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묵상특강

오늘:
226
어제:
266
전체:
1,933,731
조회 수 32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멘교회 2008년 영성회복 훈련학교 - 담당 김광락 목사님

 

5.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나와 나의 관계)

2008년 4월 16일(수) 10시-12시

 

1. 영적인 사람에 대한 오해

* 추천도서 : '하나님께서 만드신 참 좋은 나', '하나님께 바로서기'

 

2. 몇 가지 단어들에 대한 정의

(1) 자아상(self image) : 자기 자신을 보는 그림. (나는 나를 어떤 모습으로 보는가? = "구원받은 죄인")

(2) 정체성 : 자신의 신분(being)에 대한 이해, 건강한 관계의 열쇠가 됨

(3) 정체성 회복 : 건강한 자아가 되어 타인과 하나님과 깊은 관계(친구)를 맺는 것

(4) 건강한 자아 : 안전한 사람 (무슨 일을 맡겨도 편하다.)

(5) 건강한 자아의 네 가지 중요한 감정 : 친밀감, 소명감, 자존감, 안정감

(6) 건강하지 못한 자아의 주요한 감정 : 수치심, 열등감, 불안감

(7) 거짓 선지자들의 '거짓 메시지' 혹은 '거짓말' : 정체성 왜곡의 메시지

(8) 자존감 = 자아상(self-image) + 정체성(self-identity)

* (엡 1:17-19)"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영광의 아버지께서 지혜와 계시의 영을 너희에게 주사 하나님을 알게 하시고 18 너희 마음의 눈을 밝히사 그의 부르심의 소망이 무엇이며 성도 안에서 그 기업의 영광의 풍성함이 무엇이며 19 그의 힘의 위력으로 역사하심을 따라 믿는 우리에게 베푸신 능력의 지극히 크심이 어떠한 것을 너희로 알게 하시기를 구하노라"

 

3. 이스라엘 백성의 정체성

* (민 13:33) "거기서 네피림 후손인 아낙 자손의 거인들을 보았나니 우리는 스스로 보기에도 메뚜기 같으니 그들이 보기에도 그와 같았을 것이니라" - 이스라엘의 정체성은 '메뚜기'

* 우리는 하나님의 시각이 아니라 우리(경험과 지식)의 시각으로 나와 타인을 본다.

- 하나님의 시각 = (신 26:18) "여호와께서도 네게 말씀하신 대로 오늘 너를 그의 보배로운 백성이 되게 하시고 그의 모든 명령을 지키라 확언하셨느니라"

* 정체성 회복은 하나님이 나를 어떻게 보시는가를 '믿음'으로 가능하게 된다.

* 깨어진 안경을 벗고 진리의 안경으로 자신을 보고 타인을 보아야 한다.

*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되는 근본 이유는 being(존재)이 아니라 doing(행위)에 의미를 두기 때문이다.

* 그러나 어떤 일을 하든지 나의 정체성은 바뀌지 않는다.

* doing의 문제로 자기 정체성을 결정짓는 것은 사탄의 전략이다.

- (예) 사탄이 광야에서 예수님을 시험한 경우 :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doing으로 네 자신을 입증해 보이라!" "너는 이렇게 했으니까 안돼..." - 그러나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정체성이 분명했으므로 사탄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았다.

* 이처럼 일, 능력, 돈, 명예, 소유 등으로 자기 정체성을 찾게 만드는 존재가 사탄이다. 정체성이 모든 시험에서 무너지느냐 극복하느냐의 관건이다.

* 예수님은 이 정체성이 분명했기 때문에 자신을 입증하려고 시도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셨다.

- (예) 왕자의 거지의 정체성 - 어떤 옷을 걸쳤는가는 아무 상관이 없다!

* 정체성이란 하나님이 나를 보는 것, 하나님이 이미 내게 주신 신분이다. (내 존재의 가치는 예수님짜리이다.)

 

4. 가정의 영향과 정체성

* 정체성 문제에서 정신질환으로까지 연결됨. 성격장애의 원인은 정체성 문제에 있음.

- (예) 편집증적 성격장애 : 편하게 한 말을 공격적으로 받아들임

* 부모의 양육이 큰 영향을 줌 -> 자기 경험에 의해 해석함 -> 자기를 보는 사고방식의 틀을 만듬 -> 견고한 요새 속에 숨게 됨 -> 생각의 습관 -> 습관적 행동 -> 완고해지게 됨

* 사탄은 진리가 아닌 거짓말을 믿게 만듬. 좋은 조건에서 건강한 정체성을 갖는 것이 아님.

 

5.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시스템)

* 건강한 자아의 특징 : 자발적으로 나눔, 섬김, 관계에 적극적, 실수 인정, 감정 표현이 자연스러움, 두려움이 없음, 책임, 존중, 이해, 만족, 목표와 목적의식 뚜렷, 친밀감.

* 병든 자아의 특징 : 불안정, 수치심, 낮은 자존감(열등감), 비교의식, 불편, 불안, 부정직, 숨김, 위축, 실수를 용납 못함, 무책임, 비판, 냉소, 조급, 은폐, 무관심, 분노, 조울

* 안전과 안정감을 주는 요소들 : skinship, 돌봄, 지도, 경청, 지지, 성취감, 무조건적 사랑, 용납받음

- 불안감을 주는 요소들 : 잦은 이사, 상실

* 사랑의 다섯 가지 언어 = 인정하는 말, 함께 하는 시간, 선물, 봉사, 스킨십

* 낮은 자존감에 영향을 주는 궁극적인 실체는 '죄'이다. 죄는 하나님과 우리 자신에 대해 잘못된 생각을 갖게 한다. 죄는 분리 -> 불안 -> 은폐, 엄폐 -> 애착 대상을 찾게 함 -> 중독

* 건강한 자존감에 영향을 주는 다섯 가지 요소들 : 따뜻함(용납 받음), 친밀감(용서 받음), 중요감(인정 받음), 자존감(존중 받음), 안정감(보호 받음)

* 다시금 중요한 것은 내가 나를 어떻게 보는가(doing)가 아니라, 하나님이 나를 어떻게 보는가(being)가 중요하다. 즉, 일이 아니라 신분인 것이다.

- (예) 누가복음 18장의 바리새인의 정체성(행위)과 세리의 정체성(신분). 세상은 자기 정체성을 신분이 아니라 일과 소유에서 찾는다.

 

6. 정체성 회복의 길

(1) "네가 어디 있느냐"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한다. 은폐하고 엄폐하는 것에서 나와야 한다. 우리를 가리는 것, 우리가 숨는 곳에서 나와야 한다. 하나님 앞에 자신을 정직하게 드러내는 것이 회복의 출발이다.

(2) 자기를 수용하고 용납해야 한다. 자기를 하나님의 관점에서 존중하고 축복할 줄 알아야 한다.

(3) 하나님의 아들을 더 많이 알아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 모든 회복이 있다. 말씀 묵상과 성품 묵상은 매우 중요한 경건의 연습이다. 묵상을 하나님의 마음을 깨닫고 느끼고 즐기는 것이다. 나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을 느끼고 헤아리는 것이 참 묵상이다.

* 적용 : 하나님이 나를 어떻게 보시는가? 나는 무엇을 붙들고 살아가는가? 하나님이 보시는 대로가 아니라 내가(세상이) 보는 대로 보는가? 내가 숨고 가리는 것은 없는가?

* 적용 2 : 이사야 43장 1-4절을 자기 이름을 넣어 읽어보자.

(사 43:1-4) "야곱아 너를 창조하신 여호와께서 지금 말씀하시느니라 이스라엘아 너를 지으신 이가 말씀하시느니라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2 네가 물 가운데로 지날 때에 내가 너와 함께 할 것이라 강을 건널 때에 물이 너를 침몰하지 못할 것이며 네가 불 가운데로 지날 때에 타지도 아니할 것이요 불꽃이 너를 사르지도 못하리니 3 대저 나는 여호와 네 하나님이요 이스라엘의 거룩한 이요 네 구원자임이라 내가 애굽을 너의 속량물로, 구스와 스바를 너를 대신하여 주었노라 4 네가 내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내가 너를 사랑하였은즉 내가 네 대신 사람들을 내어 주며 백성들이 네 생명을 대신하리니"

* 우리의 정체성이 물질이나 환경이나 사역에 있지 않다는 사실이 믿어지는가?

(습 3:17)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너의 가운데에 계시니 그는 구원을 베푸실 전능자이시라 그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하리라"

* 하나님이 나를 어떤 자로 보고 계시는가?

(합 3:17-19)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하지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에 소출이 없으며 밭에 먹을 것이 없으며 우리에 양이 없으며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18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 19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라 나의 발을 사슴과 같게 하사 나를 나의 높은 곳으로 다니게 하시리로다 이 노래는 지휘하는 사람을 위하여 내 수금에 맞춘 것이니라"

(4) 하나님의 사랑을 더 많이 경험해야 한다. 사랑 받는 자에게 나타나는 것이 '안정감'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안정감'은 세계 최고였다. 풍랑 가운데서도 편히 주무실 수 있으셨다. 우리는 사랑을 받기 위해 사랑을 주는 자가 되어야 한다. 사랑 받는다는 것은 내가 제일 존경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지지해 주고 축복해 주고 격려해 주고 받아 주고 이해해 주고 위로해 주고 나의 마음을 알아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실을 내가 알고 있고, 느끼고 있고,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나의 마음이 넉넉하고 따뜻함을 느끼는 것이다.

(5) 하나님이 나를 보시는 대로 우리가 남을 보아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를 상처 입은 자로 보신다. (우리도 다른 사람을 그렇게 보아야 한다. doing과 being을 구별해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를 정확하게 보신다. 있는 그대로 보시는 분이시다. 죄는 숨기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그것을 드러내기를 원하신다. "서로 죄를 고백하며..." 우리가 드러내기 시작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상처를 싸매실 것이다. (시 147:3) "상심한 자들을 고치시며 그들의 상처를 싸매시는도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은 우리의 제물이 아니라 우리 자신임을 기억해야 한다. (시 51:16-17) "주께서는 제사를 기뻐하지 아니하시나니 그렇지 아니하면 내가 드렸을 것이라 주는 번제를 기뻐하지 아니하시나이다 17 하나님께서 구하시는 제사는 상한 심령이라 하나님이여 상하고 통회하는 마음을 주께서 멸시하지 아니하시리이다."

(6)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에서 출발해야 한다. 하나님을 아버지로 알아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 가정에 입양된 '상속자'이다. 양부모이신 하나님의 마음을 알아 가는 것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시각에서 우리 자신과 타인을 보려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정직한 마음과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한다. 그것은 묵상으로만 가능하다.

(7) 고통 가운데 계신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발견해야 한다. 내가 고통 당할 때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알아야 한다. 고통 가운데 있는 나와 함께 고통 당하시는 주님을 알아야 한다.

(8) 용서함으로 풀어 주라. 용서하지 않는 마음은 나와 타인을 묶는 것이다.

(9) 진리를 묵상하라. 묵상(meditation)은 하나님의 진리로 치유되는 시간(medicine)이다.

(10) 마음을 옥토로 가꾸라. 상처를 많이 받은 사람의 마음은 길가와 같이 딱딱하다. 마음 밭을 기경해야 한다. 마음의 가시떨기를 제거해야 한다. 겸손하고 부드럽고 온유하며 진리를 기뻐하고 진리 안에서 모든 것을 참고 견디는 법을 배워가야 한다. 진리에 자신을 끊임없이 비추어보면서 날마다 주님께 자신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 내면의 어둠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낙심하거나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 비전 honey 2005.08.15 2833
31 건강한(견고한) 가정 honey 2007.06.05 2757
30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honey 2007.06.30 2974
29 영성회복(1) 묵상하는 삶 - 김광락목사 honey 2008.04.01 3154
28 영성회복(2) 참된 예배자의 삶 - 김광락목사 honey 2008.04.01 3789
27 영성회복(3) 중보기도 - 김광락목사 honey 2008.04.01 3113
26 영성회복(4)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삶 - 김광락목사 honey 2008.04.08 3066
» 영성회복(5)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 김광락 목사 honey 2008.04.22 3298
24 영성회복(6) 내적치유01 - 지원호목사 honey 2008.05.05 3681
23 영성회복(7) 내적치유02 - 지원호목사 honey 2008.05.06 3201
22 영성회복(8) 건강한 가정 - 최희숙 사모 honey 2008.05.22 3284
21 영성회복(9) 건강하지 못한 가정 - 최희숙 사모 honey 2008.05.22 3168
20 영성회복(10) 사고방식 - 박민호지부장 honey 2008.05.22 3083
19 영성회복(11) 영적 권위, 영적 성장, 영적 성숙 - 김광락 목사 honey 2008.05.30 3543
18 영성회복(12) 영적 전쟁 - 김광락 목사 honey 2008.06.21 3125
17 영성회복(13) 그리스도인의 재정원칙 - 김광락 목사 honey 2008.06.21 3769
16 영성회복(14) 선교적인 삶 - 김광락 목사님 honey 2008.06.22 3199
15 그리스도인의 시간관리 - YWAM 대구지부 박민호지부장 honey 2008.08.04 3969
14 그리스도인의 재정원칙 - YWAM 대구지부 박민호지부장 honey 2008.08.04 3623
13 북한 동영상 honey 2008.09.04 3564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