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화읽기

오늘:
7
어제:
200
전체:
1,934,177
조회 수 6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창세기의 원역사 과학으로 말하다

임번삼 저, 크리스찬서적, 2014515일 초판발행, pp.375, 15,000

(2014717일 읽음)

 

창세기 1-11장에 대하여 굉장히 많은 자료를 정리했다. 창세기 앞부분에 관련하여 우리가 알아야 할 지식을 총 망라한 것 같다. 저자가 창세기에 대하여 가지는 풍부한 지식이 놀랍니다. 다만 신학적으로 완성되지 않은 부분은 언급하지 않는 것이 더 좋았을 뻔했다. 어떻든 두고두고 참고할 자료는 매우 많다.

 

<Memo>

 

1강 천지창조

* (참고) 중국의 창조 신화는 난생설화이다. 태초에 우주를 품은 알 속에 거인 반고가 들어 있었는데, 그가 18천여년간의 긴 잠에서 깨어나 껍데기를 깨뜨리자 청명한 기운은 위로, 혼탁한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하늘과 땅이 분리되었다는 것이다.

* 난생설화는 신라의 건국신화에도 나온다.

 

2강 천지의 창조

* p.23 - 3일은 기본 틀을 만들고, 3일에는 첫 3일에 상응하는 ... - 이것은 구조가설이다. 왜 틀렸는지는 창세기1”(이재만)에 자세히 나와있다.

* p.33 - ‘하나님은 혼돈(chaos)의 상태로 우주를 만드셨고’ -No. 하나님이 처음에 만든 우주는 chaos 상태가 아니다.

* 영국의 천문학자 호일은 빅뱅이라고 비웃었다. 그런데 이 말이 이 학설의 대명사가 되었으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3강 식물의 창조

* 살아 있다는 것은 생물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1) 조직(Organ), (2) 대사적용(Metabolism), (3) 생식작용, (4) 자극과 반응, (5) 항상성, (6) 적응, 97) 집단생활, (8) 다양성

* 생명의 재생산: 씨앗이나 뿌리 및 매듭은 딱딱해서 동물이 먹지 않고 버린다. 그 버려진 곳에서 새 개체가 탄생해 종의 연속성을 유지해 간다.

 

4강 동물의 창조

* 동물은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죽으면 혼이 육체와 함께 흙으로 사라진다.

* 개미는 발걸음을 세면서 걷는다고 한다.

* 부패가 물질적 분해현상이라면 망각은 정신적 분해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 바이러스에 극소형의 모터가 있다는 사실

* 나비의 색깔은 이러한 나노구조에 빛이 반사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5강 사람의 창조

* (인류의 아담 이전 선재설) 휴 로스와 데이비드 영은 아담 이전에 또 다른 인류가 있었다고 말한다. 양승훈은 <<창조와 격변, 2006>>에서 아담 이전의 인간 존재의 가능성과 먹이사슬의 원리에 따라 아담 이전에 수많은 죽음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 오리겐은 창세기 1장의 인간은 무에서 남자와 여자의 영적 존재를 창조한 것이며, 창세기 2장의 아담과 하와는 흙으로 만든 육체를 가진 아담과 이브라고 해석했다.

* (창조설) 출생과 동시에 하나님이 영을 만들어 육체에 부여한다는 주장이다. 토머스 아퀴나스와 칼빈이 지지했다.

 

6강 에덴동산은 어떤 곳인가?

* 칸트의 영향을 받은 근대 신학의 아버지 슐라이어마허(1768-1834)는 이성보다는 감성을 중시했다. 그는 이성은 과학을, 양심은 도덕을, 감정은 종교를 낳는다고 했다. 그의 영향으로 성경비평이 촉발되었다. 그 결과 예수의 기적은 전설이며, 모세의 오경은 ... 문서가설을 제기했다.

 

7강 진화론적 인류 기원설

* 다윈과 토머스 헉슬리는 침팬지에서, 헤켈과 라마르크는 원숭이에서 진화했다고 주장했다.

* 미국의 진화학자 굴드는 공통조상설(2001)을 제시했다.

* (단일지역설) 미국의 윌슨과 캔은(1987) 현대인의 조상이 20만년 전에 운이 좋은한 여성에서 출발한 것으로 추리했다. 이와는 별도로 해머는(1995) 아프리카에서 188천년 전에, 굿펠로우는 49천년 전에 출현한 남성이 현대인의 조상이라고 주장한다.

* (자바인) 네덜란드 내과의사인 뒤부아는 독일 예나대학의 진화학자 헤켈에게 7년간 사사했다.

* 최근에는 독일의 연대측정 전문가인 자이텐이 30년 동안 C-14측정치를 조작한 혐의로 해임되어 큰 충격을 주었다.

* (네브라스카인) 미국의 진화학자 쿡(Cook, 1917-1922)은 네브라스카에서 어금니 두 개를 발굴했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의 회원이면서 진화론의 추종자인 오스본(Osborn, 뉴욕자연사박물관)은 이 치아의 주인공이 40만년 전의 원인인 것으로 판단하고, 헤스페로피테쿠스 헤롤드쿠키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마르크스주의자였던 그는 ACLU가 연출한 원숭이재판에서 기독교에 대항하기 위해 이 자료를 만들어 이용할 계획을 미리 세웠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필트다운인 조작에 관여했던 그래프턴 스미스는 존 쿡에게 네브라스카인의 상상도를 그리도록 지시했고, 이 그림은 가장 권위를 자랑하던 런던뉴스 화보(1922-1924)에 게재되었다. 3년 후 데이턴에서 열린 원숭이 재판에서 ACLU의 회원이면서 진화론측 변호사였던 대로우(Clearance Darrow)는 이 사진을 진화의 증거로 제시했다. 이를 근거로 재판장은 스콥스에게 100달러의 벌금형을 부과했을 뿐이다. 이 재판에서 진화론 측의 야비한 발언으로 상처를 입은 창조론 측 변호사 브라이언(Bryan)은 재판 6일 후에 애석하게도 사망했다. 브리태니커 사전은 제14(1929)에서 네브라스카인의 치아에 대한 기술이 잘못되었다고 인정했다. 각국 교과서와 박물관에서도 네브라스카인에 관한 내용이 모두 삭제되었다.

 

8강 생명과와 선악과

* 우리나라에는 용에 대한 신앙이 고려 중기에 유입되었다.

 

9강 가인과 아벨

* (가인이 성을 쌓고) 에녹은 성의 이름을 자기 아들의 이름을 따라 에리두라 부른 듯하다. 학계에서도 세계 최초의 도시가 수메르의 에리두(Eridu)라고 말한다.

 

10강 아담의 족보

* 에녹과 엘리야. 이들은 아마도 7년 대환란기에 최후의 복음을 전할 두 의인으로 사용하시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11:3-12).

* 한 가지 의문은 노아는 500세 이후에 세 아들을 낳았는데, 그 이전에 낳은 자녀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그들은 아마도 불신 계열에 합류한 것으로 보인다.

 

11강 죄악의 증가

* 하나님의 아들들이 타락한 천사들이라는 근거: 대부분의 초기 교부들이 동의했다.

* 천사들은 성경에서 항상 육체를 가진 남성으로 나타난다.

* 셋의 후손은 모두 경건했으나 가인의 후손은 모두 불경건했다는 주장은 잘못이다. 셋의 자녀들도 경건치 않은 자들이었으므로 대홍수로 모두 죽었다.

 

12강 노아의 대홍수

* 방주의 히브리어 테밧은 모세의 갈대상자와 같은 용어이다.

* 이 홍수로 6-9억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삽시간에 찬란했던 고대 문물과 함께 깊은 물속으로 무거운 돌처럼 수장되었다.

 

13강 육식의 허용과 무지개 언약

* 모든 생물들의 유전 체계가 전면적으로 재조정된 것으로 보인다. 소화기관은 섬유소를 분해하는 효소계로부터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계로 바뀌어야 한다.

* 미국의 빙하 지질학자 오어드는 대홍수 후 250년경에 빙하기가 시작되어 500년경에 절정을 이루었고, 1000년 후에 종료가 된 것으로 추리했다.

*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생물의 99% 이상이 해양 생물이며, 육상생물(대부분 해빙기 화석)0.0025%에 지나지 않는다.

 

14강 격변설과 동일과정설

* 당시 한 해가 360일이었다면, 지구의 자전 속도가 1.5%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

* 자연계에는 지구와 우주의 나이가 1만 년 미만임을 보여주는 증거들이 많다.

 

15강 노아의 예언 및 야벳의 후예

* 노아는 500세 이후에 세 아들을 낳은 후 더 이상 자녀를 낳지 않은 듯하다.

 

16강 함과 셈의 후예

* 노아의 세 아들의 출생 순서에 대해 장남이 셈이라는 설과 야벳이라는 설이 대립한다. 헨리 모리스는 야벳이 장자이고(노아 500세 출생), 셈은 503, 함은 그 중간에 낳았다고 해석한다.

* 유석근 목사(2006)는 욕단이 제1대 단군이며, 그들이 거주한 곳을 천산산맥의 인근으로 비정한다. 큰 집안인 벨렉 가문이 바벨탑 공사에 참여하려고 하자 욕단 가문은 그들과 이별하고 동방으로 이동한 듯하다. 이들이 아라랏산 또는 자그로스 산맥에서 벨렉 가문과 이별하는 과정에서 아리랑이라는 구슬픈 노래가 생긴 것으로 추측한다. 욕단의 무리에는 노아도 합류했을 것이다. 유석근은 스발이 시벨(세벨)로 바뀌었고, 16세기에 영국인들이 스발에 대륙을 의미하는 리아를 결합해 수발리라, 즉 시베리아로 개칭되었다고 주장한다.

* 중국의 삼황오제와 우, , 문왕, 공자, 주원장, 그리고 금을 세운 아골타와 누루하치 모두 우리와 같은 동이족이었다.

* 그 무리에는 그때까지 생존한 노아와 셈을 포함한 집안 어른들이 모두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리한다.

 

17강 바벨탑 사건과 언어, 인종의 분화

* (신전 입구의 두 기둥) 여신이 하나님과 동등한 존재임을 부각시키기 위한 의도였다. 후일 우르크를 건설한 엔메르카르(니므롯)는 그곳에 안을 보시는 에안나 신전을 세웠고, 인안나 여신상을 세워 경배했다.

* 탑 위에 있는 신전에서는 매년 태양과 달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제식 때에는 신관이 여러 방에서 호곡하는 여자성들과 성관계를 맺었으며, 선택을 받지 못한 여인들은 수치심 때문에 자신이 선택을 받을 때까지 계속 애곡했다고 한다. 이것이 성경에 나오는 담무스의 애곡이다.

* 이후 니므롯의 후예들은 대를 이어가며 도처에 변형된 바벨탑을 세웠다. 이라크의 지구라트를 비롯해, 이집트, 중남미, 이란의 피라미드, 인더스 문명의 중심지인 모헨조다로의 흙탑,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 만달레이 평원의 불교 사탑들, 인도네시아의 보로부드르, .. 동아시아의 불교 대웅전의 석탑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탑들은 우주의 중앙에 있다는 서방의 수미산과 메루산을 상징한다고 한다.

* 바벨탑 당시 인구는 2-4만여명으로 추정한다.

 

18강 진화론의 실체와 진화론이 역사에 끼친 해악

* 오파린-홀데인 가설: 무기물이 유기물을 거쳐 이중막을 가진 입자로 스스로 물질진화를 했다는 것이다.

* 진화는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

 

19강 유신진화론이란 무엇인가?

* 영국 성공회 신자인 C.S.루이스는 대표적인 유신진화론자라 할 수 있다.

* 복음주의 신학자인 프란시스 쉐퍼도 유신진화론을 옹호해 혼란을 일으킨다.

* 진화론을 가장 먼저 기독교계로 도입한 것은 영국의 성공회와 미국의 유니테리언이었다. 이들을 통해 진화론은 유신진화론이라는 신학 이론으로 변모했다.

* 미국의 신학자인 짐머만(위스콘신대학)이 주도한 목회자서신프로젝트에는 1만명 이상의 목사들이 참여했다고 한다.

* 1880년대에 보스턴에 근거지를 둔 유니테리언의 독실한 신자였던 아사 그레이가 하버드 대학에 진화론을 도입하는데 앞장을 섰다. 이어서 그의 영향으로 제임스 다나가 예일대학에 진화론을 도입함으로써 1900년을 전후해 미국의 대학들이 유신진화론의 온상으로 변모했다.

* 최근에는 스티븐 굴드가 NOMA를 앞세워 진화론이 과학계를 지배하도록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 ‘창조적 진화를 주장한 베르그송(1859-1941)에게 영향을 받은 예수회 신부 샤르댕(1881-1955)은 카톨릭에 진화 사상을 유입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리고 요한 바오로 2(1920-2005)는 마침내 진화론이 가설 이상의 정설이며, 인간은 선재하는 존재(유인원)에서 진화하였다고 선언하기에 이르렀다(동아일보 1996. 11. 10)

* (-연대설) 개혁복음주의 신학자인 장로교 목사 프란시스 쉐퍼(1912-1984)와 에드워드 영 및 허만 바빙크를 비롯해, 복음주의적인 미국과학자협회도 이에 동조한다.

* (점진적 창조론) 자칭 복음주의자라는 로스는 성경무오설을 지지하면서도 전 지구적인 대홍수를 부인하고 긴 연대설을 수용하며, 아담 이전에 백만년 이상 유인원들이 지구 위를 활보했다고 주장한다.

* (간격설) 스코필드주석성경, 워치만 니 – 세대주의자들과 일반인에 널리 확산

 

20강 창조론과 지적설계론

* 1961년 미국과 소련의 우주개발 경쟁에서 소련이 먼저 유인 우주선의 발사에 성공하자 미국은 큰 충격에 빠졌다. 그리고 소련처럼 진화교육을 도입하자는 잘못된 여론이 들끓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케네디 대통령은 공교육에서 종교교육을 금지하는 연방수정헌법을 만들게 했고(1963), 그가 암살을 당한 다음 해(1964)에 법안이 발효되었다. 테네시주를 필두로 대부분의 주가 창조론 교과서 내용을 진화론으로 대체했다.

* (지적설계론) 미국에서 창조론이 법적으로 퇴출되자(1987) 그 빈 자리를 메운 것이 지적설계론이다. 저명한 형법학자인 필립 존슨(1991)이 혜성처럼 나타나 제창한 이론이다.

* 국내에서는 나사 출신의 김영길 등이 세계복음화성회(1980)의 초빙강사로 내한한 헨리 모리스 등의 창조과학에 관한 강연을 통역하면서 자극을 받아 한국창조과학회를 설립했다(1981).

* 교회학교에서 창조교육을 가르치자.

 

21강 성경의 과학적 사실과 창조과학자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 내 생애 마지막 한 달 - 케리 슉, 크리스 슉 저, 김성웅 역 honey 2015.04.05 195
178 열린다 성경 동물이야기 - 류모세저 honey 2015.04.05 207
177 창세기의 족보 - 박윤식 저 honey 2015.01.25 294
176 요나와 꼬마벌레 - 질 브리스코 저, 이혜림 역 honey 2015.01.21 261
175 세포 속의 시그니쳐 - 스티븐 C. 마이어 저, 이재신 역 honey 2015.01.11 361
174 쉽게 이해되는 요한계시록 - 노우호 저 honey 2015.01.11 398
173 창세기에 답이 있다 - 캔함, 폴 테일러 저 honey 2014.11.13 278
172 1318 창조과학 A to Z - 김재욱 저 honey 2014.11.08 238
171 거짓 신들의 세상(Counterfeit God) - 티머시 켈러 저, 이미정 역 honey 2014.11.05 488
170 거룩한 투자 - 유종호 외 저 honey 2014.11.05 193
169 마지막 성도 - 데이비드 차 저 honey 2014.09.27 363
168 마지막 신호 - 데이비드 차 저 honey 2014.09.27 383
167 마귀를 이기는 어린양의 보혈 - 윌리엄, 샤론 슈뇌벨렌 honey 2014.08.09 428
» 창세기의 원역사 과학으로 말하다 - 임번삼 저 honey 2014.08.08 698
165 제국과 천국 - 브라이언 왈쉬, 실비아 키이즈마트 저 honey 2014.08.08 410
164 다른 불 - 존 맥아더 honey 2014.08.07 600
163 21세기 선교와 세계관의 변화 - 폴 히버트 저 honey 2014.06.17 964
162 하나님의 선교 - 크리스토퍼 라이트 honey 2014.06.10 2167
161 왕의 십자가 - 팀 켈러 저 honey 2014.05.17 896
160 창조주 하나님 - 이재만 저 honey 2014.04.16 6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