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 바디로서 여성의 몸에서 프로젝트화 된 여성의 몸까지
유지나,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파리7대학 문학박사(영화기호학전공), 이화여대 불어불문학과 졸업
대한토목학회지 제54권 제9호(통권 317호), 2006. 9. pp.121-124
몸의 역사로서 영화자본주의
영화는 연극이나 춤처럼 탄생부터 인간의 몸(창조자의 몸이라기보다는 재현체의 몸이라는 측면에서)과 함께 했다. 최초의 대중공개 영화로 기록된 프랑스 뤼미에르 형제의 <기차의 도착>(1895)에서도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움직이는 물체(기차)와 함께 움직이는 인간군상의 몸이었다.
이후 테크놀로지라는 기계장치의 발달과 함께 하는 영화의 역사는 대자본의 투자가 개입되면서 산업화되었고, 투자보다 더 큰 수익을 목표로 하는 자본의 논리는 가장 위험부담이 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나선다. 여기에서 인간의 몸을 상품화시키는 전략이 등장하는데, 흔히 그것은 인간의 몸에 관한 미학적 재현이라는 목적 내지 명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것은 또한 영화가 산업적 생산물이자 예술표현 매체라는 태생적인 이중적
속성이 상업주의와 가부장적 시선의 결합으로 작용해 빚어낸 결과물이기도 하다.
다가 영화가 탄생한 19세기 말의 시대 정서는 몸의 해방을 대중적으로 구가하는 일련의 조짐들의 시초이기도 하다. 정신과 육체의 우월함에 가위눌린 중세 기독교의 신학적 세계관에 기댄 몸의 부정과 몸을 죄악시하는 과거 전통에서 벗어나 인간 몸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을 시도할 수 있게 된 근대 이후의 사회적 분위기에서 영화가 자본의 논리를 몸의 해방으로 펼쳐 나간 시대적 상황과 맞아떨어지는 것이기도 한다.
그러나 여전히 공적 영역에서의 몸에 관한 표현은 각 사회의 도덕적 종교적 관습적 규칙에 따라 엄격히 금기시되기도 한다. 바로 이 금기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하게 곡예를 부림으로써 사람들에게 금기 위반이라는 대리충족의 대가로 영화는 대중성을 확보하게 된다. <<주 : 할리우드에서 배꼽의 표현이 금지된 시절, 할리우드에선 여배우들에게 가슴을 가리고 배꼽을 보석으로 치장한 여배우의 상반신 노출이라는 표현방법을
개발해서 인기를 끌었다. (데스먼드 모리스, 과학세대옮김. <맨워칭: 인간 행동을 관찰한다>, 342-366쪽, 까치,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