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토목전공

오늘:
62
어제:
266
전체:
1,933,567
2010.06.02 03:24

Q&A 대심도 급행철도

조회 수 4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Q&A 대심도 급행철도

Great Train Express

글/최상현, 한국철도대학 철도시설토목과 조교수

출처: 대한토목학회지, 2009. 6, 제57권 제6호, 통권 350호, pp. 95-98

 

Q: 얼마 전에 보도된 수도권 대심도 급행철도란 무엇인가요?

 

A: 대심도란 지상에서 40-50m 정도 이하의 지하공간으로 지상의 토지소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공간은 특히 도심구간에 산재한 건물 등 지장물의 저축과 보상비, 환경피해 및 주민 민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존 지하철 역간격이 통상 1km로 짧은데다 도로교통망과의 연계나 보상비 절감을 고려해서 기존 도로 밑으로 운행되다 보니 굴곡이 심해 시속 50km 이상으로 달리기 힘들게 됩니다. 이에 비해 지하 40-50m 이하는 인공구조물이 거의 없는 공간으로 일직선으로 터널을 뚫기 가장 좋은 곳입니다. 또한 터널 굴착 비용 측면에서도 굴착시 용출수가 나올 확률이 작고 지하 깊은 곳의 암반은 토사층보다 단단해 지보 설치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입니다. 보상비용 측면에서도  큰 경제적 장점이 있는데 서울시의 '지하부분 토지사용 보상기준 조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용지규정', 한국감정평가협회의 '토지보상 평가지침' 등 토지 보상비 산정기준을 보면 지하 40m 이상일 경우 보상 비율은 땅값의 0.2% 이하입니다.

 

 021-01.jpg

 021-02.jpg

 

 

이러한 대심도 철도는 아직 세계적으로 흔하지는 않지만 심도 79m에서 운행되는 미국 Oregon주 Portland Max light Rail의 Washington Park 4.8km 구간(그림 1), 심도 100-150m로 운행되는 북한의 평양지하철(그림 2) 등이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인구가 밀집된 도심과 같이 공간의 제약이 심각한 지역에서 지하공간을 이용하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지하철, 철도, 버스 주차장 등의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지하화하고 지상을 광장화한 프랑스 파리의 라데팡스(사진 1), 지하 4층, 길이 730m, 연면적 8만 제곱 킬로미터 이상의 복합지하상가로 지하철 4개역으로 직접 연결되도록 한 일본 오사카의 나가호리(그림 3)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021-사진1.jpg

 021-03.jpg

 

 

최근 경기도가 2012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수도권 대심도 광역급행철도는 이러한 대심도 공간을 이용한 철도로 역간 거리를 대략 6-8km로 멀게 하고 표정속도(대중교통 수단의 서비스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도로와 버스의 기종점 사이나 주요 버스 정류장 사이의 주행 거리를 주행 시간, 교차로에서의 정지시간, 승객의 승하차 시간 따위의 합계인 실제 소요 시간으로 나눈 속도)를 시속 100km 정도로 하여 일산, 송도, 의정부 등 수도권 광역 거점으로부터 서울 중심까지 30분 내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그림 4). 아직 화재시의 대처방안, 기존 지하구조물을 피해 터널을 뚫는 근접굴착기술, 터널 내 공기 오염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가 있지만 완성된다면 현재까지 가장 빠른 광역급행철도인 프랑스 파리의 RER(표정속도 시속 60km)를 능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광역급행철도가 될 전망입니다. 또한 연 45만톤의 기름과 149만톤의 이산화탄소 배출, 7,000억원의 교통혼잡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시공 과정에서 익힐 세계 최고의 광역급행철도 기술, 터널 굴착기술 등 기술적인 이득을 생각한다면 충분한 가치를 갖는 과제로서 우리의 토목기술을 한단계 더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021-0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우리 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가?(기사) honey 2017.09.15 156
35 수력발전소 내부 honey 2016.08.01 193
34 물에 뜨는 터널(기사)20160727 honey 2016.07.28 129
33 2016-07-09(토) 칠산대교 붕괴 기사 honey 2016.07.09 160
32 2016-07-05(화) 울산지진기사 honey 2016.07.06 173
31 철도교 내진성능 향상 방안 file honey 2013.11.06 1337
30 신뢰도 기반 교량 설계기준의 기본개념 file honey 2013.09.10 1498
29 대졸 신입사원 연봉 7천만원 honey 2012.06.29 1975
28 건설플랜트 - 신입사원 연봉 7천만원 honey 2012.05.16 2353
27 백두화산과 다음 대 가뭄 file honey 2011.10.29 3303
26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대지진의 교훈 file honey 2011.08.29 2981
25 북한 사회 인프라 건설 지금 우리가 시작해야 honey 2011.08.29 3392
24 지하공간의 결로발생 현황과 대응방안 file honey 2011.08.29 4301
23 기후변화 대비 4대강 사업의 의의와 효과 file honey 2010.10.08 3975
22 4대강 살려 대운하로 가자 file honey 2010.06.08 4008
» Q&A 대심도 급행철도 file honey 2010.06.02 4281
20 고압축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교량받침의 국산화 개발 file honey 2010.06.02 5598
19 인공 강우 - 가뭄! 걱정 없습니다 file honey 2010.05.25 6004
18 시화호 조력발전소 file honey 2010.05.19 7878
17 국내 건축물의 면진 적용사례 및 전망 file honey 2010.05.01 10042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