신들이 인간의 문제를 돌보았다는 믿음은 없었습니다.”(7) 그리고 자비는 품성의 결함으로, 동정심은 병적인 감정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자비는 노력하지 않은 도움이나 구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정의에 반하기 때문입니다.”(8)

 

Therefore, while a third of the empire was perishing from disease, physicians fled to their country estates. Those with symptoms were cast out of homes. Priests forsook the temples. But Stark observes, “Christians claimed to have answers and, most of all, they took appropriate actions.”(9)

그러므로 제국의 3분의 1이 질병으로 멸망하는 동안 의사들은 그들의 조국으로 도망쳤습니다.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집에서 쫓겨났습니다. 사제들은 성전을 버렸습니다. 그러나 스타크는 이렇게 주시했습니다. “기독교인들은 해답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무엇보다도 그들은 적절한 조치를 취했습니다.”(9)

 

The answers included the forgiveness of sins through Christ and the hope of eternal life beyond death. This was a precious message in a season of medical helplessness and utter hopelessness.

해답에는 그리스도를 통한 죄의 용서와 죽음을 넘어서는 영생에 대한 소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의학적인 무력감과 전적인 절망의 시기에 귀중한 메시지였습니다.

 

As for the actions, large numbers of Christians cared for the sick and the dying.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plague, Bishop Dionysius of Alexandria wrote a letter, extolling the members of his church:

행동에 관해서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병자와 죽어가는 자를 돌보았습니다. 두 번째 역병이 끝날 무렵,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 주교는 그의 교회 회원들을 칭찬하는 편지를 썼습니다:

 

Most of our brothers showed unbounded love and loyalty, never sparing themselves and thinking only of one another. Heedless of danger, they took charge of the sick, attending to their every need and ministering to them in Christ, and with them departed this life serenely happy.(10)

대부분의 우리 형제들은 무한한 사랑과 충성을 나타내며 결코 자기들 자신을 아끼지 않고 오직 서로만을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병든 자들을 돌보며 그들의 모든 필요에 참여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을 섬겼으며, 이 삶을 그들과 함께 평온히 행복하게 떠났습니다.(10)

 

 

PUTTING TO SILENCE THE IGNORANCE OF EMPERORS(황제의 무지를 침묵시키기)

 

Over time, this countercultural, Christ-sustained care for the sick and the poor had the effect of winning many people away from the surrounding paganism. Two centuries later, when the Roman emperor Julian (AD 332363) wanted to breathe new life back into the ancient Roman religion and saw Christianity as a growing threat, he wrote, in frustration, to the Roman high priest of Galatia: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이 반문화적이고 그리스도를 지지하는 돌봄은 많은 사람들을 주변 이교도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져 왔습니다. 2세기 후 로마 황제 줄리안(AD 332363)이 고대 로마 종교에 다시 새 생명을 불어 넣기 원하는데, 기독교를 위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그는 좌절하여 갈라디아 로마 대제사장에게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Atheism [i.e., Christian faith] has been specially advanced through the loving service rendered to strangers, and through their care for the burial of the dead. It is a scandal that there is not a single Jew who is a beggar, and that the godless Galileans [i.e., Christians] care not only for their own poor but for ours as well; while those who belong to us look in vain for the help that we should render them.(11)

무신론[, 기독교 신앙]은 낯선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사랑의 봉사와 죽은 자들의 매장에 대한 그들의 돌봄을 통해 특별하게 발전해왔다. 거지인 유대인이 한 명도 없고 신이 없는 갈릴리 사람들[, 그리스도인]이 자기 민족의 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난한 사람도 돌보는 것이 물의이다. 반면에 우리에게 속한 사람들은 우리가 보답해야 할 도움을 찾아볼 수 없다.(11)

 

 

RELIEVING GOD-SENT SUFFERING(하나님이 보내신 고통을 덜어내기)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seeing the coronavirus as God’s act and calling Christians to take risks to alleviate the suffering that it causes. Ever since God subjected the world to sin and misery at the fall, he has ordained that his people seek to rescue the perishing, even though he is the one who has appointed the judgment of perishing. God himself came into the world in Jesus Christ to rescue people from his own just judgment (Rom. 5:9). That is what the cross of Christ means.

코로나 바이러스를 하나님의 행위로 보는 것과 그것이 일으킨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도록 그리스도인을 부르신 것 사이에는 모순이 없습니다. 타락한 세상을 하나님이 죄와 불행에 처하도록 하신 이래로, 비록 그분이 멸망의 심판을 지정하신 분이라 할지라도, 그분은 그분의 백성들로 하여금 멸망에서의 구출을 추구하도록 정하셨습니다. 하나님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에 오셔서 사람들을 그분 자신의 정당한 심판으로부터 구해주셨습니다(5:9). 그것이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의미하는 바입니다.

 

Therefore, the good deeds of God’s people will include prayers for the healing of the sick and for God to stay his hand and turn back the pandemic, and that he would provide a cure. We pray about the coronavirus, and we work to alleviate its suffering the way Abraham Lincoln prayed for the end of the Civil War, and worked to end it, even though he saw it as a judgment from God:

그러므로 하나님의 백성의 착한 행실에는 병든 사람이 나음을 받는 것과 하나님이 손을 떼지 않고 대유행병을 되돌리시고 치료해 주실 것을 위한 기도가 포함될 것입니다. 아브라함 링컨이 남북 전쟁의 종식을 위해 기도했고, 비록 그는 전쟁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보았지만 그 전쟁을 끝내기 위해 일했던 방식으로,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놓고 기도하고, 그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합니다:

 

Fondly do we hopefervently do we praythat this mighty scourge of war may speedily pass away. Yet, if God wills that it continue, until all the wealth piled by the bond-man’s two hundred and fifty years of unrequited toil shall be sunk, and until every drop of blood drawn with the lash, shall be paid by another drawn with the sword, as was said three thousand years ago, so still it must be said “the judgments of the Lord are true and righteous altogether.”

우리는 이 강력한 전쟁의 재앙이 신속하게 사라지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일 하나님께서, 노예가 250년 동안 일한 임금을 주지 않고 쌓아놓은 모든 재산이 가라앉을 때까지, 그리고 채찍에 맞아 흘린 모든 핏방울이 다른 사람이 칼로 인해 흘린 피로 보상을 받을 때까지 코로나 바이러스가 계속되기를 원한다면, 3천년 전에 사람들이 말했던 것처럼 주님의 심판은 참되고 모든 것이 의로우시도다라고 말해야 합니다.

 

God has his work to domuch of it secret. We have ours. If we trust him and obey his word, he will cause his sovereignty and our service to accomplish his wise and good purposes.

하나님은 하실 일이 많이 있으며 그들 중 많은 것들을 비밀리에 하십니다. 우리에게도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우리가 그분을 신뢰하고 그분의 말씀에 순종한다면, 그분은 그분의 주권과 우리의 섬김을 통하여 그분의 지혜롭고 선한 목적을 달성하게 할 것입니다.

 

 

 

Chapter 11

LOOSENING ROOTS TO REACH THE NATIONS

(열방에 이르기 위해 뿌리를 풀기)

 

ANSWER  6.

(해답 6)

In the coronavirus God is loosening the roots of settled Christians, all over the world, to make them free for something new and radical and to send them with the gospel of Christ to the unreached peoples of the world.

코로나 바이러스에 있어서 하나님은 전 세계에 정착된 그리스도인들의 뿌리를 풀어 자유롭게 하셔서 무언가 새롭고 급진적인 일을 하게 하시고, 그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들려 전 세계의 미전도 종족에게 보내십니다.

 

 

Connecting the coronavirus with missions may seem like a strange idea, because in the short run, the coronavirus is shutting down travel and migration and missionary advance. But I am not thinking short term. God has used the suffering and upheaval of history to move his church to places it needs to go. I am suggesting that he will do that again as part of the long-term impact of the coronavirus.

코로나 바이러스를 선교와 연결시키는 것은 이상한 생각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여행과 이동 및 선교적 전진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는 단기적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역사의 고통과 격변을 사용하여 그분의 교회를 가야 할 필요가 있는 곳으로 옮기셨습니다. 나는 그분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장기적인 영향의 일부로 다시 그렇게 하실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ERSECUTION AS MISSIONARY STRATEGY(선교전략으로서의 박해)

 

Consider, for example, how God moved his people out of Jerusalem, on mission, into Judea and Samaria. Jesus had instructed his disciples to take the gospel to all the world, including “Jerusalem and . .  . all Judea and Samaria, and to the end of the earth” (Acts 1:8). But by the time of Acts 8, it seems the mission was stalled in Jerusalem.

예를 들어, 하나님이 어떻게 자신의 백성을 예루살렘에서 선교사명을 띠고 유대와 사마리아로 옮기셨는지 생각해보십시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복음을 들고 예루살렘과 ...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1:8) 전 세계를 향하여 가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러나 사도행전 8장까지는 선교사명이 예루살렘에 멈춰있던 것 같습니다.

 

What would it take to move the church into mission? It took the death of Stephen and a consequent persecution. As soon as Stephen was martyred (Acts 7:60), a persecution broke out:

교회를 선교 사명으로 옮기는 데 무엇이 필요했을까요? 그것은 스데반의 죽음과 그에 따른 박해가 필요했습니다. 스데반이 순교하자(7:60) 박해가 일어났습니다.

 

There arose on that day a great persecution against the church in Jerusalem, and they were all scattered throughout the regions of Judea and Samaria, except the apostles. .  .  . Now those who were scattered went about preaching the word. (Acts 8:14)

그 날에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에 큰 박해가 있어 사도 외에는 다 유대와 사마리아 모든 땅으로 흩어지니라 ... 그 흩어진 사람들이 두루 다니며 복음의 말씀을 전할새(8:1-4).

 

That’s how God got his people movingwith martyrdom and persecution. At last, “Judea and Samaria” were hearing the gospel. God’s ways are not our ways. But his mission is sure. Jesus said so. And his word cannot fail. “I will build my church, and the gates of hell shall not prevail against it” (Matt. 16:18). “This gospel of the kingdom will be proclaimed throughout the whole world as a testimony to all nations” (Matt. 24:14). Not “may be proclaimed.” But “will be proclaimed.”

이것이 바로 하나님이 순교와 박해로 그분의 백성들을 움직이게 하는 방법입니다. 마침내 유다와 사마리아가 복음을 듣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방법은 우리의 방법과 다릅니다. 그러나 그분의 선교사명은 확실합니다. 예수님도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분의 말씀은 실패할 수 없습니다.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16:18).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24:14). “아마도/may 전파될 것이다가 아닙니다. “전파되리니/will입니다.

 

 

SETBACKS AS STRATEGIC ADVANCE(전략적 전진을 위한 후퇴)

 

We may think the coronavirus outbreak is a setback for world missions. I doubt it. God’s ways often include apparent setbacks that result in great advances.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이 세계 선교에 대한 후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님의 방법에는 종종 위대한 전진을 낳는 명목상 후퇴가 포함됩니다.

 

On January 9, 1985, Pastor Hristo Kulichev, a Congregational pastor in Bulgaria, was arrested and put in prison. His crime was that he preached in his church even though the state had appointed another man as pastor whom the congregation did not elect. His trial was a mockery of justice. And he was sentenced to eight months in prison. During his time in prison, he made Christ known in every way he could.

198519일 불가리아의 회중 목사인 Hristo Kulichev 목사가 체포되어 구금되었습니다. 그의 죄는 회중이 선출하지 않은 다른 사람을 목사로 국가가 지명했는데 그가 교회에서 설교를 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의 재판은 정의를 우롱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습니다. 그가 감옥에 있는 동안 그는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그리스도를 알렸습니다.

 

When he got out, he wrote, “Both prisoners and jailers asked many questions, and it turned out that we had a more fruitful ministry there than we could have expected in church. God was better served by our presence in prison than if we had been free.”(12)

그가 나왔을 때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수감자와 교도관 모두 많은 질문을 했으며, 교회 내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그곳에서 더 열매 맺는 사역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우리가 자유로웠을 때보다 우리가 감옥에 있었을 때 하나님을 더 잘 섬겼습니다.”(12)

 

This is often God’s way. The global scope and seriousness of the coronavirus is too great for God to waste. It will serve his invincible global purpose of world evangelization. Christ has not shed his blood in vain. And Revelation 5:9 says that by that blood he ransomed “people for God from every tribe and language and people and nation.” He will have the reward of his suffering. And even pandemics will serve to complete the Great Commission.

이것이 종종 하나님의 방법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 범위와 심각성은 하나님이 낭비하기에 너무 큰 것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세계 복음화라는 무적의 세계적 목적에 기여할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피를 헛되이 흘리지 않으셨습니다. 그리고 요한 계시록 5:9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에서 사람들을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렸다고 말합니다. 그분은 그분 고난의 보상을 받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심지어 대유행병조차도 대사명(Great Commission)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A CLOSING PRAYER

(마침 기도)

 

Father,

아버지,

 

At our best moments, by your grace, we are not sleeping in Gethsemane. We are awake and listening to your Son’s prayer. He knows, deep down, that he must suffer. But in his perfect humanity, he cries out, “If it is possible, let this cup pass.”

우리의 최고의 순간에, 주님의 은혜로, 우리는 겟세마네에서 자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깨어 있어서 주님 아들의 기도를 듣고 있습니다. 그분은 자신이 고통당해야 할 것을 깊이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완벽한 인간성 안에서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라고 외치셨습니다.

 

In the same way, we sense, deep down, that this pandemic is appointed, in your wisdom, for good and necessary purposes. We too must suffer. Your Son was innocent. We are not.

마찬가지로, 우리는 이 대유행병이 선과 필요한 목적을 위해 주님의 지혜 가운데 지명된 것임을 깊이 알게 됩니다. 우리도 반드시 고통을 당해야합니다. 주님의 아들은 결백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Yet with him in our less-than-perfect humanity, we too cry out, “If it is possible, let this cup pass.” Do quickly, O Lord, the painful, just, and merciful work you have resolved to do. Do not linger in judgment. Do not delay your compassion. Remember the poor, O Lord, according to your mercy. Do not forget the cry of the afflicted. Grant recovery. Grant a cure. Deliver usyour poor, helpless creaturesfrom these sorrows, we pray.

그러나 우리는 완벽하지 못한 인간성 안에서 그분과 함께 역시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라고 외칩니다. 오 주님, 주님이 하시고자 결심하신 고통스럽고 공의로우며 자비로우신 일을 빨리 시행하소서. 심판을 오래 하지 마시고 동정을 늦추지 마소서. 오 주님, 주님의 자비하심을 따라 가난한 자들을 기억하소서. 고통 받는 자들의 외침을 잊지 마소서. 회복시켜 주시고, 치료하여 주소서. 주님의 가난하고 무력한 피조물인 우리를 구하소서. 우리가 기도합니다.

 

But do not waste our misery and grief, O Lord. Purify your people from powerless preoccupation with barren materialism and Christless entertainment. Put our mouths out of taste with the bait of Satan. Cut from us the roots and remnant of pride and hate and unjust ways. Grant us capacities of outrage at our own belittling of your glory. Open the eyes of our hearts to see and savor the beauty of Christ. Incline our hearts to your word, your Son, and your way. Fill us with compassionate courage. And make a name for yourself in the way your people serve.

그러나 주님, 우리의 불행과 슬픔을 헛되이 하지 마소서. 주님의 백성들이 쓸데없이 무익한 물질주의와 그리스도가 없는 오락에 몰입하지 않도록 정화시켜 주소서. 우리의 입이 사탄의 미끼를 맛보지 않게 하소서. 우리에게서 자만심과 증오와 불의한 방법의 뿌리와 남은 것을 잘라주소서. 우리가 주님의 영광을 가릴 때 스스로에게 분노하는 능력을 주소서. 우리 마음의 눈을 열어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맛보게 하소서. 우리의 마음이 주님의 말씀과, 주님의 아들과, 주님의 길로 기울게 하소서. 자비로운 용기로 우리를 채우소서. 그리고 주님의 백성들의 섬김을 통해 주님의 이름이 높임을 받으소서.

 

Stretch forth your hand in great awakening for the sake of this perishing world. Let the terrible words of Revelation not be spoken over this generation: “Yet still they did not repent.” As you have stricken bodies, strike now the slumbering souls. Forbid that they would remain asleep in the darkness of pride and unbelief. In your great mercy, say to these bones, “Live!” And bring the hearts and lives of millions into alignment with the infinite worth of Jesus.

이 멸망하는 세상을 위해 크게 깨어 주님의 손을 뻗치소서. “그러나 여전히 그들은 회개하지 않더라는 요한계시록의 끔찍한 말씀을 이 세대가 듣지 않게 하소서. 주님이 육체를 치셨듯이 이제 졸고 있는 영혼을 치소서. 그들이 자만심과 불신의 어둠 속에서 잠들어 있지 않게 하소서. 주님의 크신 자비로 이 뼈들에게 살아나라!”라고 말씀하소서. 그리고 수백만의 마음과 삶을 예수님의 무한한 가치에 맞추어 정렬하게 하소서.

 

In Jesus’s name, amen.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NOTES(주석)

 

1. “1918 Pandemic (H1N1 Virus),” updated March 20, 201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flu/pandemic-resources/1918-pandemic-h1n1.html.

2. Henry Martyn, Journals and Letters of Henry Martyn (New York: Protestant Episcopal Society, 1861), 460.

3. Martyn, Journals and Letters,  210.

4. John Lennon, “Imagine,” produced by John Lennon, Yoko Ono, and Phil Spector, Abbey Road, London, 1971.

5. C.  S. Lewis, “The Weight of Glory,” in The Weight of Glory and Other Addresses (1949; repr., New York: Harper, 2009), 26.

6. Rodney Stark, The Triumph of Chris tian ity: How the Jesus Movement Became the World’s Largest Religion (New York: Harper, 2011), 113.

7.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5.

8.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2.

9.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6.

10.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7.

11. Stephen Neill, A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2nd ed. (New York: Penguin, 1986), 3738.

12. Herbert Schlossberg, Called to Suffer, Called to Triumph (Portland, OR: Multnomah, 1990), 230.

 

7.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5.

8.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2.

9.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6.

10. Stark, Triumph of Chris tian ity  117.

11. Stephen Neill, A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2nd ed. (New York: Penguin, 1986), 3738.

12. Herbert Schlossberg, Called to Suffer, Called to Triumph (Portland, OR: Multnomah, 1990), 2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 컴퓨터의 부활 honey 2024.08.08 17
118 삼대가 함께 한 (필리핀) 단기선교 file honey 2023.01.26 92
117 천연덕스럽게 honey 2022.07.05 76
116 그리움의 유효기간 한달 honey 2022.06.09 75
115 은퇴를 안했습니다! honey 2021.06.29 85
114 육체의 상처 vs. 마음의 상처 honey 2021.03.21 111
113 나는 기적을 행한다 - John Piper 설교(2011년 2월 24일), 이종헌 역 1 honey 2021.01.29 362
112 선과 악(善과 惡) honey 2021.01.13 84
111 세 사람의 죽음 honey 2021.01.12 79
110 31년 다니던 직장을 떠나며 honey 2021.01.12 98
109 하나님이 내가 하기를 원하시는 일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Kurt E. De Haa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6.10 289
108 은퇴를 다시 생각하기: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하여 삶을 마치기 - John Piper 글, 이종헌 역 honey 2020.05.02 148
»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리스도 - John Piper 글, 이종헌 역 honey 2020.04.30 145
106 그런데 바이러스에 걸렸습니다 honey 2020.04.06 88
105 이번 삶의 흔적 honey 2019.01.10 136
104 돌멩이와 다이아몬드 honey 2016.06.12 276
103 옆반 아이가 그러던데? honey 2016.06.03 233
102 내게 고난이 찾아왔을 때 - 앤드류 머레이 honey 2016.03.05 386
101 고장과 수리 honey 2015.10.15 488
100 인생의 바이러스 honey 2015.09.12 5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