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교회의 존재 이유(1): 예배
1.
1)(사 43:7) “내 이름으로 불려지는 모든 자 곧 내가 내 영광을 위하여 창조한 자를 오게 하라 그를 내가 지었고 그를 내가 만들었느니라”
⇒사람은 하나님이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창조하셨다.
2)(사 43:1) “야곱아 너를 창조하신 여호와께서 지금 말씀하시느니라 이스라엘아 너를 지으신 이가 말씀하시느니라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1)이스라엘 민족, (2)하나님께로부터 구속함을 받은 자(그리스도인)
⇒“너는 내 것이라”의 신약적 의미 = (고전 6:20)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3)⇒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4)(사 43:21)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를 찬송하게 하려 함이니라”
⇒이 백성은 하나님이 하나님을 위하여 창조하셨다. 그러므로 구속함을 받은 피조물은 하나님을 찬양해야 한다.
5)(계 15:3-4) “하나님의 종 모세의 노래, 어린 양의 노래를 불러 이르되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시여 하시는 일이 크고 놀라우시도다 만국의 왕이시여 주의 길이 의롭고 참되시도다 4 주여 누가 주의 이름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며 영화롭게 하지 아니하오리이까 오직 주만 거룩하시니이다 주의 의로우신 일이 나타났으매 만국이 와서 주께 경배하리이다 하더라”
(시 40:5, 16) “5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주께서 행하신 기적이 많고 우리를 향하신 주의 생각도 많아 누구도 주와 견줄 수가 없나이다 내가 널리 알려 말하고자 하나 너무 많아 그 수를 셀 수도 없나이다 16 주를 찾는 자는 다 주 안에서 즐거워하고 기뻐하게 하시며 주의 구원을 사랑하는 자는 항상 말하기를 여호와는 위대하시다 하게 하소서”
⇒구원을 중심으로 하여 하나님이 하신 놀라운 일들(주의 하시는 일, 주의 길, 주의 이름, 주의 행하신 기적, 우리를 향한 주의 생각 등을 노래함.)
6)⇒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는 것(=예배) : 이름을 높여드리고 찬양함
2.(요 4:23-24)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 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24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
1)⇒진정한 예배는 태도가 중요하다. 영과 진리로(in spirit and in truth) 예배 드려야 한다. 즉, 믿는 자들은 자신의 영 안에서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과 영적으로 접촉하는 가운데 하나님께 참되게 예배해야 하며, 또한 하나님께 진리로 다가가야 한다. 숨기거나 가리는 것 없이, 자아를 내세우지 않고 모든 것을 다 맡긴다.
*영과 진리로 예배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must) 영과 진리로 예배를 드려야만 한다.
*영과 진리 외에 다른 수단이 필요 없다. 즉, 육신적이거나 감성적인 요소가 필요 없다.
⇒진리로 다가간다 = 하나님을 아는 것
2)⇒신령과 진정으로
3)⇒하나님만 바라고 하나님이 나의 구주가 되신다는 자체로도 은혜가 되지만, 주일 예배에서 크게 다가오는 부분은 전제 성도들이 함께 한 분을 위하여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다. 공동체의 분위기가 가장 은혜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수요예배 때는 육신적 피곤함이 예배에 집중하는데 방해하는 가장 큰 적이다.
4)⇒모든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으로 대예배와 소예배의 구별이 없이 항상 정성을 쏟는다. 다만 주일에 드리는 예배는 전체 성도가 모두 함께 드리는 예배이므로 마음의 정비와 함께 의복 및 용모의 단장에 신경을 쓴다.
5)⇒항상 만족한다.(좋은 예배를 드리려면 우리가 먼저 좋은 예배자가 되어야 한다.)
⇒예전에 만족하지 못했던 경험 : 성경 말씀에 근거하지 않은 설교, ...
3.(롬 12:1)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1)⇒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았기 때문에 우리의 몸을 거룩한 산 제물로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 이것이 우리가 드릴 합당한 예배이다.
2)⇒우리의 몸을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는 것
3)⇒나의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에 사용한다.(삶의 현장 속에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사는 것)
4)⇒Yes. 손해본다. 모든 생활이 본이 되도록 노력한다.
5)⇒매 순간이 모두 예배라고 자부할 수는 없지만, 그렇게 되도록 노력하고 산다. 일에 있어서는 작은 일이라고 하찮게 여기거나 무시하지 않는다. 모든 일이 다 의미가 있고 중요하다.
6)⇒직장에서 겪는 불만 : 리더십의 부재(위에서 군림하려고 하는 자세를 볼 때)
⇒고통, 권태, 허무감 : 느끼지 않는다. 외부적인 스트레스는 곧바로 스스로 푸는 편이다.
4.⇒하나님의 존재를 알게 되고, 교회를 통해서 예수님을 발견한다.(그러므로 삶 속에서 예배자로 살아야 한다.)
5.⇒최소한 아는 것에 대해서는 잘못 안 것이 없다. 그러나 행동으로는 어떻게 나타났는지?
⇒예배에 집중이 안되는 경우 : 몸이 피곤할 때, 춥거나 더울 때(몸이 약하여), 다른 사람이 잡담할 때