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7(금) 세 왕(역대하 21:4–7, 16–20)
THREE KINGS(2 CHRONICLES 21:4–7, 16–20)
(대하 21:4) 여호람이 그의 아버지의 왕국을 다스리게 되어 세력을 얻은 후에 그의 모든 아우들과 이스라엘 방백들 중 몇 사람을 칼로 죽였더라//Now when Jehoram was risen up to the kingdom of his father, he strengthened himself, and slew all his brethren with the sword, and {divers} also of the princes of Israel.
(대하 21:5) 여호람이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삼십이 세라 예루살렘에서 팔 년 동안 다스리니라//Jehoram {was} thirty and two years old when he began to reign, and he reigned eight years in Jerusalem.
(대하 21:6) 그가 이스라엘 왕들의 길로 행하여 아합의 집과 같이 하였으니 이는 아합의 딸이 그의 아내가 되었음이라 그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으나//And he walked in the way of the kings of Israel, like as did the house of Ahab: for he had the daughter of Ahab to wife: and he wrought {that which was} evil in the eyes of the Lord.
(대하 21:7) 여호와께서 다윗의 집을 멸하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셨음은 이전에 다윗과 더불어 언약을 세우시고 또 다윗과 그의 자손에게 항상 등불을 주겠다고 말씀하셨음이더라//Howbeit the Lord would not destroy the house of David, because of the covenant that he had made with David, and as he promised to give a light to him and to his sons for ever.
(대하 21:16) 여호와께서 블레셋 사람들과 구스에서 가까운 아라비아 사람들의 마음을 격동시키사 여호람을 치게 하셨으므로//Moreover the Lord stirred up against Jehoram the spirit of the Philistines, and of the Arabians, that {were} near the Ethiopians:
(대하 21:17) 그들이 올라와서 유다를 침략하여 왕궁의 모든 재물과 그의 아들들과 아내들을 탈취하였으므로 막내 아들 여호아하스 외에는 한 아들도 남지 아니하였더라//And they came up into Judah, and brake into it, and carried away all the substance that was found in the king's house, and his sons also, and his wives; so that there was never a son left him, save Jehoahaz, the youngest of his sons.
(대하 21:18) 이 모든 일 후에 여호와께서 여호람을 치사 능히 고치지 못할 병이 그 창자에 들게 하셨으므로//And after all this the Lord smote him in his bowels with an incurable disease.
(대하 21:19) 여러 날 후 이 년 만에 그의 창자가 그 병으로 말미암아 빠져나오매 그가 그 심한 병으로 죽으니 백성이 그들의 조상들에게 분향하던 것 같이 그에게 분향하지 아니하였으며//And it came to pass, that in process of time, after the end of two years, his bowels fell out by reason of his sickness: so he died of sore diseases. And his people made no burning for him, like the burning of his fathers.
(대하 21:20) 여호람이 삼십이 세에 즉위하고 예루살렘에서 팔 년 동안 다스리다가 아끼는 자 없이 세상을 떠났으며 무리가 그를 다윗 성에 장사하였으나 열왕의 묘실에는 두지 아니하였더라//Thirty and two years old was he when he began to reign, and he reigned in Jerusalem eight years, and departed without being desired. Howbeit they buried him in the city of David, but not in the sepulchres of the kings.
(요절: 역대하 21:19) 백성이 그들의 조상들에게 분향하던 것 같이 그에게 분향하지 아니하였으며//His people made no funeral fire in his honor, as they had for his predecessors. [2 CHRONICLES 21:19]
In the hit musical Hamilton, England’s King George III is humorously portrayed as a cartoonish, deranged villain. However, a new biography on King George said he was not the tyrant described in Hamilton or America’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f George had been the brutal despot that Americans said he was, he would have stopped their drive for independence with extreme, scorched-earth measures. But he was restrained by his “civilized, good-natured” temperament.
인기 뮤지컬 ‘해밀턴’에서 영국 왕 조지 3세는 만화에나 나올 법한 이상한 악당으로 재미있게 그려진다. 그러나 그에 대한 새로운 전기에 의하면 그는 뮤지컬 ‘해밀턴’이나 미국 ‘독립선언문’에 묘사된 것 같은 폭군은 아니었다고 한다. 조지 3세가 당시 미국인들이 말한 대로 그런 잔인한 전제 군주였다면 어떤 가혹한 방법을 써서라도 독립 운동을 저지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예의와 훌륭한 성품으로” 자제력이 있었다고 한다.
Who knows if King George died with regret? Would his reign have been more successful if he’d been harsher with his subjects?
그런 조지 3세가 죽을 때에 후회를 했을까? 신하들을 더 세게 밀어 붙였다면 통치가 더 잘 됐을까?
Not necessarily. In the Bible we read of King Jehoram, who solidified his throne by putting “all his brothers to the sword along with some of the officials of Israel” (2 CHRONICLES 21:4). Jehoram “did evil in the eyes of the Lord” (V. 6). His ruthless reign alienated his people, who neither wept for his gruesome death nor made a “funeral fire in his honor” (V. 19).
아마도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다. 성경을 보면 여호람은 왕위를 굳게 지키려고 “그의 모든 아우들과 이스라엘 방백들 중 몇 사람을 칼로 죽였다”(역대하 21:4)고 기록되어 있다. 여호람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다”(6절). 그의 무자비한 통치에 백성들은 등을 돌렸고, 그가 처참히 죽었을 때에도 백성들은 애도하지 않고 “분향하지 않았다”(19절).
Historians may debate whether George was too soft; Jehoram was surely too harsh. A better way is that of King Jesus, who is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1:14). Christ’s expectations are firm (He demands truth), yet He embraces those who fail (He extends grace). Jesus calls us who believe in Him to follow His lead. Then, through the leading of His Holy Spirit, He empowers us to do so. MIKE WITTMER
조지 3세가 너무 유약했는지는 역사가들이 다룰 부분이지만, 여호람은 분명 너무 가혹했다. 하지만 “은혜와 진리가 충만한”(요한복음 1:14) 왕이신 예수님의 방법은 이들보다 훨씬 더 낫다. 진리를 요구하시는 그리스도의 기준은 엄격하지만, 그럼에도 은혜를 베풀어 실패한 자들을 품으신다. 예수님은 우리 믿는 자들에게 주님을 따를 것을 요구하신다. 그러고는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통해 우리에게 그렇게 할 수 있는 힘을 주신다.
Who are you responsible to lead? How might you show both grace and truth to them?
당신은 누구를 인도할 책임이 있습니까? 어떻게 그들에게 은혜와 진리를 함께 보여줄 수 있을까요?
Dear Jesus, I aim to lead others by following You.//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을 따라 다른 사람들을 인도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나에게는 엄격한 진리의 기준을 적용하되 남에게는 너그러운 용서의 기준을 적용하는 온유한 사람이 되게 하소서. 나의 흠을 보지 못하고 남의 흠을 보는 무뢰함이 내게 머물지 않게 하소서. 나의 성품이 예수님의 성품을 닮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