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묵상특강

오늘:
269
어제:
224
전체:
1,936,522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4-06-17() 관대한 믿음(신명기 24:17-22)

Generous Faith(Deuteronomy 24:17-22)

 

(24:17) 너는 객이나 고아의 송사를 억울하게 하지 말며 과부의 옷을 전당 잡지 말라//Thou shalt not pervert the judgment of the stranger, {nor} of the fatherless; nor take a widow's raiment to pledge:

(24:18) 너는 애굽에서 종 되었던 일과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를 거기서 속량하신 것을 기억하라 이러므로 내가 네게 이 일을 행하라 명령하노라//But thou shalt remember that thou wast a bondman in Egypt, and the Lord thy God redeemed thee thence: therefore I command thee to do this thing.

(24:19) 네가 밭에서 곡식을 벨 때에 그 한 뭇을 밭에 잊어버렸거든 다시 가서 가져오지 말고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손으로 하는 모든 일에 복을 내리시리라//When thou cuttest down thine harvest in thy field, and hast forgot a sheaf in the field, thou shalt not go again to fetch it: it shall be for the stranger, for the fatherless, and for the widow: that the Lord thy God may bless thee in all the work of thine hands.

(24:20) 네가 네 감람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그 남은 것은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며//When thou beatest thine olive tree, thou shalt not go over the boughs again: it shall be for the stranger, for the fatherless, and for the widow.

(24:21) 네가 네 포도원의 포도를 딴 후에 그 남은 것을 다시 따지 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When thou gatherest the grapes of thy vineyard, thou shalt not glean {it} afterward: it shall be for the stranger, for the fatherless, and for the widow.

(24:22) 너는 애굽 땅에서 종 되었던 것을 기억하라 이러므로 내가 네게 이 일을 행하라 명령하노라//And thou shalt remember that thou wast a bondman in the land of Egypt: therefore I command thee to do this thing.

 

(요절: 신명기 24:19) 네가 밭에서 곡식을 벨 때에 ...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When you are harvesting in your field . . . leave [some] for the foreigner, the fatherless and the widow.[Deuteronomy 24:19]

 

 

A few years ago, our church was invited to host refugees fleeing their country after a tumultuous change in political leadership. Entire families came with only what they could fit in a small bag. Several of our church families opened their homes, including some who had little room to spare.

몇 년 전, 우리 교회는 정치 지도부의 격변으로 고국을 떠난 난민들을 돕도록 초대받았다. 가족 전체가 작은 가방에 들어갈 수 있는 짐만 가지고 왔다. 우리 교회 가족 중 몇 명은 집을 열었는데, 그중에는 여유 공간이 거의 없는 가족도 있었다.

 

Their gracious hospitality reflects God’s triple command to the Israelites when they entered the promised land (Deuteronomy 24:19-21). As an agricultural society, the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he harvest. The crops were essential to get them through until next year. This makes God’s command to “leave [some] for the foreigner,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v. 19) also a request to trust Him. The Israelites were to practice generosity not by giving only when they knew they had enough but giving out of a heart that trusts God’s provision.

그들의 은혜로운 환대는 약속의 땅에 들어갔을 때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하나님의 세 가지 명령을 반영한다(신명기 24:19-21). 농경 사회였던 그들은 수확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농작물은 다음 해까지 버티는 데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일부를] 남겨두라”(19)는 하나님의 명령은 하나님을 신뢰하라는 요청이기도 하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이 가진 것이 넉넉한 줄 알고 베푸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공급을 신뢰하는 마음에서 베푸는 관대함을 실천해야 했다.

 

Such hospitality was also a reminder “that [they] were slaves in Egypt” (vv. 18, 22). They were once oppressed and destitute. Their generosity was a reminder of God’s graciousness to them in freeing them from bondage.

이러한 환대는 그들이 애굽에서 종 되었던 사실”(18, 22)을 상기시키는 것이기도 했다. 그들은 한때 억압받고 가난했다. 그들의 관대함은 그들을 속박에서 해방시켜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상기시키는 것이었다.

 

Believers in Jesus are similarly urged to be generous. Paul reminds us, “Though [Christ] was rich, yet for your sake he became poor, so that you through his poverty might become rich” (2 Corinthians 8:9). We give because He gave to us. Matt Lucas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관대해지라는 권고를 받는다. 바울은 “[그리스도]는 부요하신 이로서 너희를 위하여 가난하게 되심은 그의 가난함으로 말미암아 너희를 부요하게 하려 하심이라”(고린도후서 8:9)고 상기시켜 준다. 그분이 우리에게 주셨기 때문에 우리는 베푼다.

 

When has someone helped you when you were in need? How will you give to others while trusting God’s provision for you?

도움이 필요할 때 누군가 여러분을 도와준 적이 있나요? 여러분을 향한 하나님의 공급을 신뢰하면서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베풀 수 있을까요?

 

 

Dear Father, please open my eyes to the needs of the marginalized in my community.//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지역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필요에 눈을 뜨게 하소서. 나의 시선이 나의 가정으로 좁아지게 하지 마시고 주님의 시선으로 주변을 넓게 볼 수 있게 하소서. 그들의 필요를 위해 내가 무엇을 줄 수 있는지 살피게 하소서. 나에게 허락하신 모든 것들을 하나님 나라의 필요에 사용하게 하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23 2024-06-19(수) 자유의 하나님(출애굽기 3:1-10) honey 2024.06.17 10
6122 2024-06-18(화) 고독한 자들의 친구(시편 68:3-6,19) honey 2024.06.15 11
» 2024-06-17(월) 관대한 믿음(신명기 24:17-22) honey 2024.06.15 10
6120 2024-06-16(일) 치유의 희망(요한복음 5:1-9) honey 2024.06.15 11
6119 2024-06-15(토) 봉사하는 마음(갈라디아서 5:13-18) honey 2024.06.15 10
6118 2024-06-14(금) 곤경과 더 깊은 믿음(마가복음 5:21-34) honey 2024.06.14 8
6117 2024-06-13(목) 오실 예수님을 기대함(마태복음 24:36-44) honey 2024.06.14 11
6116 2024-06-12(수) 하나님이 창조하신 걸작품(시편 139:13-18) honey 2024.06.12 10
6115 2024-06-11(화) 셉나의 무덤(이사야 22:15-24) honey 2024.06.11 11
6114 2024-06-10(월) 매 순간이 중요하다(디모데후서 4:1-8) honey 2024.06.10 11
6113 2024-06-09(일) 넉넉한 마음으로 주기(고린도후서 9:6-11) honey 2024.06.09 9
6112 2024-06-08(토) 집안의 신들(창세기 35:1-5) honey 2024.06.07 9
6111 2024-06-07(금) 주는 기쁨(사도행전 20:17-24, 34-35) honey 2024.06.07 9
6110 2024-06-06(목) 하나님께 감사하라(누가복음 24:28-35) honey 2024.06.06 9
6109 2024-06-05(수) 하나님이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예레미야 1:1-10) honey 2024.06.05 9
6108 2024-06-04(화) 갈증과 감사(시편 42:1-5) honey 2024.06.04 11
6107 2024-06-03(월) 우리를 깨끗하게 하시는 예수님(요한일서 1:5-10) honey 2024.06.03 11
6106 2024-06-02(일) 은혜로 받은 것을 은혜로 나눔(시편 112) honey 2024.06.02 11
6105 2024-06-01(토) 호울리에서 홀리로(디모데후서 1:6-10) honey 2024.05.31 12
6104 2024-05-31(금) 피자를 함께 먹으며 받는 은혜(유다서 1:17-23) honey 2024.05.31 11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22 Next
/ 322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