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묵상특강

오늘:
157
어제:
239
전체:
1,934,127
조회 수 35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문 : 누가복음 7:36-50

 

 

(눅 7:36) ○ 한 바리새인이 예수께 자기와 함께 잡수시기를 청하니 이에 바리새인의 집에 들어가 앉으셨을 때에

(눅 7:37) 그 동네에 죄인인 한 여자가 있어 예수께서 바리새인의 집에 앉으셨음을 알고 향유 담은 옥합을 가지고 와서

(눅 7:38) 예수의 뒤로 그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 발을 적시고 자기 머리털로 씻고 그 발에 입맞추고 향유를 부으니

(눅 7:39) 예수를 청한 바리새인이 이것을 보고 마음에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선지자더면 자기를 만지는 이 여자가 누구며 어떠한 자 곧 죄인인 줄을 알았으리라 하거늘

(눅 7:40)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시몬아 내가 네게 이를 말이 있다 하시니 저가 가로되 선생님 말씀하소서

(눅 7:41) 가라사대 빚 주는 사람에게 빚진 자가 둘이 있어 하나는 오백 데나리온을 졌고 하나는 오십 데나리온을 졌는데

(눅 7:42) 갚을 것이 없으므로 둘 다 탕감하여 주었으니 둘 중에 누가 저를 더 사랑하겠느냐

(눅 7:43) 시몬이 대답하여 가로되 제 생각에는 많이 탕감함을 받은 자니이다 가라사대 네 판단이 옳다 하시고

(눅 7:44) 여자를 돌아보시며 시몬에게 이르시되 이 여자를 보느냐 내가 네 집에 들어오매 너는 내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아니하였으되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그 머리털로 씻었으며

(눅 7:45) 너는 내게 입맞추지 아니하였으되 저는 내가 들어올 때로부터 내 발에 입맞추기를 그치지 아니하였으며

(눅 7:46) 너는 내 머리에 감람유도 붓지 아니하였으되 저는 향유를 내 발에 부었느니라

(눅 7:47) 이러므로 내가 네게 말하노니 저의 많은 죄가 사하여졌도다 이는 저의 사랑함이 많음이라 사함을 받은 일이 적은 자는 적게 사랑하느니라

(눅 7:48) 이에 여자에게 이르시되 네 죄 사함을 얻었느니라 하시니

(눅 7:49) 함께 앉은 자들이 속으로 말하되 이가 누구이기에 죄도 사하는가 하더라

(눅 7:50) 예수께서 여자에게 이르시되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평안히 가라 하시니라

 

(요절: 갈라디아서 6:1) 형제들아 사람이 만일 무슨 범죄한 일이 드러나거든 신령한 너희는 온유한 심령으로 그러한 자를 바로잡고

 

 

요즘 우리는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함으로써""예수님의 본을 따르는 것에 대해 많은 말을 듣는다. 그 말이 함축하는 것은 사람들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절대로 그들과 맞서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렇다. 예수님은 사람들을 사랑하시고 인정하셨다. 그렇지만 그들과 맞서는 일에 옴츠러들지 않으셨다. 우리는 이것을 누가복음 7장에서 볼 수 있다.

 

예수님은 스스로 의롭다 하는 바리새인 시몬의 저녁 초대에 응하셨다. 그의 집에 있을 때 주님은 나쁜 평판을 받고 있는 여인이 값비싼 향유로 그분의 발을 씻기는 것을 허용하셨다. 예수님은 그 여자가 울며 사랑으로 그분께 모든 것을 아낌없이 드릴 때 여자에 대해 시몬이 가지고 있는 비판적인 생각을 아셨다(36-39절). 그래서 그분은 바리새인의 위선에 맞서셨다.

 

시몬이 예수님을 그의 집에 초대한 것은 예수님에게 빌미를 잡으려는 것일 수 있다. 예수님은 그가 손님에게 보통으로 접대하는 예의를 베풀지 못했음을 상기시켰다(44-46절). 그리고는 그녀의 과거의 죄를 인정하셨으며 그녀의 회개가 진정이었음을 아셨다. 주님은, "저의 많은 죄가 사하여졌도다 이는 저의 사랑함이 많음이라"(47절)고 말씀하셨다.

 

예수님은 스스로 의롭다 하는 종교가도 존중하셨고, 부정직한 세리와 창녀같은 사람도 존중하셨다. 그러나 그들의 죄는 간과하지 않으셨다. 그분은 사람들을 사랑하셨기 때문에 그들과 맞서셨다. 따라서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

- Herb Vander Lugt -

 

주님, 저는 제가 전혀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압니다.

그러나 지적해 주시면 그것을 인정할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있는 잘못을 재치있게 지적하되

내 안에 있는 모든 사랑으로 그렇게 하겠습니다.

- Hess -

 

  다른 사람의 잘못을 지적할 때 모든 사람이 기분 상합니다. 그래서 남에게는 싫은 소리를 안하게 됩니다. 그것이 지나치다 보면 불의를 보고도 눈을 감게 되고, 그것이 누적되면 우리 모두는 방관자가 되고 맙니다. 그런 의미에서 어느 정도까지는 남의 잘못을 지적해야 하는데, 그것도 잘못하다가는 자기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눈의  티끌을 보는 바리새인이라고 비난받습니다. 정말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서 그 사람을 지적했는데 바리새인이라는 누명으로 돌아올 때는 그때부터 그 사람이 싫어집니다.

  결국은 지적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바로 잡는 것이 목적이라면 현명하게 지적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지나쳐서 너무나 소심하게 되면 그 말의 의미가 전혀 전달되지 못합니다. 그때 가장 좋은 방법은 진실을 솔직하게 말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오해받을지 모르지만 결국 때가 되면 진실은 전해지기 마련이니까.

  그런 의미에서 남이 나를 지적하는 것도 순수한 의미로 잘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말을 하는 사람의 행동을 평가하지 말고, 순전히 나에게 적용하여 나의 잘못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남에게 조언을 할 때도 그 조언 역시 나에게 먼저 적용을 해야 하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 절대로 빼앗을 수 없다 2007-02-22(목) honey 2007.02.23 3871
52 은혜의 자국 2007-02-21(수) honey 2007.02.21 3298
51 내 지팡이 2007-02-20(화) honey 2007.02.20 2918
50 그분은 절대로 변하지 않으신다 2007-02-19(월) honey 2007.02.20 3124
49 안에 있는 것이 밖으로 2007-02-18(일) honey 2007.02.19 3615
48 아빠, 드디어 찾았군요 2007-02-17(토) honey 2007.02.18 3805
47 가만히 있어 알지어다 2007-02-16(금) honey 2007.02.16 3455
46 ***형제단(Band of brothers) 2007-02-15(목) honey 2007.02.15 3656
45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일 2007-02-14(수) honey 2007.02.15 3703
44 떡갈나무로부터의 교훈 2007-02-13(화) honey 2007.02.14 3664
43 기적 하나만 더? 2007-02-12(월) honey 2007.02.13 3362
42 내면의 아름다움 2007-02-11(일) honey 2007.02.12 3505
41 계속 쓰레기장에서 살 것인가? 2007-02-10(토) honey 2007.02.11 3641
40 예상치 않은 도움 2007-02-09(금) honey 2007.02.10 3711
39 예수님이 오늘 다시 오실 것처럼 살아라 2007-02-08(목) honey 2007.02.09 3874
38 무지한 노새처럼 되지 말라 2007-02-07(수) honey 2007.02.07 4170
37 그냥 성경을 읽으면 안될까요? 2007-02-06(화) honey 2007.02.07 3860
36 감각적인 기독교인 2007-02-05(월) honey 2007.02.06 3548
» 다른 사람의 잘못을 지적할 정도로 사랑하기 2007-02-4(일) honey 2007.02.05 3538
34 감히 당신께 말합니다 2007-02-3(토) honey 2007.02.04 3692
Board Pagination Prev 1 ...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Next
/ 321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