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마태복음 21:1-11
(마 21:1) 저희가 예루살렘에 가까이 와서 감람산 벳바게에 이르렀을 때에 예수께서 두 제자를 보내시며
(마 21:2) 이르시되 너희 맞은편 마을로 가라 곧 매인 나귀와 나귀 새끼가 함께 있는 것을 보리니 풀어 내게로 끌고 오너라
(마 21:3) 만일 누가 무슨 말을 하거든 주가 쓰시겠다 하라 그리하면 즉시 보내리라 하시니
(마 21:4) 이는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라 일렀으되
(마 21:5) 시온 딸에게 이르기를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 곧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를 탔도다 하라 하였느니라
(마 21:6) 제자들이 가서 예수의 명하신 대로 하여
(마 21:7) 나귀와 나귀 새끼를 끌고 와서 자기들의 겉옷을 그 위에 얹으매 예수께서 그 위에 타시니
(마 21:8) 무리의 대부분은 그 겉옷을 길에 펴며 다른 이는 나무 가지를 베어 길에 펴고
(마 21:9) 앞에서 가고 뒤에서 따르는 무리가 소리질러 가로되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 하더라
(마 21:10)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가시니 온 성이 소동하여 가로되 이는 누구뇨 하거늘
(마 21:11) 무리가 가로되 갈릴리 나사렛에서 나온 선지자 예수라 하니라
(요절 : 마태복음 21:5)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 곧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를 탔도다
어떤 목사가, 예루살렘으로 들어가는 그리스도의 승리의 입성식을 참조하면서 물었다. "예수님이 타신 나귀가 모든 환호를 자기에게 돌리려 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 작은 동물이 호산나와 나뭇가지가 자기의 영광을 위한 것이라고 믿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그 목사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 "나는 나귀입니다. 여러분이 여기 오래 앉아 있을수록 그것을 더 잘 실감할 것입니다. 나는 오직 예수님을 지닌 사람입니다. 그리고 찬양의 대상이 아닙니다."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록하면서 마태는 스가랴의 예언을 참조했다: "시온 딸에게 이르기를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 곧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를 탔도다"(마태복음 21:5; 스가랴 9:9을 보라).
종려주일에 나귀는 단순히 그리스도를 등에 태운 것뿐이며, 세상의 죄들을 위해 그분의 생명을 드리기 위해 도시로 들어가는 하나님의 아들을 모신 것뿐이다.
우리가 건전한 "나귀의 성향"을 개발할 수 있다면, 생명의 길을 여행할 때 얼마나 좋은 자산이 될 것인가.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를 생각할 것 없이, 우리의 관심은 "그들이 우리에게서 예수 그리스도 왕을 볼 수 있는가?"에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드리는 예배에 대한 명성을 찾기보다는, 주님을 높이는 것으로 만족하게 될 것이다.
- David McCasland -
오, 죄로부터 나를 놓아주신,
주인께 내가 무엇을 드릴 수 있는가?
그분께 전 생애에 걸친 예배를 드리리라,
그분이 나를 위해 돌아가신 것을 감사하는.
- K. De Haan -
기독교인의 삶은 다른 사람이 그들을 통해서 예수님을 보는 창문입니다. 전도를 하려다 보면 기존의 교인들 때문에 상처를 받거나, 기독교인의 행동이 맘에 안 들어서 못 믿겠다는 사람을 의외로 많이 만나게 됩니다. 물론 사람을 보고 예수님을 믿으면 안되고, 그런 사람이 예수님조차 믿지 않았다면 더 몹쓸 사람이 되었다고 핑계를 댈 수도 있지만, 이미 그런 모습을 보고 안 믿기로 작정하는 사람에게는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 사람이 복음을 방해한 것입니다. 나귀의 위치를 잘 생각해 보고, 우리 모두 진정한 나귀가 되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