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묵상특강

오늘:
173
어제:
226
전체:
1,933,904
조회 수 72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문 : (마 27:1-10) {새벽에 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장로들이 예수를 죽이려고 함께 의논하고 2 결박하여 끌고 가서 총독 빌라도에게 넘겨주니라 3 때에 예수를 판 유다가 그의 정죄됨을 보고 스스로 뉘우쳐 그 은 삼십을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도로 갖다 주며 4 가로되 내가 무죄한 피를 팔고 죄를 범하였도다 하니 저희가 가로되 그것이 우리에게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네가 당하라 하거늘 5 유다가 은을 성소에 던져 넣고 물러가서 스스로 목매어 죽은지라 6 대제사장들이 그 은을 거두며 가로되 이것은 피 값이라 성전고에 넣어 둠이 옳지 않다 하고 7 의논한 후 이것으로 토기장이의 밭을 사서 나그네의 묘지를 삼았으니 8 그러므로 오늘날까지 그 밭을 피밭이라 일컫느니라 9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로 하신 말씀이 이루었나니 일렀으되 저희가 그 정가된 자 곧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정가한 자의 가격 곧 은 삼십을 가지고 10 토기장이의 밭 값으로 주었으니 이는 주께서 내게 명하신 바와 같으니라 하였더라}

 

 내용관찰

1)(1-2절) 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장로들이 밤새 한 일이 한 사람을 죽이려는 의논이다. 그들이 하는 짓은 강도보다 못한 일인데 합법을 가장하여 예수님을 죽이려고 총독에게 끌고 간다. 밤새도록 마치 도살장의 짐승처럼 이리저리 끌려다니는 예수님의 모습을 생각한다.

2)(3-4절) 스스로 뉘우쳐 : 유다는 후회했다. 그러나 그는 몇 달 전부터 예수님을 팔아 넘길 것을 계획했고 그것을 잘 실천했다. 그런데 지금 와서는 예수님이 정죄된 것을 보고 후회한다. 아마 그는 예수님이 정죄될 것을 몰랐던 것 같다. 그러면서 일이 진행되는 것을 보며 예수님의 피는 무죄한 피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양심의 가책을 느끼며 후회했지만, 진정한 회개는 없었다. 고후 7:10의 말씀처럼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 하나님의 뜻대로 근심한다면 예수님께로 돌아가야 하는데, 유다는 제사장에게 갔다. 우리의 죄에 대해서는 사람과 해결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해결해야 한다.

3)(5-10절) 유다는 은을 성소에 내던졌다(he cast down the pieces of silver in the temple). 그것은 마치 '뭐한 놈'이 성내는 모습이 아닐까? 무슨 속셈으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나무에 목매어 죽었다. 그리고는 아마도 땅이 진동할 때에 (행 1:18) "이 사람이 불의의 삯으로 밭을 사고 후에 몸이 곤두박질하여 배가 터져 창자가 다 흘러나온지라."

 연구과 묵상, 느낀 점

1)(5절)예수님을 총독에게 넘겨주고 그들은 성소에 있었다. 마치 그들이 성소의 주인인 것처럼. 그러나 예수님 없는 성소는 의미가 없다. 진정 하나님의 임재 앞에 있다면 하나님의 뜻을 생각해야 할텐데, 몸은 성소에 있지만 그들의 생각은 자기들의 욕심에 있었다.

2)가룟 유다는 거짓의 아비이며 마귀이다. 거짓은 비슷한 것이다. 야곱의 아들 유다와 가룟 유다는 이름이 같고, 그리스도와 적 그리스도는 비슷하다. 유다는 마치 자기가 그리스도인 것처럼 나무에 달렸다. 그러나 그것은 모든 인간들의 죄를 대신하여 죄 없으신 분이 지신 십자가와 달리, 자기 혼자의 죄 때문에 스스로의 삶을 포기한 불쌍한 인간의 자살 나무였다. 그리고 말씀이 이루어지는데 한 몫을 담당했지만, 그는 차라리 나지 아니하였더면 좋았을 뻔 했다는 평을 듣는다.

 나의 삶에 적용

1)예수님의 삶은 말씀대로 산 것이다. 예수님을 본받는 삶은, 나도 말씀에 충실하여 하나님이 기뻐 받으시는 삶을 사는 것이다. 나도 바울처럼 이제부터라도 "나는 선한 싸움을 잘 싸웠고 이제는 내 앞에 면류관이 예비되어 있다"는 마감 인사를 하고 싶다.

2)항상 삶을 돌이켜보아 후회할 일이 있든지, 기쁜 일이 있든지 먼저 하나님께 고하겠다.

3)비슷한 것에 속지 않도록 항상 깨어서 분별하자.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