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와 초월명상에 관한 까다로운 질문들
1. 오류는 진리에 기생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비진리를 만날 때 "이 비진리에 대응하는 기독교의 진리는 무엇일까?"라고 물어야 한다.
2. 비진리는 진리의 중요한 지점을 비틂으로써 얻어진다. 모든 오류에는 진리의 한 요소가 들어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우리가 우리에 대해 반대하는 이들에게 이르게 하는 다리 역할을 해 주고, 그들의 관점 속에 담겨 있는 진리를 확증시켜 준다. 그런 다음 우리는 온유와 두려움으로 최종적인 오류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던 출발점에 대해서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한다.
082 서양 사람들 사이에서 동양 종교에 대한 관심이 이처럼 높아진 까닭은 무엇일까?
인도 범신론의 근본은 모든 것이 하나님이 받아주실 만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모든 실재는 하나이며 그런 이유로 옳고 그름 사이의 최종적인 구별도 있을 수 없다고 하며, 죄의 존재에 대해서도 부인한다.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동양 종교로 떠난 사람들은, 자신들이 기존에 믿고 있던 기독교는 지나치게 지성에 호소하는 종교여서 마음의 은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다고 생각했다. 결국 그들은 초월자와 직접적으로 만나기 위해서는 동양적인 명상이 더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동양종교의 색다른 교리의 실천, 제의는 젊은이들을 무미건조한 기독교로부터 돌아서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디팩 초프라 - 지나치게 경쟁이 심하고 산업화되었고 풍요로운 사회 속에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뉴에이지의 기술을 대중화시키고 있다.
우리는 진리가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속성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복음의 주관적인 차원을 당당하게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실재에 근거를 둔 것이다. 교회 안에서 일관되게 이러한 접근방식을 채택해야만, 우리는 기독교가 합리성이라는 교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사람들의 주관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통일성과 다양성을 똑같이 강조함으로써 이런 도전에 대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