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영적 성장과 성숙
1.(고전 3:1-4) “형제들아 내가 신령한 자들<spiritual>을 대함과 같이 너희에게 말할 수 없어서 육신에 속한 자<carnal> 곧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들을 대함과 같이 하노라 2 내가 너희를 젖으로 먹이고 밥으로 아니하였노니 이는 너희가 감당하지 못하였음이거니와 지금도 못하리라 3 너희는 아직도 육신에 속한 자로다 너희 가운데 시기와 분쟁이 있으니 어찌 육신에 속하여 사람을 따라 행함이 아니리요 4 어떤 이는 말하되 나는 바울에게라 하고 다른 이는 나는 아볼로에게라 하니 너희가 육의 사람이 아니리요”
→밥뿐 아니라, 고기도 잘 먹을 수 있다. 일부 육신에 속해 있기는 하지만 내 안에 시기와 분쟁은 없다.
1)→“어떤 이는 말하되 나는 바울에게라 하고 다른 이는 나는 아볼로에게라 하니,”, “너희 가운데 시기와 분쟁이 있으니”
2)→“육신에 속한 자 곧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들” : 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면 어린아이와 같다.
3)→말씀의 깊이를 감당치 못한다.
4)(히 5:12-14) “때가 오래 되었으므로 너희가 마땅히 선생이 되었을 터인데 너희가 다시 하나님의 말씀의 초보에 대하여 누구에게서 가르침을 받아야 할 처지이니 단단한 음식은 못 먹고 젖이나 먹어야 할 자가 되었도다 13 이는 젖을 먹는 자마다 어린 아이니 의의 말씀을 경험하지 못한 자요 14 단단한 음식은 장성한 자의 것이니 그들은 지각을 사용함으로 연단을 받아 선악을 분별하는 자들이니라”
→젖 = 말씀의 초보; 밥 = 장성한 사람이 대하는 말씀(말씀 가운데서 내게 주는 교훈을 찾음)
5)→(1)시기와 분쟁이 있다. (2)파당을 짓는다.
6)→너무나 유치하고 부끄러운 일인데 일이 생길 때마다 편을 가르고 상대편에게 얼굴 붉히고 하는 사람들을 대하기가 불편하다.
7)→편을 가르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당연히 편을 가르는 줄 안다.(자기의 생각대로 남을 바라본다.)
8)(고전 1:7) “너희가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
→yes. 은사를 자기의 자랑으로 여기면 성숙하지 못한 행동이 나온다. 성령의 은사는 하나님의 필요에 의해 주신다.
2.(엡 4:13-16)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 14 이는 우리가 이제부터 어린 아이가 되지 아니하여 사람의 속임수와 간사한 유혹에 빠져 온갖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15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 16 그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받음으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
1)→온전한 사람,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운다.
2)→모든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함(tossed to and fro, and carried about with every wind of doctrine, by the sleight of men); (사람의 궤술과 간사한 유혹 = 거짓 가르침)
3)→예수님을 닮는 것(성품과 삶에서)(생각과 생활과 비전에서)
4)→예수님을 닮는 데까지 자라야 하므로(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함)(What Will Jesus Do)
5) 예수님의 생각 나의 생각
1. 악한 자를 대적지 말라(마 5:39) 원수를 사랑하라 1. (사랑해야지)
2. 핍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마 5:44) 2. 미워하지는 않았지만 위하여 기도하지 않았다.(조금했다)
예수님의 생활 나의 생활
1. 무소유, 집이 없다 1. 내게 있는 물질(자식)은 하나님이 맡겨주신 것이다.
2. 모든 것을 하나님께 구하고 하나님의 인도대로 살았다. 2. 100% 맡긴다고 하면서 불안한 부분이 있다.
예수님의 인생 비전 나의 인생 비전
1. 모든 사람을 하나님께로 인도하는 것 1. 믿음이 연약한 자, 확신이 없는 자를 돕는다.
2. 하나님과의 화목제물이 되는 것 2. 사람 사이의 화목제물이 되자.
6)→교회 안과 사회에서의 생활이 일치되어야 위선자적인 삶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성자처럼 살지 못해도, 모든 부분에서 예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3.(살전 2:7)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마땅히 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나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유순한 자가 되어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하였으니”
→<영적 지도자>유순한 자(믿음이 연약한 자를 사랑으로 돌봄) 참고: (살전 2:8)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뿐 아니라 우리의 목숨까지도 너희에게 주기를 기뻐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
•(벧후 3:18) “오직 우리 주 곧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그를 아는 지식에서 자라 가라 영광이 이제와 영원한 날까지 그에게 있을지어다”
→<말씀과 기도>은혜와 지식에서 자라라
•(엡 4:16) “그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받음으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
→<교회 공동체, 교제권, 소그룹>균형있는 성장
•(빌 3:12) “내가 이미 얻었다 함도 아니요 온전히 이루었다 함도 아니라 오직 내가 그리스도 예수께 잡힌 바 된 그것을 잡으려고 달려가노라”
→<부단히>끊임없이 노력함
만년 갓난아기 신자
- 후안 까를로스 오르티즈 -
Home Work
독후감 : "유혹" - 톰 아이젠맨 저 (IVP 소책자시리즈 75)
•내용요약
∙서론 ⇒ 거짓말을 하려는 유혹을 겪을 때가 있다. 이런 때는 우리가 받는 유혹을 밝히 드러내는 일이 효과가 있다. 공개적으로 고백하고 나면 자유로와진다.
∙당신이 어떤 존재인지 명심하라. ⇒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지 않는 경우 낙담하고 패배감에 시달린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구원받은 하나님의 자녀이다. 구원 이후에는 계속해서 성장해야 한다. 우리가 유혹이나 죄와 씨름하고 있다는 것은 하나님이 실제로 우리와 가까이 계신다는 반증이다. 그러나 거룩한 삶을 살아가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싸움에서 여러번 패배할 것이다.
∙유혹의 과정 ⇒ 유혹은 마음에서 시작된다.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약 1:15) “죄의 삯은 사망이다”(롬 6:23)
∙전략 1 : 자신을 알라 ⇒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완전하지 않다. 자신이 취약한 영역을 연구하라.(생각, 행동, 말) 유혹은 심층적인 문제의 증상에 불과하다. 유혹의 배후에 있는 깊은 욕구를 기도를 통하여 알아내라. 또한 자신이 쉽게 유혹 받는 때와 생활 속에 자리잡은 유혹의 반복적인 패턴을 연구하라.
∙전략 2 : 성령 안에서 새로워지는 법을 배우라 ⇒ 새로운 영적 생활은 언제나 진정한 회개와 더불어 시작되는 성령의 사역으로 가능하다. 새로운 생활은 회개에서 시작하여 순종을 통해 지속되며 책임 있는 실천으로 강화된다. 정기적인 예배, 기도, 성경공부가 필요하다.
∙전략 3 : 당신의 적을 알라 ⇒ 사탄은 하나님의 일을 방해한다. 사탄이 시도하는 첫 번째 작업은 우리를 죄에 대한 대화에 끌어들여서 하나님의 말씀에 의심을 품도록 하는 것이다. 사탄과의 논쟁에서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반응은 사탄과의 대화를 몰아내고 하나님과 대화하기로 결정하는 것이다.
∙전략 4 : 비전 있는 삶을 살라 ⇒ 우리 자신이 믿음 안에서 걸어온 그 이상으로는 사람들을 인도할 수 없다. 우리의 도전은, 주님과 함께 항상 그 다음 단계를 밟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전략 5 : 좋은 습관을 계발하라 ⇒ 잘못된 습관은 태만에서 생긴다. 좋은 습관을 만드는 것은 우리를 보호하는 방어벽에 벽돌을 더 쌓는 것과 같다. 좋은 습관은 나쁜 습관 못지 않게 깨뜨리기 어렵다.
∙전략 6 : 자신의 강점을 경계하라 ⇒ 우리는 실제로 한번도 시험받지 않은 영역들에서는 자신이 강하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당신의 삶에서 자신 있다고 장담하는 영역들을 주의하라. 우리의 강점에는 어두운 부분이 있다. 유혹은 보통 우리의 강점이나 재능이 있는 분야에서 발생한다.
∙전략 7 : 유혹에서 도망치라 ⇒ 유혹에 맞서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어책은 유혹에서 도망치는 것이다. (요셉과 보디발의 아내) 유혹에서 도망치는 것은 절대 비겁한 행동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성숙하다는 표시이다.
∙이 싸움을 싸우는 이유 ⇒ 죄가 우리 삶에 침투하면 모든 것이 어둡게 변한다. 우리의 삶은 암울해진다. 하나님은 우리가 자유하기를 원하신다. 우리는 또한 세상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 존재이다.
∙(결론) 우리는 성도의 삶에 부활의 능력이 어떠한 힘을 미치는지를 증명하는 하나님의 모델이다. 누군가가 우리를 주시하고 있다.
•소감
유혹에 대한 상황과 현실적인 문제를 너무나 실감나게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유혹을 느낄 때마다 반복해서 읽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