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젊은 시절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빌 2:13)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로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For it is God which worketh in you both to will and to do of {his} good pleasure.>
* 가지고 있는 꿈과 비전에 따라 미래가 결정된다.
◆///너희로 소원(will)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
꿈과 비전이 중요한 이유
(1) 비전이 있으면 삶의 목표가 정해진다. - 목표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은 삶의 차원이 다르다.
* 바울의 예 : (고전 9:26) {그러므로 내가 달음질하기를 향방 없는 것같이 아니하고 싸우기를 허공을 치는 것같이 아니하여} → 바울은 푯대를 향하여 달려갔다. 그 결과 (딤후 4:7) {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라고 선언할 수 있었다.
(2) 삶의 의미를 부여해 준다.
* 예수님의 예 : (막 10:45)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 비전과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요 19:30) {예수께서 신 포도주를 받으신 후 가라사대 다 이루었다 하시고 머리를 숙이시고 영혼이 돌아가시니라} 라고 선언할 수 있었다.
(3) 인생의 절제를 하게 해 준다.
* 많은 잡다한 곁가지를 끊게 해 준다.
* (잠 29:18) {묵시가 없으면 백성이 방자히 행하거니와 율법을 지키는 자는 복이 있느니라}<Where {there is} no vision, the people perish: but he that keepeth the law, happy {is} he.> → 비전이 없으면 멸망한다.
(4) 자기 삶의 에너지를 목표에 집중한다. - 비전이 있으면 열정이 뒤따른다.
※공동체의 비전도 중요하다. "비전이 없는 민족은 망한다."
◎"주어진 조건에서 최선을 다한다"는 생각은 소극적인 생각이다. 비전이 있으면 자기의 여건을 만들어 간다. → 2차대전 때 영궁의 주변국들이 독일에 합병될 때 영국민들은 살아남기를 원했다. 그때 처칠 수상이 영국민에게 한 말, "Our goal is not survival but prevail." → 결국 비전이 여건을 만들어서 연합국이 승리했다.
◆비전(목표)만 있으면 다 되는가?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 비전 = 하나님의 기쁘신 뜻을 위하는 것
* vision vs. 야망(자기의 꿈)
* 나의 비전은? 60년대 한국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외치던 구호 = "잘 살아보세" → "올바로 잘 살아보세"가 되어야 한다.
어떻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것인가?
* 비전을 발견해야 한다. - 하나님께서 나를 어떻게 사용하시기를 원하시는가?
※어떻게 그것을 찾을 것인가?
(1) "내가 무엇을 가졌는가?"에서 출발
* 현재의 형편을 감사함으로 받는다. 주어진 것에서 출발한다. 내가 바꿀 수 없는 것을 비관하지 말자.
(2) 기도 : "하나님이 나로 하여금 어떻게 살기를 원하십니까?"
(3) 자신의 능력과 역량을 키우도록 노력한다. : "노력 없는 꿈은 개꿈이다."
* 그것을 위해 자기 생활을 절제한다. 규칙을 세워서 생활을 점검한다.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한다.(///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 George Washington Cover (농학박사) : 목화밭에 질소가 없어진 땅에 땅콩을 심으면 지력이 회복된다. 사람들에게 홍보했더니 모두 땅콩을 심어서 판로가 없어졌다. 이때 하나님께 묻는다. "네가 해결할 수 있는 것을 하라." 그래서 땅콩 제품을 개발하고 Royalty를 받지 않고 개방
* Boys be ambitious in Chr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