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06(토) 몰약의 의미(마태복음 2:9-13)
THE MEANING OF MYRRH(MATTHEW 2:9-13)
(마 2:9) 박사들이 왕의 말을 듣고 갈새 동방에서 보던 그 별이 문득 앞서 인도하여 가다가 아기 있는 곳 위에 머물러 서 있는지라//When they had heard the king, they departed; and, lo, the star, which they saw in the east, went before them, till it came and stood over where the young child was.
(마 2:10) 그들이 별을 보고 매우 크게 기뻐하고 기뻐하더라//When they saw the star, they rejoiced with exceeding great joy.
(마 2:11) 집에 들어가 아기와 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엎드려 아기께 경배하고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리니라//And when they were come into the house, they saw the young child with Mary his mother, and fell down, and worshipped him: and when they had opened their treasures, they presented unto him gifts; gold, and frankincense, and myrrh.
(마 2:12) 그들은 꿈에 헤롯에게로 돌아가지 말라 지시하심을 받아 다른 길로 고국에 돌아가니라//And being warned of God in a dream that they should not return to Herod, they departed into their own country another way.
(마 2:13) 그들이 떠난 후에 주의 사자가 요셉에게 현몽하여 이르되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하니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피하여 내가 네게 이르기까지 거기 있으라 하시니//And when they were departed, behold, the angel of the Lord appeareth to Joseph in a dream, saying, Arise, and take the young child and his mother, and flee into Egypt, and be thou there until I bring thee word: for Herod will seek the young child to destroy him.`
(요절: 마태복음 2:11)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황과 몰약을 예물로 드리니라//Then they opened their treasures and presented him with gifts of gold, frankincense and myrrh. [biblegateway passage="MATTHEW 2:11"]
Today is Epiphany, the day which commemorates the event described by the carol “We Three Kings of Orient Are” when gentile wisemen visited the child Jesus. Yet they weren’t kings, they weren’t from the Far East (as Orient formerly meant), and it’s unlikely there were three of them.
오늘은 “동방박사 세 사람”이라는 성탄절 찬송가 가사처럼 동방박사들이 아기 예수를 방문했을 때를 기념하는 주현절이다. 그러나 사실 그들은 왕이 아니었고 동쪽 끝(동방의 고전적 의미)에서 온 것도 아니었으며, 아마 세 사람도 아니었을 것이다.
There were, however, three gifts, and the carol considers each. When the magi arrived in Bethlehem, “They opened their treasures and presented [Jesus] with gifts of gold, frankincense and myrrh” (MATTHEW 2:11). The gifts symbolize Jesus’ mission. Gold represents His role as King. Frankincense, mixed with the incense burned in the sanctuary, speaks of His deity. Myrrh, used to embalm dead bodies, gives us pause.
하지만 세 가지 선물이 있었고, 찬송가는 그것을 하나씩 이야기한다. 동방박사들은 베들레헴에 도착하여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예수님께) 드렸다”(마태복음 2:11). 그 선물들은 예수님이 이 세상에서 하실 사역을 상징한다. 황금은 왕으로 오신 예수님을 나타낸다. 성소에서 향과 함께 섞어 피우는 유향은 예수님의 하나님 되심을 말한다. 그런데 방부 처리를 위해 시신에 바르는 몰약은 우리의 생각을 멈추게 한다.
The fourth verse of the carol says, “Myrrh is mine; its bitter perfume / breathes a life of gathering gloom; / sorrowing, sighing, bleeding, dying, / sealed in the stone-cold tomb.” We wouldn’t write such a scene into the story, but God did. Jesus’ death is central to our salvation. Herod even attempted to kill Jesus while He was yet a child (V. 13).
찬송가 4절의 내용은 이렇다. “주의 죽을 몸 위해/ 나는 몰약 드리네/ 세상 모든 죄인 위해/ 십자가 지셨네.” 일반적으로 우리가 쓸 수 있는 이야기의 장면은 아니지만 하나님께서 실제로 그렇게 하셨다. 예수님의 죽음은 우리의 구원의 핵심이다. 헤롯은 예수님이 아직 아기였을 때인데도 주님을 죽이려고 했다(13절).
The carol’s last verse weaves the three themes together: “Glorious now behold him arise; / King and God and sacrifice.” This completes the story of Christmas, inspiring our response: “Alleluia, Alleluia, / sounds through the earth and skies.” TIM GUSTAFSON
찬송가 마지막 절은 이 세 가지 주제를 하나로 엮는다. “다시 사신 구주님/ 왕의 왕이 되시네.” 그렇게 크리스마스 이야기를 완성하면서 우리의 반응을 이끌어낸다. “할렐루야 할렐루야 모두 다 부르세.”
How do you feel when you ponder the truth that Jesus was born to die for you? How does His resurrection inspire you?
예수님께서 당신을 위해 죽으려고 오셨다는 사실을 묵상할 때 어떤 느낌이 듭니까? 주님의 부활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를 부여합니까?
Heavenly Father, may Your Spirit help me live my life in gratitude for Your Son giving His life for me.//하늘에 계신 아버지, 성령께서 도우셔서 저에게 생명을 주신 아들 예수님께 감사하며 살 수 있게 해주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의 신비를 알게 해 주심을 감사합니다. 나의 죄를 위해 죽으셨을 뿐 아니라 다시 살아나셔서 우리 승리의 보장이 되시고, 영생에 대한 소망이 되신 주님이 나의 아빠되심을 감사합니다. 그런 주의 힘과 능력을 장래의 모든 사람들에게 전하며 살아가는 내가 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