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과학

오늘:
68
어제:
189
전체:
1,933,307
조회 수 2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토니 반 루벤호크(Antony van Leeuwenhoek)

박테리아의 발견자 그리고 자연발생을 논박한 사람*

 

Russell Grigg , 이종헌 역

출처: creation magazine Vol. 41(2019), No. 2 pp. 52-55

 

 

 

018-1.JPG

1686년경에 Johannes Verkolje가 그린 안토니 반 루벤호크. 그림 왼쪽에 왕립학회 단체 서신이 있다.

 

* Russell Griggcreation.com/Leeuwenhoek에서 같은 이름으로 보다 광범위하고 보다 문서화한 기사를 압축하였다.

 

 

안토니 반 루벤호크(ANTONY VAN Leeuwenhoek/ 1632-1723)는 단세포 미생물의 발견자로 유명하다. 지금 우리는 그것을 원생동물과 박테리아라고 부르는데, 그때 그는 그것을 극미동물(animalcules)’이라고 불렀었다.(‘미세한 동물이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나옴.) 그는 그러한 작은 유기체에서 관찰되는 완벽함은 그것들이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믿었다. 그는 또한 적혈구와 백혈구, 정자, 신경 및 근육 섬유 등등 이상의 것들을 정확하게 측정한 최초의 사람이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하등 동물에 관한 그의 연구는 자연발생에 대한 교의를 논박했으며, 그의 관찰은 세균학 및 원생동물학의 과학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인정했다(1) 그는 결코 대학에 다녔거나 강연을 하지 않았지만, 그의 발견을 런던 왕립 학회(Royal Society of London)에 편지로 써 보냈으며, 왕립 학회는 그것들을 왕립학회의 철학 회보(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PTRS)에 실었다.

 

 

Early life(초기의 삶)

 

안토니는 네덜란드 도시인 델프트(Delft)에서 태어났다. 그는 단지 네덜란드계 네덜란드어만을 배웠으므로 왕립 학회와 같이 그의 편지를 받는 사람들은 출판을 위해 그것을 번역해야 했다. 그리고 그를 위해서는 그들의 회신을 누군가가 네덜란드어로 번역해 주었다.

 

 

018-2.JPG

베르메르(Vermeer)가 본 델프트 전경 상세, 1660

 

직물 무역을 배우고 암스테르담에서 출납원 및 회계사로 일한 이후, 그는 델프트로 돌아와서 직물 및 신사용 양품 사업을 시작했으며, 거기서 거의 70년을 살았다. 그의 재무 및 사업 기술로 인해 여러 지자체에서 직책을 수행했다. 그 중 하나가 지급불능자를 위한 수탁자였으며, 거기에는 요하네스 베르메르(Johannes Vermeer)의 재산도 포함하고 있었는데, 그는 과부와 11명의 자녀와 막대한 채무 및 세계 최고의 그림 몇 점을 남기고 죽었다.

 

 

Becoming a microscopist(현미경술사가 되다)

 

1668년 경 그는 런던에서 휴가를 보냈다. 여기서 그는 의심할 여지없이 영국 과학자 로버트 후크 (Robert Hooke)가 새롭게 출간한 대중 서적인 작은도면들(Micrographia)을 보았는데, 이것은 후크가 많은 거시적인 물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2) 거기에는 직조된 실크를 고배율로 확대한 것이 들어 있었는데, 직물에 익숙한 사람으로서, 옷감의 질과 스레드 개수(thread count, 1제곱인치 안에 교차되는 날실과 씨실의 개수)를 조사하는데 낮은 배율의 확대경(hand lenses)을 사용하던 루벤호크의 호기심을 자아냈다.

 

후크의 책은 루벤호크로 하여금 자신만의 고배율 렌즈를 제작하고, 그것들을 장착하여 간단한 현미경을 형성한 다음 생물이든 무생물과 같은 아주 작은 물체를 검사하거나 측정하도록(3) 자극했을 것이다. 육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사물에 대한 그의 관심이 끊임없이 커지면서 호기심과 열정을 불러 일으켰다.

 

 

Communication with the Royal Society(왕립 학회와의 교신)

 

1673년 델프트의 한 의사 친구가 런던에 있는 왕립 학회의 제1서기(PTRS의 창립 편집장)에게 편지를 써서 지금까지 보았던 현미경을 훨씬 능가하는 것을 고안한사람이 있다고 알렸다.(4) 그는 곰팡이의 구조와 성장, 그리고 벌과 이(louse)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관찰을 기술한 루벤호크의 편지를 동봉했다. 이것들은 PTRS에서 출판되었다.(5)

 

호기심을 가진 독자들이 글로 기술된 것을 눈으로 보기 원했기 때문에, 루벤호크는 1673815일에 그림을 보내면서(6) 그가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기 때문에 그림에 능한 사람을 고용해서 물체를 관찰하고 그림을 그리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동물학, 식물학, 화학, 물리학, 생리학, 의학 및 기타 (분류 할 수없는) 문제에 관해서 50 년 동안 계속 되어온 루벤호크와 왕립 학회 사이에 약 200 통의 편지가 교신되기 시작했다.” ... 이 모든 편지는 그가 직접 그 자신의 구식 네덜란드어로 썼다.(7)

 

루벤호크는 특별히 혈액에 관심이 있었다. (1665년에 마르첼로 말피기/Marcello Malpighi가 발견 한) 혈액 세포를 관찰하고 측정하기 위하여 그는 자기 엄지손가락을 찔러 작은 유리관에 피를 묻혔다. 그의 편지(1674)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적혈구가 미세한 입자의 모래보다 25천 배나 작은 것으로 생각한다.”(8) 이것은 약 8.5 미크론으로써 현대의 측정치 7.8 미크론에 가깝다.

 

 

First sighting of protozoa(원생동물의 최초 관찰)

 

1674년에, 루벤호크는 현지 담수호에서 온 물속에 들어있는 명백하게 원생동물인 유기체를 기술했다. 그는 왕립 학회에 보내는 편지에 이렇게 썼다. “물속에 있는 대부분의 극미동물의 움직임은 매우 빠르고, 위로, 아래로, 그리고 둥글게 등 다양해서 그것을 보는 것은 경이롭습니다: 그리고 나는 이 작은 생물 중 일부는 치즈의 껍질에서, 그리고 밀가루, 곰팡이 같은 것의 안에서 내가 이제껏 보았던 가장 작은 생물보다도 천 배 이상 작다고 판단합니다.”(9)

 

 

The birthday of bacteriology(세균학의 출생일)

 

그리고 1676년 루벤호크는 지금은 유명한 171/2 페이지짜리 편지를 썼는데, 부분적으로 PTRS에서 출판되었는데, 거기서 그는 1676424일에 그가 본 것을 설명했다. 그는 현재 우리가 원형동물이라고 부르는 것의 세 가지 유형을 기술했다.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종류 중에서 떠돌아다니는 네 번째 종류의 작은 동물은 엄청나게 작았습니다; 아니, 내 눈으로 보기에 너무 작아서, 나는 이 작은 동물 100 마리를 서로 뻗어 놓아도, 굵은 모래 한 알의 길이에도 이르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 생물이 천 곱하기 천개(, 100 × 100 × 100 = 100 만개)있어도 굵은 모래알 하나의 크기에도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10)

 

 

 018-3.JPG

왕립학회의 회보인 Philosophical Transactions에 실린 벌침(아래 행)과 그 덮개(위의 행)에 관하여 루벤호크가 그린 그림

 

네덜란드의 미생물학자 앨버트 클루이버(Albert Kluyver, 1888-1956)는 이것을 이렇게 말한다. “이것은 이런 생물 군의 대표자에 대한 의심할 여지없는 최초의 설명이며, 1676424일을 세균학의 출생일이라고 생각할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11)

 

그 이후의 실험에서, 루벤호크는 이렇게 언급했다. “일부 매우 길고 매우 얇은 입자는 ... 뱀장어가 물속에서 헤엄치는 것과 같이 구부러진 채로 움직였다; [그러나] 뱀장어는 항상 머리가 앞쪽으로 헤엄칠 뿐 꼬리가 먼저 가는 경우는 없지만, 그런데 이들 극미동물은 움직임이 매우 느리기는 하지만 앞으로 이동하듯이 뒤로도 이동했다.”(12) 원생동물학자인 클리포드 도벨(Clifford Dobell)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놀랍도록 날카로운 관찰로써, 여기서 루벤호크가 취급하고 있는 것이 박테리아라는 것이 결정적으로 증명되었다. ... 분명히 길고 유연한 실 박테리아이다(Pseudospira C.D.).”(13)

 

나중에, 루벤호크는 그의 이빨을 긁을 때 아주 작은 살아있는 많은 극미동물이 매우 예쁘게 움직이는 것을 발견하고 놀랐다. 그래서 그는 우리도 역시 극미동물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또한 그가 뜨거운 커피를 마셨을 때 그것들이 죽었다는 것을 주목했다.(14) 따라서 그는 미생물의 열살균을 관찰한 최초의 사람이었다. 건강한 사람들의 입안에서 박테리아를 발견한 루벤호크는 세균을 질병과 연관시키지 않았다; 2세기가 지나서 파스퇴르는 그것들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Skepticism, verification, fame(회의론, 확인, 명성)

 

왕립 학회의 평의원들은 대단히 회의적이었다; 아마추어인 루벤호크가 과학적 지식인 중 한 명도 지금까지 보지 못했고, 찾지 못했던 것, 심지어 상상조차 하지 못한 현상을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에 도전당한 루벤호크는 장관, 공증인 및 법정 변호사를 포함하여 평판이 좋은 8명의 델프트 사람들을 모았다. 그들은 그의 현미경을 통하여 들여다보고, 극미동물을 보았으며, 167710월에 그가 왕립 학회에 보낸 서신에 대한 선서 진술서를 썼다.

 

한편, 평의원들은 그들의 실험 관리자인 후크에게 관찰 결과를 검증해 줄 것을 요청했었다. 그는 몇 달 동안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가 167711월에 다음과 같이 썼다: “... 참으로 놀랍게도 나는 루벤호크씨가 묘사한 초소형 생물을 상당히 많이 발견하였다. ... 그리고 이 중 일부는 너무 작아서, 한 방울의 물 속에 수백만의 수백만배가 들어 있을 정도였다.”(15) 167712, 후크는 루벤호크에게 15통의 정중한 편지를 써서 이렇게 말했다. “현재는 모든 구성원이 만족했습니다.” 작은 원생동물의 크기와 그것보다 훨씬 더 작은 박테리아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은 마치 거인같은 괴물을 비교하는 것과 대조되었다.

 

018-4.JPG

루벤호크가 관찰한 많은 극미동물의 일부를 색칠한 그림

 

확증! 그리고 보상! 1680년 루벤호크는 왕립 학회의 평의원으로 선출됨으로써 진정한 과학자로서의 인정을 받았다. 그의 회원 증명서는 통상적인 라틴어 대신에 네덜란드어로 쓰여졌다.(17) 이 회원증명서와 PTRS에 실린 그의 편지는 루벤호크와 그의 작업을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다.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왕위에 있는 사람들도 델프트에 와서 그를 보았고 또 그가 만든 현미경을 통해 보았다. 여기에는 러시아의 짤 페테르 대제와, 프러시아의 왕 프레드릭 1세와 영국의 여왕 메리 2세가 포함된다.

 

 

Contra spontaneous generation(자연발생에 반대하여)

 

창세기를 무시하던 루벤호크 시대의 사람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발생설을 믿었다.(18) 예를 들면, 썩은 고기가 구더기를 만들었고, 먼지가 벼룩을 만들었으며, 어두운 구석에 있는 밀이 쥐로 되었다는 등등. 루벤호크는 성경을 믿는 기독교인으로서 그러한 이론을 부정했으며, 그의 아주 작은 유기체에서 그가 본 완벽함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것이며 부패의 산물이 아니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했다. 예를 들면:

 

이 모든 관찰로부터 우리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의 완벽함, 정확한 질서, 그리고 측량할 수 없는 섭리의 돌보심을 통하여 가장 현명한 창조주이자 우주의 주님이 이들 극미동물의 몸체를 소성하셨으며, 그들은 너무나 미세하여 우리의 시야에서 벗어나며, 궁극적으로 다른 종의 극미동물이 보존되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가장 명확하게 인식한다. 그리고 이것은 ... 살아있는 생명체가 부패나 부패물로부터 만들어진다는 오래된 견해의 모든 불합리성을 분명하게 확신시켜 준다.”(19)

 

또한 곤충의 생활주기를 관찰 한 결과, 그들은 배설물로부터가 아니라 그들 자신과 같은 종류의 부모로부터 온 것임을 증명하였다. 그는 이것을 모든 생명체가 처음부터 형성된 생명체로부터 기원한다는 원리의 확증이라고 불렀다.(20)

 

오늘날 자연발생(생물이 무생물로부터 생겨날 수 있다는 믿음)은 완곡하게 화학진화 또는 우연발생이라고 불리며(21) 또 다시 무신론자 과학자들의 지배적인 신념 체계이다. 이것은 진화론의 본질인 다윈주의의 자연스런 확장이다; 모든 생명이 단세포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자연적으로진화했다면, 그것은 죽은 물질에서 저절로 생겨났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22) 그 이론의 지지자들은 성경의 창조기사를 부정하며, 지구를 끊임없이 탐구하여 그에 대한 증거를 찾으려고 애를 쓴다.

 

 

Posthumous recognition(사후의 인정)

 

루벤호크는 1723년에 90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그는 왕립 학회에 그의 죽음을 초래 한 매우 희귀 한 의학적 상태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설명을 보냈는데, 지금은 그것을 반 루벤호크의 질병(Myoclonus/근육간대경련) 또는 밸리 댄서 증후군(Belly Dancer Syndrome)(급속 무의식적 횡격막 수축, 호흡 곤란 및 복부 맥동의 증상 발현)이라고 부른다.(23)

 

 

Summary(요약)

 

평신도였던 루벤호크는 모든 시대에 걸쳐 가장 뛰어난 연구자 중의 한 사람으로서, 끊임없는 호기심을 가지고 자연의 숨겨진 비밀을 발견하였다. 가장 큰 과학적 관심사는 자연발생설을 논박하는 것이었다. 그가 스스로 고백한 목적은: “... 세상을 낡은 이교적인 미신에서 치워버리고, 진리로 나아가고, 그에 이르는 길을 트기 위해서”(24)

 

 

018-5.JPG

루벤호크가 그의 현미경을 사용하던 방법

 

 

그의 믿음에 있어서 루벤호크는 견실한 네덜란드 개혁주의자였다. 그는 창조물을 작고 훌륭하게 만드신 하나님의 설계의 경이로움에 종종 경의를 표했다. 그의 장점은 인내심, 단순함 및 완고함이었다. 그는 그 자신을 포함하여 어떤 이론보다도 진리를 사랑했다. 그는 도전자들에게 오직 그가 그의 요점을 증명했듯이 그들의 요점을 증명할 것만을 요청했다.”(25)

 

 

Maker of Microscopes(현미경 제작자)

 

루벤호크는 자신의 모든 현미경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500개가 넘는다. 각각은 두 개의 작은 금속판(길이 5cm 미만) 사이의 구멍에 하나의 작은 유리를 서로 리벳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험편을 한 점 위의 정면에 올려놓고 두 개의 나사로 초점을 맞출 수 있었다. 그는 반대쪽을 한쪽 눈 가까이에 두었다. 그가 사용한 광원은 양초 또는 햇빛이었다.

 

 

018-6.JPG

루벤호크 현미경

 

 

References and notes(참고문헌과 주석)

 

1. Antonie van Leeuwenhoek, Dutch scientist, Encyclopaedia Britannica.

2. This was the first illustrated book on microscopy. Hooke(16351703) coined the term ‘cell’ in discussing the structure of cork, and derived Hooke’s Law (of elasticity).

3. He devised his own measurement standards for comparison: e.g. coarse and fine sandgrains; a hair from his head; the eye of a louse (Schierbeek, ref. 8, pp.5556).

4. Dobell, C, Antony van Leeuwenhoek and his ‘Little Animals’, 1932, republished by Dover Publications, New York, 1960, pp. 4041.

5. Philosophical Transactions, 8(94):60376038, 1673.

6. Published in Philosophical Transactions, 8(97):6116 6119, 1673.

7. Dobell, ref. 4, pp. 4445.

8. Schierbeek, A., Measuring the Invisible World, Abelard-Schuman, New York, 1959, pp. 110111.

9. Letter No. 6, 7 Sept. 1674, ref. 4, pp. 109111.

10. Letter No. 18, 9 Oct. 1676, ref. 4, pp. 132133.

11. Shierbeek, ref. 8, p. 65.

12. Dobell, ref. 4, pp. 140141.

13. Dobell, ref. 4, p. 141, footnote 1.

14. Dobell, ref. 4, pp. 239 & 248.

15. Hooke, R., Microscopium, 1678, p. 83.

16. Dobell, ref. 4, pp. 182183.

17. Dobell, ref. 4, p. 49.

18. Aristotle compiled and expanded the similar teachings of earlier Greek natural philosophers.

19. The Select Works of Antony Leeuwenhoek, transl. Samuel Hoole, Philanthropic Society, London, 1816, Vol. 2, p. 214.

20. Schierbeek, ref. 8, p. 137.

21. A term coined by Thomas Huxley in 1870.

22. But the scientific problems for abiogenesis are almost incalculably huge; creation.com/origin-of-life.

23. Th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3(10), May 15, 2011 describes one case (only c. 50 have ever been diagnosed).

24. Letter No. 81, 19 March 1694, ref. 4, p. 74.

25. Graves D., Scientists of Faith: 48 Biographies of Historic Scientists and Their Christian Faith, Kregel Publications, Grand Rapids, USA, 1996, p. 71.

 

 

RUSSELL GRIGG, M.Sc.(Hons.)

was an industrial chemist before serving 20 years with Overseas Missionary Fellowship (now OMF

International). He is a staff member of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 in Australia. For more:

creation.com/grigg.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