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경참고

오늘:
224
어제:
266
전체:
1,933,729
조회 수 18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87 불교 신앙이란 무엇인가?

 

붓다('깨달은 사람')는 현재는 네팔 영토인 룸비니에서 시키아족 왕가의 싯다르타 고타마로 태어났다. 널리 인정되는 출생 연대는 주전 560년이다. 싯다르타는 스물 아홉 살의 나이에 젊은 아내와 어린 자식을 둔 가장으로서의 삶을 거부하고 진리를 찾아 인도 동부의 평원을 유랑하기 시작했다. 그는 서른 여섯 살이던 5월 보름밤에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그가 깨달음을 얻은 곳은 현재 인도의 비하르주에 해당하는 곳인 가야(Gaya)였다. 그가 여든의 나이로 죽었을 때 추종자들은 그의 죽음을 반열반(般涅槃, Parinirvana), 즉 최후의 안식이라고 불렀다.

 

붓다가 죽은 후 백년이 지나서 불교 수도자들의 두 번째 회의가 바이샬리에서 열렸는데, 이때 고대 불교 최초의 교단 분열이 발생했다. 원시불교의 저작을 권위있는 경전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들은 떨어져 나와 대승불교('큰 수레'라는 뜻)를 형성했고, 중국, 티벳, 일본, 한국에서의 주요한 종교가 되었다. 원시불교의 경전을 받아들이는 이들은 상좌부불교('상좌들의 길'이라는 뜻으로 소승불교라고도 불린다)라고 불리는데,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에서 융성하였다. 불교는 힌두교의 카스트제도에 대한 반응으로서 생겨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붓다가 가르친 사성제는 다음과 같다:

* 고성제(苦聖諸): 고통과 불만족, 압박감과 같은 인생의 괴로움 - 근본적으로 삶이란 모든 종류의 실망으로 가득차 있다.

* 집성제(集聖諸): 그 괴로움의 원인 - 불만족의 원인은 즐거움을 탐하고 추구하는 갈애, 즉 모든 형태의 갈망이다.

* 멸성제(滅聖諸): 괴로움을 없앤 상태로서의 해탈 - 갈망을 포기함으로써 모든 불만족을 종식시킬 수 있다.

* 멸도성제(滅道聖諸): 괴로움을 멸하기 위한 수행방법 - 모든 불만족의 종식을 달성하기 위한 수행방법이 있는데, 이것이 곧 팔정도(八正道)이다.

 

이 네 가지 진리에 대해 붓다가 할당해 준, 구도자들이 행해야 할 구체적인 책무:

(1) 이해하는 것, (2) 포기하는 것, (3) 깨닫는 것, (4) 계발하는 것

 

셋째 진리를 온전히 깨닫게 되면 열반(Nirvana)에 이르게 된다. 열반은 자아의 전적인 소멸(그리고 포기)에 의한 초월적인 자유로움이다.

 

팔정도는 인간의 불행으로부터 벗어나 탄생과 죽음의 고통스럽고 지루한 순환으로부터 영원한 해방을 얻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1) 정견(政見) - 바른 생각, (2) 정사유(正思惟) - 바른 결단, (3) 정어(正語) - 바른 말, (4) 정업(正業) - 바른 행위, (5) 정명(正命) - 바른 삶, (6) 정정진(正精進) - 바른 노력, (7) 정념(正念) - 바른 마음가짐, (8) 정정(正定) - 바른 명상

 

점진적 훈련의 체계:

(1) 윤리적 규범인 계(戒)의 단계(정어, 정업, 정명), (2) 명상과 정신적 수행인 삼매(三昧)의 단계(정정진, 정념, 정정), (3) 지혜의 연마인 혜(慧)의 단계(정견, 정사유), (4) 너그러이 베푸는 보시는 팔정도 각 단계를 뒷받침해 준다.

 

업(業, Karma)의 법칙: 보편적 인과법칙 - 해로운 행위는 반드시 해로운 결과를 낳게 되며, 유익한 행위는 유익한 결과를 낳게 된다.

 

수행자는 3개의 보석(삼보)에 귀의하겠다는 마음의 결단을 표현함으로써 불교 교단에 입문하게 된다.

(1) 붓다: 역사적 붓다를 일컫는 동시에 모든 사람이 타고나는 깨달음의 능력

(2) 달마(達磨): 법(法)이라고 번역 - 역사적 붓다의 가르침인 동시에 그것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원리

(3) 승가(僧伽): 붓다의 가르침을 보전하고 실천해 온 승려들의 공동체인 동시에 적어도 일정한 수준의 깨달음을 성취한 모든 이들

 

*** 그들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 ***

불교에서는 만물이 고통이라는 사성제의 첫째 진리를 가지고 있는데, 우리는 불교도들에게 고통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아보라고 권해야 한다. 나아가서, 우리는 실용적인 차원에서라도 삶 속에는 좋은 것들이 많이 있으며, 고통을 완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선한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보시를 행하는 불교의 가르침을 보아도, 그들이 고통의 세계 속에서도 고통이 경감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암묵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성제의 둘째 진리 속에서 발견하는 진리는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요한일서 2:16)을 경고하는 것이다.

 

모든 갈망을 포기하라는 세 번째 진리는 모순이다. 즉, 갈망을 포기하는 것 자체가 또 하나의 갈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욕망하지 않는 존재라는 말은 논리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존적으로도 모순이 된다. 다만, 욕망할 만한 가치가 있는 대상에 우리의 욕망을 집중해야 한다.

 

네 번째 진리는 도덕적으로 훌륭한 삶을 사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살라는 제안은 거의 하지 않는다. 결국 무엇이 옳은 것인지 알고 있지만 그것을 행할 능력은 없는 심각한 문제에 다시 직면하게 된다.

 

우리는 불교도의 친구들이 고통의 진정한 문제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그들에게 고통과, 도덕적으로 거룩하신 하나님에 대해 반역한 상태에 있는 도덕적 악이라는 실존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참된 깨달음이란, 이 땅에서 우리의 여정이 끝났을 때 우리를 사랑하시는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인격적으로 만나는 것이다.

 

힌두교에서는 윤회의 과정 속에서 개별 영혼이 정체성을 유지한다고 보는 반면, 불교에서는 인간이 죽으면 영혼은 다섯 가지 원소로 흩어졌다가 새로운 삶의 순환이 시작되면 재결합된다고 믿는다.

 

이에 대한 해답: 우리가 어머니의 자궁 속에 있을 때부터 하나님은 우리를 알고 계셨을 뿐 아니라, 우리를 위하여 오직 우리에게만 적합하며 다른 어떤 이도 대신할 수 없는 자리를 마련해 두셨다. 그러므로 우리의 정체성은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보존되는 것이다.

 

 

결론

 

동양의 종교들이 가지고 있는 매력에 대항할 수 있는 강력한 증거는, 단순히 개인적으로 그리스도인의 거룩함을 추구하는 것에만 있지 않으며 오히려 우리의 눈으로 분명히 볼 수 있는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성취 속에 있다.

 

 

묵상과 토론을 위한 질문들

 

1. 신체적인 건강의 유지에 초점을 맞추는 요가에도 그른 점이 있는가? 그렇다. (85. 요가 참조)

 

2. 이 땅에서의 삶이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며 우리는 더 잘 살 수 있는 또 한번의 기회를 바라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을 실제적으로 논증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무엇인가? (86. 윤회설 참조)

 

3. 물질적인 풍요를 추구하는 이 세상에서 부를 좇는 삶을 살지 않고도 기독교 신앙이 강조하는 삶을 긍정하는 태도를 취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하늘에 대한 소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 096 이슬람교는 흑인들에게 참된 종교로서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honey 2010.09.07 1961
99 095 맬컴 엑스는 누구인가? honey 2010.08.30 1693
98 094 특히 미국의 흑인 남성들이 이슬람교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honey 2010.08.30 1834
97 093 흑인들이 이슬람교에 매료되는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가? honey 2010.08.30 1781
96 092 흑인이슬람운동을 태동시킨 사회적 요인은 무엇인가? honey 2010.08.30 1907
95 091 누가 흑인이슬람운동의 메시지를 널리 퍼뜨렸는가? honey 2010.08.03 1891
94 090 흑인이슬람운동을 창설한 사람은 누구인가? honey 2010.08.03 1875
93 089 무엇이 종교를 '흑인적'이게 만드는가? honey 2010.08.03 1968
92 088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현대 교회의 태도는 어떠한가? honey 2010.08.03 1871
» 087 불교 신앙이란 무엇인가? honey 2010.08.02 1858
90 086 윤회설이란 무엇인가? honey 2010.08.02 2019
89 085 요가는 무엇이며 그 이면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honey 2010.07.14 1868
88 084 초월명상이란 무엇인가? honey 2010.07.09 3069
87 083 힌두교의 주된 교의는 무엇인가? honey 2010.07.07 1846
86 082 서양 사람들 사이에서 동양 종교에 대한 관심이 이처럼 높아진 까닭은 무엇일까? honey 2010.07.07 1848
85 081 코란은 하나님의 말씀인가? honey 2010.06.29 1944
84 080 몰몬경이 하나님의 영감에 의한 것이라는 증거가 있는가? honey 2010.06.23 1821
83 079 몰몬교의 성경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곳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있는가? honey 2010.06.23 1782
82 078 몰몬교도들은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에 의한 것임을 믿고 있는가? honey 2010.06.23 1784
81 077 왜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에 의한 것이 아닌 책들을 언급하고 있는가? honey 2010.06.23 17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