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경공부

오늘:
69
어제:
189
전체:
1,933,308
2016.04.02 07:17

출애굽기 제6장

조회 수 4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애굽기 제6

 

(6: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이제 내가 바로에게 하는 일을 네가 보리라 강한 손으로 말미암아 바로가 그들을 보내리라 강한 손으로 말미암아 바로가 그들을 그의 땅에서 쫓아내리라

(6:2) ○하나님이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나는 여호와이니라

(6:3)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전능의 하나님으로 나타났으나 나의 이름을 여호와로는 그들에게 알리지 아니하였고

(6:4) 가나안 땅 곧 그들이 거류하는 땅을 그들에게 주기로 그들과 언약하였더니

(6:5) 이제 애굽 사람이 종으로 삼은 이스라엘 자손의 신음 소리를 내가 듣고 나의 언약을 기억하노라

(6:6) 그러므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기를 나는 여호와라 내가 애굽 사람의 무거운 짐 밑에서 너희를 빼내며 그들의 노역에서 너희를 건지며 편 팔과 여러 큰 심판들로써 너희를 속량하여

(6:7) 너희를 내 백성으로 삼고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리니 나는 애굽 사람의 무거운 짐 밑에서 너희를 빼낸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인 줄 너희가 알지라

(6:8)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주기로 맹세한 땅으로 너희를 인도하고 그 땅을 너희에게 주어 기업을 삼게 하리라 나는 여호와라 하셨다 하라

6장의 대부분은 4,5장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다시 반복한다. 특히 9절부터 30절까지가 그렇다.

 

(1) 이제 ... 네가 보리라

-이제 하나님께서는 보다 더 큰 이유로 파라오를 심판하시고자 한다. 5장에서의 노역조건은 너무나 불합리하였고, 그들의 정당한 요구(5:3)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파라오는 스스로의 선언을 통해(5:10) 하나님의 자리를 찬탈하였다.

 

(1) 강한 손으로 말미암아

-“강한 손은 하나님의 손을 언급할 수도 있고, 히브리인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파라오 자신의 욕망일 수도 있다. 파라오의 손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이집트를 벗어나는데 있어서는 하나님 자신의 손만큼이나 강하다. (11: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기를 내가 이제 한 가지 재앙을 바로와 애굽에 내린 후에야 그가 너희를 여기서 내보내리라 그가 너희를 내보낼 때에는 여기서 반드시 다 쫓아내리니

 

(3)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전능의 하나님으로 나타났으나 나의 이름을 여호와로는 그들에게 알리지 아니하였고

●자유주의자들이 애스트룩의 단서(Astruc’s clue)라고 하는 유명한 구절이다. 이 이론의 논리를 다음과 같다. “여호와라는 이름은 창세기에 많이 언급되는데 J라는 기록자가 기록했다. 그런가 하면 E라는 기록자는 하나님을 엘로힘이라는 단어로 기록하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너무 많은 구절에서(3:1-5; 16:13; 32:28-29; 22:11,14; 28:17-22) 같은 문맥에서 여호와와 엘로힘이 동시에 등장하기 때문에 애스트룩은 또 다른 편집자인 R(redactor)이 이 문맥들을 조심스럽게 편집했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1895년 프린스톤의 윌리암 헨리 그린(William Henry Green)와 로버트 딕 윌슨(Robert Dick Wilson)에 의해 총체적으로 논박되었다. 그런데도 이 이론을 1900년부터 현재까지 신학교에서 계속 가르치고 있다. 마치 다윈의 종의 기원처럼.

 

●여호와(JEHOVAH)

(1) 신학자들은 이 말이 히브리어 자음 네 개로 이루어졌다고 해서 테트라그라마톤”(Tetragramaton)이라고 부른다. 이 단어는 맛소라들의 히브리어 모음부호들이 제시되지 않으면 그 단어가 지니고 있는 것과 같은 발음을 표시할 수 없다.

(2) 그래서 유대인들은 모음부호를 붙여 아도나이”(Adonai)로 읽었다.

(3) 그러나 이 단어에 대해 모든 사람이 발음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발음은 여호와”(Jehovah)이다.

(4) 메이슨스(Masons)는 여호와를 요호”(Yoho), “야후”(Yahoo), 또는 요후”(Yohoo)로 제안한다.

(5) 자유주의자들은 자연스럽게 야훼”(Yaweh)라는 말을 선호하는데 이 말은 모세가 만들어낸 사막 뒤쪽에 있는 민족신또는 산신의 의미로 신성을 격하시키는 말이다.

※여호와라는 이름은 분명히 모세에게 알려졌고 그 이름을 적절하게 사용했다.

 

(3)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전능의 하나님으로 나타났으나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나타나실 때마다 이들은 하나님을 ”(Adon, Adonai) 혹은 하나님”(엘리온 혹은 엘로힘)이라고 불렀다.

 

(6-8) 나는 여호와라 ...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리니 ...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인 줄 너희가 알지라 ...나는 여호와라

-3절에서 이름을 언급하고 나서 세 번 더 반복하여 말씀하신다.

-(6) 하나님의 펼친 팔은 파라오에 대한 진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골고다에서 팔을 펴심으로 하나님의 자녀들을 피로 구속하신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이스라엘에게 주어진 모든 약속은 이 시대의 하나님의 자녀에게 영적으로 적용된다. 율법과 관계없는 은혜를 발견하게 된다.

 

●일곱가지 약속(63가지, 72가지, 82가지)

(1) 애굽 사람의 무거운 짐 밑에서 너희를 빼내며// I will bring you out from under the burdens of the Egyptians

-(11:28)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5:1-15)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건하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

(2) 그들의 노역에서 너희를 건지며// I will rid you out of their bondage

-천년왕국에서 영원히 성취될 것이다(14:1-7).

(3) 편 팔과 여러 큰 심판들로써 너희를 속량하여// I will redeem you with a stretched out arm, and with great judgments

-(위의 6절 주석)

(4) 너희를 내 백성으로 삼고// I will take you to me for a people

-교회 (9:26)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그들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5)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리니//I will be to you a God

-(20:28) “도마가 대답하여 이르되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

(6) 내가 ... 땅으로 너희를 인도하고// I will bring you in unto the land(내가 그 땅으로 너희를 데려가고)

-(8:17) “자녀이면 또한 상속자 곧 하나님의 상속자요 그리스도와 함께 한 상속자니 우리가 그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할 것이니라” (5:10) “그들로 우리 하나님 앞에서 나라와 제사장들을 삼으셨으니 그들이 땅에서 왕 노릇 하리로다 하더라” (3:29) “너희가 그리스도의 것이면 곧 아브라함의 4)자손이요 약속대로 유업을 이을 자니라

(7) 그 땅을 너희에게 주어 기업을 삼게 하리라// I will give it you for an heritage(또 그것을 너희에게 유업으로 주리니)

-(8:18) “생각하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도다” (2:19-20) “그러므로 이제부터 너희는 외인도 아니요 나그네도 아니요 오직 성도들과 동일한 시민이요 하나님의 권속이라 20 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 입은 자라 그리스도 예수께서 친히 모퉁잇돌이 되셨느니라

 

※이스라엘 자손들은 시내산의 언약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언약 하에 이집트를 나온다. 그들이 죄에 빠져 있고, 이 세상 신을 섬기고 있을 때 은혜로 말미암아 구속을 받는다. 그들이 구속받는 데 있어서 어떠한 행위도 요구되지 않았다.

 

(6:9) 모세가 이와 같이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하나 그들이 마음의 상함과 가혹한 노역으로 말미암아 모세의 말을 듣지 아니하였더라

(6:10)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6:11) 들어가서 애굽 왕 바로에게 말하여 이스라엘 자손을 그 땅에서 내보내게 하라

(6:12) 모세가 여호와 앞에 아뢰어 이르되 이스라엘 자손도 내 말을 듣지 아니하였거든 바로가 어찌 들으리이까 나는 입이 둔한 자니이다

(6:13)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사 그들로 이스라엘 자손과 애굽 왕 바로에게 명령을 전하고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게 하시니라

※모세가 전한 메시지는 소귀에 경읽기였다. 이 세상의 짐에 억눌린 죄인들은 하나님께서 친히 행사하시겠다고 하는(6-8) 앞으로의 일들을 전혀 보지 못한다. 이 땅에서 일어나는 일에만 관심이 있다.

 

(9) 그들이 마음의 상함과 가혹한 노역으로 말미암아 모세의 말을 듣지 아니하였더라//but they hearkened not unto Moses for anguish of spirit, and for cruel bondage(그들은 영의 고통과 혹독한 노예생활로 인하여 모세에게 경청하지 아니하더라)

-고문 당하는데 즐거운 사람은 없다. (그런 때라도 기뻐할 수 있다면 그는 승리를 유지하는 사람이다.)

 

(12) 이스라엘 자손도 내 말을 듣지 아니하였거든 바로가 어찌 들으리이까

-모세는 두 번째로 골방이 들어가 불만을 나타낸다.

-이 장면은 28-30절에서 다시 반복된다. 모세가 인간의 관점으로 되돌아올 경우에는 같은 상황에 있는 어떤 사람과도 다를 바 없다. (12:5) “만일 네가 보행자와 함께 달려도 피곤하면 어찌 능히 말과 경주하겠느냐 네가 평안한 땅에서는 무사하려니와 요단 강 물이 넘칠 때에는 어찌하겠느냐

 

(13)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사

-(모형) 구속은 선지자(모세)와 제사장(아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속에 대한 책임이 주 예수 그리스도께 주어졌던 것처럼(17:4) 모세와 아론 둘에게 주어진다. (17:4) “아버지께서 내게 하라고 주신 일을 내가 이루어 아버지를 이 세상에서 영화롭게 하였사오니

 

(6:14) ○그들의 조상을 따라 집의 어른은 이러하니라 이스라엘의 장자 르우벤의 아들은 하녹과 발루와 헤스론과 갈미니 이들은 르우벤의 족장이요

(6:15) 시므온의 아들들은 여무엘과 야민과 오핫과 야긴과 소할과 가나안 여인의 아들 사울이니 이들은 시므온의 가족이요

(6:16) 레위의 아들들의 이름은 그들의 족보대로 이러하니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요 레위의 나이는 백삼십칠 세였으며

(6:17) 게르손의 아들들은 그들의 가족대로 립니와 시므이요

(6:18) 고핫의 아들들은 아므람과 이스할과 헤브론과 웃시엘이요 고핫의 나이는 백삼십삼 세였으며

(6:19) 므라리의 아들들은 마흘리와 무시니 이들은 그들의 족보대로 레위의 족장이요

(6:20) 아므람은 그들의 아버지의 누이 요게벳을 아내로 맞이하였고 그는 아론과 모세를 낳았으며 아므람의 나이는 백삼십칠 세였으며

※모세가 침체 되었다가 회복되는 동안 성령께서는 계보를 삽입하신다. (이상하게 이 계보에는 르우벤, 시므온, 레위의 후손들만 기록된다.)

 

(14) 그들의 조상을 따라 집의 어른은 이러하니라

(1)이 우두머리들의 기록이 유다 앞에서 멈춘다. 참된 제사장(3:1)과 참된 왕(49:10)은 유다로부터 나온다. 그러므로 이 계보가 말하는 것은, 교리적으로 구속은 출애굽기에서 완성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2)르우벤과 시므온의 계보 기록은 단 두 구절에서 끝나지만 레위지파를 기록하는 데는 12구절이 할당된다. 즉 중심인물로서의 아론과 모세를 설명하는데 그 배경으로 계보를 기록하고 있다.

(3)모세의 의도가 자신의 배경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하더라도 레위지파만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르우벤은 여기서 뿐 아니라 창세기 49장과 신명기 33:6에서 첫번째로 기록된다.

※계보에 대한 비교: 역대기상 4-5, 창세기 46, 민수기 26

 

(6:21) 이스할의 아들들은 고라와 네벡과 시그리요

(6:22) 웃시엘의 아들들은 미사엘과 엘사반과 시드리요

(6:23) 아론은 암미나답의 딸 나손의 누이 엘리세바를 아내로 맞이하였고 그는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낳았으며

(6:24) 고라의 아들들은 앗실과 엘가나와 아비아삽이니 이들은 고라 사람의 족장이요

(6:25)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은 부디엘의 딸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였고 그는 비느하스를 낳았으니 이들은 레위 사람의 조상을 따라 가족의 어른들이라

(6:26) 이스라엘 자손을 그들의 군대대로 애굽 땅에서 인도하라 하신 여호와의 명령을 받은 자는 이 아론과 모세요

(6:27) 애굽 왕 바로에게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내보내라 말한 사람도 이 모세와 아론이었더라

21절의 고라는 민수기 16장의 고라이다. 이스할은 모세의 아버지 아므람과 형제이다(18). 아론은 암미나답의 딸을 통해(2:3) 유다지파와 혼인하게 된다. 24절의 엘가나는 사무엘과 먼 친척간이다(26:11?).

 

(26) 이스라엘 자손을 그들의 군대대로 애굽 땅에서 인도하라 하신 여호와의 명령을 받은 자는 이 아론과 모세요

-14절부터는 여호수아가 기록한 것처럼 보인다(1:4; 5:1; 18:9; 24:26)

-그러나 모세는 자신에 대해 말할 때 자주 3인칭으로 기록한 것을 볼 때(12:3, 2:15 ) 모세가 기록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군대대로”(26)라는 표현은 여호수아에게 한층 가깝다. 이집트로 내려간 이래로 야곱의 아들들은 정치적인 단위로 구성되었다. 전투를 해 본 적이 없지만(13:17), 이들이 이집트를 떠날 때 무기가 있었음은 분명하다(17:8-14).

 

(6:28)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시던 날에

(6:29)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나는 여호와라 내가 네게 이르는 바를 너는 애굽 왕 바로에게 다 말하라

(6:30) 모세가 여호와 앞에서 아뢰되 나는 입이 둔한 자이오니 바로가 어찌 나의 말을 들으리이까

28절은 이야기를 1절의 상태로 되돌린다. 성령님은 1-11절의 할 일을 반복하신다. (내가 네게 이르는 바를 너는 애굽 왕 바로에게 다 말하라)

-모세의 불평(30)12절에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 출애굽기 제18장 honey 2017.01.28 329
68 출애굽기 제17장 honey 2016.08.03 387
67 출애굽기 제16장 honey 2016.05.24 406
66 출애굽기 제15장 honey 2016.05.19 318
65 출애굽기 제14장 honey 2016.05.16 298
64 출애굽기 제13장 file honey 2016.05.16 630
63 출애굽기 제12장 honey 2016.04.30 395
62 출애굽기 제11장 honey 2016.04.22 213
61 출애굽기 제10장 honey 2016.04.21 326
60 출애굽기 제9장 honey 2016.04.19 290
59 출애굽기 제8장 honey 2016.04.18 306
58 출애굽기 제7장 honey 2016.04.04 238
» 출애굽기 제6장 honey 2016.04.02 453
56 출애굽기 제5장 honey 2016.03.14 355
55 출애굽기 제4장 honey 2016.03.08 467
54 출애굽기 제3장 honey 2016.03.05 476
53 출애굽기 제2장 honey 2016.03.02 620
52 출애굽기 제1장 honey 2016.03.02 316
51 출애굽기 서론 honey 2016.03.02 307
50 창세기 제50장 honey 2016.03.02 3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