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묵상특강

오늘:
73
어제:
266
전체:
1,933,578
조회 수 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5-02-22() 예수님의 사랑의 유산(요한복음 13:31-36)

Legacy of Love in Jesus(John 13:31-36)

 

(13:31) 그가 나간 후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지금 인자가 영광을 받았고 하나님도 인자로 말미암아 영광을 받으셨도다//Therefore, when he was gone out, Jesus said, Now is the Son of man glorified, and God is glorified in him.

(13:32) 만일 하나님이 그로 말미암아 영광을 받으셨으면 하나님도 자기로 말미암아 그에게 영광을 주시리니 곧 주시리라//If God be glorified in him, God shall also glorify him in himself, and shall straightway glorify him.

(13:33) 작은 자들아 내가 아직 잠시 너희와 함께 있겠노라 너희가 나를 찾을 것이나 일찍이 내가 유대인들에게 너희는 내가 가는 곳에 올 수 없다고 말한 것과 같이 지금 너희에게도 이르노라//Little children, yet a little while I am with you. Ye shall seek me: and as I said unto the Jews, Whither I go, ye cannot come; so now I say to you.

(13:34)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A new commandment I give unto you, That ye love one another; as I have loved you, that ye also love one another.

(13:35)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By this shall all men know that ye are my disciples, if ye have love one to another.

(13:36) 시몬 베드로가 이르되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가는 곳에 네가 지금은 따라올 수 없으나 후에는 따라오리라//Simon Peter said unto him, Lord, whither goest thou? Jesus answered him, Whither I go, thou canst not follow me now; but thou shalt follow me afterwards.

 

(요절: 요한복음 13:34)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As I have loved you, so you must love one another.[John 13:34]

 

 

In Sweden, there’s a concept known as döstädning. It literally means “death cleaning.” The idea is that as we grow older, we should stop accumulating “stuff” and begin to cut out the clutter we have amassed throughout our lives. “Swedish death cleaning” is actually a gift of love to children and friends, for it simplifies for them the task of wading through what we leave behind.

스웨덴에는 도스테드닝이라는 개념이 있다. 말 그대로 죽음의 청소라는 뜻이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물건'을 쌓아두는 것을 멈추고 평생 쌓아온 잡동사니를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스웨덴식 죽음의 청소"는 실제로 자녀와 친구들에게 사랑의 선물이다. 우리가 남긴 물건을 정리하는 작업을 단순화하기 때문이다.

 

As believers in Jesus, at a certain age we think about our legacy what survives us. This is often framed in terms of money, inheritance, or charitable giving and there’s much to be said for that. But it might be helpful to look at Jesus in His final hours with His disciples: “Where I am going, you cannot follow now, but you will follow later” (John 13:36). In two verses (vv. 34-35), He uses the word love or loved four times His legacy was love. He told them: “As I have loved you, so you must love one another” (v. 34).

예수님을 믿는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우리에게 남겨질 유산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이는 종종 돈, 상속 또는 자선 기부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해 할 말이 많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마지막 시간을 보내시면서 하신 말씀을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내가 가는 곳에 네가 지금은 따라올 수 없으나 후에는 따라오리라"(요한복음 13:36). 두 구절(34-35)에서 예수님은 사랑 또는 사랑받는다는 단어를 네 번 사용하셨는데, 그분의 유산은 사랑이었다. 주님은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34).

 

It may be good to do some “Swedish death cleaning” in our lives, removing clutter to leave behind only the most important things. But it really isn’t about things or money. The most important legacy you can leave behind is your love for Jesus. When children and friends remember you as one who loved Jesus, that’s the best gift of all. It gives new meaning to the phrase “left behind.” Kenneth Petersen

우리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만 남기고 어수선함을 없애는 "스웨덴식 죽음의 청소"를 하는 것도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물건이나 돈이 아니다. 여러분이 남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유산은 예수님에 대한 사랑이다. 자녀와 친구들이 당신을 예수님을 사랑한 사람으로 기억한다면, 그것이야말로 최고의 선물이다. “남겨진 것"이라는 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How do your family and friends see your love for Jesus demonstrated? How might you share that love more openly?

여러분의 가족과 친구들은 예수님을 향한 여러분의 사랑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어떻게 하면 그 사랑을 더 공개적으로 나눌 수 있을까요?

 

 

 

Dear God, thank You for Your love and for the gift of Jesus in my life. Please help me to show Your love to those around me.//하나님, 당신의 사랑과 제 삶에 예수님을 선물로 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제 주변 사람들에게도 주님의 사랑을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제가 받은 바 은혜를 생각하면 항상 무엇을 하든지 주님의 사랑을 전하는 일에 삶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는데 가끔은 그 일에 게으름을 용서하소서. 내가 살아있는 동안 주님이 하신 일을 널리 전하는 일에 앞장서게 하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2025-02-22(토) 예수님의 사랑의 유산(요한복음 13:31-36) honey 2025.02.21 3
6369 2025-02-21(금) 다시 일어나기(잠언 24:15-22) honey 2025.02.21 5
6368 2025-02-20(목) 단순한 진리(로마서 10:9-11) honey 2025.02.20 2
6367 2025-02-19(수) 하나님 안에서 사랑을 찾음(창세기 29:28-35) honey 2025.02.19 2
6366 2025-02-18(화) 거짓 평점을 주지 맙시다(에베소서 4:17, 22-32) honey 2025.02.18 3
6365 2025-02-17(월) 하나님 안에서 지혜로운 자제(잠언 29:4-11, 20) honey 2025.02.17 6
6364 2025-02-16(일) 하나님의 자비를 본받아(마태복음 7:7-12) honey 2025.02.16 2
6363 2025-02-15(토) 아무 흠없이 완전하신 구세주(히브리서 4:12-16) honey 2025.02.16 5
6362 2025-02-14(금) 결혼식은 사랑을 위한 것(고린도전서 13:4-13) honey 2025.02.14 5
6361 2025-02-13(목) 하나님은 다 보고 계신다(민수기 6:22-27) honey 2025.02.13 3
6360 2025-02-12(수) 우리의 계획과 하나님의 계획(이사야 55:8-12) honey 2025.02.13 2
6359 2025-02-11(화) 우리를 쫓아오시는 하나님(에스겔 34:11-16) honey 2025.02.11 5
6358 2025-02-10(월) 친구 낚기(마태복음 4:18-22) honey 2025.02.10 4
6357 2025-02-09(일) 예수님, 우리의 평화(에베소서 2:11-18) honey 2025.02.09 4
6356 2025-02-08(토) 그리스도 안에서 돌봄(빌립보서 2:1-11) honey 2025.02.09 3
6355 2025-02-07(금) 하나님의 눈에 열외는 없습니다(사무엘상 16:1, 6-13) honey 2025.02.07 5
6354 2025-02-06(목) 예수님 안에서 잘 가꾸는 삶(창세기 2:4-9) honey 2025.02.06 3
6353 2025-02-05(수) 예수님께 눈을 고정시킴(요한복음 5:36-40) honey 2025.02.05 5
6352 2025-02-04(화) 하나님께서 주신 넓은 곳(시편 31:1-2, 8-16) honey 2025.02.04 7
6351 2025-02-03(월) 낮지만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자(시편 138) honey 2025.02.03 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21 Next
/ 321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