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마태복음 24:32-44
(마 24:32) ○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배우라 그 가지가 연하여지고 잎사귀를 내면 여름이 가까운 줄을 아나니
(마 24:33) 이와 같이 너희도 이 모든 일을 보거든 인자가 가까이 곧 문 앞에 이른 줄 알라
(마 24:34)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이 일이 다 이루리라
(마 24:35) 천지는 없어지겠으나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
(마 24:36) 그러나 그 날과 그 때는 아무도 모르나니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오직 아버지만 아시느니라
(마 24:37) 노아의 때와 같이 인자의 임함도 그러하리라
(마 24:38) 홍수 전에 노아가 방주에 들어가던 날까지 사람들이 먹고 마시고 장가들고 시집가고 있으면서
(마 24:39) 홍수가 나서 저희를 다 멸하기까지 깨닫지 못하였으니 인자의 임함도 이와 같으리라
(마 24:40) 그 때에 두 사람이 밭에 있으매 하나는 데려감을 당하고 하나는 버려둠을 당할 것이요
(마 24:41) 두 여자가 매를 갈고 있으매 하나는 데려감을 당하고 하나는 버려둠을 당할 것이니라
(마 24:42) 그러므로 깨어 있으라 어느 날에 너희 주가 임할는지
(마 24:43) 너희가 알지 못함이니라 너희도 아는바니 만일 집 주인이 도적이 어느 경점에 올 줄을 알았더면 깨어 있어 그 집을 뚫지 못하게 하였으리라
(마 24:44) 이러므로 너희도 예비하고 있으라 생각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
(요절: 요한일서 2:28) 자녀들아 이제 그 안에 거하라 이는 주께서 나타내신 바 되면 그의 강림하실 때에 우리로 담대함을 얻어 그 앞에서 부끄럽지 않게 하려 함이라
내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종종 다른 도시에 있는 교회에서 강연을 하거나 성경 모임을 인도하러 집을 떠나시곤 했다. 때로는 어머니가 아버지를 따라가셨는데, 집에는 동생과 나만 몇 일 동안 남아있었다. 우리는 독립을 즐겼지만 접시를 닦는 것이 몹시 싫었다.
매 식사 때마다 나온 더러운 접시들과 유리잔, 오븐에서 나온 은그릇 등을 최대한 쌓아놨다가 그 무시무시한 허드레 것들을 한꺼번에 치우려고 할 때를 기억한다. 주말에 더 이상 공간이 남아있지 않았다. 엄마와 아빠가 돌아오기로 되어 있는 그 날 저녁에, 우리는 소매를 걷어 부치고 혼잡스런 그 모든 것들을 닦았다. 거기에는 몇 시간이나 걸렸다! 우리 부모님이 예상시간보다 일찍 돌아오셨다면 너무나 부끄러울 뻔했다.
우리는 예수님이 언제 돌아오실지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마태복음 24:36, 42, 44), 기독교인으로서의 걸음을 게을리 하면 안된다. 그분이 언제라도 오실 수 있다는 기대는 우리로 하여금 "충성되고 지혜 있는" 종(45절)이 되도록 할 것이며, 그분이 오실 때 "우리로 담대함을 얻어 그 앞에서 부끄럽지 않게"(요한일서 2:28) 살게 할 것이다.
그렇다. 예수님은 그분이 약속하신 그대로 다시 오실 것이다. 아마 오늘! "더러운 접시들"을 가지고 있는가? 지금이 바로 준비할 때이다.
- Richard De Haan -
신실함과 진실함을 여기 사는 우리에게 그분이 찾을 것이다.
그분이 오늘 오신다면?
두려움이 아니라 반가움으로 그분을 맞이해야지.
그분이 오늘 오신다면?
- Morris -
예수님이 바로 지금 다시 오실 수 있는데도 우리는 마치 나의 인생이 최소한 몇 년은 더 남은 것처럼 살아간다. 가까운 장래에 다시 오실 수 있다고는 생각해도 바로 오늘 다시 오신다고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다. 당장 모든 것을 접어두고 그분을 따라가야 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