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토목전공

오늘:
224
어제:
266
전체:
1,933,729
2008.07.16 07:18

메디슨카운티의 다리

조회 수 55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화 속의 구조물

메디슨카운티의 다리

The Bridges of Madison County

 

전산구조공학회지 제21권 제2호, 2008. 6. pp.81-82

이계희//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부교수

 

  <메디슨카운티의 다리>(The Bridges of Madison County)는 로버트 제임스 윌러가 쓴 실화소설이다. 사진작가 로버트 킨케이드와 가정주부인 프란테스카 간의 나흘 간의 사랑을 다루었다. 1992년 발표되었고, 1995년에 개봉된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영화 <메디슨카운티의 다리>의 원작으로도 유명하다.

 

003-1.JPG

 

  '황야의 무법자(1964)'나 '더티하리(1971)', 'FireFox(1982)' 등의 액션 영화배우로 명성을 얻은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용서받지 못한 자(1992)'로 아카데미상을 받으면서 거장 감독으로 변신한 후에 감독겸 주연배우로 메릴 스트립과 노년의 사랑을 중년 여성 취향으로 그린 영화이다. 이 영화는 여주인공이 죽은 시점에서 변호사와 자식들간의 유산을 문제로 시작되어 아들과 딸이 어머니(메릴 스트립)의 일기와 편지를 발견하고 두 사람의 만남 시점부터 돌아가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가족들이 도시에 있는 박람회에 참가하기 위해서 4일간 집을 비운 사이 사진작가인 로버트 킨스케이드(클린드 이스트우드)가 1965년 가을 판 "내셔날 지오그래픽" 잡지에 실을 사진을 찍기 위해 메디슨 카운티에 도착한다. 결혼한 지 15년이 된 프란테스카는 다리를 알려주기 위해서 트럭에 타면서 처음 그와 접하게 된다. 무료한 일상에서 탈출구를 찾지 못한 채 중년 여성이 된 자신에 안주하고 있던 프란체스카와 로버트는 서로를 통해 지금껏 그들 자신들이 살아온 인생을 반추해 보며 새로운 인생의 기쁨을 누리며 둘은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면서 차차 프란체스카는 아주 오래 전에 잃어버렸던 두근거림을 로버트를 통해 느끼게 되고 사랑에 빠지게 된다.

  두 사람이 서로 불륜(남이 했으니까...)에 빠지게 된 계기였던 이 다리는 The Roseman Covered Bridge로 아이오와주의 윈터셋(Winterset)시의 인근에 위치한 메디슨카운티에 위치해 있다. 이 다리는 1833년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1992년에 다시 보수하였다. 현재는 차량의 통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관광용 및 역사적 구조물로 보존되고 있다. 영화의 배경이 된 메디슨 카운티에는 전부 19개의 이러한 유개교(covered bridge)가 있었다고 하나 최근까지 남은 다리는 6개이다. 이 중 Roseman Bridge와 유사한 형식의 교량인 Ceder교는 2002년 방화범에 의해 불타 없어지고 2004년 그 자리에 동일한 모양으로 개축되었다.

 

003-2.JPG

 

  목교의 형식을 가지는 이러한 유개교가 건설된 가장 주된 이유는 다리를 구성하는 목재의 내구성을 위한 것이다. 보통 지붕이 없이 구조부재를 그대로 노출한 경우 교량의 수명은 약 9년 정도이나 이와 같이 지붕을 얹고 구조물을 보호하는 경우 80년의 수명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전 세계에는 모두 1600개 정도의 유개교가 있고 이중 880개 정도가 미국에 있다고 한다.

  유개교의 구조형식은 주로 목재 트러스로 이중 가장 널리 쓰이는 형식은 Burr 트러스, Howe 트러스와 Town Lattice 트러스 등이다. Roseman Bridge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다리는 Town Lattice 트러스 구조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1820년에 Town이라는 엔지니어가 특허를 얻은 이 트러스는 비교적 작고 가벼운 부재를 격자형으로 엮어 트러스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현재 미국에 있는 135개의 유개교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003-3.JPG  

 

이 글을 쓰려고 자료를 수집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교량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내부의 사진을 얻는 것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다리 앞에서 사진을 찍었지만 정작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다리 내부를 찍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멋진 겉모습을 찍는 사진작가보다 남이 보지 않는 곳을 보고싶어하는 구조공학자의 로맨스가 이 다리에서 꽃피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1. Covered Bridge Manual, PUBLICATION NO. FHWA-HRT-04-098, APRIL 2005.

2. http://www.medisoncounty.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