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LIFE

오늘:
225
어제:
266
전체:
1,933,730
조회 수 1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학생 입장에서 생각하고 질문을 던져라. (易地思之)

교사가 만든 질문이 좋은 질문인지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은 교사가 직접 그 질문에 대한 예상 답변을 기록해보는 것이다. 예컨대, 교사가 학생들에게 좋은 시란 무엇일까요?”라고 질문한다면 학생 입장에서 쉽게 답변하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시() 중 인상깊었던 시나 좋았던 시가 있었으면 그 시()는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라고 질문한다면 학생 입장에서 쉽게 답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생의 학습 수준에 맞는 질문을 활용해야 한다.

 

2. 교사가 질문을 독점하지 말라.

교사가 수업을 준비 할 때 1차시 수업을 기준으로 할 때 3개 내외의 큰 질문을 미리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 좋다.

 

3. 학생의 질문을 다른 학생에게 연결하라.

학생의 질문이나 답변에 대하여 교사가 즉각적으로 정답을 말하지 말고 다른 학생에게 의견을 묻거나 그 질문을 반사하여 질문하는 것이 좋다.

 

4. 진정 대답을 원한다면 학급 전체로 질문하지 말고 특정 학생을 선택하여 질문하라.

구체적인 학생을 선택하여 질문해야 해당 학생이 답변할 가능성이 높다.

 

5. 특정 학생을 선택하여 질문했으면 최소 7초를 기다리라.

대개 교사가 특정 학생을 선택하여 질문했는데, 해당 학생이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우물쭈물거리면 다른 학생에게 질문을 넘기는 경우가 많다.  내성적이고 수줍어하는 학생의 경우, 자기 이야기를 하려고 하면 최소 7초의 시간을 기다려줘야 한다.

 

6. 절대로 자문자답하지 말라.

교사에게 가장 좋지 않은 질문 습관은 자문자답(自問自答)’하는 것이다.

 

7. 교사의 질문에 대하여 학생이 오답을 말해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말라.

오개념을 수정하는 것과 오답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은 별개의 문제라는 것이다.  교사가 직접 오개념을 수정하더라도 민식이가 잘 질문(대답)해줘서 고마워. 그런데 선생님의 생각으로는...” 등으로 대답 자체에 대한 칭찬과 격려를 하고 나서 오개념에 대한 수정을 하는 것이 좋다.

 

8. 질문을 했으면 그 대답을 경청하고 반응을 보여라.

특히 경청의 기본 자세는 눈 맞춤(아이 컨텍 eye contect)’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학생에게 질문을 했으면 힘을 다해 경청하고 그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어야 한다.

 

9.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라.

교사가 생각나는 대로 질문하는 것은 좋지 않은 질문 습관이다. 수업의 흐름에 따라 적절한 질문을 미리 고민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출발 질문 전개 질문 도착 질문의 3단계 질문 단계를 기억하면 좋다.

 

10. 학습 단원의 특성, 학생들의 수준, 수업 맥락, 상황 등에 맞는 질문을 사용하라.

질문의 원칙과 사례들을 안다고 해서 수업에서 좋은 질문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학습 단원의 특성, 학생들의 학습 수준, 수업의 맥락과 상황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그에 맞는 질문을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질문은 교사의 고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나올 수 있다.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