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과학

오늘:
18
어제:
226
전체:
1,933,7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or Kids)우주: 거대한 장소

하늘에는 무엇이 있는가?

 

Lita Cosner and Jonathan Sarfati , 이종헌 역, Creation Magazine Vol. 42(2020), No. 1, pp.32-35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시편 19:1)

 

 

사람들은 항상 밤하늘에 매료되었다. 그들은 거기 밖에 있는 많은 밝은 빛과 그것들이 실제로 무엇인지 궁금했다. 그리고 그들은 달력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패턴을 발견했다. 나중에 그들은 별들의 약간의 이동을 이용하여 그 별들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알아낼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종류의 수학과 과학 분야가 생겨났다! 천문학은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물체에 대한 연구이며, 이것을 하는 사람들을 천문학자라고 한다.

 

 

THE ENORMOUS UNIVERSE(거대한 우주)

 

우주는 공간과 그 안에 있는 모든 물체로 구성되어 있다. 우주 전체에 대한 연구를 우주론이라고 한다. 우주는 너무 커서 설명하기가 어렵다.

 

 

EARTH(지구)

 

우리의 행성인 지구부터 시작하자. 적어도 2,500 년 동안 우리는 이것이 거대한 공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얼마나 큰가? 그리스도보다 약 200 년 전에 이집트에 살았던 그리스 천문학자 에라토스테네스 (Eratosthenes)가 이것을 해결했다! 그는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지름의 크기 12,742km(7,917.5 마일)에 매우 가깝게 알아냈다.

 

 

MOON, SUN, AND PLANETS(, 해 그리고 행성들)

 

지구는 커 보이지만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지구 지름보다 약 30 배 더 크다. 태양까지의 거리는 약 15천만 km(93백만 마일)로 지구 지름보다 400 배 더 크다. 보다 긴 거리를 전달하는 것을 돕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1 천문단위(AU)로 부른다. 따라서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1AU 떨어져 있고 지구에서 가장 먼 행성인 해왕성은 태양으로부터 지구까지 거리의 30 배나 더 멀리 떨어져 있다.

 

 

STARS AND LIGHT YEARS(별들과 광년)

 

그러나 별들까지의 거리는 훨씬 크다. 태양에 가장 가까운 별은 Proxima Centauri라고 하는데 지구와 해왕성 사이의 거리보다 약 9,000 배 더 멀다. 거리가 너무 커서 AU를 사용할 수 없다. 그 대신 천문학자들은 종종 광년(ly)이라고 하는 다른 단위를 사용한다.

 

광년이란 빛이 1 년에 이동하는 거리인데, 빛은 너무 빨라서 매초 300,000km(186,000 마일) 이동한다. 그래서 빛은 일년에 아주 멀리 여행한다: 9 조 킬로미터(6 조 마일)!

 

이를 통해 별까지의 거리에 대해 쉽게 이야기 할 수 있다. , Proxima Centauri는 약 4.3광년의 거리에 있다. 밤에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 또는 개 별/dog star’8.6광년 거리이다. 그리고 오리온 별자리에 있는 밝은 붉은 별인 베텔게우스(Betelgeuse)는 약 640광년 거리이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더 멀리 있는 물체가 있다. 가장 강력한 망원경은 130억 광년 떨어진, 별들의 거대한 집합체인 은하계를 볼 수 있다.

 

 

HOW AND WHEN THE UNIVERSE BEGAN(어떻게 그리고 언제 우주가 시작되었을까?)

 

성경은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말해준다. 창세기는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1:1)을 창조 하셨다고 말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태양과 달과 별들을 창조하시기까지 4일까지 기다리셨다.

 

창세기는 태양을 큰 광명체”, 달을 작은 광명체라고 부르며 별들에 대해서는 전혀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하늘의 빛을 숭배하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별들을 숭배해야 할 대상으로가 아니라 물체로 창조되었음을 분명히 밝히기 원하셨기 때문이다.

 

 

(BOX)SCIENCE EXPERIMENT:(과학 실험:)

 

매우 긴 줄자나 야드 자 없이 어떻게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가? 답은 물체를 다른 위치에서 볼 때 그것들의 위치가 어떻게 바뀌는 것처럼 보이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을 시차라고 한다.

 

당신은 이것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다. 한쪽 검지 손가락을 다른쪽 검지 손가락보다 멀리 둔다. 한쪽 눈으로 그 두 손가락을 통해 마당에 있는 무언가를 보라. 이제 머리를 좌우로 움직여 보라. 두 손가락이 머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멀리 있는 손가락이 가장 적게 움직일 것이다.

 

그런 다음 하나의 손가락과 마당에 있는 두 물체를 사용하여 이것을 시도하라. 이때 한 물체는 다른 것보다 훨씬 더 가까이 있어야 한다. 가장 멀리 있는 물체의 움직임이 가장 적게 보일 것이다.

 

tip338-1.JPG


 

This works in astronomy too. The point is, parallax in stars is so tiny that no one could even see it until scientists invented powerful telescopes in the 1700s. This is how ancient astronomers knew that the stars must be extremely distant because they couldn’t even detect the parallax. (You can even work out the distance from parallax. But this takes a type of high school math called trigonometry, first invented by astronomers.)

이것은 천문학에서도 작동한다. 요컨대, 별들의 시차는 너무 작아서 과학자들이 1700 년대에 강력한 망원경을 발명 할 때까지 아무도 그것을 볼 수 없었다. 고대 천문학자들은 별의 시차를 감지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별들이 아주 먼 거리에 있음이 분명하다는 것을 알았다. (시차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천문학자들이 처음 고안한 삼각법(trigonometry)이라는 고등학교 수학을 필요로 한다.)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별들을 어떻게 볼 수 있을까?

우리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별들은 수십억 광년이나 멀리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성경은 하나님이 6,000년 전에 창조하셨다고 말한다. 그렇게 멀리 갈 시간이 없었다면 별빛이 6,000광년보다 더 먼 곳에서 어떻게 우리에게 도달할 수 있을까? 매우 영리한 어떤 과학자는 하나님이 별들을 만드셨을 때 우주는 여전히 팽창하고 있었으므로 빛은 그렇게 멀리서 출발할 필요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은 왜 그렇게 큰 우주를 만드셨을까?

우리에게 있어서 우주는 매우 크지만, 하나님에게는 그리 크지 않다! 그분은 매우 능력이 있으셔서 우주를 그렇게 크게 만드시는 것이 어렵지 않다. 별들과 행성들은 하나님께 영광을 가져오고 우리에게는 탐구하고 탐험할 많은 것들을 제공한다! (시편 8편을 보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 사람의 새로운 기관이 목에서 발견되었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1.03.21 26
355 (for Kids)달(The Moon) - Lita Cosner and Jonathan Sart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1.03.16 32
354 ‘젊은’ 은하가 매우 질서정연하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1.01.13 33
353 빗방울이 자꾸 내 머리에 떨어지네요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1.01.13 31
352 (for Kids)태양(The Sun) - Lita Cosner and Jonathan Sart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12.28 59
351 중추 신경계가 놀랍도록 잘 보존 됨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11.08 47
350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전갈이 100% 전갈이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11.08 39
349 일본 헌법의 논란이 되는 다윈 그림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11.08 38
348 진화론 게임(Playing games with Evolution) -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11.08 83
347 (for Kids)태양계(The Solar System) - Lita Cosner and Jonathan Sart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10.23 59
346 나사 애니메이션은 빙하기 육교를 드러낸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7.07 48
345 암흑물질은 여전히 미스테리이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7.07 43
344 하나님은 왜 코로나 바이러스를 만드셨을까?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7.07 41
343 (for Kids)반짝이는 별들 - Lita Cosner and Jonathan Sart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7.07 38
342 충격적인 공룡의 연부조직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5.03 66
341 (for Kids)창세기 – 하나님의 창조에 대한 설명 - Lita Cosner and Jonathan Sart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5.03 44
» (for Kids)우주: 거대한 장소 - Lita Cosner and Jonathan Sarf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2.22 92
339 시베리아 빙하기 망아지가 여전히 액체상태의 혈액과 소변을 가지고 있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honey 2019.11.29 59
338 네안데르탈인들은 우리처럼 걸었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honey 2019.11.28 42
337 “지옥같은” 새로운 행성이 있어야 하지 말아야 할 곳에서 발견되었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honey 2019.11.28 54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8 Next
/ 28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