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과학

오늘:
169
어제:
283
전체:
1,936,705
조회 수 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병들고 고통 받는

괴물들

그리고 그들을 만든 우생학자들

순종 개들이 값을 치르다

 

Lita Cosner , 이종헌 역

출처: creation magazine Vol. 41(2019), No. 3 pp. 22-25

 

 

 cr157-1.jpg


많은 사람들이 순종 개를 좋아한다. 각 품종의 독특한 특징과 그들의 예측 가능한 기질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을 소유하는 데에 높은 가격을 지불하도록 만든다. 그러나 우리는 어떻게 그러한 특징에 값을 매기게 되었으며, 개의 건강을 위해 순수성이 더 바람직한 것일까?

 

집에서 기르는 개들은 수천 년 전부터 존재해 왔으며, 독특한 유형의 개들이 등장하는 것은 사람들이 원하는 특성을 위해, 즉 사냥, 경비, 혹은 가축의 목축 등과 같이 개들이 해주기를 바라는 유형의 작업과 주로 관련이 있는 특성을 위해 자기 개들을 선택적으로 품종개량 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인, 역사의 한참 뒤로 거슬러 올라간다. 개들이 특별히 그들의 임무에 적합하게 품종개량 된 것처럼, 어떤 유형은 독특한 외관을 취하기 시작했다. 이 중 일부는 (털의 색, 크기, 얼굴 모양 등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로 인한 것이었다. 유용한 형질을 확인하고 나면 그 형질이 전달되는 근접하게 연관된 개들끼리 동종번식을 시켜서 그 형질이 부각되게 한다. 이것이 개의 품종개량의 기원이었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는 대부분의 현대 개 품종은 비교적 젊다. 1800년대에 빅토리아 시대의 사람들은 식물과 동물의 품종개량과 관련하여 유용하게 될 새로운 과학 지식에 매료되었다. “빅토리아의 카탈로그에는 문자 그대로 수천 가지 품종의 사과와 다른 과일 목록이 들어 있다. 식물과 동물의 선택적 품종개량에 대한 매력을 널리 퍼뜨렸던, 우생학의 아버지 Francis Galton은 종종 상업적인 고려 때문만이 아니라 새롭고 특별한 형태를 만들어내는 즐거움 때문에 품종개량을 했다.”(1)

 

이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유형의 개를 번식시키고, 기존의 품종을 보다 엄격하게 정의하도록 이끌었다. 켄넬 클럽(Kennel Club, 역주: 1884년 미국에서 출범한 애견 단체로 순수 혈통견을 보호 및 장려하고 견종 표준을 만들어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데 목적이 있다)은 이 새로운 품종의 개를 등록하고 그들의 번식을 추적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각 품종을 위해 비공개의 스터드북(stud book, 역주: 경주마나 개의 공식 족보)이 만들어졌으며, 해당 품종의 구성원을 오직 특정 동물만의 자손으로 영원히 제한할 수 있게 되었다.

 

cr157-2.jpg

(순종 복서/Boxer) (우생학의 아버지, Francis Galton) (프렌치 불독 강아지)

 

거의 같은 시기에 진화론적 생각의 새로운 물결에서 영감을 얻은, ‘우생학이라는 개념이 찰스 다윈 (Charles Darwin)의 사촌인 Francis Galton(위를 보라)에 의해 고안되었다. 우생학이란 사람들이 가장 순수한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고 싶기는 했지만, 동물이건 사람이건 가장 순수한개체를 개량하는 것이 더 나은 후손을 낳을 것이라는 개념이었다. 이와는 반대로, 바람직하지 않은 개체는 짝짓기를 해서 특정 종의 장래 혈통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해야 했다. 결정적인 것은, 우생학에 관하여 많은 것이 알려지기 이전에 이런 개념이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우리는 전에, 우생학의 개념이 정신박약이거나 또는 다른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 대한 인권 유린을 어떻게 초래했는지, 그리고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들 사이에서 그것이 얼마나 인기가 없어졌는지에 관하여 글을 쓴 적이 있었다.(2) 그러나 놀랍게도 우생학은 여전히, 때로는 그것이 개에 대해 끔찍한 결과를 가져오는 현대 순종 개에 관련된 생각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3)

 

 

The ‘prettiest’ dogs are the ‘best’(‘가장 예쁜개가 최고)

 

켄넬 클럽은 각 개에 대한 품종 표준을 개발하고, 품종의 이상적인 개체의 외관에 대한 설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품종 표준의 언어가 오늘날의 유행(fashion)’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품종에서 과장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영국 불독에 대한 미국 켄넬 클럽 (American Kennel Club)의 품종 표준은 그것이 거대하고 짧은 얼굴의 머리를 가져야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런데 얼마나 거대한? “귀 앞에서 두개골의 둘레는 적어도 어깨에서의 개의 높이만큼은 되어야 한다”(주의 - 이것은 하한일 뿐 상한은 없으며, 극단적인 사육의 빌미를 제공하는 설명이다).(4) 이 거대한 머리는 품종에 대해 너무 중요해서 표준에서 이것을 두 번 언급한다. 그 결과는? 불독 강아지의 90% 이상이 제왕 절개를 통해 분만해야 한다.(5)

 

다른 특징들은 어떠한가? “눈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두개골에서 아래쪽 낮게 가능한 한 귀에서 멀리 위치해야 한다 .... 그들은 딱 머리의 앞에 있으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눈의 바깥쪽 모서리가 뺨의 윤곽선 안에 있는 한도 내에서 가능한 한 넓게 떨어져야 한다.” 귀는 가능한 한 눈에서 멀리 떨어져야 한다”. “얼굴은 ... 극도로 짧아야 하며, 주둥이는 매우 짧아야 한다”. “머리와 얼굴은 심한 주름으로 덮여야 한다”(모든 굵은체는 추가된 것임).(4)

 

오늘날의 영국 불독과 1800년대의 그림에서 표현한 불독을 비교하면(아래를 보라) 표준은 그 특징을 점점 더 과장되게 해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r157-3.jpg

‘The Dog Book: 개에 관한 대중적 역사와, 가정견, 종자견, 전시견(House, Kennel, and Exhibition Dogs)의 돌봄과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 그리고 모든 중요한 품종에 대한 설명34페이지의 그림(1906)

 

품종개량가가 특정한 특성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을 때, 그들은 인공 선택을 적용했다. 예를 들어, 짧은 코를 가진 불독은 번식시킬 가능성이 더 높았다. 그러나 자연 선택과는 달리, 짧은 코에 관해서는 그 어떤 것도 그 동물에게나 그 기능에 있어서나 유익하지 못했다; 그것은 순전히 장식적인(cosmetic) 것이었다.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이 제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다윈은 자연 선택이 야생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예로서 인공 선택을 사용했는데, 단 긴 시간 척도상에서였다. 그러나 인공 선택으로 밝혀진 유일한 사실은 우리가 이제는 동물에 대한 대부분의 변화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더 나쁜 것은, 보이는 특질에 초점을 맞춘 품종개량가들이 바람직한특질과 함께 보이지 않는 돌연변이가 종종 전달된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Only the ‘best’ animals are bred(오직 최고의 동물만 번식된다)

 

개의 품종은 이미 인공적으로 제한된 유전자 풀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비록 그들이 다른 품종의 어떤 개와도 잡종교배를 할 수 있으며 심지어 이리와도 교배를 할 수 있지만, 순종의 강아지를 얻기 위해서는 영국 불독은 영국 불독과만 교배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잘못된색의 코처럼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는 특징을 지닌 개가 번식되지 않으면 유전자 풀은 더 작아진다. 그러면 잘못된 색깔의 코는 다음 세대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그 개의 다른 유전자도 더불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역으로, ‘최고의개체는 많이 번식된다. 인기 있는 종견(studs)은 수십 개 배(litters)의 새끼를 낳을 수 있다. 그러면 정상적으로 번식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유전적 영향을 준다. 이것은 유전자 풀(gene pool)에서 덜 바람직한개를 없애는 것과 결합하여 그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줄어들게 한다. 최악의 경우, 한 마리의 수상 경력이 있는 종견이 한 품종 전체에 질병을 전염시킬 수 있다. 이것은 복서(boxers) 품종에서 소아신장질환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Gucci라는 이름의 한 개는 2007년에 최고의 종견(Top Sire)’으로 평가를 받고 894 마리의 강아지를 낳게 했다(그 개를 언급한 다큐멘터리의 제작일까지).(6) Gucci의 할아버지는 복서 품종에 있는 소아신장질환 2건을 제외하고 모두 연결되어 있었으며, Gucci는 거의 반만 연결되어 있었다. 이것은 해당 개가 결함 있는 유전자 두 개를 가질 때만 발생하는 열성의 유전 상태이다. 그것은 가깝게 연관된 동물들이 짝짓기를 하지 않는 정상적인 유전적 다양성을 가진 종에서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아주 최근까지 극단적인 근친 교배를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종견을 자기 자신의 암컷 후손과 교배시키면 많은 개들이 돌연변이를 지니거나 질병을 갖는 것이 확실하다.

 

 

Sick ‘pure’ dogs preferred to healthy ‘mongrels’(건강한 잡종개보다 병든 순종개들을 더 선호한다)

 

우생학적 생각은 순수성에 가치를 높게 두는데, 이것은 건강한 잡견보다도 순종으로 여겨지는 병약한 동물을 비합리적으로 선호하게 만든다. 한가지 명확한 예는 낮은(일명 정상) 요산(LUA/Low Uric Acid) 수치를 갖는 달마시안과 관련이 있다.

 

 

cr157-5.jpg

달마시안(Dalmatians)은 많은 양의 운동과 사랑하는 동료를 필요로 하는 활동적이고 영리한 개이며, 생명을 위협하는 방광 결석을 유발하는 요산 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달마시안은 품종개량의 우연한 부산물로 요산 대사를 위한 정상적인 유전자를 잃어버렸다. 요산이 축적되면 인간에게는 통풍이 유발된다. 달마시안에게는 방광 결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이다. 따라서 모든 순종달마시안은 특별한 식이요법을 받아야하며 방광 결석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그러나 그 유전자는 1973년에 달마시안과 잉글리시 포인터를 이종교배 시킴으로써 이 개들의 계보에서 다시 번식되었다. 최초의 강아지는 달마시안과 특히 닮지 않았지만, 다시 순종 달마시안과 이종교배를 시킨 결과 순종 달마시안과 DNA99.98%가 같지만 정상의 요산 수치를 갖는, 정확히 달마시안과 같이 생긴 개가 나왔다(위의 그림을 보라). 이들 ‘LUA 달마시안은 병든 상대들보다 분명히 더 선호되어야 한다. 그러나 켄넬 클럽(Kennel Club)LUA 달마시안을 진짜 달마시안이라고 받아들이는 거의 선례가 없는 단계를 거쳤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잡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순수성에 관한 시대에 뒤떨어진 생각으로부터 동물의 건강을 중시하는 관점으로의 이동은 고무적인 표시이며 품종의 미래를 보장하는 최선의 길이다. 이런 생각이 든다면, 혈통 있는 개의 집단에서 고통과 질병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그것은 불과 수십 년 전의 품종개량 계통에서 전혀 문제 삼지 않았던 시대에 뒤떨어진 우생학적 생각으로부터의 완전한 이탈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문제로부터 멀어지게, 품종개량가들이 증가하는 것은 그들이 사랑하는 개를 구하는 해결책의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Are purebred dogs ethical?(순종의 개는 윤리적인가?)

 

달마시안의 예는 희망을 보여주는 반면 다른 경우는 보다 복잡하다. 어떤 품종은 나쁜 품종개량의 실행이 만들어 낸 문제를 해결할 유전적 다양성을 더 이상 가지고 있지 않으며, 또 다른 품종은 호흡 곤란, 짝짓기 및 출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짧은 주둥이를 가진 품종들과 같이, 그들의 이전 모습의 괴물 같은 캐리커처로 변모해 버렸다.

 

어떤 사람들은 이종 교배가 건강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 된, 유전자 풀이 고갈된 문제를 겪고 있는 품종개량의 폐지를 요구한다. 논쟁은 간단하다: 우리가 정말로 이들 동물을 사랑한다면, 우리는 아프고 고통 받는 동물들을 계속해서 세상에 나오게 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cr157-4.jpg

Leavitt 불독으로 알려진 올드 잉글리쉬 불독(Olde English Bulldogge)

 

어떤 사람들은 Leavitt bulldog(위의 사진)과 같은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 내고 있는데, 이는 건강하고 체력이 좋은 것이 매력적이다. 그런데 더 나은 것은, 품종개량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품종을 건강하게 유지하려는 목표와 함께 현재의 최상의 유전적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옵션은 동물을 이종교배 하는 것이다. 잡종 개는 종종 순종의 부모로부터의 건강 합병증을 피하고 상당히 예측 가능한 외모와 기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쉬나우저와 푸들 사이의 잡종인 쉬누들(schnoodle)을 들 수 있다.

 

개 품종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 품종에 부주의하게 도입되는 모든 종류의 조건, 즉 그런 개들이 불필요하게 겪게 하는 품종개량의 시행에 대해 인간이 책임을 져야 한다.

 

우리는 기독교인으로서 우리가 돌보는 동물의 복지를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여 창조물의 책임있는 청지기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새 강아지를 사려고 하는 경우 명망 있는 품종개량가로부터 건강한 개를 구하든지 아니면 보호소의 개를 입양하든지 조사를 잘 해서 시행해야 한다. 순종과 잡종 동물의 장점과 단점을 잘 알아보고, 건강한 잡종이 긴 혈통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해서 그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말라.

 

 

References and notes(참고문헌 및 주석)

 

1. Bateson, P. Independent Inquiry into Dog Breeding, University of Cambridge, p. 7, 2010; dogbreedinginquiry.com.

2. Grigg, R., Eugenics death of the defenceless, Creation 28(1):1822, 2005; creation.com/eugenics.

3. Cosner, L., Parade of mutantspedigree dogs and artificial selection, Creation 32(3):2832, 2010; creation.com/parade-of-mutants.

4. “Official standard of the Bulldog”, American Kennel Club, akc.org.

5. Brulliard, K., Why breeding bulldogs is borderline inhumane, Washington Post, 2 Aug 2016; washingtonpost.com.

6. Harrison, J., Pedigree Dogs Exposed: Three Years On, accessed 24 Oct 2018; vimeo.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 창조주의 언약 신명기 -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28 38
161 공룡발자국 보물창고 - Philip Robinso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26 35
160 화석이 하루만에? - Ron Nell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04 42
159 신비한 외계 서판 - Dominic Statham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20 46
158 티라노사우루스가 상어와 함께 걸었다? - Gavin Cox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18 32
157 실제로 공룡은 얼마나 컸을까? - Jonathan Saf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16 52
» 병들고 고통 받는 괴물들 -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11 46
155 Submarine Canyons(해저협곡) - Michael Oard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11 47
154 ‘아프리카로부터’는 패배 직전에 있다 - Peter Line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06 36
153 파란 장미 - Gordon Howard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6.29 58
152 후기 홍수유출 동안 수극과 풍극이 깎았다 - Michael Oaed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6.29 40
151 자궁으로부터의 놀라운 여행(신생아 순환의 놀라운 변화) file honey 2019.05.23 111
150 에덴은 어디에 있었나? - Lita Cosner and Robert Cart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5.16 53
149 산록완사면/山麓緩斜面(Pediments) - Michael Oard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3.28 7364
148 공룡 알은 전지구적 창세기 대홍수를 가리킨다-Michael Oard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09.25 106
147 왜 우리는 므두셀라만큼 오래 살지 못하는가? - Jonathan Sarf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09.07 135
146 우리는 먼지보다 못하다 - Robert Carter 글, 이종헌 역 honey 2018.09.01 64
145 히브리어 교수가 창세기는 실제 역사임을 확증하다 - Jonathan Sarfati 인터뷰,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09.01 92
144 항생제 내성 진화가 작동 중인가? - Don Batte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05.13 112
143 하나님의 푸는 모터 국소이성화효소(topoisomerase) - Jonathan Sarf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05.11 115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5 Next
/ 25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