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한 대홍수 이후 빙하기
(The Unique post-Flood Ice Age)
Michael Oard 글, 이종헌 역
출처: creation magazine Vol. 41(2019), No. 4 pp. 44-47
루이스 아가시즈(1801~1873)가 빙하기에 대한 증거를 처음으로 제시한 1837년 이후로, 세속 과학자들은 어리둥절했다. 왜 빙하기가 시작되었을까? 무엇이 빙하기를 멈추게 했을까? 수년에 걸쳐, 창조과학자들은 창세기에 기록된 전 지구적인 대홍수에 의해 지구상에서 생긴 비정상적인 조건이 빙하기를 일으킨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그들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질문에 답을 주는 강력한 모델을 개발했다.(1) 표 1은 빙하기가 시작되기 전에 충족되어야하는 세 가지 요구 사항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건은 전 지구적인 대홍수 직후에 존재했었다.
표 1. 빙하기에 대한 세가지 주요한 요구조건
빙하기에 대한 요구조건(거대한 얼음 빙상의 형성)
1) 오늘날보다 훨씬 선선한 여름(그렇지 않으면 빙상이 남아있지 않을 것이다 - 오늘날의 겨울은 빙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춥다)
2) 오늘날보다 훨씬 더 많은 강우(대기로부터의 습기에 의한 - 보다 추운 위도에서는 이것이 눈으로 될 것이다)
3) 기후의 변화/파괴가 수백년 동안 지속적이어야 커다란 빙상이 형성될 수 있다
Volcanoes and impacts jumpstart it(화산과 충돌로 그것이 시작되었다)
필요한 더 선선한 여름은 대홍수 동안의 풍부한 화산활동과 운석 충돌로 인해 발생했으며, 이것이 성층권에 매우 작은 입자들을 갖게 하여 햇빛의 일부를 우주로 반사시켰다(그림 1). 이 화산활동은 지질학적 기록에 증거를 남겼다. 세속 과학자들은 멕시코 남부에서의 운석 충돌을 연구하여 성층권 높은 곳의 작은 입자의 영향을 추정했다. 그들은 그것이 약 30년 동안 전 지구의 평균 기온을 27°C(49°F) 이상 냉각 시켰으며(2,3) 이것은 단 하나의 커다란 충돌일 뿐이다. 대홍수 동안 화산활동의 최종 결과로 대홍수 직후에, 특히 캐나다 중부의 해당 영역과 중위도 및 고위도의 높은 산에서 빙하기가 빠르게 시작되었을 것이다. 쌓인 눈의 양이 늘어나면서 얼음으로 덮인 지역이 증가했다. 빙상은 물리적으로 높은 위도에서부터 확장될 필요가 없었다.
그림 1. 햇빛의 일부가 성층권 입자로부터 우주로 반사. 화산재는 몇 주 또는 몇 달 안에 가라앉지만, 작은 에어로졸은 몇 년이 걸린다.
Ongoing volcanism prolongs cooling(지속적인 화산활동으로 냉각이 유지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 작은 화산 입자들은 성층권으로부터 천천히 가라앉을 것이다. 그러나 대홍수 이후의 풍부한 화산 활동이 그것들을 보충하여 서늘한 여름이 몇 년 동안 유지되었을 것이다. 빙하기 전문가 J. K. Charlesworth는 다음과 같이 썼다: “… 홍적세의 [빙하기] 화산 활동과 지구 이동의 징후를 세계 곳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4)
그린란드 빙핵의 빙하기 해당 부분은 빙상에 기록된 1,927개의 화산 사건의 증거를 보여준다.(5) 지구에는 700개의 성층화산이 있으며(그림 2),이 원뿔들은 주로 대홍수 이후의 화산활동을 나타낸다.
그림 2. 미국 워싱턴 주 해발 4,392m(14,411 피트)의 레이니어(Rainier) 성층화산. 대홍수 이후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0 년 동안의 폭발로 인한 데이터에 따르면 한 번의 폭발로 전지구적으로 혹은 지역적으로 몇 년 동안 약 0.5~2.5°C(1~4.5°F) 만큼 냉각시킬 수 있다. 대홍수 이후 빙하기 동안의 몇 개의 폭발이 역사 시대의 폭발들보다 훨씬 더 컸다. 수마트라의 거대한 토바(Toba) 폭발은 9-10 년 동안 전지구의 온도를 3.5°C(6.3°F) 냉각시킨 것으로 여겨지며(6), 일부 추정치는 그보다 훨씬 더 크다.
이러한 폭발의 결과로 육지는 해양보다 훨씬 더 빨리 냉각되었을 것이며, 특히 여름의 평균 기온이 낮아졌다. 대양은 주로 증발을 통해 열을 잃게 된다. 이 열 손실은 대기보다 훨씬 느리게 일어났을 것이다. 시원한 육지와 따뜻한 바다는 빠른 빙하기에 이상적인 조건을 만들었을 것이다.
Warm oceans supply the moisture(따뜻한 대양이 수분을 공급하다)
따뜻한 대양은 빙하기에 필수적인 풍부한 수분을 제공했다. 증발은 해수면 온도와 관련이 있다. 전지구적인 대홍수 이후, 대양의 온도는 주로 대홍수 기간 동안 “큰 깊음의 샘들이 터졌을 때”(창세기 7:11)의 막대한 화산활동으로 인해 오늘날보다 훨씬 더 따뜻했을 것이다. 이것은 지질학적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막대한 화산활동으로 인한 용암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 뿐 아니라 지하수가 과열되어 있다는 것과도 일치한다.
오늘날의 바다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가열은 중위도 및 고위도에서였을 것이다. 북극해는 강한 증발로 인하여 따뜻하고 얼음이 없어서 강수율이 높게 되었다. 그것들이 땅에 떨어질 때는 눈보라에 뒤이은 또 다른 눈보라가 되어 결국 커다란 빙상이 발달했을 것이다. 이 시기 동안에 위도가 더 낮은 지역에서도 강수율이 높아서, 현재 매우 건조한 지역을 포함하여 강수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빙하기는 바다가 냉각되고 대홍수 이후 화산 활동이 줄어들 때까지 유지되었을 것이며, 그 이후 쇠퇴했다. 빙하기의 기간은 약 500년의 형성기와 200년의 쇠퇴기로 대변되는 대략 700 년이었으며, 빙하기가 되는 데에 4만년이나 10만년이 필요하지 않다.
Short timescale - key to mystery(짧은 시간 척도 - 미스터리를 푸는 열쇠)
화산활동과 관련하여, 세속 과학자들은 큰 화산이 수년 동안 기후를 냉각 시킨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이들 빙하기 화산이 수만 년 혹은 그 이상에 걸쳐 퍼져 있었다면, 각각의 화산 폭발은 장기적인 냉각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들 모든 화산 폭발을 수백 년 안에 끼워 넣는다면, 화산활동은 빙하기에 대한 강력한 냉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성경이 제공하는 짧은 시간 척도는 부수적인 문제가 아니라, 세속 과학자들에게 지난 200 년 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던 하나의 빙하기에 대한 원인을 푸는 열쇠가 된다.(7)
Winters warmer than today(오늘날보다 더 따뜻한 겨울)
창조론자들의 대홍수 이후 빙하기는 세속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빙하기와 상당히 다르다. 그들은 매우 춥고 건조한 겨울을 가정하지만, 성경적 모델에서는 겨울이 특히 빙하기 초기와 중반 동안에는 오늘날보다 훨씬 더 따뜻하고 습했다. 이 따뜻함은 대홍수가 기후 영향에 끼친 두 가지 독특한 과정에서 나온다. 첫 번째는 따뜻한 바다와 접촉하여 해양의 공기가 가열되는 것이다. 이 따뜻해진 공기는 특히 북아메리카 서부와 유럽 서부에서 육지쪽으로 따뜻한 공기 흐름을 생성했다. 오늘날 육지쪽으로의 흐름은 미국의 워싱턴주 서부 지역이 같은 위도의 미국 내륙보다 겨울에 훨씬 더 따뜻한 이유가 된다. 이 육지쪽으로의 공기 흐름의 결과로, 높은 산을 제외하고 북아메리카의 서부와 유럽의 서부에서 빙하기가 지연되었다.
둘째, 수증기가 응축되어 강우가 일어나면 그것은 대기로 많은 열을 방출한다. 이는 폭풍우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데, 중위도 및 고위도에서 겨울에 가장 강력하게 된다. 이 겨울 열은 온 지구에 퍼져나갔을 것이다. 공기가 더 따뜻할수록 더 많은 수분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더 따뜻하고 더 습한 겨울에는 비와 눈이 훨씬 더 많이 왔을 것이다.(그림 3).
그림 3. 포화(100% 상대 습도) 상태에서 물의 증발 용량과 온도와의 관계에 대한 그래프. 온도가 10°C에서 –2°C로 냉각됨에 따라 용량이 60% 감소함을 주목하라.
Solving Ice Age mysteries(빙하기 미스터리를 해결하기)
유일한 성경적 빙하기 모델은 세속 과학자들이 약 200 년 동안 씨름해 온 지구 과학의 고질적인 미스터리를 해결해 준다. 창세기 대홍수는 왜 빙하기가 시작되었는지, 왜 멈추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해서 수십 만년이 아니라 단지 수백 년이 걸리게 되었는지를 설명해 준다. 빙하기 모델은 시베리아, 알래스카 및 캐나다 유콘 준주에서 털북숭이 매머드의 생활과 죽음; 빙하기 말기의 동물들의 대량 멸종; 따뜻한 기후의 동식물과 추운 기후의 동식물의 혼합; 그리고 오늘날 건조한 지역(예로 사하라와 호주 중부)이 한때 물이 풍부했던 이유 등과 같은 또 다른 미스터리를 해결해준다. 이것들은 추후의 기사에서 다룰 예정이다.
References and notes(참고문헌과 주석)
1. Oard, M.J., Frozen in Time: Woolly Mammoths, the Ice Age, and the Biblical Key to Their Secrets, Master Books, Green Forest, AR, 2004.
2. Brugger, J., Feulner, G., and Petri, S., Baby, its cold outside: climate model simulations of the effects of the asteroid impact at the end of the Cretaceou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4:419–427, 2017.
3. Artemieva, N., Morgan, J., and Expedition 364 Scientific Par t y, Quantifying the release of climate-active gases by large meteorite impacts with a case study of Chicxulub,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4(20):10180–10188, 2017.
4. Charlesworth, J.K., The Quaternary Era, Edward Arnold, London, UK, p. 601, 1957.
5. Abbott, P.M. and Davies, S.M., Volcanism and the Greenland ice-cores: the tephra record, Earth-Science Reviews 115:173–191, 2012.
6. Timmreck, C., Graf, H.-F., Lorenz, S.J., Niemeier, U., Zanchettin, D., Matei, D., Jungclaus, J.H., and Crowley, T.J., Aerosol size confines climate response to volcanic super-erup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7(L24705), 1–5, 2010.
7. Oard, M.J., The Deep Time Deception: Examining the Alleged Millions of Years, Creation Book Publishers, Powder Springs, GA, 2019.
MICHAEL OARD, M.S.
has an M.S. in atmospheric science and is a retired meteorologist from the US National Weather
Service. He has authored numerous books and articles, including Exploring Geology with Mr Hibb. He is on the board of Creation Research Society and is widely regarded as an expert on Ice Age creation topics. For more: creation.com/oard.
부록: What about the other ice age?(다른 빙하기는 어떠한가?)
세속 과학자들은 최초의 빙하기가 20억 년 전에 시작되었다고 말하고, 5개의 주요 빙하기 시기가 있었다고 생각한다(표를 보라). 이들 각각은 수백만에서 수억 년 동안 지속되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 주요 빙하기 시기를 홍적세(Pleistocene)라고 하는데, 그것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강도의 50개의 빙하기로 나누며, 지난 26 억 년 동안 각각 40,000 년 또는 100,000 년의 주기를 갖는다고 한다.(1) 이들 수많은 빙하기와 간빙기의 주기는 빙하기에 대한 천문학적 Milankovitch 이론에서 나온 것이다. 창조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그 이론은 단 하나의 빙하기조차 설명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은 홍적세의 빙하기가 마지막이라는 것은 사실이라고 세속 과학자들과 동의한다.(2) 이전에 ‘빙하기’가 49번 있었다는 주장에 대해 창조과학자들은 그것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데, 그들의 주장은 주로 심해의 침전물 코어에서 특정 매개변수의 변동을 추론적으로 해석한 것에 근거한다.
표: 동일과정설(‘느리고 점진적인’) 패러다임에서의 다섯 개의 주요 빙하기 기간과 그들에게 지정된 시간대(3) 및 그에 상응하는 창조론 입장
지질 시대 |
대략적인 세속 시간대 |
대략적인 창조론 시간대 |
홍적세 |
10,000년에서 26억년 전 |
4,500년에서 3,800년전 |
고생대 후기 |
2억5천6백만년에서 3억3천8백만년전 |
일어나지 않았다 |
오르도비스기 후기 |
4억2천9백만년에서 4억4천5백만년전 |
일어나지 않았다 |
선캄브리아기 후기 |
5억2천만년에서 9억5천만년전 |
일어나지 않았다 |
선캄브리아기 중반 |
22억에서 24억년전 |
일어나지 않았다 |
Not ancient ‘ice ages’ but huge landslides during the Flood
(고대의 ‘빙하기’가 아니라 대홍수 동안의 거대한 산사태)
세속주의자들은 빙하로 덮였던 지역에서 나온 것과 유사한 퇴적암에서의 특징으로부터 가장 오래되었다고 알려진 네 개의 빙하기 시대를 추론한다(노아의 대홍수에 뒤이은 최근의 빙하기와 구별하기 위하여 이들을 ‘고대의 빙하기’라고 부른다). 이 추론의 한 가지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특징이 항상 빙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 ‘빙하’ 해석의 또 다른 주요 결함은 그 암석이 적도 근처에서 발견된다는 것이며 더 재난적인 것은 그것들이 해수면 아래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세속 과학자들은 적어도 두 번은 지구 전체가 완전히 빙하로 덮였다고 가정해야 한다! 소위 말하는 이 ‘눈덩이 지구(Snowball Earth)’가설(4)은 햇빛이 우주로 반사되기 때문에 얼음과 눈을 녹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과학적으로 수용할 수가 없다. 이에 대한 보다 논리적인 대안적 설명은 그 특징들이 대홍수 동안 흔한 현상이었을 수 있는, 광범위한 수중 산사태로부터 기인한 것이라는 것이다.(5,6)
References(참고문헌)
1. Walker, M. and Lowe, J., Quaternary science 2007: a 50-year retrospectiv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London 164:1,073-1,092, 2007
2. Oard, M. J., What caused the Ice Age? Creation 36(3):52-55, 2014; creation.com/ice-age-number.
3. Crowell, J. C., Pre-Mesozoic ice age: their bearing on understanding the climate system,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Memoir 192, Boulder, CO, 1999.
4. Oard, M. J., ‘Snowball earth’-a problem for the supposed origin of multicelullar animals, J. Creation 16(1):6-9, 2002.
5. Oard, M. J., The challenge of ancient ice ages answered, Creation 38(1):38-40, 2016.
6. Oard, M. J., Ancient Ice Ages or Gigantic Submarine Landslides? Creation Research Society Books, Chino Vally, AZ,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