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사색

오늘:
61
어제:
266
전체:
1,933,566
조회 수 13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아의 홍수 (55) 감람 새 잎을 보았을 때

이재만 (LA 창조과학 선교사, 지질학, 구약학, ark@hisark.com)

 

'또 칠 일을 기다려 다시 비둘기를 방주에서 내놓으매 저녁때에 비둘기가 그에게로 돌아왔는데 그 입에 감람나무 새 잎사귀가 있는지라 이에 노아가 땅에 물이 줄어든 줄을 알았으며” (8:10, 11)

 

So he waited yet another seven days; and again he sent out the dove from the ark. The dove came to him toward evening, and behold, in her beak was a freshly picked olive leaf. So Noah knew that the water was abated from the earth. - Genesis 8:10-11, NASB

 

노아는 이레를 더 기다리다가, 그 비둘기를 다시 방주에서 내보냈다. 그 비둘기는 저녁때가 되어서 그에게로 되돌아왔는데, 비둘기가 금방 딴 올리브 잎을 부리에 물고 있었으므로, 노아는 땅 위에서 물이 빠진 것을 알았다. - 창세기 8:10-11, 새번역

 

평화의 상징으로 비둘기가 감람나무 잎을 물고 있는 그림에 익숙할 것이다. 그 그림이 나오게 된 이야기가 바로 이 성경구절이다. 노아는 첫 번째 비둘기가 돌아온 후 일주일 후에 두 번째로 비둘기를 내 보내었다. 그러니까 대홍수 후 271일째 되는 날이다. 그리고 저녁때에 비둘기가 돌아왔을 때 감람 새 잎사귀를 물고 있었다. 여기서 감람 새 잎사귀는 영어로 'a freshly picked olive leaf' 혹은 ‘(and, lo, in her mouth was) an olive leaf plucked off - KJV’라고 번역되어 있다. ''를 의미하는 freshly는 히브리어로 taraph인데 '따낸' 또는 '싱싱한' 등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두 번째 비둘기가 물고 온 것은 물 위에 떠다니던 시들은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감람나무에서 직접 따온 새 잎이었다.

 

감람나무는 모든 나무 중에서 악조건 속에서도 가장 잘 견디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 감람나무는 오랜 가뭄, 독충, 홍수, 비탈, 돌밭 등 최악의 조건과 토양에서도 생존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하며 다량의 수확을 얻을 수 있다. 감람나무는 웬만큼 어려운 조건에서도 완전 성숙한 나무를 이식할 수 있는데, 옹이(knot)는 바로 뿌리를 내려 수분을 흡수하며 다시 자라난다. 원예를 할 때 실제로 꺾꽂이 줄기꽂이의 생식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창세기 기록가운데 다른 나무보다 감람나무가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은 흥미로운 기록이 아닐 수 없다. 다른 나무보다 강인하고 줄기꽂이로 쉽게 이식이 가능하므로 홍수의 물이 빠져나간 후에 가장 먼저 복원될 가능성이 높은 식물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대홍수 이후 다른 많은 식물도 역시 지면에 가까이 묻힌 부러진 가지에서부터 싹트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 가운데 감람나무가 가장 빨리 자랐을 가능성이 높았던 것이다.

 

 1.jpg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Olive

 

또한 이 기록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성경에서 대홍수에 대해 시작부터 마치는 날까지 일관되게 전 지구적 홍수를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150일간 땅이 물로 창일했다는 기록과 그 물이 물러가는 기간이 지난 호에서 말한 것과 같이 717일에서 101일까지 74일이 경과 된 것이 모두 전 지구적인 홍수의 규모가 아니고는 불가능한 내용뿐 아니라, 물이 빠지기 시작한 이후 넉 달 이상이 경과된 후에야 비둘기가 싱싱한 새 잎사귀를 발견하게 되었다는 것은 그 자체가 대홍수의 광대한 파괴를 내포하는 중요한 증거다. 왜냐하면 만약에 지역적 홍수였다면 비둘기가 감람나무 잎을 따오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노아는 비둘기가 따온 감람나무 새 잎을 보고 하나님께서 심판하신 땅이 다시 복구되어가는 것을 그렸을 것이다. 또한 자신이 방주 안에서 기다려야 할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도 느꼈을 것이다. 이제 노아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미지의 세상을 앞에 두고 있는 것이다. 빨리 나가고 싶었을까? 아니면 두려움이 앞섰을까?

 

출처: http://www.hisark.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8 그랜드캐년에서 화석이 진화순서대로 발견될까? - 이재만 file honey 2014.06.06 2137
87 그랜드캐년의 형성 - 이재만 file honey 2014.06.06 799
86 노아의 홍수 (63) 여전히 땅에 충만하라 file honey 2013.10.27 1443
85 노아의 홍수 (62) 덮개효과 file honey 2013.10.19 1287
84 노아의 홍수 (61) 추위와 더위 honey 2013.10.05 1219
83 노아의 홍수 (60) 저주받은 땅 honey 2013.01.22 1476
82 노아의 홍수 (59) 동물들의 대이동 file honey 2013.01.09 1686
81 노아의 홍수 (58) 방주에서 나오라 file honey 2012.12.17 1479
80 노아의 홍수 (57) 물이 완전히 마름 file honey 2012.12.12 1524
79 노아의 홍수 (56) 비둘기가 돌아오지 않았을 때 file honey 2012.12.08 1590
» 노아의 홍수 (55) 감람 새 잎을 보았을 때 file honey 2012.12.05 1387
77 노아의 홍수 (54) 비둘기가 돌아왔을 때 file honey 2012.11.27 1350
76 노아의 홍수 (53) 까마귀를 보낼 때 file honey 2012.11.27 1272
75 노아의 홍수 (52) 지질학적 증거 - 잔류지형 file honey 2012.11.27 1533
74 노아의 홍수 (51) 표이석 file honey 2012.11.27 1337
73 노아의 홍수 (50) 방주는 어디에? file honey 2012.11.27 1377
72 노아의 홍수 (49) 침식윤회? file honey 2012.11.24 15308
71 노아의 홍수 (48) 선상지(Alluvial Fans) file honey 2012.11.22 1366
70 노아의 홍수 (47) 산의 모양 file honey 2012.11.20 1378
69 노아의 홍수 (46) 석탄(Coals) file honey 2012.11.19 13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