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있는 사람 I
<1>찬양: <2>기도 <3>Ice Braker
<4> 주제 나눔(본문: 시 1:1-6)
1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3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4 악인들은 그렇지 아니함이여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5 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들지 못하리로다
6 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성경에서는 복을 늘 (물질적인 개념이 아니라) 도덕성을 가진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편 1편: 복 있는 사람과 악인이 대조되어 있다.
1. 참으로 복 있는 삶은 (불의)를 거부함으로 시작됩니다.
1절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꾀 → (길) → 자리
-이 단어들은 이 악인의 행실이 어떻게 더 악화되어 가고 있는가 하는 것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악인은 처음에는 악한 “꾀”를 따라 행합니다. 처음에 악에 발을 들여놓은 사람들은 주로 비밀리에 악한 꾀를 따라 걷기 시작합니다.
한번 악한 꾀를 따라 걷게 되면 그 다음에는 그 “길”에 서서 공공연히 죄를 짓게 됩니다.
그리고 나아가서 그 “자리”에 앉아 오히려 큰 소리 치는 자로 변하게 됩니다.
*악인 → (죄인) → 오만한 자
-악인은 그 행실만 악화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길을 계속가면 그 인격까지 타락합니다.
- “악인” : ‘거짓된 자, 불의한 자. 정함이 없는 자’
- “죄인” : 적극적으로 그리고 습관적으로 악을 행하는 자 - (창 13:13) “소돔 사람은 여호와 앞에 악하며 큰 죄인이었더라”
- “오만한 자” : 악을 공공연하게 행하는 자
2. 복 있는 삶은 하나님의 뜻을 순종함으로써 체험될 수 있습니다.
2절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참으로 복 있는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을 (즐거워)합니다.
- 하나님의 말씀을 자신을 속박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신 10:13 “내가 오늘날 네 행복을 위하여 네게 명하는 여호와의 명령과 규례를 지킬 것이 아니냐”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는 것은 그 말씀을 주야로 묵상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어 있습니다.
기독교의 묵상은 채우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채우는 것입니다.
천지를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우리를 채우므로 우리가 그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적용 질문>
1. 참으로 복 있는 인생을 살기 위한 자신의 결단을 구체적으로 적어 보라.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뜻을 알고 순종하며 살아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