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사색

오늘:
69
어제:
189
전체:
1,933,3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하나님이 내가 하기를 원하시는 일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HOW CAN I KNOW WHAT GOD WANTS ME TO DO?)

 

 

 

Kurt E. De Haan , 이종헌 역

출처: RBC Ministries

 

 

CONTENTS

(목차)

 

Fleeces, Fasting, And Flipping Coins ------------------------------------------------------ 2

양털, 금식, 동전 던지기 ----------------------------------------------------------------- 2

How Can I Know What To Do? ----------------------------------------------------------- 7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7

Go To The Lord ----------------------------------------------------------------- 8

주님께 나아가라 ------------------------------------------------------------------ 8

Understand His Principles -------------------------------------------------------- 16

그분의 원리를 이해하라 ---------------------------------------------------------- 16

Investigate Your Options --------------------------------------------------------- 22

당신의 옵션을 조사하라 ---------------------------------------------------------- 22

Discuss It With Others ---------------------------------------------------------- 28

그것을 다른 사람과 의논하라 ----------------------------------------------------- 28

Express Your Freedom ----------------------------------------------------------- 32

당신의 자유를 표현하라 ---------------------------------------------------------- 32

Quiet Nudges --------------------------------------------------------------------------- 38

조용한 자극 ---------------------------------------------------------------------------- 38

God‘s Will And My Will ----------------------------------------------------------------- 42

하나님의 뜻과 나의 뜻 ------------------------------------------------------------------ 42

 

 

하나님이 내가 하기를 원하시는 일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HOW CAN I KNOW WHAT GOD WANTS ME TO DO?)

 

Will He send me a clear signal? Will I get some kind of special feeling? How much should I rely on good old common sense? What if the Bible doesn’t seem to have anything to say that applies to the matter? Why does God seem to leave me hanging in limbo when I want so desperately to hear a direct word from Him? And what about those times when there seem to be several good options, or perhaps no good option?

그분이 나에게 분명한 신호를 보내실까? 내가 어떤 종류의 특별한 느낌을 받을 수 있을까? 오래된 좋은 상식에 얼마나 의존해야 할까? 성경에 그 문제에 해당되는 말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분으로부터 직접적인 말씀을 필사적으로 듣기 원할 때 하나님은 왜 나를 림보에 매달린 채로 내버려 두시는 것처럼 보이는가? 그리고 몇 가지 좋은 옵션이 있거나 아니면 좋은 옵션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때는 어떠한가?

 

This booklet offers biblical guidelines to help us sort through the confusion and move ahead confidently through life. It is our prayer that you will discover what God wants you to do and that you will find great joy in pleasing Him.

이 책자는 혼란 속에서 정돈을 하고 인생을 자신 있게 전진해 나갈 수 있도록 성경적 지침을 제공한다. 하나님이 당신이 하기를 원하시는 것을 발견하고 그분을 기쁘시게 하는 데에서 큰 기쁨을 얻게 되기를 기도한다.

 

Kurt E. De Haan

Our Daily Bread Managing Editor

 

 

 

FLEECES, FASTING, AND FLIPPING COINS

(양털, 금식 및 동전던지기)

 

 

It was 5:30 a.m. and Francis Schaeffer had an agonizing decision to make. Before his father walked out the front door to go to work, he wanted to hear what his 19-year-old son was going to do.

시간은 오전 530분이었고 프랜시스 쉐퍼(Francis Schaeffer)는 결정을 내려야 할 고민스런 일이 있었다. 그의 아버지가 출근을 하기 위해 현관문 밖으로 걸어 나가시기 전에, 그는 아버지의 19 살짜리 아들이 하고자 하는 일을 들어주기 원했다.

 

Francis was a year out of high school and struggling to know God’s will. He had put his trust in Christ as Savior the year before, and that decision had turned his life upside down. His parents wanted him to stay home and become a mechanical engineer something Francis had wanted to do as well but now his heart was pulling him in another direction. He sensed God leading him to go away to college to prepare for ministry.

프랜시스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1년이 지났고 하나님의 뜻을 알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그는 1년 전에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었고 그 결정은 그의 삶을 뒤집어 놓았다. 그의 부모는 그가 집에 머물러 있으며 기계 엔지니어가 되기를 원했는데 그것은 프랜시스 역시 하고 싶던 일이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은 그의 마음이 그를 다른 방향으로 이끌고 있었다. 그는 하나님이 그로 하여금 사역을 준비하기 위해 대학으로 떠나라고 인도하신다고 느꼈다.

 

He told his father that he needed a few more minutes to think, then he went off to the cellar to pray. He wept as he asked God for help. Finally, in desperation he took out a coin and said, “Heads, I’ll go.” It was heads. Then he pleaded, “God, be patient with me. If it comes up tails this time, I’ll go.” It was tails. “Once more, God. Please let it be heads again.” It was heads.

그는 아버지에게 생각하는 데 몇 분이 더 필요하다고 말한 후에, 기도하기 위해 지하실로 갔다. 그는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며 울었다. 마침내 절망 속에서 동전을 꺼내고 말했다. “머리가 나오면 가겠습니다.” 머리였다. 그 다음 그는 간청했다. “하나님, 나에게 인내하십시오. 이번에 꼬리가 나오면 가겠습니다.” 꼬리였다. “하나님 한번 더. 다시 머리가 나오게 해 주세요.” 머리였다.

 

Francis went back upstairs and told his father, “Dad, I’ve got to go.” Although later he said he would never advise anyone else to use the same method of finding God's will, Francis felt that his decision was right (The Tapestry by Edith Schaeffer).

프랜시스는 위층으로 돌아가 아버지에게 말했다. “아빠, 가야겠어요.” 나중에 그는 다른 사람에게 하나님의 뜻을 찾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라고 조언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프랜시스는 그의 결정이 옳았다고 느꼈다(에디스 쉐퍼의 태피스트리’).

 

That decision was a crucial one in the life of Francis Schaeffer (1912-1984), who went on to become a pastor, the founder of L’Abri Fellowship, a philosopher, a lecturer, and an author of 24 books.

그 결정은 프랜시스 쉐퍼(Francis Schaeffer, 1919~1984)의 삶에서 중대한 결정이었으며, 그로 인하여 그는 목사가 되었고, 다음에는 라브리 공동체(L’Abri Fellowship)의 창시자, 철학자, 강사, 그리고 24권의 책의 저자가 되었다.

 

 

The anxiety is understandable.(불안을 이해할 만 하다)

 

Even grocery shopping can be frustrating. Other decisions, like whether to rent an apartment or buy a home, seem more important. Still other actions, like selecting a college, choosing a career, picking a church to attend, and deciding who to date or who to marry, cause greater anxiety.

식료품 쇼핑조차도 우리를 초조하게 할 수 있다. 아파트를 임대해야 할지 또는 집을 구입해야 할지와 같은 다른 결정이 더 중요해 보인다. 대학 선택, 직업 선택, 참석할 교회를 고르는 일, 그리고 누구와 데이트를 해야 할지 또는 누구와 결혼해야 할지를 선택하는 일과 같은 또 다른 행동들이 더 큰 불안을 유발한다.

 

Then there are the heartwrenching decisions. What should you do when your spouse admits to infidelity? When a young mother is told that the infant in her womb will be severely handicapped, does she have any options? What should an employee do when he is told that if he doesn't overlook an unethical business practice he will lose his job?

그리고 가슴 아픈 결정이 있다. 당신의 배우자가 부정을 인정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젊은 엄마가 자궁에 있는 유아가 심한 장애일 수 있다는 말을 들었을 때 어떤 선택권이 있는가? 비윤리적인 사업 관행을 간과하지 않으면 직장을 잃게 된다는 말을 들으면 직원은 어떻게 해야 할까?

 

Our lives can be changed forever by one decision. Add to that the tension of wanting to please Godof desiring to make the most of our lives for Him. No concerned Christian wants to choose something other than God's best. Is there a way to find out what God wants us to do in a particular situation?

한 번의 결정으로 우리의 삶이 영원히 바뀔 수 있다. 거기에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 싶은 긴장감, 즉 주님을 위해 우리의 삶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 긴장감이 더해진다. 염려하는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최선 이외의 것을 선택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특정한 상황에서 하나님이 우리가 하기를 원하시는 것을 찾는 방법이 있을까?

 

 

The methods have been many.(방법은 많았다)

 

People have tried all kinds of tactics to determine what God wants them to do.

사람들은 하나님이 그들이 하기를 원하시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모든 종류의 전략을 시도했다.

 

fleeces (asking God for a supernatural sign)

양털 (하나님에게 초자연적인 징조를 구함)

fasting (giving up food to seek out God)

금식 (하나님의 뜻을 구하기 위해 음식을 포기하는 것)

flipping coins (leaving it up to the toss)

동전 던지기 (동전던지기에 맡겨버림)

feeling (obeying feelings in spite of logic)

느낌 (논리보다는 느낌에 순종함)

floundering (fishing everywhere for answers)

버둥거림 (답을 얻기 위해 모든 곳에서 낚시질 함)

defaulting (letting events decide)

아무 것도 안함 (일 자체가 결정하도록 내버려 둠)

dipping (random Bible readings)

대충 읽기 (무작위로 성경 읽기)

delegating (letting others decide for us)

위임 (우리를 위해 다른 사람이 결정하게 하기)

dreaming (asking for a vision or a voice)

꿈꾸기 (환상 혹은 음성을 구하기)

drawing straws (letting the length decide)

빨대 뽑기 (길이가 결정하도록 하기)

sitting (procrastinating)

주저앉기 (미루기)

sliding (taking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미끄러지기 (저항이 제일 적은 경로를 취하기)

thinking (using logic and ignoring feelings)

생각하기 (논리를 사용하고 느낌을 무시하기)

 

 

The confusion has been multiplying.(혼란이 증가하고 있다)

 

The consequences of our decisions are often complex. Therefore, we need to gain a clear understanding of how God expects us to find our way through life. And because the Bible doesn’t always give a clear answer to every question, we have to be careful how we seek solutions. But one thing is sure. We will find nothing but desperation, frustration, guilt, and uncertainty if we resort to mere human methods in our attempt to find God’s will for our lives.

우리 결정의 결과는 종종 복잡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가 삶을 통해 우리의 길을 찾길 바라시는 방법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성경은 항상 모든 질문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결책을 찾는 방법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한 가지는 확실하다. 우리가 우리의 삶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찾으려고 시도하는 데 있어서 단순한 인간적인 방법에 의지한다면 우리는 절망, 좌절, 죄책감, 불확실성 외에는 아무것도 찾을 수 없게 될 것이다.

 

Some people have the idea that God has their lives all mapped out, but He won’t show them the way. Other Christians feel guilty for past mistakes, and they resign themselves to what they think is a second-rate life. Some people tiptoe nervously through life as if they were on a tightrope. With every step they wonder if they are going to continue to receive the approval of God.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이 그들의 삶을 모두 계획해 놓으셨지만 그분이 그들에게 그 길을 보여주지 않으시려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다른 그리스도인들은 과거의 실수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고, 그들이 2류 인생이라고 생각하며 그들 자신을 포기한다. 어떤 사람들은 마치 줄타기를 하고 있는 것처럼 인생을 긴장하며 발끝으로 걷는다. 모든 단계에서 그들은 하나님의 승인을 계속 받을 것인지 궁금해 한다.

 

“In our quest for God’s guidance, we become our own worst enemies.” J. I. Packer

하나님의 인도를 구할 때 우리가 우리 자신의 최악의 적이 된다.” J. I. 패커

 

 

The solution is liberating.(해결책은 자유롭게 한다)

 

God does not intend for us to be forever frustrated and defeated, nor to have a “tightrope” mentality. There is a better way. The Bible shows us that as we do what God has clearly told us to do, He will, in His own time and way, make sure that we do not miss what He has planned for us.

하나님은 우리가 영원히 좌절하거나 패배를 당하거나 줄타기를 하는 듯한마음을 갖지 않기를 원하신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 성경은 우리가 하나님이 우리에게 하라고 분명히 말씀하신 것을 하도록 우리에게 보여주시며, 그분은 그분의 때에 그분의 방식으로 그분이 우리를 위해 계획하신 것을 우리가 놓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실 것이다.

 

 

HOW CAN I KNOW WHAT TO DO?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How do you know that what you think you should do reflects God’s wishes and not your own human desires? It can get confusing. Doing God's will isn't something that comes naturally. In Galatians 5:17 the apostle Paul wrote:

당신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당신 자신의 인간적인 욕망이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시는 바를 반영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혼란스러울 수 있다.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오는 것이 아니다. 갈라디아서 5:17에서 사도 바울은 이렇게 썼다:

 

For the flesh lusts against the Spirit, and the Spirit against the flesh; and these are contrary to one another, so that you do not do the things that you wish.

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르고 성령은 육체를 거스르나니 이 둘이 서로 대적함으로 너희가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

 

Some of our confusion could be because we do not understand how God guides us. We could be giving up our own responsibility, or we could be underestimating God's involvement in our lives.

우리의 혼란 가운데 일부는 하나님이 우리를 어떻게 인도 하시는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 우리는 자신의 책임을 포기하거나 혹은 우리 삶에 대한 하나님의 개입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This booklet will show that we can know as much of God’s will as we need to know, if we focus our attention on five basic principles. If we truly desire to know what God wants us to do, we cannot afford to ignore them.

이 책자는 우리가 다섯 가지 기본 원칙에 관심을 기울이면 우리가 알아야 할 만큼의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우리가 하나님이 우리가 무엇을 하기 원하시는지 진정으로 알고자 한다면 그것들을 무시할 여유가 없다.

 

 

 

20200528-1.JPG


 

 

GO TO THE LORD

(주님께 나아가라)

 

Begin right. Don’t wait until you are desperate or hurting before you do the most important thing. Proverbs 3:5-6 tells us, “Trust in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and lean not on your own understanding; in all your ways acknowledge Him, and He shall direct your paths.” The phrase “He shall direct your paths” can be translated mere literally as “He will make your paths straight.” To understand what that means, we need to look at the surrounding verses. The context (vv.1-10) describes what God will do for the person who trusts Him and follows His principles for living. Verses 5 and 6 promise that if we are living in dependence on the Lord, He will make sure that we keep on course and receive His approval.

바로 시작하라. 당신이 가장 중요한 일을 하기 전에 절망하거나 다칠 때까지 기다리지 말라. 잠언 3:5-6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신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너는 범사에 그를 인정하라 그리하면 네 길을 지도하시리라.” “그분이 네 길을 지도하시리라는 문구를 단순히 문자적으로는 그분이 네 길을 똑바로 만들 것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려면 주변 구절을 살펴 봐야한다. 문맥(1-10)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의 생활 원칙을 따르는 사람을 위해 하나님이 하실 일을 설명한다. 5절과 6절은 우리가 주님을 의지하여 살고 있다면 그분은 우리가 길을 제대로 유지하고 그분의 인정을 받도록 하실 것이라고 약속하신다.

 

In Psalm 5:8, David prayed, “Lead me, O Lord, in Your righteousness because of my enemies; make Your way straight before my face.” David knew that God was able to show him what to do.

시편 5:8에서 다윗은 이렇게 기도했다. “여호와여 나의 원수들로 말미암아 주의 의로 나를 인도하시고 주의 길을 내 목전에 곧게 하소서.” 다윗은 하나님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를 보여주실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Why do we have to acknowledge God?(우리는 왜 하나님을 인정해야 하는가?)

 

Too often we may foolishly think we are competent to make wise choices without God's help. We reason, “If God gave us brains, why is it so important to ask Him for help in making decisions?” The answer becomes obvious as we understand who God is. Because He created us, He knows us better than we know ourselves (Ps. 139:1-16). He knows everything about everything, and He understands what we will never understand (Isa. 55:8-9; Rom. 11:33-36; 1 Cor. 1:25). He is in control of everything that happens (Ps. 115:3). He is all-powerful (Jer. 32:17), and He holds us accountable to Him for our actions (vv.18-19). He wants to help us and will help us as we honor Him (Ps. 37:3-6,23-24,28). He will provide all we need now and in the life to come if we have sought Him first (Mt. 6:33). He will judge all those who thought they did not need God (Rom. 1:18-32).

우리는 종종 어리석게도 우리가 하나님의 도움 없이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려고 한다.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뇌를 주셨다면 결정을 내리는 데 그분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하나님이 누구인지 이해하면 그 대답이 분명해진다. 그분은 우리를 창조 하셨기 때문에 우리가 우리 자신을 아는 것보다 우리를 더 잘 아신다(139:1-16). 그분은 모든 것에 관한 모든 것을 알고 계시며, 우리가 결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이해하신다(55:8-9; 11:33-36; 고린도전서 1:25). 그분은 일어나고 있는 모든 것을 통제하고 계신다(115:3). 그분은 전능하신 분이시며(32:17) 우리의 행동(18-19)에 대해 그분께서 책임을 물으신다. 그분은 우리를 돕기 원하시며 우리가 그분을 존중할 때 우리를 도와주실 것이다(37:3-6,23-24,28). 그분은 우리가 먼저 그분을 찾는다면 지금 그리고 앞으로 닥칠 인생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하실 것이다(6:33). 그분은 하나님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모든 사람들을 심판하실 것이다(1:18-32).

 

 

How do we acknowledge the Lord?(우리가 주님을 어떻게 인정할까?)

 

Do we have to live at the top of a mountain, shave our heads, live in a monastery, or pray for 8 hours a day to show God that we recognize who He is? No, but there are some special ways we can acknowledge that He is in control of life's situations. We acknowledge God when we demonstrate trust, practice submission, give ourselves to prayer, and live in obedience to Him. Let’s look at each of them.

우리가 하나님이 누구인지를 인정한다는 것을 하나님께 보여 드리기 위해 산꼭대기에서 살거나, 머리를 깎거나, 수도원에서 살거나, 혹은 하루에 8시간 동안 기도하여야 하는가? 아니다. 그러나 그분이 삶의 상황을 통제하고 계신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는 몇가지 특별한 방법이 있다. 우리가 그분께 신뢰를 나타내고, 복종을 실천하고, 우리 자신을 기도에 내어주며, 순종하며 살아갈 때 우리는 하나님을 인정하는 것이다. 각각에 대해 살펴보자.

 

 

What does it mean to trust Him?(그분을 신뢰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Trust means that we will not depend on our own understanding (Prov. 3:5). A 2-year-old child doesn’t realize how wise his parents are. He may think he knows how to operate the kitchen stove. He may wonder why Mom and Dad don't let him determine his own bedtime. But his parents “know better.” As the child grows up, he would be wise to ask for their advice.

신뢰는 우리가 자신의 이해에 의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3:5). 2살짜리 아이는 자기의 부모님이 얼마나 지혜로운지 알지 못한다. 그는 자기가 주방 스토브의 작동법을 알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는 왜 엄마와 아빠가 자기 자신의 취침 시간을 자기가 결정하지 못하게 하는지 궁금해 할 것이다. 그러나 그의 부모는 더 잘 알고 있다.” 아이가 자라면서 그분들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현명 할 것이다.

 

King David realized the value of trusting God when he wrote, “The Lord is my shepherd” (Ps. 23:1). Like a sheep whose life and safety depend on the shepherd, David saw that his life was in God’s hands. David knew that as he followed like a sheep, the Lord would lead like a shepherd.

다윗 왕은 여호와는 나의 목자”(23:1)라고 썼을 때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의 가치를 깨달았다. 생명과 안전이 목자에게 달려있는 양처럼, 다윗은 자신의 삶이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음을 보았다. 다윗은 주님을 양처럼 따라갈 때 주님이 목자처럼 인도하실 것임을 알고 있었다.

 

 

What is this about submission?(복종에 관하여 이것은 무엇인가?)

 

We could use the words humble, reverent, or fearful to describe the attitude we should possess if we want to be confident that God is leading us in our decision-making. Proverbs 1:7 reads,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knowledge, but fools despise wisdom and instruction.” Psalm 25:9 says, “The humble He guides in justice, and the humble He teaches His way?” The person who is willing to be taught will learn to please God with all decisions.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의 의사 결정에서 우리를 인도하고 계시다는 확신을 갖고자 한다면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를 묘사하기 위해 겸손, 공손, 혹은 경외 등의 단어를 사용할 수 있다. 잠언 1:7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라고 말한다. 시편 25:9에서는 온유한 자를 정의로 지도하심이여 온유한 자에게 그의 도를 가르치시리로다라고 말한다. 기꺼이 가르침을 받는 사람은 모든 결정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Submission is also shown through a voluntary giving up of our own desires in favor of God's desires. Romans 12:1-2 states:

복종은 또한 하나님의 소망에 찬성하여 우리 자신의 소망을 자발적으로 포기하는 것을 통하여 드러난다. 로마서 12:1-2은 이렇게 말한다:

 

I beseech you therefore, brethren, by the mercies of God, that you present your bodies a living sacrifice, holy, acceptable to God, which is your reasonable service. And do not be conformed to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at you may prove what is that good and acceptable and perfect will of God.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This “sacrifice” of oneself is the practical outworking of an inner attitude of submission to God. The believer who fears God will recognize His lordship over all areas of life and will relinquish any claims to self-rule. The “transformed” mind thinks in line with God's thoughts about right living. Such a transformation takes place as a believer fills his mind with the truths of God's Word. The resulting life proves that God’s way is the best way to live.

이 자신의 희생은 하나님께 복종하는 내적 태도의 실질적인 성과이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신자는 삶의 모든 영역에 대한 주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자기 통치에 대한 어떠한 주장도 포기할 것이다. “변화된마음은 올바른 생활에 대한 하나님의 생각과 일치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변화는 신자가 하나님의 말씀의 진리로 그의 마음을 가득 채울 때 일어난다. 결과적인 삶은 하나님의 길이 살기에 가장 좋은 길임을 증명한다.

 

 

How can prayer help?(기도가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The believer who trusts God and is submissive to Him recognizes his need for divine help in making decisions. The apostle James, when talking about how to handle difficulties and trials, said this: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께 복종하는 신자는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하나님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사도 야고보는 어려움과 시련을 다루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 할 때 이렇게 말했다:

 

If any of you lacks wisdom, let him ask of God, who gives to all liberally and without reproach, and it will be given to him (Jas. 1:5).

너희 중에 누구든지 지혜가 부족하거든 모든 사람에게 후히 주시고 꾸짖지 아니하시는 하나님께 구하라 그리하면 주시리라(1:5).

 

James recognized that it is not easy to know what to do when the going gets rough. So he explained that we must ask God for the needed wisdom. Decisions are often necessary as our faith is tested or as we endure a trial. In a wider application, James 1:5 promises that God will give help to all who ask Him.

야고보는 일이 어려워지면 무엇을 해야 할지 알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를 하나님께 구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우리의 믿음이 시험을 받거나 혹은 시련을 인내 할 때 종종 결정이 필요하다. 좀 더 넓은 적용에서, 야고보서 15절은 하나님은 그분께 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도움을 주실 것을 약속하신다.

 

“Don't expect God to reveal His will for you next week until you practice it for today.” Alan Redpath

"당신이 그것을 오늘 실천하기 전까지는 하나님이 다음 주에 당신에게 그분의 뜻을 밝히기를 기대하지 말라." Alan Redpath

 

Failure to ask for God’s direction can be a sign of arrogance. Although we may feel confident in ourselves, God knows the bigger picture. The danger of not consulting God is illustrated in Joshua 9. When Israel was in the process of conquering the land of Canaan, the Gibeonites tried to trick Israel into making a peace treaty with them. Israel rushed into a decision without asking God. Verse 14 states that the men of Israel “did not ask counsel of the Lord.” They didn't think they needed to ask God about something that seemed to make so much senseyet they were wrong. They ended up making a treaty with people the Lord had ordered Israel to kill.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지 않으면 오만함의 징후가 될 수 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있더라도 하나님은 더 큰 그림을 알고 계신다. 하나님께 묻지 않는 위험의 예는 여호수아 9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정복하는 과정에 있을 때, 기브온 사람들은 이스라엘이 그들과 평화 조약을 맺도록 속이려고 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께 묻지 않고 결정을 내려버렸다. 14절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어떻게 할지를 여호와께 묻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기에 너무나 이치에 맞는 것에 대해서는 하나님께 물어볼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들은 잘못했다. 그들은 결국 주님이 이스라엘에게 죽이라고 명령한 사람들과 조약을 맺어버렸다.

 

An example of the value of prayer in seeking God's will is found in Colossians. The apostle Paul prayed for the Colossian believers, asking that they “may be filled with the knowledge of His will in all wisdom and spiritual understanding; that [they] may walk worthy of the Lord, fully pleasing Him, being fruitful in every good work and increasing in the knowledge of God” (1:9-10).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데 있어서 기도의 가치에 대한 예는 골로새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도 바울은 골로새의 신자들을 위해,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시고, 주께 합당하게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고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게 하시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게해 달라고 기도했다(1:9-10)

 

God does reveal His will to us. Through His Word and through the indwelling Spirit we have all the resources we need. But first we must pray.

하나님은 당신의 뜻을 우리에게 나타내신다. 그분의 말씀과 내주하시는 성령을 통해 우리는 필요한 모든 자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먼저 기도해야 한다.

 

 

What if we don’t do what we know we should?(우리가 해야 한다고 알고 있는 일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Why should God give a person guidance on some specific situation in life if that person shows contempt or disregard for Him in another area of life? The central issue is whether or not we are walking in obedience to what we already know God wants us to do. Why should we expect God to showthrough circumstances, people, or the inner work of the Holy Spiritwhat He wants us to do, if we do not fully intend to obey Him?

어떤 사람이 인생의 다른 영역에서 그분을 경멸하거나 무시하는 경우, 하나님께서는 왜 인생의 어떤 특정한 상황에 대해 그 사람에게 지침을 주어야 할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우리가 이미 하나님이 우리가 하기를 원하시는 것을 알고 있는 것에 우리가 순종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하는 것이다. 우리가 그분께 온전히 순종하려고 하지 않는 경우, 그분이 우리가 하기를 원하시는 일을 환경을 통해, 사람을 통해 혹은 성령의 내적 사역을 통해 하나님이 우리에게 보여 주시기를 왜 기대해야 하는가?

 

Consider the example of Jonah. He was clearly told by God to go to Nineveh, but he ran the other way. Would you expect God to give Jonah direction on a new career choice? I doubt it.

요나의 예를 생각해보라. 그는 하나님으로부터 니느웨로 가라는 말씀을 분명히 들었지만, 다른 길로 도망갔다. 당신은 하나님이 요나에게 새로운 직업 선택에 대한 지시를 주실 것이라고 기대하는가? 나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

 

 

What can we expect if we acknowledge Him?(우리가 그분을 인정한다면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We can certainly expect God to honor His promise to help us. He will give us everything we need in order to know what to do. That doesn't mean God will spell out everything for us when in fact He has already given us the scriptural principles to use in making our decisions. Or He may expect us to use our ability to reason as a guide in choosing a path that would be in keeping with His general guidelines. In any case, we can expect God to give us the direction we need. He is in control of all of life (Eph. 1:11). As we seek His will, He will work out His plan through us (Phil. 2:13).

우리는 분명히 하나님이 그분의 약속을 존중해서 우리를 도와주실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분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실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하나님이 실제로 우리가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할 성경적 원리를 이미 주셨는데 우리를 위해 모든 것을 설명해 주실 것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혹은 그분은 우리가 그분의 일반적인 지침과 일치하는 길을 선택하는데 있어서의 지침을 추리 할 능력을 사용하기를 기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필요한 지침을 주실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분은 모든 생명을 통제하고 계신다(1:11). 우리가 그분의 뜻을 구할 때 그분은 우리를 통해 그분의 계획을 이루실 것이다(2:13).

 

Even if we have failed to acknowledge Him in the past, we can fulfill His will for us today and tomorrow as we learn to acknowledge Him in our lives.

우리가 과거에 그분을 인정하는 것에 실패했을지라도, 우리가 우리의 삶에서 그분을 인정하는 것을 배울 때 우리는 오늘과 내일 우리를 위한 그분의 뜻을 성취 할 수 있다.

 

 

What does the Holy Spirit do for us?(성령은 우리를 위해 무엇을 하시는가?)

 

Jesus promised that the Spirit would live within believers (Jn. 14:15-18; 16:7-15). But what is the Spirit doing to lead us in our decision-making? His main role is to help us understand what God has already revealed in the Bible (see 1 Cor. 2:6-16).

예수님은 성령이 믿는 사람들 안에 살 것이라고 약속하셨다(14:15-18; 16:7-15). 그러나 우리의 의사 결정에서 우리를 인도하기 위해 성령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그의 주요 역할은 하나님이 성경에서 이미 계시하신 것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고전 2:6-16 참조).

 

There are also several New Testament examples of how the Holy Spirit can work through inner impressions (Acts 8:29; 11:28; 13:2; 21:11; 1 Cor. 14:30). A word of warning, though, is needed. Impressions can be deceiving. And impressions can come from questionable sources: our selfish desires, mental baggage from the past, or even satanic delusion. So we can’t put all our hope for guidance on subjective feelings. That’s why it is so important to look for biblical principles that the Spirit can use to give us unmistakable direction.

성령이 내면의 느낌을 통해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신약의 예도 몇 가지 있다(8:29; 11:28; 13:2; 21:11; 고전 14:30). 그러나 여기에는 경고의 말이 필요하다. 느낌은 속이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느낌은 우리의 이기적인 욕망, 과거의 정신적 인습, 심지어는 사탄적인 망상과 같이 의심스러운 근원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주관적인 감정에 대한 인도에 우리의 모든 소망을 둘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성령이 우리에게 확실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성경적 원칙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inking It Over.(곰곰이 생각하기)

 

Have you acknowledged the Lord in all areas of your life? Why would it be foolish to ask God to guide you in making an important decision if you are currently ignoring what He has said about some other matters? If in the past you have not prayed as you know you should, begin right now to talk to God and request wisdom from Him.

당신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주님을 인정 했는가? 하나님이 다른 문제에 관해 말씀하신 것을 현재 무시하고 있다면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나님이 당신을 인도해 달라고 간구하는 것이 어리석은 이유는 무엇인가? 과거에 당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다고 기도하지 않았었다면 지금 당장 하나님과 대화하고 그분께 지혜를 구하라.

 

 

 

20200528-2.JPG


 

UNDERSTAND HIS PRINCIPLES
(그분의 원리를 이해하라)

 

 

If you didn't know how to play a board game like Monopoly, how would you learn? You could ask someone to explain it to you, or you could go directly to the rulebook yourself, because rules can be misinterpreted or forgotten by other players. The final word is always the rulebook, written by the inventor of the game.

모노폴리와 같은 보드 게임을 하는 방법을 모른다면 어떻게 배우겠는가? 누군가에게 가서 그것을 당신에게 설명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혹은 그 놀이를 하는 다른 사람이 규칙을 잘못 해석하거나 잊어버렸을 수 있기 때문에 당신 자신이 직접 규칙집을 가지고 배울 수 있다. 최종 지시는 항상 그 게임의 발명가가 작성한 규칙집이다.

 

But what about something much more complexlike life itself? As the Inventor of life, God has spelled out how we are to “play the game.” And we aren’t allowed to make up our own rules to fit our own preferences. In life, the rulebook is the Bible, and it covers all the big issues. It contains everything we need to know about right thinking and right living (2 Tim. 3:16-17). But it does not speak directly to many issues that come up as we encounter complex situations. So what do we do? We need to understand (a) what the Bible clearly says, and (b) how its principles can apply to all situations of life to give us guidance. But we have to be careful that we do not misuse God’s Word.

그러나 삶 자체와 같이 훨씬 더 복잡한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생명의 발명자로서 하나님은 우리가 어떻게 게임을 해야 하는지를 적어 놓으셨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 자신의 취향에 맞게 우리 자신의 규칙을 만드는 것이 허락되어 있지 않다. 삶에 있어서 규칙집은 성경이며 그것은 모든 큰 문제를 다 다룬다. 거기에는 올바른 생각과 올바른 생활에 관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다(딤후 3:16-17). 그러나 우리가 복잡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발생하는 많은 문제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우리는 (a) 성경이 분명히 말하는 바와 (b) 그 원리를 삶의 모든 상황에 어떻게 적용하여 우리에게 지침이 되도록 할지를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잘못 이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How is the Bible misused?(성경이 어떻게 오용되는가?)

 

A classic story is told of one way the Bible has been misused to find guidance. It’s about the young man who used the “flip and point” method of reading the Bible. One day while wondering what to do with his life, he flipped his Bible open and pointed to Matthew 27:5. He read, “[Judas] went and hanged himself.” He thought maybe he should try again. So he flipped and pointed, this time landing on Luke 10:37, “Go and do likewise.” He tried flipping one more time and arrived at John 13:27, “What you do, do quickly.” We may laugh at the absurdity of such a method of trying to determine God's will, yet we are often guilty of treating the Bible in a similar way. The Bible, however, is not a Christian Ouija board.

지침을 얻기 위해 성경을 잘못 이용한 한 가지 예를 말해주는 고전적인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성경을 확 펼쳐서 가리키며읽는 방법을 사용한 젊은 사람에 관한 것이다. 어느 날 자신의 삶으로 무엇을 할지 궁금해 하면서 성경을 확 펼쳐 열어서 마태복음 27:5을 가리켰다. 거기서 이런 글을 읽었다. “유다가 ... 물러가서 스스로 목매어 죽은지라.” 그는 다시 시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확 펼쳐서 가리켰더니, 이번에는 누가복음 10:37이 나왔다.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그는 확 펼치기를 한 번 더 시도하여 요한복음 13:27에 도달했다. “네가 하는 일을 속히 하라.” 하나님의 뜻을 결정하려는 그러한 방법의 부조리에 대해 비웃을지 모르지만, 우리는 종종 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성경을 취급하는 죄가 있다. 그러나 성경은 기독교의 부적판이 아니다.

 

Most of the favorite methods of Bible misuse fall into the general category of taking verses out of context. Whether the method is flipping and pointing, taking for yourself messages directed toward someone else, or the more simple “reading into the text” a message that is not really there, the problem is the samemishandling the Scriptures.

성경을 잘못 사용하는 가장 흔한 방법 중의 하나는 문맥에서 구절을 빼내는 일반적인 범주에 속한다. 그 방법이 확 펼쳐서 가리키는 방법이든, 다른 사람을 향한 메시지를 당신 자신에게 가져오는 방법이든, 아니면 보다 단순하게 실제로 거기에 없는 메시지를 문맥 속에서 읽는방법이든, 성경을 잘못 다룬다는 문제는 동일하다.

 

 

What does the Bible clearly say?(성경이 분명히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Too many times we are guilty of not considering what the Bible says on an issue. For example, you don’t have to wonder if God wants you to leave your spouse to marry another person you find attractive. Jesus said that marriage is a lifetime commitment (Mt. 19:6).

우리는 너무 자주 성경이 문제에 대해 말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 죄를 범한다. 예를 들어, 당신이 매력적인 다른 사람을 만나서 결혼하기 위해 당신 배우자를 버리는 것을 하나님이 원하시는지 궁금해 할 필요가 없다. 예수님은 결혼이 평생의 헌신이라고 말씀하셨다(19:6).

 

God has spelled out all we need to know. The Old Testament people of God were told, “The secret things belong to the Lord our God, but those things which are revealed belong to us and to our children forever, that we may do all the words of this law” (Dt. 29:29). The Israelites were not to occupy their time trying to find out God's secrets about His future plan and purposes in the world, but they were responsible to obey what God had clearly revealed. The same truth can be applied to us. We cannot know or understand all that God is doing in our world. But we can understand our responsibilities before Him. Those duties are spelled out in God’s Word. The Bible clearly tells us:

하나님은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설명하셨다.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은 감추어진 일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속하였거니와 나타난 일은 영원히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속하였나니 이는 우리에게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행하게 하심이니라”(29:29)라고 들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세상에서 그분의 미래 계획과 목적에 관한 하나님의 비밀을 찾으려고 그들의 시간을 보낼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분명히 계시하신 것에 순종할 책임이 있었다. 우리에게도 동일한 진리가 적용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서 하나님이 하시는 모든 일을 알거나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그분 앞에서 우리의 책임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의무는 하나님의 말씀에 나와 있다. 성경은 우리에게 분명히 말한다:

 

Worship God, not idols (Ex. 20:3-4).

우상이 아니라 하나님을 경배하라(20:3-4).

Honor your parents (Eph. 6:1-3).

당신의 부모를 공경하라(6:1-3).

Do not murder (Ex. 20:13).

살인하지 말라(20:13).

Do not commit adultery (Heb. 13:4).

간음하지 말라(13:4).

Do not lie (Ex. 20:16; Eph. 4:15,25).

거짓말 하지 말라(20:16; 4:15,25).

Do not covet (Ex. 20:17; Rom. 7:7-8).

탬내지 말라(20:17; 7:7-8).

Do not lust (Mt. 5:27-28).

음욕을 품지 말라(5:27-28).

Forgive others (Mk. 11:25; Eph. 4:32).

다른 사람을 용서하라(11:25; 4:32).

Love God and your neighbor (Mk. 12:28-31).

하나님과 당신의 이웃을 사랑하라(12:28-31).

Be holy (1 Pet. 1:16).

거룩하라(벧전 1:16).

Do not many an unbeliever (1 Cor. 7:39; 2 Cor. 6:14-15).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함께 메지 말라(고전 7:39; 고후 6:14-15).

Help a brother in need (1 Jn. 3:16-19).

궁핍한 형제를 도와주라(요일 3:16-19).

Don’t take a Christian to court (1 Cor. 6:1-8).

성도를 법정에 세우지 말라(고전 6:1-8).

Do not steal (Eph. 4:28).

도둑질하지 말라(4:28).

Be reconciled quickly to the person with whom you have a dispute (Mt. 5:23-24).

다투었던 사람과 빨리 화해하라(5:23-24).

Tell the truth (Prov. 12:22).

진실을 말하라(12:22).

 

The list could go on and on, but the point is this: The Bible is full of God's clear commands that offer us direction for most of life’s decisions. The more we know of God’s written Word, the more quickly we will know what God wants us to do.

목록을 더 열거할 수 있지만 요점은 다음과 같다: 성경은 대부분의 삶의 결정에 대한 방향을 우리에게 제공하는 하나님의 분명한 명령들로 가득하다. 우리가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을 더 많이 알수록, 하나님이 우리가 하기를 원하시는 것을 더 빨리 알게 될 것이다.

 

Ephesians 5:17 states, “Do not be unwise, but understand what the will of the Lord is.” The Lord’s will is clear, as Paul stated in the preceding verses“See then that you walk circumspectly, not as fools but as wise, redeeming the time, because the days are evil” (vv.15-16). God’s clear will for our lives is that we live for Him and obey Him in all we do. We are not to live as unbelievers but as children of God who obey His commands for holy living (Eph. 4:17-5:17).

에베소서 5:17은 이렇게 말한다.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가 이해하라.” 바울이 그 앞의 구절들에서 언급 한 것처럼 주님의 뜻은 분명하다: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하지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 때가 악하니라”(15-16). 우리 삶에 대한 하나님의 분명한 뜻은 우리가 그분을 위해 살고 우리가하는 모든 일에 그분께 순종하는 것이다. 우리는 믿지 않는 사람과 같이 살 것이 아니라 거룩한 삶을 위한 그분의 명령에 순종하는 하나님의 자녀로서 살아야 한다(4:17-5:17).

 

 

What if the matter isn't so clear?(문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가?)

 

Many areas of life are not addressed by the clear commands of God’s Word. The Bible doesn't tell us which television programs are acceptable viewing. It doesn't tell us what kind of music to listen to. It doesn’t have a command that tells us what to do on Saturday nights. There isn't a specific command that says, “Don’t buy lottery tickets.” If you are looking for guidance on whether to buy granola or jelly-filled donuts, the Bible doesn't say which to buy. And it doesn’t tell us specifically how to spend our paychecks. But that doesn't mean that we are left entirely on our own. It is in those areas that God offers general guidelines in His Word. For example, the Bible offers these principles:

삶의 많은 영역이 하나님의 말씀의 분명한 명령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다. 성경은 어떤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해도 좋은지를 말해주지 않는다. 어떤 종류의 음악을 들으면 되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토요일 밤에 무엇을 하라고 말해주는 명령이 없다. “복권을 사지 말라는 특별한 명령이 없다. 그래놀라를 살지 또는 젤리로 채워진 도넛을 살 것인지에 대한 지침을 찾고 있다면 성경은 어떤 것을 사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의 월급을 어떻게 소비하라고 특별히 말해주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이 전적으로 우리 자신에게 맡겨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한 영역에서 하나님은 그분의 말씀에 일반적인 지침을 제공하신다. 예를 들어, 성경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제공한다:

 

Don't try to get rich quick (Prov. 28:22).

급하게 재물을 얻으려고 하지 말라(28:22).

Put your treasures in heaven (Mt. 6:20).

너의 보물을 하늘에 쌓아두라(6:20).

Don't follow the crowd (Rom. 12:1-2).

군중을 따르지 말라(12:1-2).

Be subject to authorities (Rom. 13:1-4).

권위에 복종하라(13:1-4).

Choose the best (Phil. 4:8).

최선을 선택하라(4:8).

Work for God, not your boss (Col. 3:23).

당신의 사장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해 일하라(3:23).

Be faithful (1 Cor. 4:2).

신실하라(고전 4:2).

Don't be enslaved (1 Cor. 6:12).

얽매이지 말라(고전 6:12).

Treat your body as God's temple (1 Cor. 6:19-20).

너의 몸을 하나님의 성전으로 취급하라(고전 6:19-20).

Glorify God in everything (1 Cor. 10:31).

모든 것에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라(고전 10:31).

Live by grace, not legalism (Gal. 5:1-6).

율법주의가 아니라 은혜로 살라(5:1-6).

Don’t give Satan opportunity (Eph. 4:27).

사탄에게 기회를 주지 말라(4:27).

Use your tongue to edify (Eph. 4:29).

품격있게 말하라(4:29).

Seek the good of others (Phil. 2:3-4).

다른 사람의 선을 추구하라(2:3-4).

Work hard (1 Th. 4:11-12).

열심히 일하라(살전 4:11-12).

 

These are only a few of the many principles that come from God's Word. Personal study and learning from gifted teachers will help us discover the biblical guidelines we should implement in our lives.

이것들은 하나님의 말씀에서 나오는 많은 원리들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은사를 받은 교사로부터 개인적으로 배우고 연구하는 것은 우리가 생활에서 이행해야하는 성경적 지침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nking It Over.(곰곰이 생각하기)

 

Brainstorm some additional examples of God’s clear commands and principles. What are some specific biblical guidelines you have applied to your life during this past week? Are you “feeding” your thoughts with God's Word? If you are not already doing so, set aside a daily time to search out instruction from the Bible.

하나님의 분명한 명령과 원리에 대한 몇 가지 추가 예를 생각해보라. 지난 주에 당신의 삶에 적용한 특정한 성경적 지침은 무엇인가? 당신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당신의 생각을 공급하고있는가? 아직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면 성경에서 지침을 찾기 위해 매일 따로 시간을 떼어 내라.

 

 

 

20200528-3.JPG


 

INVESTIGATE YOUR OPTIONS

(당신의 옵션을 조사하라)

 

 

Imagine that you are enjoying a peaceful swim in the ocean when you suddenly see a shark’s fin moving in your direction. You have several options. You could ignore it. You could swim toward it and try to kill it with your bare hands. You could head for shore, trying not to draw its attention. Or you could try to pet the shark and become its friend.

당신이 바다에서 평화로운 수영을 즐기고 있는데 갑자기 당신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어 지느러미를 보았다고 상상해보라. 당신에게는 몇 가지 옵션이 있다. 당신은 그것을 무시할 수 있다. 당신은 그것을 향해 수영하여 가서 맨손으로 그것을 죽일 수 있다. 그의 주의를 끌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 해안으로 향할 수 있다. 아니면 상어를 쓰다듬어 친구가 될 수도 있다.

 

Obviously, some options are not too wise. Trying to kill the shark, attempting to be its pal, or ignoring the approaching jaws probably wouldn’t work. The best option would be to head quickly for shore without attracting its interest.

분명히, 일부 옵션은 너무 현명하지 않다. 상어를 죽이려하거나 친구가 되려고 시도하거나 혹은 다가오는 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마도 효과가 없을 것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상어의 관심을 끌지 않고 해안으로 빠르게 향하는 것이다.

 

Granted, in such a situation you wouldn’t take time to list all available options, even the absurd ones. But you would quickly assess the situation and determine an escape plan based on your existing knowledge of sharks.

물론 그러한 상황에서는 사용 가능한 모든 옵션, 심지어 터무니없는 옵션까지 모두 나열하는 데 시간을 보낼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어에 대한 기존 지식을 바탕으로 그 상황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탈출 계획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Knowing your options is important for making all kinds of decisions. Although the first option you come across may seem right, other choices must be considered. First impressions do not necessarily give you an accurate picture (Prov. 18:17).

당신의 옵션을 아는 것은 모든 종류의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하다. 비록 당신이 처음 마주치는 옵션이 옳아 보일 수도 있지만, 다른 선택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첫 인상이 반드시 정확한 그림을 제공하지는 않는다(18:17).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each alternative?(각 대안의 결과는 무엇인가?)

 

It is not enough to lay out the options. We must also consider the probable results of each action. If the problem is an approaching shark, the consequences of each alternative would help determine your decision. In other matters, like trying to decide what college to attend or what job to take, listing the implications of each choice can be very helpful. For example, if choosing one job means having to move away from family and friends or means a dramatic pay cut, that may be a significant reason to pursue another job opportunity. And don't forget to consider the spiritual impact your decision will have on you and those around you.

옵션을 늘어놓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각 행동의 가능한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 문제가 다가오는 상어인 경우 각 대안의 결과는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어떤 대학을 다닐 것인지 또는 어떤 직업을 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과 같은 다른 문제에 있어서, 각 선택의 의미를 나열하는 것이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멀어진다거나 혹은 엄청난 임금 삭감을 의미하는 경우, 그것은 다른 직업의 기회를 추구하는 데 대한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당신의 결정이 당신과 당신 주변의 사람들에게 미칠 영적 영향을 고려하는 것을 잊지 말라.

 

 

How can God use our minds?(하나님은 우리의 생각을 어떻게 사용하시는가?)

 

It may not seem as spiritual to say that you chose job opportunity “A” over job “B” because of social and financial reasons as it is to say “the Lord led me” to job “A”. But it is probably just as trueand a little less presumptuous. God often does lead us through the use of good judgment. After all, He did give us a brain to use and a lot of available information. If you already have the information close at hand, why should God drop a road sign from the sky?

주님이 나를 직업 “A”로 인도하셨다라고 말하는 것처럼 사회적, 재정적 이유 때문에 직업 “B” 보다 직업 기회 “A”를 선택했다고 말하는 것은 영적인 것처럼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아마도 사실일 수도 있지만 약간은 뻔뻔한 것일 수도 있다. 하나님께서는 종종 훌륭한 판단을 사용하여 우리를 인도하신다. 결국, 그분은 우리가 사용하는 뇌와 유용한 많은 정보를 주셨다. 당신이 이미 가까이에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왜 하나님이 하늘에서 도로 표지판을 내려 주셔야 할까?

 

For example, if you are trying to decide what kind of shoes to buy, God expects you to use your head. It wouldn’t be wise to waste money on shoes with an inflated price, nor would it be wise to buy shoes in some wild color that you would never wear. You would be wise to choose shoes that are comfortable, durable, and affordable.

예를 들어, 어떤 신발을 사야하는지 결정하려고 한다면, 하나님은 당신이 머리를 사용할 것을 기대하신다. 가격이 부풀려져 매겨진 신발에 돈을 낭비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으며, 결코 신을 것 같지 않은 요란한 색상의 신발을 사는 것도 현명하지 않다. 편안하고 튼튼하며 저렴한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A biblical example of this principle can be found in the life of the early church. In Acts 6:2-4, Luke told of the apostles' wise decision to look for help in taking care of food distribution when the task was distracting them from accomplishing their Christ-appointed ministries. It made sense to choose godly men who would be able to share the workload.

이 원리의 성경적 예는 초대 교회의 삶에서 찾을 수 있다. 사도행전 6:2~4에서 누가는 사도들이 그리스도께서 명하신 사역을 수행하는 데 방해가 되었을 때 음식 분배를 돌보는 데 도움을 찾는 현명한 결정에 대해 말했다. 작업부하를 나누어 질 수 있는 경건한 사람들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God gave you an awful lot of leading when He gave you your mind.” Dawson Trotman

"하나님이 당신에게 생각을 주셨을 때 그분은 당신을 엄청나게 많은 것으로 인도하신다." 도슨 트로트만

 

In 1 Corinthians 2, the apostle Paul spoke of how the Spirit of God works in the minds of believers to give them the ability to grasp God’s truths. In verse 16, Paul said of believers, “We have the mind of Christ.” The Spirit guides us in understanding the Bible, but He also transforms us in action and thought to be more like Christ. We can be sure that as we obey the Lord and depend on Him, the Spirit of God will assist us, even in developing a godly common sense about life’s decisions.

고린도전서 2장에서 사도 바울은 신자들에게 하나님의 진리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주기 위해 하나님의 영이 그들의 마음에서 어떻게 일하시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16절에서 바울은 신자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졌느니라.” 성령은 우리에게 성경을 이해하도록 인도하지만, 또한 그분은 우리를 행동과 생각을 변화시켜서 그리스도를 더 닮게 하신다. 우리는 우리가 주님께 순종하고 그분을 의지할 때, 하나님의 영이 인생의 결정에 대한 경건한 상식을 개발하는 데에도 우리를 도우실 것을 확신 할 수 있다.

 

Good judgment, then, is a tool God expects us to use in making decisions, whether simple or complex. When joined with a daily dependence on the Lord, our God-given reasoning ability can be a helpful guide as we choose between alternatives.

그러므로 좋은 판단은 하나님이 우리가 단순하거나 복잡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할 것으로 기대하는 도구이다. 매일 주님께 의존하는 일에 동참 할 때, 하나님이 주신 우리의 사고 능력은 우리가 여러 대안 중에서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What are the unique aspects of your situation?(당신 상황의 독특한 측면은 무엇인가?)

 

No two people are the same, nor are the situations in which they must make decisions. Granted, in those areas of life spoken to directly by the Bible’s commands, it doesn’t matter who you are. The right choice is always to obey what the Bible says to do. But in those decisions of life about which the Bible does not clearly address the issues, and when the principles don’t seem to apply, a different approach is necessary. In those situations it is important to list the options and alternatives and to take note of the unique aspects of your situation. For example, Joe may have decided to ask Marianne to be his wife, but that certainly doesn't mean Bob should too! Simply because Fred thought State U. was the best place for him to go to school does not mean it would necessarily be best for Sam or Sandra. Just because a mature Christian you highly respect has chosen to attend a particular church does not mean you should go to that church as well.

두 사람이 같지도 않고, 그들이 결정을 내려야하는 상황도 다르다. 물론, 성경의 명령으로 직접 언급된 삶의 영역에서는 당신이 누구인지는 문제되지 않는다. 올바른 선택은 항상 성경이 하라고 하는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경이 분명하게 말하지 않는 문제에 관한 삶의 결정에서, 그리고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는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옵션과 대안들을 나열하고 당신의 상황의 고유한 측면들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JoeMarianne에게 그의 아내가 되어달라고 청하는 결정할 수 있지만, 그것은 확실히 Bob이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단순하게 Fred가 자기가 가야할 가장 좋은 곳이 State U.라고 생각했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Sam이나 Sandra에게 가장 좋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당신이 매우 존경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특정 교회에 출석하기로 선택했다고 해서 당신도 그 교회에 다녀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Every person is unique. If we fail to recognize that, we will make decisions on the basis of what others have done instead of what would be wise for us to do.

모든 사람은 독특하다.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면, 우리는 우리가 한다면 현명할 일 대신에 다른 사람이 했던 것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릴 것이다.

 

 

What are your abilities, gifts, talents, and weaknesses?(당신의 능력, 은사, 재능 및 약점은 무엇인가?)

 

If you have never learned how to use a typewriter, would it be wise for you to apply for a job as a typist? If you have never driven a car over 55 miles per hour, would it be advisable to apply as a driver for the Indianapolis 500? If you break out in hives when you have to speak in front of people, would it be smart for you to run for political office? If you don’t know the difference between a socket wrench and a spatula, would it be smart for you to interview for a job as an auto mechanic or a chef? If you have a weight problem and have difficulty refusing the temptation of chocolates, should you take a job in a candy-bar factory where employees can eat all they want? Or if you don’t enjoy teaching the Bible or counseling, should you pursue a church pastorate?

타자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운 적이 없다면 타이피스트로 직업을 신청하는 것이 현명할까? 시속 55마일 이상으로 차를 운전해본 적이 없다면 인디애나폴리스 500번 도로의 운전자로 신청하는 것이 타당할까? 사람들 앞에서 말해야 할 때 두드러기가 난다면 정치인으로 출마하는 것이 현명할까? 소켓 렌치와 주걱의 차이점을 모른다면 자동차 정비사나 요리사의 일자리를 위해 인터뷰하는 것이 현명할까? 체중 문제가 있고 초콜릿의 유혹을 거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직원이 원하는 것을 모두 먹을 수 있는 막대사탕 공장에서의 직업을 택해야 할까? 아니면 성경을 가르치거나 상담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교회 목회자의 길을 가야 할까?

 

The answer to all these questions is no. It only makes good sense that what God wants you to do He has equipped and prepared you to do. For example, a person who does not fit the requirements of 1 Timothy 3:1-7 and Titus 1:5-9 and shows no evidence that he has been divinely equipped by God to be a pastor-teacher(Eph. 4:11) should not think that God wants him to be a church pastor. Likewise, in any opportunity that comes your way, evaluate your abilities, interests, and even your weaknesses to find good information for deciding what God wants you to do.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오이다. 오직 하나님이 당신이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갖추어 주신 일을 당신이 하기를 원하신다는 것이 합리적이다. 예를 들어, 디모데전서 3:1-7과 디도서 1:5-9의 요구 사항에 맞지 않으며 하나님에 의해 목사-교사(4:11)가 되도록 거룩하게 능력이 갖추어진 증거가 없는 사람은 그가 교회 목회자가 되기를 하나님이 원하신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마찬가지로, 당신의 길에 어떤 기회가 왔을 때, 하나님이 당신이 그것을 하기를 원하시는지 결정하기 위한 좋은 정보를 얻기 위해 당신의 능력, 관심사, 심지어 약점까지 평가해 보라.

 

 

Thinking It Over.(곰곰이 생각하기)

 

Evaluate a major decision you have made. List each of the alternatives and their consequences. Did your decision violate biblical principles? Did it violate good judgment? Which alternatives would have made a positive impact on your spiritual well-being? Which of the remaining ones would you be inclined to select? Why?

당신이 내린 주요 결정을 평가해 보라. 각각의 대안과 그 결과를 나열하라. 당신의 결정이 성경의 원리에 위배되는가? 좋은 판단에 위배되는가? 어떤 대안들이 당신의 영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 나머지 중 어느 쪽을 선택하도록 기울여졌는가? 왜 그런가?

 

 

 

20200528-4.JPG


 

DISCUSS IT WITH OTHERS

(그것을 다른 사람과 의논하라)

 

 

Driving a car through a maze of unfamiliar streets can be unsettling. But it can also be a challenge to one’s ego and a test of the strength of a marriage or friendship. Many drivers (including me) dislike stopping and asking for helpeven when it is obviously needed. Often, though, a passenger (wife, husband, or friend) pleads that the driver stop and ask someone for directions. Many headaches, many extra miles, and many strained relationships could be avoided if the driver simply followed good advice and asked for help. The same is true spiritually.

낯선 거리의 미로를 통해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은 불안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자아에게 도전이 될 수 있고 결혼이나 우정의 힘을 시험하는 것일 수 있다. 많은 운전자들(나를 포함하여)이 분명히 그것이 필요할 때에도 차를 멈추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싫어한다. 그러나 종종 동승자들(아내, 남편 혹은 친구)은 운전자가 차를 멈추고 누군가에게 방향을 물어보라고 간청한다. 운전자가 단순히 좋은 조언을 따르고 도움을 요청한다면 많은 두통과, 쓸데없이 먼 거리를 가는 것과 많은 긴장된 관계를 피할 수 있다. 영적으로도 마찬가지이다.

 

 

Why do I need to listen to others?(나는 왜 다른 사람의 말을 들어야 하는가?)

 

The answer seems obvious, but we often fail at this very point. Whether it is an overinflated ego, overconfidence, “adviceophobia,” or simply failure to understand the wisdom others have to offer, we foolishly refuse to ask for directions. And we suffer the consequences. We can learn so much if we are just willing to listen to others.

답은 분명해 보이지만 우리는 바로 이 시점에서 종종 실패한다. 그것이 지나치게 부풀어진 자아이든, 과신이든, “충고공포증이든 혹은 단순히 다른 사람들이 제공하는 지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우리는 어리석게도 방향을 요청하는 것을 거절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 결과로 고통을 겪는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말을 기꺼이 듣는다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What can I learn from other people?(다른 사람들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First-time home buyers can experience much anxiety trying to decide what home to purchase. What is a good deal and how should it all be financed? A person would be foolish to buy the first home he saw listed in the newspaper without seeing it, or without getting sound advice from experts in home sales. In such a decision, the advice of others is invaluable. It can mean the difference between getting stuck with high mortgage payments for a piece of decaying junk and buying a well-constructed, affordable home that will increase in value.

최초 주택 구매자는 어떤 집을 사야할지 결정하려고 할 때 많은 불안을 경험할 수 있다. 어떤 것이 좋은 거래이며 모든 자금을 어떻게 조달해야 할까? 처음 집을 사는 사람이 그 집을 직접 보지 않고 신문에 있는 목록을 보고 구입하거나 혹은 집 판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지 않고 사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그러한 결정에서 다른 사람들의 조언은 귀중한 것이다. 그것은 부패한 쓰레기 조각에 높은 모기지 상환을 지불하는 것에 집착하는 것과, 앞으로 가치가 상승할 잘 건설되고 저렴한 집을 사는 것의 차이를 의미 할 수 있다.

 

Solomon wrote, “The way of a fool is right in his own eyes, but he who heeds counsel is wise” (Prov. 12:15). Others can see what we cannot, and they can be more objective in their evaluation of issues that to us are highly charged. They can point out errors in our judgment and add valuable insights.

솔로몬은 미련한 자는 자기 행위를 바른 줄로 여기나 지혜로운 자는 권고를 듣느니라”(12:15)라고 썼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가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우리에게는 큰 부담이 되는 문제에 대한 평가에서 보다 더 객관적 일 수 있다. 그들은 우리의 판단에서 오류를 지적하고 귀중한 통찰력을 추가 할 수 있다.

 

 

Do I have to take advice when it is given?(조언을 받으면 나는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는가?)

 

Of course not. Human advice is not a command from God. Some advice is better than others. Some people who give advice are more knowledgeable. And simply because more people advise one course of action over another is not enough reason to move in that direction. Many other factors may be involved. In fact, we may receive contradictory advice. Then we have to decide who is worth listening to.

물론 아니다. 인간의 조언은 하나님의 명령이 아니다. 어떤 조언은 다른 사람의 조언보다 낫다. 조언을 하는 어떤 사람은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단순히 더 많은 사람들이 다른 쪽이 아니라 이쪽 길의 행동을 조언한다고 해서 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다른 많은 요소들이 관련 될 수 있다. 사실, 우리는 모순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다. 그런 경우 우리는 누구의 조언이 들을 가치가 있는지 결정해야 한다.

 

 

Whose advice should I seek?(누구의 조언을 구해야 하는가?)

 

If you want some tips on how to navigate a submarine, it wouldn't make much sense to ask a person who has never even seen one. And if you are trying to decide how to choose a marriage partner, you don't ask someone who has been divorced 10 times. We need to seek out those people who have reliable information. Not only do we need information, but we also need godly counsel from people who are in tune with God, who are sensitive to the spiritual issues, and who know how to apply the Lord’s wisdom to the many aspects of life.

잠수함 조종하는 방법에 대한 팁을 원한다면, 그것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에게 물어 보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리고 결혼 상대를 선택하는 방법을 결정하려고 한다면 10번이나 이혼한 사람에게 물어 보지 말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진 사람을 찾아야 한다. 우리는 정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영적 문제에 민감하고 삶의 여러 측면에 주님의 지혜를 적용하는 방법을 아는, 하나님과 보조를 맞추고 있는 사람으로부터의 경건한 조언이 필요하다.

 

The first two verses of Psalm 1 remind us of the need for the right kind of advice.

시편 1편의 첫 두 구절은 우리에게 올바른 조언이 필요하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Blessed is the man who walks not in the counsel of the ungodly, nor stands in the path of sinners, nor sits in the seat of the scornful; but his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and in His law he meditates day and night.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Rehoboam was the grandson of David, Israel's greatest king. He should have learned from his grandfather where to go for advice. When his father Solomon died, Rehoboam became Israel's king. But instead of following the wise and mature counsel of his father's friends, he went along with the advice of his young contemporaries who lacked the godly wisdom of the elders (2 Chr. 10). As a result, Rehoboam lost a large part of his kingdom. He made the mistake of looking for someone who agreed with his opinion instead of listening to wisdom. People today continue to make the same kind of mistake.

르호보암은 이스라엘의 가장 위대한 왕인 다윗의 손자였다. 그는 할아버지로부터 어디서 조언을 구하는지를 배웠을 것이다. 그의 아버지 솔로몬이 죽자 르호보암은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친구들의 지혜롭고도 성숙한 조언을 따르는 대신, 그는 장로들의 경건한 지혜가 부족한 젊은 동시대 사람들의 조언을 따랐다(대하 10). 결과적으로 르호보암은 자신의 왕국에서 많은 부분을 잃었다. 그는 지혜를 듣는 대신 자신의 의견에 동의한 사람을 찾는 실수를 했다. 오늘날 사람들은 계속해서 같은 종류의 실수를 한다.

 

When we seek out advice, we must do so with an openness to being corrected or to having our initial choice rethought. It does little good to ask for advice when our mind is already made up.

우리가 조언을 구할 때, 우리는 우리의 생각을 정정하거나 혹은 우리의 처음 선택을 다시 생각하겠다는 열린 마음으로 그렇게 해야 한다. 우리의 마음을 이미 결정한 상태에서 조언을 구하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

 

 

Thinking It Over.(곰곰이 생각하기)

 

Why would it be dangerous to base your decision on a majority vote of your advisors? Have you made wise use of counsel in the past? Do you take advice well? Why would it be profitable to do your own research first before seeking out the suggestions of others?

당신의 조언을 위해 과반수 투표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왜 위험할까? 과거에 조언을 현명하게 사용한 적이 있는가? 당신은 조언을 잘 하는가? 다른 사람들의 제안을 구하기 전에 먼저 당신 스스로 조사를 하는 것이 유익한 이유는 무엇인가?

 

 

 

20200528-5.JPG


 

EXPRESS YOUR FREEDOM

(당신의 자유를 표현하라)

 

 

Should you be deeply concerned about whether you wear red socks or blue? Is it necessary to pray about it, search for a biblical theology of colors, and seek the advice of your pastor? If you say yes, your life must be miserable! God did not intend for us to be frozen in anxiety each time we have to make a choice.

빨간 양말을 신을 것인지 파란색을 신을 것인지에 대해 깊이 염려해야 하는가? 그것에 대해 기도하고, 색깔에 대한 성경의 신학을 찾아보고, 목사의 조언을 구해야 하는가? 예라고 대답한다면 당신의 인생은 비참한 것임이 분명하다! 하나님은 우리가 선택을 해야 할 때마다 불안에 얼어붙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셨다.

 

 

How free are we?(우리는 얼마나 자유로운가?)

 

God gave freedom to use our own heads to decide what to do. Consider Adam, for example. Go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and told him to name the animals (Gen. 2:19-20). Did Adam get all flustered and say, “But Lord, I want to make sure I name them exactly what You think they should be named”? No, God gave Adam freedom to choose the names that pleased Adam, and it was fine with God.

하나님은 무엇을 할지 결정하기 위해 우리의 머리를 사용하는 자유를 주셨다. 예를 들어, 아담을 생각해 보라. 하나님은 그를 에덴동산에 두시고 동물들에게 이름을 지으라고 말씀하셨다(2:19-20). 아담은 모든 것이 혼란스러워서 그러나 주님, 나는 그들이 어떤 이름을 가져야 할지 주님이 생각하는 것과 정확히 같게 그들의 이름을 붙이기 원합니다라고 말했는가? 아니다. 하나님은 아담이 마음에 든 대로 이름을 선택할 자유를 아담에게 주셨고, 그것을 하나님이 좋아하셨다.

 

Another example from Genesis 2 was Adam's choice of food. God had said that Adam could eat from any tree he wanted, except for one. That gave Adam great freedomeven though later he and Eve overextended their freedom and disobeyed God. And therein lies the key. Our God-given freedom extends to those decisions that God’s commands and principles have not addressed.

창세기 2장의 또 다른 예는 음식에 대한 아담의 선택이었다. 하나님은 아담이 한 가지를 제외하고는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을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그것은 아담에게 큰 자유를 주신 것이다. 그럼에도 나중에 그와 하와는 그들의 자유를 지나치게 확대해서 하나님께 불순종했다. 그리고 그 안에 열쇠가 들어 있다. 하나님이 주신 우리의 자유는 하나님의 명령과 원리가 언급되지 않은 결정으로 확장된다.

 

For example, a fish in the ocean is free to swim anywhere it wants to flap its fins. But if it chose to flip up onto land, the decision would be fatal. As human beings, we have freedom to choose among good options that conform to God’s standards and His ideas of wisdom. Once we “jump out” of God’s standards, however, we make a major mistake.

예를 들어, 바다에 있는 물고기는 지느러미를 펴고 싶은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수영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그것이 육지로 튀어 오르기를 선택한다면 그 결정은 치명적일 것이다. 우리는 인간으로서 하나님의 표준과 지혜에 관한 그분의 지혜의 개념에 맞는 좋은 옵션 중에서 선택할 자유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의 표준을 뛰어 넘는다면커다란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다.

 

 

How does this work in real life?(이것이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작동하는가?)

 

Will it violate a biblical principle if I buy a Cadillac instead of a Ford? It would if I trampled all over my wife's feelings on the matter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Ephesians 5:25-33), or if my decision meant that my children wouldn't have food on the table because my loan payments were too high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1 Timothy 5:8). On the other hand, my choice of cars could be an area in which I have a great deal of freedom without violating a biblical principle. There could be several good choices that meet God’s standards and reflect a wise use of my God-given mental ability.

내가 포드 대신 캐딜락을 산다면 그것이 성경적 원리에 위배되는가? 내가 그 문제에 관한 아내의 감정을 모두 짓밟았다면(에베소서 5:25-33의 원리 위반), 혹은 내 결정 때문에 내 대출 지불금이 너무 높아서 자녀가 식탁에 음식을 갖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면(디모데전서 5:8의 원리 위반) 그럴 것이다. 반면에, 내가 자동차를 선택하는 것은 성경적 원리를 위반하지 않고 많은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하나님의 표준을 충족시키고 하나님이 주신 정신 능력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것을 반영하는 몇 가지 좋은 선택이 있을 수 있다.

 

 

If in doubt, is it wise to wait?(의심스러운 경우 기다리는 것이 현명한가?)

 

If you are standing in line at a fast-food restaurant wondering whether to have a hamburger or a cheeseburger, the outcome of your decision isn't likely to be life-changing. But when the person behind the counter says, “May I help you,” you have to come up with a decision or else get out of line. It would be ridiculous to agonize over such a choice. But what about bigger decisions like proposing marriage, choosing a vocation, deciding whether or not to have risky surgery, or determining how to care for a relative who is terminally ill? At times it may be wise to waitif you have the luxury of extra time and if waiting will allow you to find valuable new information or allow for a better analysis of facts already available. Haste is not a virtue (Prov. 21:5).

당신이 패스트푸드 식당에 줄을 서서 햄버거를 먹을지 아니면 치즈버거를 먹을지 생각하는 경우, 당신 결정의 결과는 인생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카운터 뒤에 있는 사람이 주문하시겠습니까?”라고 말하면 당신은 바로 결정을 내리든지 아니면 줄에서 빠져야 한다. 그러한 선택에 대해 번민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 그러나 청혼을 한다거나 직업을 선택하거나, 위험한 수술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혹은 말기 환자인 친척을 어떻게 돌봐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과 같은 더 큰 결정은 어떠한가? 어떤 때는 기다리는 것이 현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시간적 여유가 상당히 있다거나, 기다릴 경우 가치 있는 새로운 정보를 찾을 수 있다거나 이미 사용 가능한 사실을 더 잘 분석 할 수 있게 되는 경우가 그러하다. 조급한 것이 미덕은 아니다(21:5).

 

If we are extremely uneasy about a decision, we should take time to evaluate why we feel that way. In some cases, such lack of peace may indicate that our choice is “not from faith” and is a sinful violation of our conscience (Rom. 14:23). Or a lack of peace may indicate that we have not expressed our trust in God to meet our needs (Phil. 4:6-7).

우리가 결정에 대해 매우 불안해한다면, 왜 그렇게 느끼는지 평가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평안의 결여가 우리의 선택이 믿음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우리의 양심에 대한 죄악된 위반임을 나타낼 수 있다(14:23). 또는 평안의 결여는 우리가 우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4:6-7).

 

We should remember that although God can use our feelings to direct us, what we “feel” may be a result of our emotional makeup rather than a message from God's Spirit. And watch out for the paralysis of analysis, a decision-crippling disease affecting those who procrastinate or who continually fear that some bit of information is yet to be found that will help them know what God wants them to do.

비록 하나님은 우리의 감정을 사용하여 우리를 인도하실 수도 있지만, 우리가 느끼는것은 하나님의 성령의 메시지가 아니라 우리 감정의 치장의 결과일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하나님이 그들이 하기를 원하시는 일을 그들이 알도록 도와주실 약간의 정보를 더 기다려야 한다고 꾸물거리거나 지속적으로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쳐 결정 기능을 상실하는 질병인 분석 불능을 주의하라.

 

 

Could I flip a coin?(동전 던지기를 해야 할까요?)

 

In some cases, yes. Does that sound a bit unspiritual? It isn’t if you have acknowledged the Lord, looked for principles in His Word, used common sense, and listened to good advice. Flipping a coin, though, or making an arbitrary choice should be a last resort, and only when you are choosing between good options.

어떤 경우에는 그렇다. 그것은 다소 영적이지 않은 것으로 들리지 않은가? 주님을 인정하고 그분의 말씀의 원리를 찾고 상식을 사용하며 좋은 조언을 듣는다면 그렇지 않다. 그러나 동전 던지기를 하거나 임의의 선택을 하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하며, 좋은 옵션 중에서 선택하는 경우에만 해야 한다.

 

In Proverbs 16:33, Solomon said, “The lot is cast into the lap, but its every decision is from the Lord.” Casting lots, drawing straws, or flipping a coin fall into the same category. In the Bible, God worked through such techniques to reveal what He wanted done. For example:

잠언 16:33에서 솔로몬은 제비는 사람이 뽑으나 모든 일을 작정하기는 여호와께 있느니라라고 말했다. 제비뽑기를 하거나 빨대를 던지거나 혹은 동전을 던지는 것은 같은 범주에 속한다. 성경에서 하나님은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분이 원하신 일을 드러내셨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aron cast lots on the Day of Atonement to select a goat to sacrifice (Lev. 16:8-10).

아론은 속죄일에 제물로 바칠 염소를 선택하기 위해 제비를 뽑았다(16:8-10).

Nehemiah used lotcasting to distribute work responsibilities (Neh. 10:34).

느헤미야는 업무 책임을 분배하기 위해 제비를 뽑았다(10:34).

Solomon said that casting lots could stop people from fighting (Prov. 18:18).

솔로몬은 제비뽑는 것이 다툼을 그치게 한다고 말했다(18:18).

Jonah was discovered as the villain when a ship captain cast the lot (Jon. 1:7).

요나는 선장이 제비를 뽑았을 때 범인으로 드러났다(Jon. 1:7).

Matthias was chosen by lot as an apostle when a replacement was needed (Acts 1:23-26).

맛디아는 임무를 대신할 사람이 필요했을 때 제비뽑기에 의해 사도로 선택되었다(1:23-26).

 

When all available information yields no clear direction and a decision is needed, use your God-given freedom of choice or, if paralyzed by indecision, simply flip a coin. God can use either choice for His glory. He is in control and He is at work in the lives of those who earnestly desire to please Him.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가 분명한 방향을 제시하지 않은데 결정이 필요한 경우, 하나님이 주신 선택의 자유를 사용하고, 주저함으로 인해 불능이 되었다면 간단하게 동전을 던져라. 하나님은 그분의 영광을 위해 어느 선택이든 사용하실 수 있다. 그분이 통제하고 있으며, 그분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 간절히 원하는 사람들의 삶에서 그분이 일하고 계신다.

 

It is God who works in you both to will and to do for His good pleasure (Phil. 2:13).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2:13).

 

 

Thinking It Over.(곰곰이 생각하기)

 

What kinds of decisions do you make every day without prayer and study to find out what to do? What kinds of decisions give you the most anxiety and tend to paralyze you? Are you exercising your freedom responsibly and in dependence on the Lord?

무엇을 해야 할지를 찾기 위해 기도와 공부 없이 매일 어떤 종류의 결정을 내리고 있는가? 어떤 종류의 결정이 당신에게 가장 불안감을 주고 당신을 무기력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가? 당신은 당신의 자유를 책임감 있게 그리고 주님께 의지하여 발휘하고 있는가?

 

 

 

20200528-6.JPG


 

How does our freedom fit into the bigger picture?(우리의 자유는 더 큰 그림에 어떻게 들어 맞는가?)

 

It’s important that we see our freedom of choice in the context of all that God has offered to help us know what He wants us to do. He hasn't left us out in the middle of a wilderness without a compass. He offers help to all who will acknowledge Him as Lord. He has given us reliable guidance in His Word. He has given us rational thinking power to evaluate our options. We hav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dvice from people we can trust. And He gives us freedom to choose when the decision lacks any clear admonition or prohibition from Him.

우리가 우리 선택의 자유를 하나님이 우리가 하기를 원하시는 것을 우리가 알도록 돕기 위해 하나님이 제공하셨던 모든 것의 맥락에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분은 나침반 없이 광야 한가운데 우리를 내버려 두지 않으셨다. 그분은 그분을 주님으로 인정할 모든 사람에게 도움을 제공하신다. 그분은 그분의 말씀 안에 신뢰할만한 지침을 우리에게 주셨다. 그분은 우리의 옵션을 평가할 수 있는 이성적인 사고력을 우리에게 주셨다. 우리는 우리가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의 조언 형태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분은 그분으로부터의 분명한 훈계나 금지가 없는 상태에서 결정을 내릴 때 선택할 자유를 우리에게 주신다.

 

God loves us. He wants us to live for Him. If we desire to honor God, we can be sure that He will not leave us in the dark when we want to know what He wants us to do. Even if we have been foolish or disobedient in the past, we can know and do what God wants us to dotoday and tomorrow.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신다. 그분은 우리가 그분을 위해 살기를 원하신다. 우리가 하나님을 높이기 원한다면, 그분이 우리가 무엇을 하기를 원하시는지 알고 싶을 때 그분은 우리를 어둠 속에 내버려 두지 않으실 것을 확신 할 수 있다. 과거에 어리석었거나 불순종 했더라도 하나님이 우리가 오늘 그리고 내일 하기를 원하는 일을 알 수 있고 행할 수 있다.

 

 

 

QUIET NUDGES

(조용한 자극)

by Philip Yancey(필립 얀시)

 

 

I have thought through some of the key events of my recent life, searching for threads of guidance. I refer to them not as examples of yet another technique, but as illustrations of the quiet nudges God can use to guide us without overwhelming us.

나는 최근 삶의 주요 사건들 중 몇 가지를 통해 지침의 실마리들을 찾으려고 생각했었다. 나는 그것들을 또 다른 방법의 예가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를 압도하지 않고 우리를 인도하기 위해 사용하실 수 있는 조용한 자극의 예라고 생각한다.

 

I have a confession to make. For me, at least, guidance becomes evident only when I look back, months and years later. Then, the circuitous process falls into place and the hand of God seems clear. But at the moment of decision, I feel mainly confusion and uncertainty. Indeed, almost all the guidance in my life has been subtle and indirect.

고백 할 것이 하나 있다. 나에게는 적어도 몇 달 그리고 몇 년이 지난 후에 뒤돌아 본 경우에만 지침이 분명해진다. 그러면 그 에두르는 과정이 이해가 되고 하나님의 손길이 분명한 것 같다. 그러나 결정을 내릴 순간에는, 나는 주로 혼란과 불확실성을 느낀다. 실제로 내 인생의 거의 모든 지침은 모호하고 간접적이었다.

 

I think, for example, of a major crossroad in my career. While working for Campus Life magazine, I felt the constant tug between two irreconcilable directions. One pulled me toward management, business, marketing, budgeting; the other toward editorial directing and writing. For many months, I tried both, unable to decide. Each field offered ministry opportunities, similar rewards, and equal appeal. I enjoyed both roles. Most advisors counseled me toward the management role because of the organization's needs. I often prayed about the decision but never received any concrete guidance.

예를 들어, 내 경력의 주요한 갈림길을 생각해 본다. 캠퍼스 라이프 매거진에서 일하는 동안 나는 두 개의 조화될 수 없는 방향 사이에서 끊임없이 끌림을 느꼈다. 하나는 나를 경영, 사업, 마케팅, 예산 쪽으로 끌어 당겼다. 다른 하나는 편집 감독과 글쓰기 쪽을 향한 것이다. 몇 달 동안 나는 둘 다를 모두 시도했지만 결정할 수 없었다. 각 분야는 사역의 기회, 비슷한 보상 및 동등한 호소를 제공했다. 나는 두 가지 역할 모두를 즐겼다. 대부분의 조언자들은 조직의 요구로 인해 관리 역할 쪽으로 조언했다. 나는 그 결정에 관하여 자주 기도했지만 구체적인 지침을 받지 못했다.

 

Over time, I began to notice a trend, however: a battle with insomnia. Externally, I handled the pressures of management well and stayed healthy to all appearances. But often I would have bouts of insomnia, so severe that I would get only 1 or 2 hours of sleep at night. It took me almost a year to notice a further detail: I slept well when I worked on writing projects; I could not sleep when I worked in management. I tried to ignore the signs for another few months, but they became almost comically evident (if insomnia can ever be considered comical).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는 한 가지 경향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불면증과의 싸움이었다. 외부적으로는 관리라는 압력을 잘 처리하고 있었고 모든 외관은 건강을 유지했다. 그러나 종종 불면증과의 싸움이 극심하여 밤에 한 두 시간밖에 잠을 잘 수 없었다. 더 자세한 사항을 알기까지 거의 1 년이 걸렸다. 글쓰기 프로젝트를 작업할 때는 잠을 잘 잤다. 경영 쪽에서 일을 할 때는 잠을 잘 수 없었다. 그 이후 몇 달 동안 그 징조를 무시하려고 했지만 그것들이 거의 얄궂게 분명하게 되었다(불면증이 얄궂은 것으로 여겨 질 수 있다면).

 

For a time I would work one full week on writing projects, then one full week on management. It was true. I slept like a baby (truthfully, more like a colicky baby) during writing weeks and slept hardly at all during management weeks. Could this be divine guidance? I wondered. I had heard of God speaking through dreams, but through insomnia?

한동안 나는 일주일 내내 글쓰기 프로젝트의 작업을 하고, 다음 일주일은 내내 관리에 관한 일을 했다. 그것은 사실이었다. 글쓰기를 하는 주간 동안은 아기처럼 잠을 잤고(솔직히 말하면, 배부른 아기처럼) 관리에 관한 일을 하는 주간에는 거의 잠을 자지 못했다. 이것이 하나님의 인도가 될 수 있을까? 나는 궁금했다. 나는 하나님이 꿈을 통해 말씀하신다고 들었었는데, 불면증을 통해 말씀하시는 것일까?

 

The situation never changed, and finally I concluded the message of insomnia was as direct a form of guidance as I would get. Now that I look back on it, it seems startlingly direct.

상황은 결코 변하지 않았고, 마침내 불면증의 메시지가 내가 얻을 수 있는 형태의 직접적인 지침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제 다시 그것을 뒤돌아보면 놀라울 정도로 직접적인 것으로 보인다.

 

I also think of the circumstances that led to some of the books I have written. Where Is God When It Hurts? came out of a rejection. Back in 1975, I had what I thought to be a wonderful idea for a book. I had just discovered Devotions, by John Donne, a meditation in 23 parts, written while Donne lay with a terminal illness. The concepts were superb, but the King James-era English made the content impenetrable to many modem readers. I wrote several publishers, proposing to do for ‘Devotions’ what Ken Taylor had done for the King James Versiona Living Donne, perhaps, or John Donne Redone. I spent long hours working up samples. Everyone judged the idea fine as a literary exercise but totally unmarketable as a contemporary book.

또한 나는 내가 몇 권의 책을 저술하도록 이끌었던 상황을 생각해 본다. ‘내가 상처 입을 때 하나님은 어디에 계시는가?라는 책은 거절을 당했을 때 나왔다. 1975년으로 되돌아가면, 내가 생각하기에 책에 대한 훌륭한 아이디어라는 것을 가지고 있었다. 나는 John Donne이 말기 질환으로 누워있는 동안 쓴 23개 부분으로 된 묵상집인 그의 Devotions이라는 책을 막 발견했었다. 개념은 훌륭했지만 King James 시대의 영어는 많은 모뎀 독자들에게 그 내용을 꿰뚫을 수 없게 만들었다. 나는 몇몇 출판업자들에게 편지를 써서, ‘Living Donne인지 아니면 John Donne Redone인지, Ken TaylorKing James Version으로 작업했던 ‘Devotions’을 위해 무언가를 하자고 제안했다. 나는 견본 작업을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했다. 모든 사람들이 그 개념은 문학적 연습으로는 좋지만 현대의 책으로는 전혀 판매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My boss at that time had a suggestion. “The problem,” he said, “is not just the dated language, but the dated context and even dated way of thinking. Why don't you do your own book on the problem of pain and suffering, using modern examples?” Where Is God When It Hurts? was born.

그 당시 나의 사장은 한 가지 제안을 했다. “문제는 단지 시대에 뒤떨어진 언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뒤떨어진 문맥과 심지어 시대에 뒤떨어진 사고방식에 있다. 현대적인 예를 사용하여 아픔과 고통의 문제에 관하여 당신 자신의 책을 써 보는 것은 어떤가?” 그렇게 해서 내가 상처 입을 때 하나님은 어디에 계시는가?라는 책이 나오게 되었다.

 

While researching for that book, I met Paul Brand, a world authority on the subject of pain. I came to know him “by chance,” when my wife cleaned out a supply closet at the warehouse of a Christian relief organization.

그 책을 위해 자료 조사를 하면서 나는 고통이라는 주제에 관한 세계적인 권위자인 폴 브랜드를 만났다. 그를 우연히알게 되었는데, 그때 아내는 기독교인 구호 단체의 창고에서 공급실을 청소하고 있었다.

 

“There’s an article on pain in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report that I think you’ll like,” she told me. Dr. Brand's unique perspective in this report so fascinated me that I arranged for a meeting as soon as possible. During our conversations, I ultimately learned of a scruffed-up transcript of some devotional talks he had kept in a file drawer for 20 years. That transcript became the genesis of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이 국제회의 보고서에는 내가 생각하기에 당신이 좋아할만한 고통에 관한 기사가 들어있어요,” 라고 그녀가 말했다. 이 보고서에 들어있는 Dr. Brand의 독창적인 관점은 나를 매료시켜서 나는 최대한 빨리 그를 만나볼 것을 주선하였다. 우리의 대화중에, 나는 그가 몇 가지 경건한 대화에 대한 꼼꼼한 기록을 20년 동안 파일 보관함에 보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기록이 신묘막측하게 만들어진이라는 책의 태동이 되었다.

 

As I look back, the hand of God seems evident in those and many other choices. They fit together into a pattern. But at the time, they seemed no more extraordinary than any other event in my life: a rejection slip on a book idea, a musty book from a supply closet, a set of devotional talks given in India by a stranger 20 years before.

되돌아보면, 그러한 선택과 다른 많은 선택에서 하나님의 손길이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들은 서로 어울려서 하나의 패턴을 이룬다. 그러나 그 당시 그것들은 내 인생의 다른 모든 사건보다 더 특별하게는 보이지 않았다. 예를 들어, 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거부했던 잘못, 공급실에서 나온 곰팡이가 낀 책, 20년 전에 낯선 사람과 인도에서 나누었던 일련의 경건한 대화.

 

This pattern has recurred so often (and clear guidance for the future has occurred so seldom) that I am about to conclude that we have a basic direction wrong. I had always thought of guidance as forward-looking. We keep praying, hoping, counting on God to reveal what we should do next. In my own experience, at least, I have found the direction to be reversed. The focus must be on the moment before me, the present. How is my relationship to God? As circumstances change, for better or worse, will I respond with obedience and trust?

이 패턴은 매우 자주 되풀이 되었으므로(그리고 미래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우리의 기본 방향이 잘못되었다는 결론을 내리려고 한다. 나는 항상 지침이 미래지향적인 것으로 생각했었다. 우리는 우리가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하나님이 밝혀 주실 것을 놓고 계속해서 기도하고 바라고, 셈을 한다. 내 자신의 경험으로는 적어도 그 방향이 반대로 바뀌는 것을 발견했다. 내 앞에 있는 순간, 현재에 초점이 있어야 한다. 하나님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좋게든 나쁘게든 상황이 변화할 때 나는 순종과 신뢰로 응답할 수 있는가?

 

For me, guidance becomes clear only as I look backward. At the moment, my future is a big blur. My present is a daily struggle to crank out more words and a desire to grow in relationship with God.

나에게 있어서는, 내가 되돌아볼 때만 인도하심이 명확해진다. 그 순간에 나의 미래는 크게 불투명했다. 나의 현재는 매일 더 많은 말을 하려고 분투하고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성장하기를 갈망한다.

 

A picture is being painted, for me, for all who are called the sons and daughters of God. Yet it does not take shape until enough time passes for me to stand up and look back on what colors and designs have been laid down. If I saw the pattern in advance, a sort of schema for “paint- by-numbers,” that would leave no room for faith. And besides, God does not paint by numbers.

나를 위해,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과 딸이라고 불리는 모든 사람을 위해 그림이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나를 위한 시간이 충분히 지나서 내가 서서 어떤 색상과 디자인이 놓여 있는지 되돌아보기 전까지는 그 그림이 모양을 취하지 않는다. “번호에 따른 색칠하기에 대한 일종의 윤곽인 그 패턴을 내가 미리 본다면 그것은 믿음에 대한 여지를 남기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은 번호에 따른 색칠하기를 하지 않으신다.

 

 

 

GOD'S WILL AND MY WILL

(하나님의 뜻과 나의 뜻)

 

This booklet does not I claim to offer all the answers for the complex decisions of life. But it does offer a plan for following what God wants you to do. Your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should help you evaluate your ability to make a God-honoring decision when faced with difficult choices.

나는 이 책자가 삶의 복잡한 결정에 대한 모든 해답을 제공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이 당신이 하기를 원하시는 것을 따르기 위한 계획을 제공한다. 다음 질문에 대한 당신의 답은 어려운 선택에 직면했을 때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결정을 내리는 능력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Have I asked for God's help?

하나님의 도움을 구했는가?

Do I show that I trust God in every area of my life, not merely in this decision?

나는 이 결정만이 아니라 내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을 신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가?

Do I obey God’s clearly revealed will?

나는 분명하게 계시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가?

Am I operating on the basis of good reasons rather than changing feelings?

나는 변하는 감정에 따르지 않고 합당한 이유에 근거하여 움직이고 있는가?

Am I filling my mind with God's Word so that my mind is being transformed?

나는 내 마음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채워서 내 마음이 변화를 받았는가?

Are there biblical commands or principles that apply to my specific situation?

나의 특별한 상황에 적용하는 성경적 명령이나 원리가 있는가?

What are the alternatives and consequences of each possible option? How do these fare when evaluated by what the Bible says?

각각의 가능한 옵션의 대안과 결과는 무엇인가? 성경의 말씀에 따라 평가할 때 이들은 어떻게 될 것인가?

Do my abilities and weaknesses have a bearing on the decision? How?

나의 능력과 약점이 결정에 영향을 주는가? 어떻게?

What decision will glorify God, build me up spiritually, and edify others?

어떤 결정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나를 영적으로 세우며, 다른 사람에게 교훈이 될 것인가?

Have I sought out worthy advisors?

합당한 조언자를 찾았는가?

Have I carefully evaluated the advice, not merely accepted or rejected it?

단순하게 조언을 수용하거나 거부한 것이 아니라 신중하게 평가 했는가?

Is this decision a matter of my own freedom?

이 결정은 내 자유의 문제인가?

Do I have peace that my decision is right?

내 결정이 옳다는 평안이 나에게 있는가?

Would waiting be profitable or detrimental?

기다리는 것이 유익한가 아니면 해로운가?

Am I determined to obey and please God?

나는 하나님께 순종하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로 결심했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 컴퓨터의 부활 honey 2024.08.08 17
118 삼대가 함께 한 (필리핀) 단기선교 file honey 2023.01.26 92
117 천연덕스럽게 honey 2022.07.05 76
116 그리움의 유효기간 한달 honey 2022.06.09 75
115 은퇴를 안했습니다! honey 2021.06.29 85
114 육체의 상처 vs. 마음의 상처 honey 2021.03.21 111
113 나는 기적을 행한다 - John Piper 설교(2011년 2월 24일), 이종헌 역 1 honey 2021.01.29 362
112 선과 악(善과 惡) honey 2021.01.13 84
111 세 사람의 죽음 honey 2021.01.12 79
110 31년 다니던 직장을 떠나며 honey 2021.01.12 98
» 하나님이 내가 하기를 원하시는 일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Kurt E. De Haa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6.10 289
108 은퇴를 다시 생각하기: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하여 삶을 마치기 - John Piper 글, 이종헌 역 honey 2020.05.02 148
107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리스도 - John Piper 글, 이종헌 역 honey 2020.04.30 145
106 그런데 바이러스에 걸렸습니다 honey 2020.04.06 88
105 이번 삶의 흔적 honey 2019.01.10 136
104 돌멩이와 다이아몬드 honey 2016.06.12 276
103 옆반 아이가 그러던데? honey 2016.06.03 233
102 내게 고난이 찾아왔을 때 - 앤드류 머레이 honey 2016.03.05 386
101 고장과 수리 honey 2015.10.15 488
100 인생의 바이러스 honey 2015.09.12 5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