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과학

오늘:
18
어제:
226
전체:
1,933,7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지에 달린 잎에서 영감받은

슈퍼축전기 전극 설계

 

Jonathan Sarfati , 이종헌 역

출처: creation magazine Vol. 41(2019), No. 2 p. 19

 

 cr164-1.JPG


 

축전기(capacitor)는 두 개의 평행 판에 반대 전하를 띄게 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기 소자이다. 판의 면적이 클수록, 그리고 판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정전 용량(전하 저장 능력)이 커진다. 슈퍼축전기는 판 사이의 간격을 1 나노 미터(1미터의 10억분의 1) 미만이 되게 함으로써 매우 높은 정전 용량을 달성한다.

 


cr164-2.JPG

가지와 잎의 설계는 중공의 원통형 탄소 나노 튜브(‘가지’)와 그래핀으로 만든 날카로운 꽃잎 모양의 구조(‘’)의 배열로 구성된다. 인용: UCLA Engineering. 참고문헌 1로부터.

(역주: 그래핀 = 연필심으로 쓰이는 흑연 즉 그래파이트(graphite)’와 탄소이중결합을 가진 분자를 뜻하는 접미사 ‘-ene’를 결합하여 만든 용어이다. 2차원 평면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두께는 0.2nm(1nm10억 분의 1m) 100억 분의 2m 정도로 엄청나게 얇으면서 물리적·화학적 안정성도 높다.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반도체로 주로 쓰이는 단결정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며, 최고의 열전도성을 자랑하는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열전도성이 높다. 또 탄성이 뛰어나 늘리거나 구부려도 전기적 성질을 잃지 않는다.)

 

슈퍼축전기는 아직 최고 좋은 배터리만큼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훨씬 빠르게 충전 및 방전을 할 수 있으며, 수백만 번의 충전/방전 반복 후에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 회생 제동(regenerative braking)에 이용하면 매우 좋다.

 

지금은 UCLA Henry Samueli 공학 및 응용과학부와 4개의 다른 대학에서 몇 명의 연구자들이 훨씬 더 강력한 슈퍼축전기를 만들었다.(1) 그들은 나무의 설계에서 영감을 얻어 전극의 표면적을 크게 늘려서 그것을 만들었다.(2) 가지와 잎의 적절한 배열 때문에, 잎들은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매우 큰 표면적을 갖는다.

 

전극을 위해서는 탄소로 만들어진 두 개의 비교적 새로운 특수 구조를 사용했다. ‘가지에 대해서는: 탄소 나노 튜브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지름이 20에서 30나노미터 밖에 안되는 중공 튜브이며; ‘에 대해서는: 그래핀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6각형 격자 속에 탄소 원자로 된 단일 층의 얇은 판으로써, 이것도 역시 전극을 안정화시켰다. 그들이 만든 슈퍼축전기는 같은 질량의 다른 탄소 기반 축전기보다 정전 용량이 30% 더 많으며, 주어진 면적에 대해서는 정전 용량이 30배이다. 그리고 충전을 교환할 수 있는 넓은 면적으로 인해 그들의 설계는 10배 더 많은 전력을 생산했다. 또한 그것은 10,000 회 이상의 반복 충전 이후에도 용량의 95%를 유지했으며 산성 및 고온 환경 모두에서 잘 작동했다.

 


cr164-3.JPG

새로운 슈퍼축전기에 있는 도관의 미세 구조 다이어그램을 실제 잔가지 및 잎과 비교. 도관 속에서 잔가지는 탄소 나노 튜브(CNT)이고 은 그래핀 꽃잎(GP)이다. 참고문헌 2에서.


cr164-4.JPG  

탄소 마이크로 화이버에 있는 CNT 마이크로 도관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확대한 것. 오른쪽 아래의 기준자(scale bar)10μm이다. 참고문헌 2에서.

 

팀의 리더인 UCLA의 기계 및 항공우주공학 교수인 팀 피셔(Tim Fisher)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종종 자연에서 영감을 얻는데, 식물은 그들의 환경에서 이산화탄소와 같은 화학 물질을 흡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이 경우 우리는 그 아이디어를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크기가 약 1백만 분의 1 정도로 훨씬 더 작은 규모입니다.(1)

 

이 엔지니어들은 훌륭한 설계를 했지만, 그들 스스로 인정한 바에 의하면, 그들의 설계는 단순한 복제일 뿐이다. 그렇다면 태양을 만드시기 하루 전날 창조주간의 제3일에 녹색 식물을 만드신, 원본의 설계자(3)에게 훨씬 더 많은 공로를 돌려드려야 하지 않을까?

 

 

References and notes(참고문헌 및 주석)

 

1. UCLA Henry Samueli School of Engineering of Applied Science, Inspired by nature: Design for new electrode could boost supercapacitors’ performance, phys.org, 26 February 2018.

2. Guoping Xiong and six others, Bioinspired leaves-on-branchlet hybrid carbon nanostructure for supercapacitors, Nature Communications 9:790, 2018 | doi:10.1038/s41467-018-03112-3.

3. See many more examples at ‘Scientists copying nature (biomimetics)’, creation.com/biomimetic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진화론자 벽장 속의 뼈들 - Joel Tay Interviews,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10.02 42
175 타조(창조와 타락을 생각나게 한다) - Michael Eggleto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28 58
174 9천5백만년의 그림 만들기 - Philip Robinso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18 35
173 놀랍게 설계된 세포주기 - Matthew Cserhati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12 39
172 새로운 암치료법, 다윈에게 감사? - Don Batten 글, 이종헌 역 honey 2019.09.11 914
171 유전적 엔트로피 – 조용한 살인자 - Paul Price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10 47
170 암흑물질 찾기가 빈손으로 끝난다 - John Hartnett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07 35
169 태양 이전에 문자적인 날들? - Jonathan Sarfati 글, 이종헌 역 honey 2019.09.07 41
168 하나님과 동행한 사람 에녹 -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05 39
167 유일한 대홍수 이후 빙하기 - Michael Oard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05 45
166 빅뱅은 정말로 과학적인가? - Dominic Statham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03 39
165 고대 로마의 콘크리트 - Jonathan O’Brie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01 41
164 내가 변증가가 되어야 하는가? -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30 34
» 가지에 달린 잎에서 영감받은 슈퍼축전기 전극 설계 - Jonathan Sarf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29 35
162 창조주의 언약 신명기 -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28 38
161 공룡발자국 보물창고 - Philip Robinso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26 35
160 화석이 하루만에? - Ron Nell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8.04 42
159 신비한 외계 서판 - Dominic Statham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20 46
158 티라노사우루스가 상어와 함께 걸었다? - Gavin Cox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18 32
157 실제로 공룡은 얼마나 컸을까? - Jonathan Saf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16 52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4 Next
/ 24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