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멘교회 2008년 영성회복 훈련학교 - 담당 김광락 목사님
13. 그리스도인의 재정원칙
2008년 6월 11일(수) 10시-12시
A. 개인 재정
1. 우리에게 중요한 것(필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아버지이시다.
- 재정을 다루는 원칙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아는 것이다.
- 마음의 중심에 아버지를 알고자 하는 것이 재정에 대한 관심보다 더 많아야 한다.
- 십자가의 은혜가 먼저이고, 그 다음에 재정 원칙이다.
- 하나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는 것 vs. 하나님을 위해 '사소한 것'을 구하는 것?
- 자기 마음을 속이지 말아야 한다 : 자신에게 정직해지는 것이 필요함
2. Money talks
- 돈은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 입으론 하나님이 전지전능한 분이라고 말하면서, 실제로는 돈만 있으면 해결될텐데...
- 돈을 어떻게 다루는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결정한다.
※ 성경적 사고방식 vs. 세상적 사고방식 (ex) 주님도 자식 키워보세요!
- 돈은 필요한 것일 뿐 영향력 있는 것이 아니다.
- 돈에 관해 주님의 음성을 들어야 한다. (하나님의 뜻이 우선이다.)
- 돈은 우리 삶에 주인이 되고 싶어한다.(눅 16:10-13)
ex. 왜 자녀들을 좋은 학교에 보내려고 하는가?
3. 오늘 누구를 섬길 것인지 선택하여야 한다.(여호수아의 도전)
※ 어떻게? "생각이 중요하다."
1) 가장 값비싼 것은 하나님의 은혜다. (은혜의 마음, 풍요의 심리를 갖기)
2) 나는 하나님만 섬길 것이다. (마음의 의지와 결단)
3) 돈은 하나님을 섬기는 나를 위해 섬길 것이다. (입으로 선포하고 명령하기)
4. 돈에 대한 나의 사고방식은 어떠해야 하는가?
1) 돈은 나의 주인이 아니다.
- 하나님이냐, 돈이냐?
- 하나님 아버지가 나의 주인이시다. 그렇다면 나의 안정감, 결정, 소망을 결정하는 것이 하나님 아버지여야 한다.
2) 돈은 지극히 작은 것이다.
- 지극히 작은 것 vs. 큰 것 = 재물 vs. 하나님
- 재물에 대한 나의 생각은 어떠해야 하는가? 지극히 작은 것인가? 재물은 많든 적든 나에게 큰 것인가?
ex. 부자 청년에게 재물은 '지극히 큰 것'이었다.
3) 돈은 남의 것이다.
- 남의 것 vs. 너희 것 = 재물 vs. 하나님의 나라
- 재물에 대한 나의 생각은 '남의 것'이 되어야 한다. 아버지와 아버지 나라의 일만이 내 일, 내 것이 되어야 한다. 돈이 결코 우리를 자유케 하지 못한다. 돈이 우리를 배신하고 도망가 버릴 때 비로소 우리는 '내 것이 아니다'라고 고백하게 될 것이다.
※ 재물에 대한 세상적 사고방식(재물을 주인으로, 큰 것으로, 자기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교회 안에 들어와 있지 않은가?
5. 가난하게 살아야 하는가, 부하게 살아야 하는가? vs. 잘 살아야 하는가, 못 살아야 하는가?
- 가난한 삶은 불편할 뿐 부끄러운 것은 아니다.
- 진리 때문에 가난하게 산다면 영광스러운 것이다.
- 부자라고 다 잘 사는 것이 아니며, 가난하다고 다 못사는 것이 아니다.
- 돈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세상적 기준에서 성경적 기준으로 바꾸어야 한다.
- 무엇이 진정한 복인가 알아야 한다. 세상은 돈에 복의 기준을 두지만 우리는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복으로 여긴다. 돈이 많아도 하나님과 동행하지 않는다면 저주의 시작이다.
- 재정 문제가 생기는 것은 하나님 아버지를 신뢰하는 연습이다.
- 하나님 아버지가 나의 공급자이심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 돈이 우리의 복이 아니라 하나님 아버지와 동행하는 것이 복이다. 이렇게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 부자는 성공? 가난은 실패? 불편한 것과 불행한 것은 다르다.
- 돈이 많으면 하나님의 뜻대로 쓰라(flow)는 뜻이고, 돈이 없으면 내 삶의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온 세상에 보여줄 때임을 기억하라.
- 참된 복이 돈에 있지 않음을 온 세상이 알게 하라.
- 우리는 소돔성의 롯과 같이 되지 말아야 한다.
- 우리는 돈을 다스리는 훈련을 받아야 한다. = '청지기 훈련'(맡은 자로서의 훈련)
ex. 요셉 - 요즘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정보'가 아니라 '청지기 훈련'이다.
6. 돈을 다스리는 훈련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건의 훈련이다.
※ 경건의 훈련이란? 하나님으로 만족하는 법을 배우는 연습이다.
※ 재물에 관련하여 3가지 경건의 연습을 할 필요가 있다.
1) 돈을 노예로 부리는 훈련(진정한 영적 전쟁)
(1) 믿음으로 살아야 한다./ 하나님의 결정대로, 돈의 결정이 아니라.
(2) 돈에 대한 믿음의 선포 : "돈! 너는 나의 노예다!"
(3) 돈은 있는 만큼만 쓴다(= 빚지지 않는 삶) vs. 쓰고 싶은 대로 쓴다.
ex. 카드 사용, 빚 대출, 보증에 대한 주의
(4) 돈을 따라 살지 말고,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라 산다.
"나의 공급자는 돈이 아니라,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이시다."
2) 돈을 소유하는 훈련, 사용하는 훈련
(1) 우리는 청지기다. 하늘에 은행 계좌가 있다(마 6:19-20)
- 우리 감정을 따라 주지 말고, 주님의 말씀을 따라 주는 삶이어야 한다.
(2)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알라. 자녀들이 서로 돕고 나누며 살기를 바라심
※ Flowing 연습
(3) 모든 재정을 '심을 씨앗'과 '먹을 양식'으로 구분해야 한다. 섞지 말아야 한다.
※ 고후 8:9,13,14
※ 신 26:12-15
※ 십일조는 율법이 아니다.
※ 말 3:10-12
※ 풍성한 삶에 대해(빌 4:14-19)
(4) 예산을 책정하라. ※ 기본 항목 : 의무금, 필요금, 요망금
※ 의무금 = 십일조, 주일헌금, 작정헌금, 세금, 보험, 카드빚
※ 필요금 = 식생활, 교통, 교육, 여가선용(재정은 가족들에게 투명, 공개되어야)
※ 요망금(소원) = 옴 가족이 함께 참여하도록
(5) 충동구매는 돈의 노예가 되는 길이므로 다스려야 한다.
※ 한 가지 방법 : White Board, 봉투
(6) 빚은 거절하라. 보증도 거절하라.
- 나의 필요를 사람에게 말하기 전에 하나님께 아뢰는 연습을 하라. 빚지지 않는 길은 하나님께 부단히 내 필요를 아뢰는 것이다. 사람에게 손을 내밀기 전에 하나님께 손을 내미는 연습을 하라. 나의 필요를 하나님이 채우시는 것을 많이 경험하도록 하라.
3) 단순한 삶의 훈련(눅 6:38) - 관대함의 성품 vs. 인색함의 성품
(1) 예산서와 가계부를 작성하라.
(2) 단순해지는 삶의 비결 : "주라!" 주지 않으면 단순해지지 않는다.
- 언제 주는가?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3) 세상 경제 원칙 : '사고 팔고' vs. 하나님 나라 경제 원칙 : '주고 받고'
※ 나는 누구에게 주고 있는가?
※ 나는 누구에게 받고 있는가?
※ 나의 삶의 경제체제는 주고 받는 원리로 움직이고 있는가?
(4) 불로소득에 대한 관리
B. 공동체 재정
(1) 투명성 : 정보 공개
(2) 정직성 : 예산 원칙과 지출 원칙
(3) 예산서와 예산 원칙 : 공유와 공개의 원칙 ※ 세상 기준을 압도해야 함
(4) 청구서, 영수증, 지출결의서
(5) 비전에 대한 투자 비율에 대한 공동체적인 합의와 이행
C. 투자 문제
(1) 여유 자금
(2) 투자 자금
(3) 투자 항목 설정
(4) 하나님의 음성 듣기
(5) 회사를 경영한다면? 톰 피터스, "성공하는 기업의 8가지 습관," 참조
- 도덕성, 원칙, 비전, 핵심 역량
(6) 20-80 법칙 (백화점 실적을 올려주는 고객은 20%이다. 내가 투자할 수 있는 20%의 영역)
D. 토지 문제
(1) 레위기 25장 (땅의 주인은 하나님. 사람은 소유권이 아니라 사용권을 가지고 있다.)
(2) 투기와 투자의 차이 : 확률과 확신의 차이, 불로소득에 대한 성경적 이해?
(3)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대결 : 제3의 길을 찾아야 한다(레 25장 토지 세법)
(4) 거품이 붕괴되기 시작했다? - 2008년 5월 워싱턴 포스트
(5) 땅투기의 현실에 대한 우려와 중보기도의 요청
(6) 통일 한국을 위한 제3의 경제대안 제시 : LVT system (Land Value Taxation -지배조세제)
E. 성품과 원칙의 문제
(1) 하나님을 믿는 가난한 나라들 : 아프리카 (복음만 들어갔고 성경적 세계관이 없었다.)
(2) 하나님을 믿지 않는 부자 나라들 : 일본 (성경적 경제원칙만 있었고 하나님을 아는 성품은 없었다.)
(3) 하나님을 믿는 부자 나라들 : 미국, 영국, 유럽 국가들
(4) 차이점 = 성경적 경제 원칙과 성품
(5) 성경적 사고방식과 세계관의 중요성
(6) 성품은 있으나 원칙이 없는 삶 vs. 원칙은 있으나 성품이 없는 삶
F.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길 / 자녀에게 가르쳐야 할 것들
- 성품과 원칙의 중요성에 대해 :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행할 줄 아는 것
(1) 성경적인 경제 원칙 vs. 세상적 경제원칙 : 황금만능주의, 요행주의, 일확천금주의, 한탕주의 ... 불로소득에 대한 탐욕 경고(미가서 참조), 건전한 부의 축적 원리에 대해서 ...
(2) 정직과 근면성 ex. 한국이 한강의 기적을 이룰 수 있었던 요인 : 성품, 지식, 원칙...
(3) 지혜와 지식의 중요성 : 지식 없이 재정의 흐름을 통제할 수 없다.
※ 정보와 지식과 지혜를 구별하고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 21세기의 리더가 될 것!
(4) Flowing 연습 : 남을 풍성하게 하는 것이 풍성한 삶을 사는 지름길이다.
※ 줌으로써 부유하게 되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법칙이다.
(5) 예산과 지출의 규모 - 닫힌 재정과 열린 재정
※ 가계출납부를 작성하는 것으로 불완전하다. 믿음으로 계획서(예산서)를 세워야 한다.
(6) 재물이 아닌 하나님을 섬기는 가정의 모습
(7) 크리스찬 경영자들을 위해 기도하자!
(8) 심는 대로 거두리라. 무엇을 심을 것인지 기도하고 결정하자. I pray and obey.
(9) 작은 것을 맡기는 데서부터 시작하라.
(10) 성경을 읽고 묵상하게 하라. 이것을 '돈'과 같이 여길 줄 알게 하라.(시 119)
(11) 진정한 '부'의 가치기준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라.
(12) 자족하는 삶 vs. 안주하는 삶의 차이를 보여주라.
(13) 하나님이 우리 가정의 참 '공급자'이심을 보여주라.
(14) 경제원칙에 관한 책을 읽게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