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를 다시 생각하기:
(Rethinking Retirement:)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하여 삶을 마치기
(Finishing Life for the Glory of Christ)
John Piper 글, 이종헌 역
출처: https://www.desiringgod.org/books/rethinking-retirement
Finishing Life for the Glory of Christ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하여 삶을 마치기)
So even to old age and gray hairs, O God, do not forsake me, until I proclaim your might to another generation, your power to all those to come.(PSALM 71:18)
하나님이여 내가 늙어 백발이 될 때에도 나를 버리지 마시며 내가 주의 힘을 후대에 전하고 주의 능력을 장래의 모든 사람에게 전하기까지 나를 버리지 마소서(시편 71:18)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means finishing life in a way that makes Christ look glorious. It means living and dying in a way that shows Christ to be the all-satisfying Treasure that he is. So it would include, for example, not living in ways that make this world look like your treasure. Which means that most of the suggestions that this world offers us for our retirement years are bad ideas. They call us to live in a way that would make this world look like our treasure. And when that happens, Jesus is belittled.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해 삶을 마친다는 것은 그리스도를 영광스럽게 보이도록 삶을 마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그리스도가 그분이 모든 것을 만족시키는 보물임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살고 죽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그것은 예를 들어, 당신이 이 세상을 보물처럼 보이게 하는 방식으로 살지 않는 것도 포함됩니다. 이는 이 세상이 우리에게 우리의 은퇴 기간을 위해 제공하는 대부분의 제안이 나쁜 생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우리더러 이 세상을 우리의 보물처럼 보이게 하는 방식으로 살라고 요구합니다. 그리고 그 일이 일어나면 예수님은 하찮게 보입니다.
Resolutely Resisting Retirement(은퇴를 단호히 저항하기)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means resolutely resisting the typical American dream of retirement. It means being so satisfied with all that God promises to be for us in Christ that we are set free from the cravings that create so much emptiness and uselessness in retirement. Instead, knowing that we have an infinitely satisfying and everlasting inheritance in God just over the horizon of life makes us zealous in our few remaining years here to spend ourselves in the sacrifices of love, not the accumulation of comforts.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것은 전형적인 미국식 은퇴의 꿈을 단호히 저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위해 약속하신 모든 것에 너무 만족하여, 은퇴에 들어있는 너무 많은 공허함과 무익함을 만들어내는 갈망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대신, 우리가 인생의 지평 너머에 하나님 안에서 무한히 만족스럽고 영원한 상속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면, 우리가 이곳에서 남은 몇 년 동안 위로의 축적이 아니라 사랑의 희생에 헌신하는 데에 열심을 내게 됩니다.
The Perseverance of Raymond Lull(레이몬드 럴의 인내)
Consider the way Raymond Lull finished his earthly course.
레이몬드 럴이 그의 인생 여정을 마감했던 방식을 생각해 봅시다.
Raymond Lull was born into a wealthy family on the island of Majorca off the coast of Spain in 1235. His life as a youth was dissolute, but a series of visions compelled him to follow Christ. He first entered monastic life but later became a missionary to Muslim countries in northern Africa. He learned Arabic and after returning from Africa became a professor of Arabic until he was seventynine. Samuel Zwemer describes the end of his life like this, and, of course, it is the exact opposite of retirement:
Raymond Lull은 1235년 스페인 해안 마요르카 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젊었을 때 그의 삶은 방탕했었지만 일련의 환상으로 인해 그리스도를 따르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그는 수도원 생활에 들어갔지만 나중에 북아프리카의 무슬림 국가에 선교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아랍어를 배웠고 아프리카에서 돌아온 후 79세가 될 때까지 아랍어 교수가 되었습니다. Samuel Zwemer는 그의 인생의 끝을 이렇게 묘사했는데, 물론 이것은 은퇴와는 정반대입니다:
His pupils and friends naturally desired that he should end his days in the peaceful pursuit of learning and the comfort of companionship.
그의 학생들과 친구들은 자연스럽게 그가 그의 날들을 평화로운 학습 추구와 친교의 안락함에서 끝내기를 원했습니다.
Such however was not Lull’s wish. . . . In Lull’s contemplations we read . . . “Men are wont to die, O Lord, from old age, the failure of natural warmth and excess of cold; but thus, if it be Thy will, Thy servant would not wish to die; he would prefer to die in the glow of love, even as Thou wast willing to die for him.”
그러나 그런 것은 Lull이 바라던 바가 아니었습니다. ... Lull의 묵상 글에 이런 것이 있습니다. ... “오 주님, 사람들은 노년이 되어 죽을 때 본래의 온기가 없어지고 찬 기운이 더 많아져 죽곤 합니다; 그러나 당신의 뜻이라면, 당신의 종은 그렇게 죽지 않으렵니다; 저는 사랑의 빛으로 죽는 것이 더 좋습니다. 마치 당신이 나를 위해 기꺼이 죽으셨던 것처럼.”
The dangers and difficulties that made Lull shrink back . . . in 1291 only urged him forward to North Africa once more in 1314. His love had not grown cold, but burned the brighter. . . . He longed not only for the martyr’s crown, but also once more to see his little band of believers [in Africa]. Animated by these sentiments he crossed over to Bugia [Algeria] on August 14, and for nearly a whole year labored secretly among a little circle of converts, whom on his previous visits he had won over to the Christian faith. . . .
1291년에 Lull을 위축시켰던 위험과 어려움은 ... 1314년에 다시 한 번 그를 북아프리카로 향하게 재촉했습니다. 그의 사랑은 식어지지 않고 오히려 더 밝게 타올랐습니다. ... 그는 순교자의 왕관을 갈망했을 뿐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그가 전도한 몇 안되는 신자들을 다시 한 번 보고 싶어 했습니다. 이런 감정에 고무되어 그는 8월 14일에 부기아[알제리]로 건너가서, 그가 이전에 방문했을 때 기독교 신앙으로 이겨왔던 소수의 회심자들 사이에서 거의 한 해 동안 비밀리에 사역을 했습니다. ...
At length, weary of seclusion, and longing for martyrdom, he came forth into the open market and presented himself to the people as the same man whom they had once expelled from their town. It was Elijah showing himself to a mob of Ahabs! Lull stood before them and threatened them with divine wrath if they still persisted in their errors. He pleaded with love, but spoke plainly the whole truth. The consequences can be easily anticipated. Filled with fanatic fury at his boldness, and unable to reply to his arguments, the populace seized him, and dragged him out of the town; there by the command, or at least the connivance, of the king, he was stoned on the 30th of June 1315.(1)
*(1) Samuel Zwemer, Raymond Lull: First Missionary to the Moslems (New York: Fleming H. Revell, 1902), 132–145.)
마침내, 은둔의 피로와 순교에 대한 갈망으로, 그는 공개 석상에 나와서 자기 자신이 한때 마을에서 쫓겨난 사람과 같은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했습니다. 그것은 아합의 폭도들에게 자신을 내보인 엘리야의 모습이었습니다! Lull은 그들 앞에 서서 그들이 여전히 잘못을 저지른다면 하나님이 진노하실 것이라고 그들을 위협했습니다. 그는 사랑으로 간청했지만 순전한 진리를 분명하게 말하였습니다. 결과는 쉽게 예상 할 수 있습니다. 그의 대담함에 광적인 분노로 가득 차고, 그의 주장에 대답 할 수 없었던 대중들은 그를 붙잡아 도시 밖으로 끌어냈습니다; 1315년 6월 30일에 왕의 명령으로, 혹은 적어도 왕의 묵인 하에 그는 돌에 맞았습니다.(1)
*(1) Samuel Zwemer, Raymond Lull: 이슬람교의 첫 선교사 (New York : Fleming H. Revell, 1902), 132–145.
So Raymond Lull was eighty years old when he gave his life for the Muslims of North Africa.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American dream of retirement than the way Lull lived out his last days.
그렇게 레이몬드 럴이 북아프리카 무슬림들을 위해 목숨을 바쳤을 때 80세였습니다. Lull이 마지막 날을 살았던 방식보다 미국식 은퇴의 꿈에서 더 나아갈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Dying to Make Christ Look Great(그리스도를 위대하게 보이도록 만들며 죽기)
In John 21:19, Jesus told Peter “by what kind of death he was to glorify God.” There are different ways of dying. And there are different ways of living just before we die. But for the Christian, all of them—the final living and the dying—are supposed to make God look glorious. All of them are supposed to show that Christ—not this world—is our supreme Treasure.
요한복음 21:19에서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어떠한 죽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인가를 말씀하셨습니다. 죽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죽기 직전의 삶의 방식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마지막의 삶과 그리고 죽는 것 모두가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그것들 모두는 이 세상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우리의 최고의 보물임을 보여 주어야합니다.
So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means using whatever strength and eyesight and hearing and mobility and resources we have left to treasure Christ and in that joy to serve people—that is, to seek to bring them with us into the everlasting enjoyment of Christ. Serving people, and not ourselves, as the overflow of treasuring Christ makes Christ look great.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것은 우리가 그리스도를 소중히 여기고 그 기쁨 속에서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 즉 우리와 함께 그들을 그리스도의 영원한 즐거움으로 인도하기 위해, 우리에게 남은 모든 힘과 시력, 청각 및 이동성 및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스도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 넘쳐흘러서 우리 자신이 아니라 사람들을 섬기는 것이 그리스도를 위대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The Fear of Not Persevering(인내하지 못하는 것의 두려움)
One of the great obstacles to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is the fear that we will not persevere in treasuring Christ and loving people—we just won’t make it. We won’t be able to say with Paul in 2 Timothy 4:7–8, “I have fought the good fight, I have finished the race, I have kept the faith. Henceforth there is laid up for me the crown of righteousness, which the Lord, the righteous judge, will award to me on that Day, and not only to me but also to all who have loved his appearing.” The reward of final righteousness will come to those who have loved his appearing, that is, who treasure him supremely and want him to be here. So this treasuring of Christ must be included in and part of the fought-fight and the finished-race and the kept-faith. Faith includes treasuring Christ and his appearing. You don’t have faith if you don’t want Jesus.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데 대한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그리스도를 소중히 여기고 사람들을 사랑하는 데에 인내하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하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 우리가, 디모데후서 4:7~8에서 바울이 말한 것같이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 날에 내게 주실 것이며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도니라”라고 말할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 마지막 의에 대한 보상은 그분의 나타나심을 사랑하는 사람, 즉 그분을 최고로 소중히 여기고 그분이 여기에 임하시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올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 싸움을 싸우고 경주를 마치고 믿음을 지키는 것 안에 그리고 그 일부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믿음에는 그리스도와 그분의 나타나심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포함됩니다. 예수님을 원하지 않는다면 믿음이 없는 것입니다.
So one great obstacle to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is the fear that we can’t maintain this treasuring of Christ. And so we fear that we can’t bear the fruit of love that flows from faith (Gal. 5:6; 1 Tim. 1:5). We fear that we’re not going to make it. And the main reason that this fear of not persevering in faith and love is an obstacle to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is that the two most common ways of overcoming this fear are deadly.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데 큰 장애물 중 하나는 우리가 그리스도를 소중히 여기는 이것을 유지할 수 없다는 두려움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믿음에서 흘러나오는 사랑의 열매를 맺을 수 없다고 두려워합니다(갈 5:6; 딤전 1:5). 우리는 그것을 만들지 못하리라고 두려워합니다. 그리고 믿음과 사랑에 인내하지 못하리라는 이 두려움이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데 장애가 되는 주된 이유는 이 두려움을 극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방법이 치명적이기 때문입니다.
Two Deadly Ways to Overcome This Fear(이 두려움을 극복하는 두 가지 치명적인 방법)
There are two opposite ways to ruin your life in trying to overcome this fear. One is to assume that perseverance in faith and love is not necessary for final salvation. And the other is to assume that perseverance is necessary and then depend on our efforts in some measure to fulfill that necessity and to secure God’s favor. Let me show why both these are devastatingly misguided and deadly, and then what is the biblical way of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이 두려움을 극복하려고 노력할 때 당신의 인생을 망치는 두 가지 반대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최종적인 구원을 위해서는 믿음과 사랑에 대한 인내가 필요하지 않다고 가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인내가 필요하다고 가정하고 나서, 그 필요성을 충족시키고 하나님의 은혜를 얻기 위해 어느 정도 노력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왜 이 두 가지가 통렬하게 잘못 인도되고 치명적인지를 보여 주고,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성경적인 방법은 무엇인지를 설명하겠습니다.
Deadly: “Perseverance Is Unnecessary”(치명적인: “인내는 불필요하다”)
It’s a mistake to think that perseverance in faith and love is not necessary for final salvation. A deadly mistake. Jesus said in Mark 13:13, “You will be hated by all for my name’s sake. But the one who endures to the end will be saved.” Hebrews 12:14 says, “Strive for peace with everyone, and for the holiness without which no one will see the Lord.” In Galatians 6:8–9, Paul says, “The one who sows to his own flesh will from the flesh reap corruption, but the one who sows to the Spirit will from the Spirit reap eternal life.” So notice that the two reapings are of corruption on the one hand and eternal life on the other hand. Then he says in the next verse, “And let us not grow weary of doing good, for in due season we will reap [eternal life], if we do not give up.”
최종적인 구원을 위해서는 믿음과 사랑에 있어서의 인내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치명적인 잘못입니다. 예수님은 마가복음 13:13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가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나 끝까지 견디는 자는 구원을 받으리라.” 히브리서 12:14은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평함과 거룩함을 따르라 이것이 없이는 아무도 주를 보지 못하리라”라고 말합니다. 갈라디아서 6:8~9에서 바울은 이렇게 말합니다. “자기의 육체를 위하여 심는 자는 육체로부터 썩어질 것을 거두고 성령을 위하여 심는 자는 성령으로부터 영생을 거두리라.” 따라서 두 개의 수확이 있는데 하나는 썩은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영생이라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그분은 다음 구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So clearly persevering in the furrows of faith by sowing to the Spirit and bearing his fruit of love is necessary for final salvation. “God chose you,” Paul says in 2 Thessalonians 2:13, “. . . to be saved, through sanctification by the Spirit and belief in the truth.” “Saved through sanctification” means that sanctification—the path of love—is the path on which saved sinners go to heaven. And it’s the only path that leads to heaven.
그러므로 분명히 성령을 뿌리고 그분의 사랑의 열매를 맺음으로써 믿음의 고랑에서 인내하는 것이 최종적인 구원을 위해 필요합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후서 2:13에서 “하나님이 ... 성령의 거룩하게 하심과 진리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게 하심이니”라고 말합니다. “거룩하게 하심으로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는 것은 성화(사랑의 길)가 구원받은 죄인들이 천국으로 가는 길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천국으로 가는 유일한 길입니다.
So it is a tragic and deadly mistake to try to overcome the fear of not persevering in old age by saying you don’t have to persevere.
따라서 당신이 인내할 필요가 없다고 말함으로써 노년에 인내하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실수입니다.
Deadly: “Perseverance Puts or Keeps God on Our Side”(치명적인: “인내는 하나님을 우리 편에 놓거나 지킨다”)
But the other misguided way of overcoming the fear of not persevering is just as dangerous. It is the way that says: “Yes, perseverance in faith and love is necessary, and that means I must wait till the last day for God to be 100% for me, and I must depend on my efforts to secure God’s full favor. God may get me started in the Christian life by faith in him alone, but perseverance happens another way. God makes his ongoing favor depend on my efforts.” That, I say, is deadly and leads either to despair or pride. And certainly not to perseverance.
그러나 인내하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또 다른 잘못된 길은 그만큼 위험합니다. 그 길이란 이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믿음과 사랑 안에서의 인내는 필요합니다. 그런데 그것은 하나님이 100% 내 편이 되시는 마지막 날까지 기다려야하며, 하나님의 전적인 호의를 얻기 위해 나의 노력에 의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그분만을 믿는 믿음으로 나의 그리스도인의 삶을 시작하게 하시겠지만 인내는 다른 방식으로 일어납니다. 하나님은 나의 노력에 따라서 호의를 베푸십니다.” 내 말은, 그것은 치명적이며 절망 또는 자만으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분명히 인내하는 것이 아닙니다.
What’s wrong with that? You can see what’s wrong if you ask this question: When does God become totally and irrevocably for us—not 99%, but 100% for us? Is it at the end of the age, at the Last Day, when he has seen our whole life and measured it to see if it is worthy of his being for us? That is not what the Bible teaches.
거기에 무슨 잘못이 있습니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언제 우리에게 99%가 아니라 전적으로 결정적으로 100%가 되십니까? 시대의 마지막에, 최후의 날에, 그분이 우리의 인생 전체를 보시고 그것을 측정하여 그것이 그분이 우리 편이 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아셨을 때일까요? 그것은 성경에서 가르치는 것이 아닙니다.
What the Bible teaches is that God becomes 100% irrevocably for us at the moment of justification, that is, the moment when we see Christ as a beautiful Savior and receive him as our substitute punishment and our substitute perfection. All of God’s wrath, all of the condemnation we deserve, was poured out on Jesus. All of God’s demands for perfect righteousness were fulfilled by Christ. The moment we see (by grace!) this Treasure and receive him in this way, his death counts as our death and his condemnation as our condemnation and his righteousness as our righteousness, and God becomes 100% irrevocably for us forever in that instant.
성경에서 가르치는 바는, 칭의의 순간, 즉 우리가 그리스도를 아름다운 구주로 바라보고 그분이 우리의 형벌을 대신했고 그분의 완벽하심이 우리의 완벽함이 되었음을 받아들이는 순간에 하나님이 100% 결정적으로 우리 편이 되신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할 하나님의 모든 진노와 모든 정죄가 예수님께 부어졌습니다. 완전한 의에 대한 하나님의 모든 요구가 그리스도에 의해 성취되었습니다. 우리가 (은혜로!) 이 보화를 보고 이런 식으로 그분을 받아들이는 순간, 그분의 죽으심이 우리의 죽음으로, 그분의 정죄가 우리의 정죄로, 그리고 그분의 의로우심이 우리의 의로 간주되며, 하나님은 그 순간에 영원히 100% 결정적으로 우리 편이 되십니다.
“We hold that one is justified by faith apart from works of the law” (Rom. 3:28). “Therefore, since we have been justified by faith, we have peace with God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Rom. 5:1). “There is therefore now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Christ Jesus” (Rom. 8:1). So in Christ Jesus—in union with him by faith alone, by receiving all that he is for us—God is totally, 100% irrevocably for us. And the implications of that are spelled out in Romans 8:31–35: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롬 3:28).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롬 5:1).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롬 8:1). 따라서 그리스도 안에서 오직 믿음으로 그분과 연합하여, 그분이 우리를 위하신다는 모든 것을 받아들임으로써 하나님은 전적으로 100% 결정적으로 우리 편이 되십니다.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로마서 8:31~35에 나와 있습니다:
If God is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He who did not spare his own Son but gave him up for us all, how will he not also with him graciously give us all things? Who shall bring any charge against God’s elect? It is God who justifies. Who is to condemn? Christ Jesus is the one who died—more than that, who was raised—who is at the right hand of God, who indeed is interceding for us. Who shall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Christ?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시지 아니하겠느냐? 누가 능히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을 고발하리요 의롭다 하신 이는 하나님이시니 누가 정죄하리요? 죽으실 뿐 아니라 다시 살아나신 이는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나님 우편에 계신 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And the answer to that question is Nothing! Which means that all those who belong to Christ will persevere. They must, and they will. It is certain. Why? Because God is already now in Christ 100% for us. Perseverance is not the means by which we get God to be for us; it is the effect of the fact that God is already for us. You cannot ever make God be for you by your good works because true Christian good works are the fruit of God’s already being for you.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아무것도 없다’입니다! 그것은 그리스도께 속한 모든 사람들이 인내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인내해야 하고, 인내할 것입니다. 그것은 확실합니다. 왜냐하면? 이제 하나님은 이미 그리스도 안에서 100% 우리 편이시기 때문입니다. 인내는 하나님이 우리 편이 되게 하는 수단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이미 우리 편이라는 사실의 결과입니다. 참 그리스도인의 선한 일은 하나님이 이미 우리 편일 때의 열매이기 때문에 당신은 당신의 선한 일로 하나님을 당신 편이 되게 할 수 없습니다.
“By the grace of God I am what I am, and his grace toward me was not in vain. On the contrary, I worked harder than any of them, though it was not I, but the grace of God that is with me” (1 Cor. 15:10). My hard work is not the cause but the result of blood-bought grace. “Work out your own salvation with fear and trembling, for it is God who works in you, both to will and to work for his good pleasure” (Phil. 2:12–13). Working out your salvation is not the cause but the result of God’s working in us—God’s being 100% for us. “I will not venture to speak of anything except what Christ has accomplished through me” (Rom. 15:18). If we are able to do anything by way of obedience, it is because Christ is already 100% for us.
“내가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내게 주신 그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고전 15:10). 나의 노력은 원인이 아니라 피로 값주고 사신 은혜의 결과입니다.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빌 2:12~13). 당신의 구원을 이루는 것은 원인이 아니라, 100% 우리 편이 되시는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서 일하신 결과입니다. “그리스도께서 ... 나를 통하여 역사하신 것 외에는 내가 감히 말하지 아니하노라”(롬 15:18). 우리가 순종의 방법으로 무엇이든 할 수 있다면, 그것은 그리스도가 이미 100% 우리 편이기 때문입니다.
If every exertion you make in the discipline of perseverance is a work of God, then these exertions do not make God become 100% for you. They are the result of his already being 100% for you. He is for you because you are in Christ. And you cannot improve on the perfection or the sacrifice of Christ. If by faith you are in Christ, God is as much for you in Christ as he will ever be or could ever be. You don’t persevere to obtain this. Because of this, you will persevere.
인내의 훈련에서 행하는 모든 노력이 하나님의 일이라면, 이러한 노력이 하나님을 100% 당신 편으로 만들지는 않습니다. 그것들은 이미 그분이 100% 당신 편이 된 결과입니다. 그분은 당신이 그리스도 안에 있기 때문에 당신 편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그리스도의 완벽함이나 희생을 향상시킬 수 없습니다. 믿음으로 당신이 그리스도 안에 있다면, 하나님은 그분이 되실 수 있는 만큼 또는 되실 수 있었던 만큼 그리스도 안에서 당신 편이십니다. 당신은 이것을 얻기 위해 인내하지 않습니다. 이것 때문에 인내 할 것입니다.
So when the fear of not persevering raises its head, don’t try to overcome it by saying, “Oh, there is no danger, we don’t need to persevere.” You do. There will be no salvation in the end for people who do not fight the good fight and finish the race and keep the faith and treasure Christ’s appearing. And don’t try to overcome the fear of not persevering by trying to win God’s favor by your exertions in godliness. God’s favor comes by grace alone, on the basis of Christ alone, in union with Christ alone, through faith alone, to the glory of God alone. He is totally, 100% irrevocably for us because of the work of Christ if we are in Christ. And we are in Christ not by exertions but by receiving him as our sacrifice and perfection and Treasure.
따라서 인내하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고조될 때, 그것을 “아, 위험이 없어요, 우리는 인내 할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말함으로써 극복하려고 하지 마십시오. 그렇습니다. 선한 싸움을 싸워서 믿음을 지키며 경주를 마치지 않고 그리스도의 재림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결국 구원이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당신 자신의 경건한 노력으로 하나님의 호의를 얻으려고 노력함으로써 인내하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지 마십시오. 하나님의 호의는 오직 그리스도만을 근거로, 오직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오직 믿음을 통하여, 오직 은혜로만 하나님 한분만의 영광으로 나아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다면 그리스도의 사역 때문에 그분은 전적으로 100% 결정적으로 우리 편이 되십니다. 그리고 우리는 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분을 우리의 희생과 완벽함과 보물로 받아들임으로써 그리스도 안에 있습니다.
Overcoming the Fear of Not Persevering(인내하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So what is the right way to overcome the fear of not persevering in old age? The key is to keep finding in Christ our highest Treasure. This is not mainly the fight to do but the fight to delight. We keep on looking away from ourselves to Christ for his blood-bought fellowship and his help. Which means we keep on believing. We keep on fighting the fight of faith by looking at Christ and valuing Christ and receiving Christ every day.
노년에 인내하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올바른 방법은 무엇입니까? 열쇠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가장 높은 보물을 계속 찾는 것입니다. 이것은 주로 행하는 싸움이 아니라 기쁨을 위한 싸움입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서 눈을 떼어 그분의 피로 값주고 사신 친교와 그분의 도움을 위해 그리스도를 지속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계속 믿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그리스도를 높이며 매일 그리스도를 영접함으로써 믿음의 싸움을 계속해서 싸우고 있습니다.
Kissing Away the Fear(두려움을 날려버리기)
Charles Spurgeon said that God kisses away the fear of aging with his promises. Philippians 1:6: “I am sure of this, that he who began a good work in you will bring it to completion at the day of Jesus Christ.” First Corinthians 1:8–9: “[He] will sustain you to the end, guiltless in the day of our Lord Jesus Christ. God is faithful, by whom you were called into the fellowship of his Son, Jesus Christ our Lord.” Jude 24: “[He] is able to keep you from stumbling and to present you blameless before the presence of his glory with great joy.” Romans 8:30: “Those whom he predestined he also called, and those whom he called he also justified, and those whom he justified he also glorified.” No one is lost between justification and glorification. All who are justified are glorified. The point of telling us that is to kiss away all fear. If God is for us, no one can successfully be against us (Rom. 8:31).
찰스 스펄전(Charles Spurgeon)은 하나님께서는 노화에 대한 두려움을 그분의 약속으로 날려 보내신다고 말했습니다. 빌립보서 1:6: “너희 안에서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우리는 확신하노라.” 고린도전서 1:8~9: “주께서 너희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책망할 것이 없는 자로 끝까지 견고하게 하시리라. 너희를 불러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와 더불어 교제하게 하시는 하나님은 미쁘시도다.” 유다서 24: “능히 너희를 보호하사 거침이 없게 하시고 너희로 그 영광 앞에 흠이 없이 기쁨으로 서게 하실 이.” 로마서 8:30: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의롭다 하심과 영화롭게 하심 사이에서 아무도 잃어버리지 않습니다. 의롭다 하신 모든 사람들은 영화롭게 됩니다. 우리에게 그것을 말씀하시는 요점은 모든 두려움을 날려 버리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아무도 우리를 성공적으로 대적할 수 없습니다(롬 8:31).
The Key to Growing Old to God’s Glory(하나님의 영광을 향하여 늙어가기 위한 열쇠)
Therefore, perseverance is necessary for final salvation, and perseverance is certain for all those who are in Christ. The works we do on the path of love do not win God’s favor. They result from God’s favor. Christ won God’s favor. And we receive him by faith alone. And love is the overflow and demonstration of this faith.
그러므로, 최종적인 구원을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하며,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는 인내가 확실합니다. 우리가 사랑의 길에서 행한 일들은 하나님의 호의를 얻지 못합니다. 그것들은 하나님의 호의에서 비롯됩니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호의를 받으셨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믿음으로만 그분을 영접합니다. 그리고 사랑은 이 믿음이 흘러넘친 증거입니다.
This is the key to finishing life to the glory of Christ. If we are going to make Christ look glorious in the last years of our lives, we must be satisfied in him. He must be our Treasure. And the life that we live must flow from this all-satisfying Christ. And the life that flows from the soul that lives on Jesus is a life of love and service. This is what will make Christ look great. When our hearts find their rest in Christ, we stop using other people to meet our needs, and instead we make ourselves servants to meet their needs. This is so contrary to the unregenerate human heart that it stands out as something beautiful to be followed or something convicting to be crucified.
이것이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열쇠입니다. 우리가 우리 삶의 마지막에 그리스도를 영광스럽게 보이게 하려면 우리는 그분 안에서 만족해야합니다. 그분이 우리의 보물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삶은 이 모든 것을 만족시키는 그리스도에게서 흘러 나와야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으로 살아가는 영혼에서 흘러나오는 삶은 사랑과 섬김의 삶입니다. 이것이 그리스도를 위대하게 보이게 할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이 그리스도 안에서 안정을 찾을 때, 우리는 우리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이용하는 것을 멈추게 되며, 오히려 그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우리 자신을 종으로 만듭니다. 이것은 갱생하지 못한 사람의 마음과는 매우 상반되므로 따라야 할 어떤 아름다운 것 또는 십자가에 못 박히는 어떤 희생 같은 것으로 두드러집니다.
It works both ways. Polycarp, the bishop of Smyrna, illustrates both and what it may mean for us to finish life to the glory of Christ.
그것은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서머나의 주교인 폴리캅은 그 두 가지와, 그것이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려는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설명합니다.
The Perseverance of Polycarp(폴리캅의 인내)
Polycarp was the Bishop of Smyrna in Asia Minor. He lived from about a.d. 70 to 155. He is famous for his martyrdom, which is recounted in The Martyrdom of Polycarp.(2) Tensions had risen between the Christians and those who venerated Caesar. The Christians were called atheists because they refused to worship any of the Roman gods and had no images or shrines of their own. At one point a mob cried out, “Away with the atheists; let search be made of Polycarp.”
*(2)The following quotes come from this account as translated and recorded in Documents of the Christian Church, ed. Henry Bettens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9–12.
폴리캅은 소아시아 서머나의 주교였습니다. 그는 약 a.d. 70년에서 155년까지 살았습니다. 그는 폴리캅의 순교(2)에서 자세히 열거된 그의 순교로 유명합니다. 기독교인과 시저를 숭배한 사람들 사이에서 긴장이 고조되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어떤 로마 신들에 대한 숭배도 거절했고 그들의 형상이나 사당도 가지고 있지 않았으므로 무신론자로 불렸습니다. 어느 시점에서 한 폭도는 이렇게 외쳤습니다. “무신론자라는 것과 별도로 폴리캅에 대해 조사해 봅시다.”
*(2) 다음의 인용은 Henry Bettenson이 편집한 기독교 교회 문서/Documents of the Christian Church(1967년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9-12에 번역되고 기록된 기사를 인용한 것입니다.
At a cottage outside the city, he remained in prayer and did not flee. He had a vision of a burning pillow and said to his companion, “I must needs be burned alive.” The authorities sought him, and he was betrayed to them by one of his servants under torture. He came down from an upper room and talked with his accusers. “All that were present marveled at his age and constancy, and that there was so much ado about the arrest of such an old man.” He asked for permission to pray before being taken away. They allowed it, and he was “so filled with the grace of God that for two hours he could not hold his peace.”
도시 외곽의 오두막에서 그는 계속 기도하고 있었고 도망가지 않았습니다. 그는 불타는 베개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동료에게 “나는 산 채로 불태워져야 해”라고 말했습니다. 당국자는 그를 찾아 나섰고 고문을 받은 그의 종들 중 한 명에 의해 그들에게 밀고 당했습니다. 그는 위층 방에서 내려와 그의 고발자들과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거기 있던 모든 사람들은 그의 나이와 일관성에 놀랐고, 그렇게 나이 든 사람을 체포하는 것에 너무 많은 열의가 있었습니다.” 그는 연행되기 전에 기도하는 것을 허락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그들은 그것을 허락했고, 그는 “평화를 유지할 수 없었던 2시간 동안 하나님의 은혜로 충만했습니다.”
In the town, the sheriff met him and took him into his carriage and tried to persuade him to deny Christ: “Now what harm is there in saying ‘Lord Caesar,’ and in offering incense . . . and thus saving thyself?” He answered, “I do not intend to do what you advise.” Angered, they hastened him to the stadium where there was a great tumult.
마을에서 그를 만난 행정관은 그를 마차로 데려 가서 그리스도를 부인하도록 설득했습니다: “자, ‘주님 시저’라고 말하고 향을 드리고 ... 그렇게 해서 당신 자신을 구하는 것이 무슨 해가 있단 말인가?” 그는 대답했습니다. “당신이 충고하는 것을 행할 생각이 없소.” 그들은 화가 나서 그를 경기장으로 서둘러 데려갔고 거기에는 큰 소동이 있었습니다.
The proconsul tried again to persuade him to save himself: “Have respect to thine age . . . ! Swear by the genius of Caesar . . . Repent . . . Say, ‘Away with the atheists!’ [that is, Christians].” Polycarp turned to the “mob of lawless heathen in the stadium, and he waved his hand at them, and looking up to heaven he groaned and said, ‘Away with the atheists.’” Again the proconsul said, “Swear, and I will release thee; curse the Christ.” To this Polycarp gave his most famous response: “Eighty and six years have I served him, and he hath done me no wrong; how then can I blaspheme my king who saved me?”
총독은 그를 살리기 위해 다시 한번 그를 설득하려고 시도했습니다: “당신 나이를 존중하세요 ...! 천재 시저를 두고 맹세하세요. ... 돌아서시오. ... ‘무신론자들[즉, 기독교인을 말함]과 멀리하시오!’” 폴리캅은 “경기장에 있는 무법한 이방인 폭도들에게로 돌아서서 그들에게 손을 흔들며 하늘을 바라보고 신음하며 말했습니다. ‘무신론자들과 멀리 하시오.’” 총독은 또 다시 말했습니다. “맹세하시오. 그러면 당신을 놓아주리라. 그리스도를 저주하시오.” 이에 대해 폴리캅은 그의 가장 유명한 답변을 말했습니다: “나는 그분을 86년간 섬겼습니다. 그리고 그분은 나에게 하나도 잘못한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나를 구해주신 나의 왕을 모독 할 수 있습니까?”
The proconsul said again, “Swear by the genius of Caesar.” And Polycarp answered, “If thou dost vainly imagine that I would swear by the genius of Caesar, as thou sayest, pretending not to know what I am, hear plainly that I am a Christian.” The proconsul replied, “I have wild beasts; if thou repent not, I will throw thee to them.” To which Polycarp replied, “Send for them. For repentance from better to worse is not a change permitted to us; but to change from cruelty to righteousness is a noble thing.”
총독이 다시 말했습니다. “천재 시저를 두고 맹세하시오.” 그리고 폴리캅이 대답했습니다. “당신이 말한 것처럼 내가 천재 시저를 두고 맹세할 것이라고 헛되이 상상한다면, 내가 누구인지를 모르는 체 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똑바로 들으시오. ‘나는 그리스도인입니다.’” 총독이 대답했습니다. “나는 야수를 가지고 있소; 돌아서지 않으면 당신에게 그들을 던져주겠소.” 거기에 폴리캅이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그들을 보내시오. 더 좋은 것에서 더 나쁜 것으로 돌아서는 것은 우리에게 허용 된 변화가 아닙니다; 그러나 잔인함에서 의로 변화하는 것은 고귀한 일입니다.”
The proconsul said, “If thou doest despise the wild beasts I will make thee to be consumed by fire, if thou repent not.” Polycarp answered, “Thou threatenest the fire that burns for an hour and in a little while is quenched; for thou knowest not of the fire of the judgment to come, and the fire of the eternal punishment, reserved for the ungodly. But why delayest thou? Bring what thou wilt.”
총독이 말했습니다. “만일 당신이 야수를 얕잡아본다면, 당신이 돌아서지 않을 경우 당신을 불태워 버리겠소.” 폴리캅이 대답했습니다. “당신은 불과 한 시간 동안 타는 불로 나를 위협하고 있지만 그 불은 금방 꺼져버릴 것이오; 그런데 당신은 믿지 않는 자들에게 예비된 다가올 심판의 불과 영원한 형벌의 불을 모르고 있는 것이오. 그러나 당신은 왜 지체하는 것이요? 당신이 하려고 하는 것을 가져오시오.”
The proconsul sent word that it should be proclaimed aloud to the crowd three times, “Polycarp hath confessed himself to be a Christian.” After the crowd found out that there were no beasts available for the task, they cried out for him to be burned alive. The wood was gathered, and as they were about to nail his hands to the timber he said, “Let me be as I am. He that granted me to endure the fire will grant me also to remain at the pyre unmoved, without being secured with nails.” The fire did not consume him, but an executioner drove a dagger into his body. “And all the multitude marveled at the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unbelievers and the elect.”
총독은 “폴리캅은 자신이 그리스도인이라고 자백했다”는 말을 군중에게 세 번 큰 소리로 선포해야 한다는 전갈을 보냈습니다. 그 임무를 수행 할 수 있는 짐승이 없다는 것을 군중들이 알게 된 후, 그들은 그를 산 채로 불태우라고 소리쳤습니다. 나무를 모아 놓고 그들이 그를 나무에 못박으려고 하자 그가 말했습니다. “나를 그대로 내버려 두시오. 나에게 불을 견딜 수 있게 해 주신 그분이 또한 못으로 안정시키지 않아도 나를 장작더미에서 움직이지 않게 해 주실 것입니다.” 불이 그를 태워버리지 못해서 사형 집행인이 단검을 그의 몸에 들이댔습니다. “그리고 모든 군중들은 불신자와 택함을 받은 자 사이의 커다란 차이에 감탄했습니다.”
When we are so satisfied in Christ that we are enabled to willingly die for him, we are freed to love the lost as never before, and Christ is shown to be a great Treasure.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매우 만족하여 그분을 위해 기꺼이 죽을 수 있게 되었을 때, 우리는 전에 없이 잃어버린 자를 사랑할 만큼 자유로운 것이며, 그리스도가 위대한 보물로 드러나는 것입니다.
A Charge to Baby Boomers(베이비 부머들에 대한 책임)
I am sixty-two years old—just about the oldest baby boomer (January 11, 1946). Behind me come seventy-eight million boomers, ages fortythree to sixty-one. Over ten thousand turn sixty every day. If you read the research, we are a selfcentered generation.
나는 62세이며(1946년 1월 11일생) 가장 나이 든 베이비 부머 세대입니다. 내 뒤로는 43세에서 61세까지 7,800만 명의 베이비 부머 세대가 있습니다. 매일 만 명 이상이 60살을 넘습니다. 당신이 연구자료를 읽어본다면, 우리는 자기중심적인 세대입니다.
Likes: working from home, anti-aging supplements, climate control
Dislikes: wrinkles, Millennial sleeping habits, Social Security, insecurity
Hobbies: low-impact sports, uberparenting, wining and dining
Hangouts: farmer’s markets, tailgate parties, backyards
Resources: $2.1 trillion(3)
좋아하는 것: 재택 근무, 노화 방지 보조제, 기후 통제
싫어하는 것: 주름, 길게 잠자는 습관, 사회 보장, 불안감
취미: 충격이 적은 스포츠, 우버 돌보기, 술과 음식을 즐기기
자주 가는 곳: 파머스 마켓, 뒷마당 파티, 뒤뜰
자원: 2.1조 달러(3)
*(3)Accessed 9-27-07 at http://www.iconoculture.com/microsites/boomers/?gclid=COvX07OX5Y4CFSISQQod-x1QKQ.
What will it mean to finish life to the glory of Christ as a baby boomer in America? It will mean a radical break with the mindset of our unbelieving peers. Especially a break with the typical dream of retirement. Ralph Winter is the founder of the U. S. Center for World Missions and, in his early eighties, is still traveling, speaking, and writing for the cause of Christ in world missions. He wrote an article titled “The Retirement Booby Trap” almost twenty-five years ago when he was about sixty. In it he said,
미국에서 베이비 부머로서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그것은 우리의 믿지 않는 동료들의 사고방식에 근본적인 결별을 의미할 것입니다. 특히 은퇴의 전형적인 꿈과의 결별입니다. 랄프 윈터(Ralph Winter)는 미국 세계 선교 센터의 창립자이며 80살대 초반에도 세계 선교에서 그리스도의 사업을 위해 여전히 여행하고 강연하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는 25 년 전쯤에 약 60세가 되었을 때 “은퇴라는 부비트랩/The Retirement Booby Trap”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습니다. 거기서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Most men don’t die of old age, they die of retirement. I read somewhere that half the men retiring in the state of New York die within two years. Save your life and you’ll lose it. Just like other drugs, other psychological addictions, retirement is a virulent disease, not a blessing. ...
대부분의 남성은 노년으로 죽지 않고 은퇴로 죽습니다. 나는 어디선가 뉴욕 주에서 은퇴한 남성의 절반이 2년 안에 사망한다는 것을 읽었습니다. 당신의 삶을 구하면 잃을 것입니다. 다른 약물, 다른 심리 중독과 마찬가지로 은퇴는 축복이 아니라 유독한 질병입니다. ...
Where in the Bible do they see [retirement]? Did Moses retire? Did Paul retire? Peter? John? Do military officers retire in the middle of a war?”(4)
*(4)Ralph Winter, “The Retirement Booby Trap,” Mission Frontiers 7 (July 1985): 25.
성경 어디에서 [은퇴]를 볼 수 있습니까? 모세가 은퇴를 했습니까? 바울은 은퇴를 했습니까? 베드로는? 요한은? 군대 장교가 전쟁이 한창일 때 은퇴를 합니까?”(4)
*(4) Ralph Winter, “The Retirement Booby Trap,” Mission Frontiers 7 (1985년 7월) : 25.
Millions of Christian men and women are finishing their formal career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and for most of them there will be a good twenty years before their physical and mental powers fail. What will it mean to live those final years for the glory of Christ? How will we live them in such a way as to show that Christ is our highest Treasure?
수백만의 기독교인 남성과 여성이 50대와 60대에 공식적인 경력을 마치고 있는데, 그들 대부분에게는 육체적 정신적 힘이 사라지기까지 족히 20년이 남아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해 그들의 마지막 몇 년을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그 몇 년을 그리스도가 우리의 가장 높은 보물임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The Perseverance of Charles Simeon(찰스 시므온의 인내)
When I got prostate cancer and had surgery at age sixty, I recalled the experience of Charles Simeon and prayed that his outcome would be true for me.
내가 60세에 전립선암에 걸려서 수술 받았을 때, 나는 Charles Simeon의 경험을 회상하고 그의 성과가 나에게도 해당 되도록 기도했습니다.
Simeon was the pastor of Trinity Church, Cambridge, two hundred years ago. He learned a very painful lesson about God’s attitude toward his “retirement.” In 1807, after twenty-five years of ministry at Trinity Church, his health broke when he was forty-seven. He became very weak and had to take an extended leave from his labor. Handley Moule recounts the fascinating story of what God was doing in Simeon’s life.
시므온은 200년 전에 케임브리지의 트리니티 교회(Trinity Church) 목사였습니다. 그는 그의 “은퇴”를 향한 하나님의 태도에 관하여 매우 고통스러운 교훈을 배웠습니다. 1807년, 트리니티 교회에서 25년 동안 사역한 뒤, 47세 때 그의 건강이 깨졌습니다. 그는 매우 약해졌고 그의 수고에서 장기 휴가를 가져야했습니다. Handley Moule은 시므온의 삶에서 하나님이 행하신 일에 대한 매혹적인 이야기를 자세히 언급합니다.
The broken condition lasted with variations for thirteen years, till he was just sixty, and then it passed away quite suddenly and without any evident physical cause. He was on his last visit to Scotland . . . in 1819, and found himself, to his great surprise, just as he crossed the border, “almost as perceptibly renewed in strength as the woman was after she had touched the hem of our Lord’s garment.”
망가진 상태는 그가 막 육십 세가 될 때까지 13 년 동안 다양하게 지속되었는데, 분명한 육체적인 원인 없이 아주 갑자기 사라졌습니다. 1819년에 그는 스코틀랜드를 마지막으로 방문했습니다. ... 그런데 그가 국경을 막 건넜을 때 놀랍게도 그 자신이 “마치 여인이 우리 주님의 옷자락을 만진 후 그녀가 그랬던 것처럼 눈에 띠게 힘이 새롭게 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He says that he had been promising himself, before he began to break down, a very active life up to sixty, and then a Sabbath evening [retirement!]; and that now he seemed to hear his Master saying: “I laid you aside, because you entertained with satisfaction the thought of resting from your labour; but now you have arrived at the very period when you had promised yourself that satisfaction, and have determined instead to spend your strength for me to the latest hour of your life, I have doubled, trebled, quadrupled your strength, that you may execute your desire on a more extended plan.”(5)
*(5)Handley C. G. Moule, Charles Simeon (London: The Inter-Varsity Fellowship, 1948, orig. 1892), 125.
그는 자신의 건강이 망가지기 전에 60세까지는 매우 활동적으로 생활을 하고, 그리고는 안식의 저녁[은퇴!]을 가져야겠다고 스스로 약속을 했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지금 그는 그의 주님이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네가 너의 수고로부터 쉬겠다는 생각에 만족하고 있어서 내가 너를 옆으로 치워두었었다; 그러나 이제 너는 네 스스로 그 만족을 약속했던 바로 그 시점에 다다랐다. 그런데 너는 대신에 너의 힘을 네 삶의 최후의 시간까지 나를 위해 사용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네 열망을 더 확장된 계획에 수행할 수 있도록 내가 네 힘을 두배, 세배, 네배 더해주었다.”(5)
*(5) Handley C. G. Moule, Charles Simeon (런던: Inter-Varsity Fellowship, 1948, orig. 1892), 125.
How many Christians set their sights on a “Sabbath evening” of life—resting, playing, traveling, etc.—the world’s substitute for heaven since the world does not believe that there will be a heaven beyond the grave. The mindset of our peers is that we must reward ourselves now in this life for the long years of our labor. Eternal rest and joy after death is an irrelevant consideration. When you don’t believe in heaven to come and you are not content in the glory of Christ now, you will seek the kind of retirement that the world seeks. But what a strange reward for a Christian to set his sights on! Twenty years of leisure (!) while living in the midst of the Last Days of infinite consequence for millions of people who need Christ. What a tragic way to finish the last mile before entering the presence of the King who finished his last mile so differently!
얼마나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자기들의 시선을 삶에 있어서의 “안식의 저녁”이라고 말하는 휴식, 놀이, 여행 같은 것에 두고 있는지 모릅니다. 그런 것들은 세상이 천국을 대체하는 것으로써 무덤 너머에 천국이 있으리라는 것을 세상이 믿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 동료들의 사고방식은 우리가 이생에서 오랜 세월 동안 수고한 것에 대해 우리 자신에게 보상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죽음 이후의 영원한 휴식과 기쁨은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당신이 다가올 천국을 믿지 않고 지금 그리스도의 영광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세상이 추구하는 그런 종류의 은퇴를 추구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이 자신의 시선을 두어야 할 보상은 참으로 이상한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필요로 하는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무한한 결과가 될 마지막 날의 한 가운데 살고 있는 동안에 20년의 여가(!)라니. 그분의 마지막 여정을 아주 다르게 마치셨던 왕의 면전에 들어가기 전에 마지막 여정을 그렇게 마치는 것이 얼마나 비극적인 길인지!
The Perseverance of J. Oswald Sanders(J. 오스왈드 샌더스의 인내)
When I heard J. Oswald Sanders at the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chapel speaking at the age of eighty-nine say that he had written a book a year for Christ since he was seventy, everything in me said, “O God, don’t let me waste my final years! Don’t let me buy the American dream of retirement—month after month of leisure and play and hobbies and putzing around in the garage and rearranging the furniture and golfing and fishing and sitting and watching television. Lord, please have mercy on me. Spare me this curse.”
J. Oswald Sanders가 83세의 나이에 삼위일체 복음주의 신학교 예배당에서, 그가 70세 때부터 1 년 동안 그리스도를 위한 책을 썼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을 때, 내 안의 모든 것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오 하나님, 나의 마지막 날들을 낭비하지 않게 하소서! 다달이 여가와 놀이와 취미생활과 차고에서 빈둥거리는 것과 가구를 정리하고 골프를 치고 낚시를 하고 텔레비전을 보면서 앉아있는 미국식 은퇴의 꿈을 사지 않게 하소서. 주님, 제발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이런 저주를 받지 않게 하소서.”
Passion: Making God’s Greatness Known to Future Generations(열정: 다음 세대에게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알리기)
That is my prayer for you as well. I close with a passion and a promise. The passion is Psalm 71:18—a passion to make the greatness of God known to the generations we are leaving behind: “Even to old age and gray hairs, O God, do not forsake me, until I proclaim your might to another generation, your power to all those to come.” O that God would give us a passion in our final years to spend ourselves to make him look as great as he really is—to finish life to the glory of Christ.
덧붙여서 그것은 당신을 위한 나의 기도입니다. 나는 이 글을 열정과 약속으로 마감합니다. 그 열정은 시편 71:18, 즉 우리가 뒤에 남겨 놓는 세대들에게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알리기 위한 열정입니다: “하나님이여 내가 늙어 백발이 될 때에도 나를 버리지 마시며 내가 주의 힘을 후대에 전하고 주의 능력을 장래의 모든 사람에게 전하기까지 나를 버리지 마소서.” 오, 그 하나님이 우리의 마지막 날들에 있어서 실제로 그분이 그런 것처럼 그분이 위대하게 보이도록 하는 데에 우리 자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즉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삶을 마칠 수 있도록 우리에게 열정을 주실 것입니다.
Promise: We Are As Secure As Christ Is Righteous and God Is Just(약속: 그리스도께서 의로우시며 하나님이 정의로우신 만큼 우리는 안전하다)
The promise: Isaiah 46:3–4, “[You] have been borne by me from before your birth, carried from the womb; even to your old age I am he, and to gray hairs I will carry you. I have made, and I will bear; I will carry and will save.” Don’t be afraid, Christian. You will persevere. You will make it home. Sooner than you think. Live dangerously for the one who loved you and died for you in his thirties. Don’t throw your life away on the American dream of retirement. You are as secure as Christ is righteous and God is just. Don’t settle for anything less than the joyful sorrows of magnifying Christ in the sacrifices of love. And then in the Last Day, you will stand and hear, “Well done, good and faithful servant. . . . Enter into the joy of your master” (Matthew 25:21, 23).
약속: 이사야 46:3~4, “배에서 태어남으로부터 내게 안겼고 태에서 남으로부터 내게 업힌 너희여, 너희가 노년에 이르기까지 내가 그리하겠고 백발이 되기까지 내가 너희를 품을 것이라 내가 지었은즉 내가 업을 것이요 내가 품고 구하여 내리라.” 그리스도인들이여,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당신은 인내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그것을 편안히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생각한 것보다 더 빨리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을 사랑하고 30대에 당신을 위해 죽으신 분(그리스도)을 위해 위험하게 사십시오. 미국식 은퇴의 꿈에 당신의 삶을 던져 버리지 마십시오. 당신은 그리스도께서 의로우시며 하나님이 정의로운 것만큼 안전합니다. 사랑의 희생으로 그리스도를 확대시키는 즐거운 슬픔보다 덜한 어떤 것을 위해 주저앉지 마십시오. 그러면 마지막 날에 당신은 일어서서 이런 말을 들을 것입니다. “잘 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마 25:2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