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과학

오늘:
77
어제:
283
전체:
1,936,613
조회 수 11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경적 세계관의 기본구조 3

김무현 저 (Texas A&M 대학교 해양토목공학)

 

(3) 구속(救贖, Redemption: What is the solution?)

 

이제는 전에 멀리 있던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리스도의 피로 가까워졌느니라. (에베소서 2:13)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로마서 6:23)

 

구속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십자가의 대속과 부활로 요약할 수 있는데, 존재론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의미가 있습니다. 창조가 하나님과 인간이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로 결코 뛰어넘을 수 없는 상호간의 간격을 말한다면, 타락이란 인간이 스스로 하나님이 되고자 한 사건이었고(창세기 3:5), 구속은 그에 반해 하나님이 인간으로 되어오신(요한복음 1:14, 빌립보서 2:6-8) 사건이었다는 것입니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요한복음 1:14)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 (빌립보서 2:6-11)

 

[참고] (하나님의) 본체 - 헬라어로 모르페 영원불변의 본질적 형체

(사람의) 모양 - 헬라어로 스케마 가변적이며 일시적 외양.

 

구속은 이 세계의 궁극적인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명제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 명제들에 관하여 각 성경구절들이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정리하여 보십시오.

 

첫째, 구속은 하나님께서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 주셔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인류에게 대속의 은총을 베풀어 인류를 죄에서 구속하신 사건입니다. (많은 빚을 진 사람이 다른 사람의 큰 빚을 갚아 줄 수 없듯이 인류의 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죄 없으신 하나님께서 직접 오셔야 했습니다. 고린도후서 5:21)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자로 우리를 대신하여 죄를 삼으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저의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고린도후서 5:21)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요한복음 3:16)

 

이제는 그의 육체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화목케 하사 너희를 거룩하고 흠 없고 책망할 것이 없는 자로 그 앞에 세우고자 하셨으니 (골로새서 1:22)

 

그런즉 한 범죄로 많은 사람이 정죄에 이른 것같이 의의 한 행동으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르렀느니라. (로마서 5:18)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 (요한복음 5:24)

 

둘째, 구속의 복은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자가 예수님을 자신의 주인으로(Lordship, Kingship) 영접함으로써 받게 되고, 그 은혜를 받은 자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어 인생의 본분을 알고, 나아가 하나님과 삶과 세계에 관한 바른 진리를 성경과 성령의 감동으로 알게 됩니다.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12)

 

저는 진리의 영이라. 세상은 능히 저를 받지 못하나니 이는 저를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함이라. 그러나 너희는 저를 아나니 저는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 (요한복음 14:17)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 (요한복음 6:35)

 

셋째,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은 그의 자녀들에게 근본적인 변화를 주어 세상의 철학과 재물과 우상을 섬기는 모습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는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게 하며, 현재적인 하나님의 나라는 물론 역사의 피안에 도래할 새 하늘과 새 땅을 보여 주고 제공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영의 주파수를 예수님께 맞추지 않으면, 우리의 영은 곧 세상 철학의 잡음과 세속적 가치관의 소음으로 혼탁하게 됩니다.)

 

내가 들으니 보좌에서 큰 음성이 나서 가로되 보라 하나님의 장막이 사람들과 함께 있으매 하나님이 저희와 함께 거하시리니 저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은 친히 저희와 함께 계셔서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씻기시매 다시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 (요한계시록 21:3-4)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 (에베소서 4:13)

 

전에 너희가 너희 지체를 부정과 불법에 드려 불법에 이른 것같이 이제는 너희 지체를 의에게 종으로 드려 거룩함에 이르라. (로마서 6:19)

 

성경에서 구속을 설명하는 단어들은 모두 본래의 선한 상태로의 회복(현시적으로는 영적 관계와 신분과 가치관의 회복, 궁극적으로는 모든 피조 세계의 완전한 회복)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구속을 나타내는 redemption, reconciliation, renewal, salvation, regeneration 등의 단어들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보여주는 말들입니다. 예수께서 만물을 회복하신다는 것은 먼저 인간에게 의와 진리와 거룩함의 형상(에베소서 4:24, 골로새서 3:10)을 회복하셔서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피조 세계를 향한 본래의 문화명령을 이루게 하시며, 모든 사람에게(마가복음 16:15, 마태복음 28:18-20) 화목의 복음을 전하게 하시는 것입니다.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 났나니 저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책을 주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며 저희의 죄를 저희에게 돌리지 아니하시고 화목하게 하는 말씀을 우리에게 부탁하셨니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사신이 되어 하나님이 우리로 너희를 권면하시는 것 같이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간구하노니 너희는 하나님과 화목하라. (고린도후서 5:17-20)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 났나니 저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책을 주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며 저희의 죄를 저희에게 돌리지 아니하시고(예레미야 31:34) 화목하게 하는 말씀(the message of reconciliation)을 우리에게 부탁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사신이 되어(고린도후서 5:18-20)

 

구속은 우리가 잃었던 영적 공허를 예수 그리스도로 채우고, 성령님의 인도와 동행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살아가게 함으로서, 창조 때 주신 문화 명령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공하여 줍니다. 이로서 타락으로 인해 왜곡되고 흐려졌던 가치관과 문화가 회복되고, 학문의 기초와 방향도 새롭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학문의 기초는 하나님의 말씀의 계시요 학문의 주인은 예수 그리스도이시고, 또 그것의 결과와 목적도 바벨탑(인간이 인간의 힘으로 이루려하는 인본주의적/과학주의적 유토피아)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과 이웃 사랑임을 알게 하는 것이 구속으로 가능케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주님을 영접하고 성령님의 인도함으로 이 땅에서 천국의 기쁨을 경험할 수는 있지만 이 피조 세계의 회복이 아직 완전히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already but not yet). 예수님께서 재림주로 다시 오시는 날, 그리고 심판의 날 이후에 있을 새 하늘과 새 땅에서 바로 타락 이전의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심히 좋았던 피조 세계가 훨씬 더 완벽한 상태로 재창조될 것입니다(요한계시록 21:18).

 

구속이 이와 같이 현세적인 것과 미래적인 것을 동시에 의미할 수 있듯이 하나님의 나라도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하나님의 왕권(Kingship), 즉 하나님께서 왕으로서 직접 다스리는 나라를 말한다면, 현재 나의 삶에서 천국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즉 나의 마음 속에서나 나의 삶 속에서 주님이 왕/주인으로서 다스리시고 계시다면 곧 그것이 천국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천국은 미래적임과 동시에 현세적이라고 하셨습니다. (already but not yet).

 

하나님의 나라는 (예수께서 다시 재림하실 때까지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누가복음 17:21)

 

하나님께서는 영혼구원 뿐만 아니라 피조 세계의 회복에도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우리의 첫째 임무는 물론 우리 이웃과 세상 끝까지 복음을 전하는 일이지만, 또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성경적 문화/사회를 회복해야 하는 책임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와 문화의 성경적 회복은 인간의 심장의 회복(성령으로 거듭남)없이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음을 또한 명심하여야 하겠습니다.(출처 : "성경적 세계관 세우기"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6 성경을 어떻게 읽고 적용할 것인가 - 김무현 honey 2013.05.28 1168
255 성경적 세계관의 의미와 적용 4 - 김무현 honey 2013.05.28 1072
254 다른 세계관들 - 김무현 honey 2013.05.19 1063
253 성경적 세계관의 의미와 적용 3 - 김무현 honey 2013.05.13 1086
252 성경적 세계관의 의미와 적용 2 - 김무현 honey 2013.05.13 1136
251 성경적 세계관의 종합적 의미 - 김무현 honey 2013.05.11 1129
250 성경적 세계관의 의미와 적용 - 김무현 honey 2013.05.08 1208
249 성경적 세계관 세우기 - 김무현 honey 2013.05.05 1349
» 성경적 세계관의 기본구조 3 - 김무현 honey 2013.04.29 1128
247 성경적 세계관의 기본구조 2 - 김무현 honey 2013.04.19 1154
246 성경적 세계관의 기본구조 1 - 김무현 honey 2013.04.16 1272
245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 김무현 honey 2013.04.07 2656
244 성경적 세계관 세우기(1) - 서언 - 김무현 honey 2013.04.05 1167
243 창조와 진화 - 두 세계관의 싸움2 - 김무현 honey 2013.04.05 2242
242 창조와 진화 - 두 세계관의 싸움 - 김무현 honey 2013.04.02 1291
241 호르몬의 균형 - 김경태 honey 2013.03.28 2216
240 헬리코박터 - 김경태 honey 2013.03.28 1075
239 헤어 컬러링(hair coloring) 시대 - 김경태 honey 2013.03.24 2307
238 타이타닉과 노아방주 - 김경태 honey 2013.03.23 1144
237 콜롬비아호의 최후 - 김경태 honey 2013.03.20 2217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8 Next
/ 28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