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과학

오늘:
71
어제:
283
전체:
1,936,6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낳지 않은 알을 지닌 새 화석의 최초 발견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Creation Magazine Vol. 41(2019), No. 3, p.7

 

 

 tip327-1.JPG


 

 

깃털 자국을 가진 부분적인 조류 화석(사진 참조)이 중국에 있는 11천만년 되었다고 짐작되는 퇴적물에서 발견되었다. 놀랍게도, 에난티오르니티네(enantiornithine) (멸종 된 유형, 또한 역조/opposite bird’라고도 함) 또한 몸 구멍에 그 보존된 알이 남아있었다. 이것은 화석 기록에 있어서 알려진 최초의 그런 예이다. 그 새는 화석에서 연부조직의 발견에 관한 메리 슈바이쩌 박사(Dr Mary Schweitzer)의 획기적인 연구를 기리기 위해 Avimaia schweitzerae(문자적으로 슈바이쩌의 어미 새’)로 명명되었다.

 

비록 형태가 흐트러져 있기는 하지만, 그 알은 매우 잘 보존되어 있으며, 대부분 단백질과 기타 다른 유기 물질로 만들어진 알의 막과 표피의 흔적과 같이, 화석 기록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 알껍질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2차원적으로 보존된 알은 교차 단면에서 4~6 개의 층을 가지고 있어 비정상적인 이중층을 암시했다. 주 저자인 Alida Bailleul 박사는 이렇게 설명했다: “이 암컷 새의 생식계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했다. 이 알의 껍질이 정상적인 건강한 새의 알에서와 같이 하나가 아니라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알이 복부 내부에서 너무 오래 머물러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는 종종 스트레스의 결과로 살아있는 새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낳지 않은 알은 두 번째 층에서 때로는 그 이상의 층에서 알의 껍질에 입혀진다.”

 

이 경우, 4,500년 전의 노아의 대홍수는 2층 구조의 아직 낳지 않은 알을 가질 수 있는 상처가 깊은 경험을 줄 수도 있고, 또한 알과 어미를 화석으로 보존할 수 있는 (광물이 풍부한 퇴적물에의 급속한 매몰) 환경을 제공한다.

 

Bailluel, A. and 7 others, An Early Cretaceous enantiornithing (Aves) preserving and unlaid egg and probable medullary bone, Nature Communications 10:1275, 2019.

Bell, V., Ancient bird that died 110-milion-years-ago is found perfectly preserved with an egg inside its body, dailymail.co.uk, 20 Mar 20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6 (for Kids)하나님의 놀라운 예술적 걸작 - Erin Hughes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04.05 148
235 (for Kids)놀라운 눈과 시각이라는 선물 - Erin Hughes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08.28 107
234 (for Kids)하나님은 우주의 건축가 - Erin Hughes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8.10.24 78
233 (for Kids)공룡 - 하나님의 놀라운 창조 - Erin Hughes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1.12 82
232 (for Kids)공룡시대는 없다 - Erin Hughes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3.31 104
231 (for Kids)공룡과 사람이 함께 살았었나? - Erin Hughes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06 53
230 세레스(Ceres)의 놀라움 - Jonathan O’Brien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12 47
229 혜성 수수께끼 - Mark Harwood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22 62
» 낳지 않은 알을 지닌 새 화석의 최초 발견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22 48
227 목성의 오드볼(oddball) 달은 틀림없이 젊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7.22 57
226 (for Kids)공룡이 대홍수에서 어떻게 살아남았나? - Erin Hughes and Lita Cosner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09.16 73
225 명왕성의 물 문제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11.02 183
224 외계인을 발견할 기회는 점점 더 희박해진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11.02 49
223 요시야 왕의 점토 인장의 공식 발견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11.13 50
222 해파리는 방수, 자체 치유 ‘피부’에 영감을 준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19.11.16 69
221 비행기가 얼음 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을까? - 이종헌 역 honey 2019.11.16 50
220 “지옥같은” 새로운 행성이 있어야 하지 말아야 할 곳에서 발견되었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honey 2019.11.28 54
219 네안데르탈인들은 우리처럼 걸었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honey 2019.11.28 42
218 시베리아 빙하기 망아지가 여전히 액체상태의 혈액과 소변을 가지고 있다 - CMI 편집실 글, 이종헌 역 honey 2019.11.29 59
217 (for Kids)우주: 거대한 장소 - Lita Cosner and Jonathan Sarfati 글, 이종헌 역 file honey 2020.02.22 92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8 Next
/ 28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