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화읽기

오늘:
153
어제:
192
전체:
1,934,963
조회 수 20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주와 창조

대니 포크너 저, 김천봉 역, 꿈을 이루는 사람들, 2009년 4월 10일 초판 발행, pp. 143, 15000원

(2009년 6월 28일 읽음)

 

독후감 : 우주의 기원 및 현상에 관한 일반 학계의 역사적 견해 및 기독교적 견해를 매우 잘 정리했다. 그런데 일반 독자들을 위해 좀더 풀어서 쉽게 설명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다.

(목차 및 서문 일부를 정리한다.)

 

<목차>

서문

- 창조 주간의 하루는 긴 기간이 아니라 글자 그대로 하루로 이해하는 게 가장 좋다.

-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빅뱅이론이 지배적인 우주론이었다.

- 모든 월식에서 지구의 그림자가 시종일관 원형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그리스인들은 지구가 구체라고 결론내렸다.

- 교회는 결코 지구가 평평하다고 가르친 적이 없다.

- 모든 진리는 하나님의 진리라고 주장한 고대 그리스 철학의 대부분이 교의로 채택되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모두가 이교도임을 고려하면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고대 그리스 철학은 진화와 영원한 우주를 가르쳤다.

- 현재 대다수의 사람이 거의 모든 고대인은 특정한 철학적 편견 때문에 태양이 지구를 돈다고 믿었다고 오해하고 있다.

- 태양 중심 모델을 가장 먼저 언급하고 가르친 인물은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쿠스(310-230BC)이다.

- 1542년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1473-1543)가 태양 중심 우주론에 관한 책을 발표하였다. 보통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창안하거나 적어도 확립했다고 생각한다. 엄밀히 말해서 실은 그렇지 않다. 이미 그전에도 다른 많은 사람이 태양중심설을 믿어왔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이 모델을 발전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 17세기 후반부에 뉴턴이 등장할 무렵이 되어서야 대체로 지구중심설을 버리고 태양중심설을 택하게 되었다.

- 오캄의 면도날 이론은 자료를 동일하게 설명하는 두가지 해석이 맞부딪쳤을 때 더 간단한 해석이 대체로 정확하다고 기술한다.

- 당시에는 많은 사람들이 우주에는 1,022개의 별밖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 코페르니쿠스는 사제였고 갈릴레오도 교회와 많은 교분이 있었다. 갈릴레오와 다른 사람들이 태양중심이론을 제안했을 당시에 그들은 종교적인 교의보다는 당시의 과학에 도전한 것이었다. 낡은 과학 대 새로운 과학의 대결이었다.

* 우주의 본성

- 고대 그리스인들은 우주가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하다고 생각하였다.

- 그리스인들이 영원한 우주를 믿는 또 다른 이유로 그들이 진화론자였다는 설명을 덧붙일 수 있다. 자연발생설에 대한 착상은 최소한 고대 그리스인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대 그리스의 많은 사상을 끌어와서 다신교의 많은 개념을 '기독교화'하였다.

- 우주의 영원성을 믿은 사람의 예로, 아이작 뉴턴이 있다. 뉴턴은 우주는 영원하며, 우주의 크기가 무한하다고 가정하였다. 우주의 영원성과 무한한 크기의 가설은 일반상대론에 따라 일반적인 경우에 적용할 수 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 20세기 초에 미국의 천문학자 섀플리는 태양이 우리 은하의 중심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사실 코페르니쿠스 혁명의 마지막 단계는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우리가 그리 중요해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음에도 주님 자신은 우리에게 관심을 보이는 게 합당하다고 보았다는 사실을 깊이 생각하게 한다.

- 지금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하늘이 바로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더 잘 이해하고 있다.

 

1. 21세기우주론

- 현대 물리학의 중요한 두 기둥은 양자역학과 일반상대론이다.

- 양자역학이 하나님조차도 탐지할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을 유도하는 듯이 보일 것이다.

- 현대의 상대성 이론에 대한 한 가지 반론은 윤리적 상대주의자들의 용어 남용에서 기인하였다. 윤리적 상대주의자들은 모든 것은 상대적이며, 일반상대론이 이에 대한 물리학적 증거를 제공하였다고 주장한다. 일반상대론은 이에 대한 물리학적 증거를 제공하였다고 주장한다. 일반상대론은 전혀 그런 말을 하지 않는다. 실은 정반대로 일정한 절대불변의 법칙들이 존재한다고 얘기한다.

- 천문학자들에게 빅뱅이 왜 우주의 기원에 대한 ....

 

2. 우주론의 최근 발전

3. 일반상대론, 우주론과 빅뱅에 대한 오해들

4. 빅뱅과 관련된 문제들

5. 빅뱅이론에 대한 성경 이외의 대안들

6. 창조에 근거한 우주론

7. 결론 및 제언

부록 관측천문학 : 별에 대한 지식과 이해 방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9장) 우리의 삶의 주제는 무엇인가? honey 2009.10.30 1986
78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8장) 언약이 이루어지고 있다 honey 2009.10.29 1841
77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7장) 순종할 것인가? 불순종할 것인가? honey 2009.10.22 2120
76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6장) 볼 수 없게 하신 하나님의 자비 honey 2009.10.22 1965
75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5장) 복을 나눌 의무 honey 2009.10.16 2153
74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4장) 최고선만을 강조할 것인가? honey 2009.10.14 2011
73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3장) 복과 의무에 대한 연구 honey 2009.10.09 1860
72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2장) 성경의 줄거리 honey 2009.10.05 1993
71 마침내 드러나다-봅 쇼그렌(1장) 누가 주인공인가? honey 2009.10.05 1944
70 폭풍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자유 - 어윈 R. 맥마너스 저 honey 2009.08.26 3827
69 삶의 모든 잘못된 순간에도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 - 루이스 B. 스미스 honey 2009.07.16 2024
» 우주와 창조 - 대니 포크너 honey 2009.06.28 2069
67 인생 게임 - 존 오트버그 honey 2009.06.27 2667
66 노아홍수 콘서트 honey 2009.06.01 2551
65 십자가를 경험하는 삶 honey 2009.04.26 2167
64 더 예수처럼 덜 종교적인 - 스티븐 아터번, 잭 펠튼 공저 honey 2009.03.31 2421
63 자족연습 - 존 맥아더 저 honey 2009.03.31 2228
62 예수님처럼 - 맥스 루카도(Max Lucado) 저 honey 2008.12.17 5283
61 진보와 빈곤(필독) - 헨리 조지 저 honey 2008.12.07 2311
60 오깨 honey 2008.09.30 493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