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2(목) 신뢰할 수 있는 창조자(요한복음 3:10-17)
A CREATOR WE CAN TRUST(JOHN 3:10-17)
(요 3:10) 예수께서 그에게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의 선생으로서 이러한 것들을 알지 못하느냐//Jesus answered and said unto him, Art thou a master of Israel, and knowest not these things?
(요 3:11)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우리는 아는 것을 말하고 본 것을 증언하노라 그러나 너희가 우리의 증언을 받지 아니하는도다//Verily, verily, I say unto thee, We speak that we do know, and testify that we have seen; and ye receive not our witness.
(요 3:12) 내가 땅의 일을 말하여도 너희가 믿지 아니하거든 하물며 하늘의 일을 말하면 어떻게 믿겠느냐//If I have told you earthly things, and ye believe not, how shall ye believe, if I tell you {of} heavenly things?
(요 3:13) 하늘에서 내려온 자 곧 인자 외에는 하늘에 올라간 자가 없느니라//And no man hath ascended up to heaven, but he that came down from heaven, {even} the Son of man which is in heaven.
(요 3:14)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And as Moses lifted up the serpent in the wilderness, even so must the Son of man be lifted up:
(요 3:15)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That whosoever believeth in him should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요 3: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begotten Son, that whosoever believeth in him should not perish, but have everlasting life.
(요 3:17)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5)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For God sent not his Son into the world to condemn the world; but that the world through him might be saved.
(요절: 요한복음 3: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JOHN 3:16]
The “monster” in Mary Shelley’s Frankenstein is one of the most widely known literary characters, captivating our cultural imagination. But close readers of the beloved novel know that a strong case can be made that Shelley actually portrays Victor Frankenstein, the delusional scientist who created the creature, as the real monster. After creating an intelligent creature, Victor denies him any guidance, companionship, or hope of happiness - seemingly guaranteeing the creature’s descent into desperation and rage. Confronting Victor, the creature laments, “You, my creator, would tear me to pieces and triumph.”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에 나오는 “괴물”은 아주 잘 알려진 문학 작품 속의 인물로, 우리의 문화적인 상상력을 사로잡는다. 그런데 이 소설의 애독자들은 작가가 실제로 그 괴물을 만든 망상에 찬 과학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을 진짜 괴물로 그리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된다. 과학자 빅터는 이 지능을 가진 생명체를 만들어놓고 그 생명체에게 어떤 지침이나 동료애, 행복에의 희망을 주기를 거부하고 있어서 그 생명체는 절망과 분노로 이어지는 몰락이 확실해 보인다. 그 생명체는 빅터를 마주보고 “나를 지은 당신은 나를 산산이 부수고 승리할 것”이라며 한탄한다.
Scripture reveals how different the true Creator of all things is-with unchanging, tireless love for His creation. God didn’t create on a whim, but out of love created a beautiful, “very good” world (GENESIS 1:31). And even when humanity turned from Him to choose monstrous evil instead, God’s commitment to and love for humanity didn’t change.
성경은 만물의 진정한 창조주이신 하나님은 이와는 얼마나 다른지 보여준다. 그분은 자신의 피조물들을 변함없고 지침 없이 끝까지 사랑하신다. 하나님은 변덕이 아닌 참된 사랑으로 아름답고 “매우 좋은” 세상을 창조하셨다(창세기 1:31). 그리고 인류가 하나님에게서 돌아서서 괴물 같은 사탄을 따랐을 때에도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약속과 사랑은 변하지 않았다.
As Jesus explained to Nicodemus, God’s love for His creation was so great He was willing to give even what was most dear to Him-“his one and only Son” (JOHN 3:16)-that the world might be saved. Jesus sacrificed Himself, bearing the consequences of our sin, so “that everyone who believes may have eternal life in him” (V. 15).
예수님이 니고데모에게 설명하신 것처럼, 하나님은 그분의 피조물을 향한 아주 크신 사랑 때문에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그분의 가장 소중한 “독생자”(요한복음 3:16) 예수님을 기꺼이 보내주셨다. 예수님은 “그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시려고”(15절) 자신을 희생하여 우리 죄의 결과를 짊어지셨다.
We have a Creator we can trust with our hearts and lives. MONICA LA ROSE
우리에게는 우리의 온 마음과 삶을 다해 신뢰할 수 있는 창조주 하나님이 있다.
How does God’s commitment to His creation impact you? How can you respond to His love for you?
피조물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습니까?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에 어떻게 반응하시겠습니까?
Dear God, thank You for being a good Creator who I can trust.//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신뢰할 수 있는 참 좋은 창조자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능하사 말씀으로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이 나를 모태로부터 아시고 사랑하시고 구원하시고 매일의 삶 가운데 동행하시며 때론 복을 주시고 때론 안타까워하시며 지금까지 인도하심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