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소그룹 성경공부와 리더십
1.1)⇒yes. 교회의 영적인 분위기는 담임 목사를 중심으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담임 목사는 특별한 문제에 대해 태도를 분명히 하는 것이 좋다. (지금은 처음이라 담임목사님 혼자 바쁘기도 하겠지만, 제자반과 사역반은 부교역자에게 맡기지 말고 모두 담임목사가 맡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고전 14:26; 33; 40)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까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33 하나님은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시요 오직 화평의 하나님이시니라 모든 성도가 교회에서 함과 같이 40 모든 것을 품위 있게 하고 질서 있게 하라”
➡
2)⇒성경적인 건강한 교회. 사역의 내용이 한쪽으로만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교회를 지향한다.(교회는 계속해서 성장하여야 하지만, 성도의 수가 늘어날 경우 장차 대형교회를 지향할 것인지 아니면 중소규모의 교회를 유지할 것인지 등을 미리 정했으면 좋겠다.)
➡
➡
3)⇒교회가 인정한 권위를 가진 리더는 참여자에게 리더십을 인정받을 수 있다.
⇒담임 목사의 가장 큰 의무는 리더의 성향을 검증해야 하는 것이다. 잘못된 리더는 예수님의 제자를 양육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제자를 양육하는 수가 있다.(이단 강의를 듣고 보니 몰래 숨어들어 교회를 파괴시키는 사람도 있다 한다. 그러나 교회가 영적으로 바로 서 있으면 그런 사람을 쉽게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
➡
2.1)⇒생활에서 본이 되어야 한다. 구성원의 형편을 살핀다. 그들의 필요를 채워준다.
➡“다시 쓰는 평신도를 깨운다” 25장 “부모처럼 코치처럼”(pp. 264-266)을 참조하라.
(1)자식을 사랑하고 돌보는 부모와 같은 자세를 지녀야 한다.
(2)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즉 사랑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절대로 편애하는 눈치를 보여서는 안 된다.
(3)‘예’와 ‘아니오’를 분명히 하는 태도를 보여주어야 한다. 훈련받는 사람에게 해로운 것 중 하나가 지도자의 애매모호한 태도이다.
(4)솔직할 수 있어야 한다. ‘잘 모르겠다’는 말로 대답하기를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지도자가 솔직한 마음을 열어 보일수록 훈련생들은 따뜻한 애정을 더 느끼게 되는 것이다.
(5)일방적인 명령이나 강요를 일삼는 태도를 취하면 안 된다. 그렇다고 마음대로 내버려두는 방임이 좋다는 말은 아니다.
(6)대화형 리더십을 주로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와 자식이 다정하게 앉아 대화를 주고받듯이.
➡(살전 2:7-12)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마땅히 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나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유순한 자가 되어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하였으니 8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뿐 아니라 우리의 목숨까지도 너희에게 주기를 기뻐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 9 형제들아 우리의 수고와 애쓴 것을 너희가 기억하리니 너희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밤낮으로 일하면서 너희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였노라 10 우리가 너희 믿는 자들을 향하여 어떻게 거룩하고 옳고 흠 없이 행하였는지에 대하여 너희가 증인이요 하나님도 그러하시도다 11 너희도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너희 각 사람에게 아버지가 자기 자녀에게 하듯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노니 12 이는 너희를 부르사 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 하나님께 합당히 행하게 하려 함이라”
* 어머니 : 부드러움(유순함), 사랑(사모함, 생명을 주기까지)
* 아버지 : 삶의 모범(옳고, 흠 없고, 거룩함), 가르침(격려, 위로, 경계)
2)⇒구성원의 세밀한 부분까지 잘 이해해야 그들을 영적으로 성숙시킬 수 있다.
➡
3)⇒그들의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 대개의 사람들은 본 대로 행하는 경향이 있다.
➡
3.1)⇒필드에 나타나지 아니함. 성경 공부를 주입식으로 진행하는 경우 공부를 위한 공부가 될 수 있다. 리더는 성경 공부를 인도하되 참여자로 하여금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 좋다.
➡
2)⇒리더가 혼자서 다 하지 않고 구성원들이 스스로 하게 한다. 구성원들은 말씀의 의미를 이야기하고 적용할 때 리더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지 감독한다.
➡
3)⇒소그룹으로 모이는 의의는 서로의 삶과 생각을 나누는 데에 있다. 그런데 리더 혼자 다 말하면 그룹원들이 나눌 기회를 잃게 된다.
➡
4.1)⇒리더가 강의 중심으로 인도하면 리더의 권위는 세울 수 있으나 그룹원이 자유스럽게 속마음을 털어놓고 영적인 교제를 나눌 수 없으며, 리더가 대표성만 가지고 운동 경기의 코치처럼 그룹원들의 자발적인 진행에 맡기면 그룹원들이 서로의 삶을 잘 나눌 수 있게 된다.
➡
2)⇒설교, 성경공부
➡
3)⇒둘 다 3번
➡
4)⇒4번. 약간의 대표성을 가지되, 소그룹의 방향을 잘 인도해야 한다.
➡
5)⇒한번 주제에서 벗어나면 시간 조절이 안된다. 본 주제의 방향에서 벌어지거나 한 사람이 너무 많은 시간을 사용할 때는 인도자가 제지를 할 필요가 있다.
➡
5.1)⇒냉정형(약간)
2)⇒약간
3)⇒현장 경험을 통해서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